KR101163033B1 -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 Google Patents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033B1
KR101163033B1 KR1020050075796A KR20050075796A KR101163033B1 KR 101163033 B1 KR101163033 B1 KR 101163033B1 KR 1020050075796 A KR1020050075796 A KR 1020050075796A KR 20050075796 A KR20050075796 A KR 20050075796A KR 101163033 B1 KR101163033 B1 KR 10116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line precharge
power
precharge pow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1502A (ko
Inventor
옥승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0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8Word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for wor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제 1 및 제 2 비트라인에 각각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회로는, 상기 제 1 비트라인에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상기 제 2 비트라인에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상기 제 1 비트라인과 연결되어 제 1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1 전원 패드; 및 상기 제 2 비트라인과 연결되어 제 2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2 전원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BIT LINE PRECHARGE POWER GENERATION CIRCUIT}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비트라인, 셀, 및 플러그 간 스트레스 인가를 위한 비트라인 전원 공급 배선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배선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비트라인, 셀, 및 플러그 간 스트레스 인가를 위한 비트라인 전원 공급 배선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배선도.
도 2a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의 회로도.
도 2b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의 회로도.
도 2c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의 회로도.
도 2d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표.
도 2e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셀, 및 플러그 간 스트레스 인가를 위한 비트라인 전원 공급 배선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배선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의 회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의 회로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의 회로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표.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0 : 메모리 셀 어레이 3200 :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3210 :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3220 :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3230 :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
3240,3250 : 전원 패드
본 발명은 비트라인에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bit line precharge power generation circui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의 불량 발생 확률은 초기 1000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그 이후에는 반도체 장치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거의 일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도체 생산에 있어서 번인(Burn-In) 공정은 일반적인 사용환경보다 가혹한 조건(예를 들어 온도 125℃, 사용전압보다 높은 전압 하에서 수명 가속 시험(accelerated life test)을 실시한다. 즉, 번인 공정은 일반적인 환경보다 좀 더 빠르게 장치의 초기 불량을 검출해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하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 불량을 검출하기 위해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비트라인, 셀, 및 플러그 간 스트레스 인가를 위한 비트라인 전원 공급 배선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배선도로서, 특히 폴디드 비트라인(folded bit line)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1100)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120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예에 따른 폴디드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1100)에는 다수의 비트라인 쌍(BL,/BL)이 형성되고, 다수의 비트라인 쌍(BL,/BL)과 수직하게 다수의 워드라인(WL0~WL7)이 형성된다.
또한, 종래의 일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1200)는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시, 짝수번째(even) 워드라인(WL0,WL2,WL4,WL6)이 활성화된 경우, 비트라인 쌍(BL,/BL)에 로우레벨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을 인가하고, 홀수번째(odd) 워드라인(WL1,WL3,WL5,WL7)이 활성화된 경우, 비트라인 쌍(BL,/BL)에 하이레벨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을 인가한다.
따라서, 종래의 일예에 따른 폴디드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1100)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1200)를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셀 간 에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하여, 비트라인, 셀, 및 플러그 간의 불량을 찾아낸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비트라인, 셀, 및 플러그 간 스트레스 인가를 위한 비트라인 전원 공급 배선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배선도로서, 특히, 오픈 비트라인(open bit line)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0)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22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오픈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0)에는 다수의 비트라인 쌍(BL,/BL)이 형성되고, 다수의 비트라인 쌍(BL,/BL)과 수직하게 다수의 워드라인(ISO WL,WL0,WL1,ISO WL,WL2, WL3,ISO WL)이 형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오픈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0)는 셀 블럭 당 하나의 센스앰프부가 연결되며, 센스앰프부에 연결된 비트라인이 서로 다른 셀 블럭과 연결되므로,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도 1과 동일한 스트레스 모드 테스트를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오픈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0)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을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과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1)으로 분리하여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행한다.
즉,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2200)는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2210),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2220), 및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2230)를 구비하며,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2210)는 홀수번째 워드라인(WL1,WL3)이 활성화된 경우, 홀수번째 워드라인(WL1,WL3)과 연결된 비트라인(BL)에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을 인가한다. 그리고,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2220)는 짝수번째 워드라인(WL0,WL2)이 활성화된 경우, 짝수번째 워드라인(WL0,WL2)과 연결된 비트라인(BL)에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1)을 인가한다.
이하,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오픈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2100)의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2200)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2210,2220)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제어부(2230)의 동작을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는 스트레스 테스트 시, 모든 비트라인에 코어전압(VCORE)을 인가할 때 사용되는 신호이고,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는 스트레스 테스트 시, 모든 비트라인에 접지전압(VSS)을 인가할 때 사용되는 신호이다. 또한, 테스트 오프 신호(TVBLPOFF)는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로 진입 시에 사용되는 신호이고,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는 정상 모드 시, 1/2 코어전압(1/2*VCORE)을 비트 라인으로 인가할 때 사용되는 신호이다.
도 2a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2210)는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테스트 오프 신호(TVBLPOFF)를 노 아 연산하여 출력하는 노아 게이트(2211); 노아 게이트(2211)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레벨 상태에 따라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노드 'A'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NMOS 트랜지스터(2212);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를 지연하여 출력하는 인버터(2213,2214); 인버터(2213)에서 반전된 신호와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를 낸드 연산하여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2215); 코어전압(VCORE) 라인과 접지전압(VSS)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낸드 게이트(2215)의 출력신호와 인버터(2214)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을 출력하는 출력 드라이버(22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출력 드라이버(2216)는, 코어전압(VCORE) 라인과 노드 'A' 사이에 연결되며, 낸드 게이트(2215)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PMOS 트랜지스터(2216a)와, 노드 'A'와 접지전압(VSS)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인버터(2214)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NMOS 트랜지스터(2216b)로 구성된다.
도 2b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2220)는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테스트 오프 신호(TVBLPOFF)를 노아 연산하여 출력하는 노아 게이트(2221); 노아 게이트(2221)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레벨에 따라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노드 'B'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NMOS 트랜지스터(2222);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2223); 인버터(2223)에서 반전된 신호와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를 낸드 연산하여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2224); 낸드 게이트(2224)에서 낸드 연산된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2225); 및 코어전압(VCORE) 라인과 접지전압(VSS)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인버터(2223)의 출력신호와 인버터(2225)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VBLP1)를 출력하는 출력 드라이버(22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출력 드라이버(2226)는, 코어전압(VCORE) 라인과 노드 'B' 사이에 연결되며, 인버터(2223)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PMOS 트랜지스터(2226a)와, 노드 'B'와 접지전압(VSS)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인버터(2225)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NMOS 트랜지스터(2226b)로 구성된다.
도 2c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의 회로도로서,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과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1)을 연결(short) 또는 분리(open)시키는 회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2230)는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를 낸드 조합하여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2231); 낸드 게이트(2231)에서 출력된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2232); 인버터(2232)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접지전압(VSS) 또는 최고전압(VPP)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레벨 시프터(2233); 및 레벨 시프터(2233)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과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1)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NMOS 트랜지스터(22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최고전압(VPP)이란, 펑핌 회로(도시 안됨)를 통해 전원전압(예컨데 VCC)이 일정 레벨로 승압된 전압이다.
도 2d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표이고, 도 2e는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셀 어레이 스트레스 회로(2200)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가 모두 로우레벨일 때, 정상 모드로 동작하여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을 모두 1/2 코어전압(1/2*VCORE)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2200)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가 각각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일 때,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로 동작하여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을 모두 코어전압(VCORE)으로 출력한다.
또한,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2200)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가 각각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일 때,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로 동작하여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을 모두 접지전압(VSS)으로 출력한다.
아울러,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2200)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가 모두 하이레벨일 때,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로 동작하여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VBLP0,VBLP1)을 각각 접지전압(VSS) 및 코어전압(VCORE)으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2200)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를 통하여 다양한 내부 전원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가 모두 하이레벨일 때, 접지전압(VSS) 및 코어전압(VCORE)만을 각각 출력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는 서로 이웃하는 셀 간에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할 시,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를 접지전압(VSS)으로 출력하고,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1)을 코어전압(VCORE)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는 서로 이웃하는 셀 간에 서로 다른 전원을 인가할 시, 다양한 내부 전원의 조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는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을 출력하므로, 전압레벨을 다양하게 가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다른 일예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는 코어전압(VCORE), 접지전압(VSS), 및 1/2 코어전압(1/2*VCORE)만을 이용하여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행하므로, 다양한 전압레벨을 인가하여 테스트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내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픈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스트레스 테스트 시, 내부 전원과 외부 전원 패드로부터 인가된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다양한 전압레벨로 스트레스 테스트할 수 있는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제 1 및 제 2 비트라인에 각각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가 제공되며: 이 회로는, 상기 제 1 비트라인에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상기 제 2 비트라인에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상기 제 1 비트라인과 연결되어 제 1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1 전원 패드; 및 상기 제 2 비트라인과 연결되어 제 2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2 전원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정상 모드 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에 각각 1/2 코어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에 각각 코어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패드를 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전 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셀, 및 플러그 간 스트레스 인가를 위한 비트라인 전원 공급 배선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배선도로서, 특히, 오픈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3100)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32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3200)는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20),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3230), 및 전원패드(3240,3250)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픈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메모리 셀 어레이(3100)의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3200)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3220)와,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제 어부(3230)의 구성 및 동작을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는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테스트 오프 신호(TVBLPOFF)를 노아 연산하여 출력하는 노아 게이트(3211); 노아 게이트(3211)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레벨 상태에 따라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노드 'C'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NMOS 트랜지스터(3212);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3213);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를 낸드 연산하여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3214); 낸드 게이트의 출력 신호와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를 수신하여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을 출력하는 출력 드라이버(3215); 및 외부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패드(32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출력 드라이버(3215)는, 코어전압(VCORE) 라인과 노드 'C' 사이에 연결되며, 낸드 게이트(3214)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PMOS 트랜지스터(3215a)와, 노드 'C'와 접지전압(VSS)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를 수신하는 NMOS 트랜지스터(3215b)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 패드(3240)는 노드 'C'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전원 패드(3240)는 테스트 모드 시에만 외부 전원을 노드 'C'로 인가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20)는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테스트 오프 신호(TVBLPOFF)를 노아 연산하여 출력하는 노아 게이트(3221); 노아 게이트(3221)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레벨 상태에 따라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노드 'D'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NMOS 트랜지스터(3222);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3223);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를 낸드 연산하여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3224); 및 낸드 게이트의 출력 신호와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를 수신하여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1)을 출력하는 출력 드라이버(3225); 및 외부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패드(32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출력 드라이버(3225)는, 코어전압(VCORE) 라인과 노드 'D' 사이에 연결되며, 낸드 게이트(3224)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PMOS 트랜지스터(3225a)와, 노드 'D'와 접지전압(VSS) 라인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를 수신하는 NMOS 트랜지스터(3225b)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 패드(3250)는 노드 'D'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전원 패드(3250)는 테스트 모드 시에만 외부 전원을 노드 'D'로 인가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3230)는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를 낸드 조합하여 출력하는 낸드 게이트(3231); 낸드 게이트(3231)에서 출력된 신호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인버터(3232); 인버터(3232)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레벨 상태에 따라 접지전압(VSS) 또는 최고전압(VPP)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레벨 시프터(3233); 및 레벨 시프터(3233)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레벨 상태에 따라 제 1 프리차지 전원(VBLP0)과 제 2 프리차지 전원(VBLP1)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NMOS 트랜지스터(323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3200)는 메모리 셀 어레이(3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 특성이 달라지며, 이를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3220)는 메모리 셀 어레이(3100)의 정상 모드 시, 로우레벨의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를 수신하여 출력 드라이버(3215,3225)를 각각 오프시킨다. 이때, 테스트 오프 신호(TVBLPOFF)는 로우레벨이 되어 노아 게이트(3211,3221)로 각각 인가되고, 이후, 노아 게이트(3211,3221)는 로우레벨의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테스트 오프 신호(TVBLPOFF)를 수신하여 하이레벨의 전압을 NMOS 트랜지스터(3212,3222)의 게이트 단자로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NMOS 트랜지스터(3212,3222)는 턴 온되어,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으로 각각 출력한다.
간단히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3220)는 메모리 셀 어레이(3100)의 정상 모드 시, 로우레벨의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를 수신하여 1/2 코어 전압(1/2*VCORE)의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각각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3230)는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과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1)을 서로 연결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3230)는 메모리 셀 어레이(3100)의 정상 모드 시, 로우레벨의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를 수신하여, 낸드 게이트(3231)와 인버터(3232)를 거쳐 로우레벨의 전압을 레벨 시프터(3233)로 출력한다. 그런 다음, 레벨 시프터(3233)는 인버터(3232)에서 출력된 로우레벨의 전압을 수신하여 최고전압(VPP)을 출력하고, 이후, NMOS 트랜지스터(3234)는 최고전압(VPP)을 수신하여 턴 온된다. 이에 따라, NMOS 트랜지스터(3234)의 소오스 단자와 드레인 단자에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은 NMOS 트랜지스터(3234)의 턴 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3200)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연결 제어부(3230)를 통하여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과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1)을 연결하여 동일한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를 비트라인으로 인가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3220)는 메모리 셀 어레이(3100)의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의 전압레벨 상태에 따라 다양한 전압레벨의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을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3200)는 하이레벨의 테스트 오프 신호(TVBLPOFF)를 수신하여 NMOS 트랜지스터(3212,3222)가 각각 턴 오프되고, 이에 따라, 정상 모드 시 출력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가 노드 'C' 및 노드 'D'와 차단된다. 즉, 메모리 셀 어레이(3100)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3200)의 하이레벨의 테스트 오프 신호(TVBLPOFF)에 의해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로 동작한다.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우선,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가 하이레벨이고,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가 로우 레벨인 경우, 출력 드라이버(3215,3225)에 구비된 PMOS 트랜지스터(3215a,3225a)는 각각 턴 온되고, 출력 드라이버(3215,3225)에 구비된 NMOS 트랜지스터(3215b,3225b)는 각각 턴 오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3220)는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을 모두 코어전압(VCORE)으로 출력한다.
다음,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가 로우레벨이고,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가 하이레벨인 경우, 출력 드라이버(3215,3225)에 구비된 PMOS 트랜지스터(3215a,3225a)는 각각 턴 오프되고, 출력 드라이버(3215,3225)에 구비된 NMOS 트랜지스터(3215b,3225b)는 각각 턴 온된다. 이 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3220)는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을 모두 접지전압(VSS)으로 출력한다.
다음,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가 하이레벨이고,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가 로우레벨인 경우, 출력 드라이버(3215,3225)는 각각 턴 오프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은 비트라인 프리차지 신호(BLP), 코어전압(VCORE), 및 접지전압(VSS)과 모두 분리되어 플로팅 (floating) 상태로 된다. 이때, 전원패드(3240,3250)는 외부전원을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3220)의 출력 노드, 즉, 노드 'C'와 노드 'D'로 각각 인가하며,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3210,3220)는 다양한 전압레벨의 외부전원을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로 각각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3200)는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의 전압레벨 상태에 따라 내부 전원과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를 도 3d와 도 3e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표이고,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 로(3200)는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가 로우레벨인 경우,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의 전압레벨 상태에 따라 다양한 내부 전원을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3200)는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가 하이 레벨인 경우,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TRCPH)의 전압레벨 상태와 관계없이 전원 패드(3240,3250)에서 인가된 외부 전원을 출력한다. 이때,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L)는 로우레벨을 유지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TRCPH,TRCPL)와 전원 선택 신호(TM_TVBLPE)의 전압 레벨 상태에 따라 내부 전원과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는 다양한 전압레벨을 가진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VBLP0,VBLP1)을 출력하며, 이에 따라, 메모리 셀 어레이에 다양한 전압레벨의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메모리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에서, 내부 전원과 외부 전원 패드로부터 인가된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다양한 전압레벨로 스트레스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1)

  1. 오픈 비트라인 구조의 인접한 제 1 및 제 2 비트라인에 각각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라인에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상기 제 2 비트라인에 인가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상기 제 1 비트라인과 연결되어 제 1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1 전원 패드; 및
    상기 제 2 비트라인과 연결되어 제 2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2 전원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정상 모드 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에 각각 1/2 코어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에 각각 코어 전압 또는 접지 전압을 공급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패드를 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4. 제 1 비트라인과 제 2 비트라인이 교차 배열된 오픈 비트라인 구조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테스트 신호 및 전원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비트라인에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상기 테스트 신호 및 상기 전원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비트라인에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을 제공하는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
    상기 제 1 비트라인으로 제 1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1 전원 패드; 및
    상기 제 2 비트라인으로 제 2 외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2 전원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로 진입시 활성화되는 테스트 오프 신호;
    상기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상기 비트라인에 코어 전압을 인가할 때 활성화되는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 및
    상기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상기 비트라인에 접지 전압을 인가할 때 활성화되는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선택 신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패드로 상기 제 1 외부 전원 및 상기 제 2 외부 전원을 공급할 때 활성화되는 신호인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는,
    정상 모드 시 비활성화된 상기 테스트 오프 신호, 상기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 상기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 및 상기 전원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1/2 코어 전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으로 제공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는,
    상기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활성화된 상기 테스트 오프 신호 및 상기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 비활성화된 상기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 및 상기 전원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코어 전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으로 제공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는,
    상기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활성화된 상기 테스트 오프 신호 및 상기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 비활성화된 상기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 및 상기 전원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접지 전압을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으로 제공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는,
    상기 스트레스 테스트 모드 시 활성화된 상기 테스트 오프 신호 및 활성화된 상기 전원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외부 전원을 상기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 2 외부 전원을 상기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으로 제공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와 상기 테스트 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노어 게이트;
    상기 노어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1/2 코어 전압을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와 반전된 상기 전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낸드 게이트;
    상기 낸드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코어 전압을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접지 전압을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부는,
    상기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와 상기 테스트 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노어 게이트;
    상기 노어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1/2 코어 전압을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제 1 엔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테스트 제어 신호와 반전된 상기 전원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낸드 게이트;
    상기 낸드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코어 전압을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제 1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테스트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접지 전압을 상기 출력 노드로 인가하는 제 2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KR1020050075796A 2005-08-18 2005-08-18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KR10116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796A KR101163033B1 (ko) 2005-08-18 2005-08-18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796A KR101163033B1 (ko) 2005-08-18 2005-08-18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502A KR20070021502A (ko) 2007-02-23
KR101163033B1 true KR101163033B1 (ko) 2012-07-05

Family

ID=4365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796A KR101163033B1 (ko) 2005-08-18 2005-08-18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4772B2 (en) 2014-08-11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of a single-ended bitline structure including reference voltage gen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4772B2 (en) 2014-08-11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of a single-ended bitline structure including reference voltage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502A (ko) 200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2257B1 (en) BIST memory test system
JPH0855497A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バーンインテスト回路
JP2006024348A (ja) 半導体装置、半導体メモリ及びその読み出し方法
JP3736714B2 (ja) 半導体メモリのウエハバーンインテスト回路
JP2008305531A (ja) ワードライン駆動回路及びこれを備える半導体メモリ装置並びにそのテスト方法
US6823485B1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test system
US814963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839293B2 (en) Word-line deficiency detec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32719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test mode setting circuit
US5790465A (en) Wafer burn-in test circuit and a method thereof
JPH0612896A (ja) 半導体記憶装置
US5973981A (en) Stress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5941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78268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perating in a test mod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230030630A1 (en) Semiconductor chip,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and method of test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KR100438237B1 (ko) 테스트 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US20050111289A1 (en) Device for generating internal voltages in burn-in test mode
KR100220949B1 (ko) 웨이퍼 번-인 회로
KR101163033B1 (ko) 비트라인 프리차지 전원 발생 회로
KR10056825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기입 제어 방법
US805012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defective cell test by adjusting a bitline reference/precharge level
US20120013357A1 (en) Semiconductor Device
US6392939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mproved defect elimination rate
KR970022353A (ko) 비트라인에 스트레스전압을 인가하는 웨이퍼번인 테스트방법
KR20020067895A (ko) 반도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