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913B1 - 분말 흡입기 - Google Patents

분말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913B1
KR101162913B1 KR1020050037204A KR20050037204A KR101162913B1 KR 101162913 B1 KR101162913 B1 KR 101162913B1 KR 1020050037204 A KR1020050037204 A KR 1020050037204A KR 20050037204 A KR20050037204 A KR 20050037204A KR 101162913 B1 KR101162913 B1 KR 101162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aler
drive member
mouthpiece
capsule
dual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965A (ko
Inventor
헤르베르트 바흐텔
Original Assignee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05003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91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1Compensator, spring

Abstract

캡슐로 부터 분말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로서, 당해 흡입기 내에 설치된 캡슐 홀더 속에 사용 전에 캡슐을 넣는 흡입기가 기재되어 있다. 일단 캡슐이 캡슐 홀더 속에 삽입되면, 환자는 구동 부재(7)을 눌러, 이를 정지 위치로 부터 움직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핀이 함께 작동하여, 핀이 캡슐 홀더 속에 박힐 수 있다. 캡슐은 최소한 하나의 핀에 의해 천공되어, 약제학적 조성물이 방출된다.
이러한 흡입기를 이의 편리한 작동면에서 더욱 개선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목표는 구동 부재가 이중 작용 구동 부재로서 제작된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흡입기로 성취되는데, 이때 이러한 구동 부재에 의한 제1 구동에서는 뚜껑을 피보팅하기 위하여 닫힘 장치(14)가 하부 부재(1)로 부터 벗겨질 수 있고, 제2 구동에서는 플레이트(9)에 래칭된 마우스피스(12)가 플레이트(9)로 부터 벗겨져서 마우스피스(12)가 하부 부재(1)로 부터 피봇팅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피보팅 분리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12)에는 손잡이 보조장치(17)가 제공되어, 마우스피스를 신속하고, 확실히 열 수 있도록 한다.
흡입기, 분말화된 약제학적 조성물, 이중 작용 구동 부재, 항콜린제, 베타-2-효능제, 스테로이드, PDE IV-억제제, LTD4-길항제, EGFR-키나제 억제제

Description

분말 흡입기{Powder inhaler}
도 1은 이중 작용 구동 부재, 및 손잡이 보조장치가 있는 마우스피스의 분해 조립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 전에 흡입기에 구비된 캡슐 홀더 속에 삽입된 캡슐로 부터 분말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캡슐이 캡슐 홀더 속에 삽입된 후, 환자는 구동 부재를 눌러, 이를 정지 위치로 부터 움직이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핀이 함께 작동하여, 핀이 캡슐 홀더 속에 박힐 수 있다. 캡슐은 최소한 하나의 핀에 의해 천공되어, 약제학적 조성물이 방출된다.
이러한 종류의 흡입기는 예를 들어 EP 0703800 B1 또는 EP 0911047 A1에 기재되어있다. 위에서 언급된 명세서에서 공지된 흡입기는 접시형 하부 부재와 이에 맞는 같은 모양의 접시형 뚜껑(이들 두 부분은 가장자리에 구비된 조인트를 통해 젖혀져셔 분리될 수 있다)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부재와 뚜껑 사이에, 젖혀져서 열릴 수 있는 마우스피스 및 그 아래의 플레이트가 바로 밑에 구비된 캡슐 홀더와 함께 또한 조인트 상에서 작용한다. 개개의 부품이 젖혀져서 열리면, 환자는 약물-충전된 캡슐을 캡슐 홀더 속에 삽입할 수 있고, 플레이트, 캡슐 홀더 및 마우스피스를 하부 부재에 피보팅(pivoting)시키고, 하부 부재의 측면에서 튀어나오는 스프링-장착된 구동 부재에 의해 캡슐에 구멍을 낼 수 있다. 이때, 치료 대상인 환자는 마우스피스를 빨아들여 약제학적 조성물을 기도로 흡입한다.
공지된 흡입기를 이의 취급면에서 더욱 개선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표는 구동 부재가 이중 작용 구동 부재로서 제작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흡입기로 성취되는데, 이때 이러한 구동 부재에 의한 제1 구동에서는 뚜껑을 피보팅하기 위하여 닫힘 장치가 하부 부재로 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제2 구동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캡슐에 구멍을 내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이점은 기계적 래칭(latching)으로 부터 뚜껑을 벗겨내는데 필요한 힘이 뚜껑을 통해 직접 도입되지 않고, 그 대신 이중 작용 구동 부재를 통해 도입된다는 점이다. 이는 시계장치형 작동으로 뚜껑을 신속하고 확실히 열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입기를 즉시 사용하게한다.
시계장치형 작동으로 하부 부재로 부터 뚜껑을 벗겨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중 작용 구동 부재는 이의 윗면에 함요를 가지며, 이러한 함요가 기울어져서, 닫힘 장치를 위한 활주면이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고, 이중 작용 구동 부재가 구동되어 앞으로 이동할 때 하부 부재로 부터 뚜껑이 벗겨지도록 한다. 상기 함요의 크기는 다양하다. 최소 크기는 시계장치형 작동은 하부 부재로 부터 뚜껑이 벗겨질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최대 크기는 이중 작용 구동 부재의 상부 표면에 따라 결정된다. 뚜껑을 실제 여는 작동은 이전과 같이 환자가 뚜껑을 완전히 열도록 구동함으로써 수행된다.
측면으로 젖혀질 수 있는 마우스피스에는, 마우스피스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열리도록 하는 손잡이 보조장치가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된다. 손잡이 보조장치는, 마우스피스와의 접촉면이 환자가 흡입할 때 자신의 입속에 넣어야하는 마우스피스 부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열기 위한 접촉면과 흡입을 위한 접촉면은, 마우스피스의 형상 및 외관 덕택에 서로 분명히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마우스피스는 시각적으로 및 실용적으로 개선된 외관을 가지며, 사용자가 이를 직관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최적 위생 상태를 보장한다. 이는 특히 마우스피스 부분에서 중요한데, 그 이유는 이 부분이 흡입기를 사용할 때 입속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시계장치형 열림 작동 및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상의 손잡이 보조장치가 특히 천식의 발작이 시작되었을 때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이들 장치가, 관절염을 앓고 있거나 이들의 손가락을 움직이는데 어떤 다른 제약이 있기 때문에 이들 장치가 없다면 흡입기를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환자들에게 안전한 손잡이 및 효과적인 배열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의 귀환을 돕는, 이중 작용 구동 부재와 캡슐 홀더 사이에 있는 스프링 부품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스프링 부품이 플레이트와 하부 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열림 작동을 보조하는데, 이러한 추가적 스프링 부품은 크기가 적절히 선택되는 경우 뚜껑 및/또는 마우스피스가 튀어올라 열리도록 함으로써, 시계장치형 열림 작동이 완료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중 작용 구동 부재는 플레이트 상에서 또는 캡슐 홀더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당해 플레이트 및/또는 캡슐 홀더는 이중 작용 구동 부재를 위한 받침대를 형성하여, 당해 구동 부재가 정지 위치로 부터 작용 위치로 이동할 때 플레이트를 따라 활주되고,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인도된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에는 스프링이 장착된다. 정지 위치에서도 존재하는 복원력이, 이중 작용 구동 부재가 사용된 후, 이것이 정지 위치로 복귀되어, 흡입 과정이 개시되거나 계속되도록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중 작용 구동 부재는 본체 및 이에 맞물려있는 두 개의 평행 가이드 암(guide arm)을 포함한다. 가이드 암은 하부 부재 쪽으로 향하며, 상응하는 삽입체, 예를 들면 캡슐 홀더의 바깥쪽에 설비된 가이드 슬리브와 함께, 이중 작용 구동 부재가 정지 위치로 부터 다양한 작동 위치로 이동하고 다시 정지 위치로 돌아올 때, 당해 이중 작용 구동 부재를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암은 본체로 부터 멀리 떨어진 이의 선단에 선단 멈추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선단 멈추개는 정지 위치에서 가이드 슬리브와 접한다. 이는 이중 작용 구동 부재에서 스프링 바이어스(bias)를 생성한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의 본체는 상부 선조형(rifled) 표면 및 하나 이상의 측면 선조형 표면을 가진다. 이들 선조형 표면은 둘다 디자인 부품이고 구동 동안에 최적의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이들은 흡입 구역 바깥쪽의 이중 작용 구동 부재의 본체상에 존재하므로, 결과적으로 환자의 입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선조형 표면은 전체 표면의 선조 보다 면적이 작을 수 있으나, 여전히 흡입기의 안전하고 신속한 사용을 보장한다.
편의상, 정지 위치에서 상부 선조형 표면은 뚜껑과 가장 가까운 구역에서 형성되며, 뚜껑의 닫힘 장치를 수용하는 함요를 갖는다. 함요 내부에는, 측면 선조형 표면으로 향하는 측벽이 기울어져서, 본체가 삽입되었을 때, 이것이 닫힘 장치를 위한 활주면을 형성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뚜껑과 함께 닫힘 장치가 래칭된(latched) 위치로 부터 풀려난다.
유리하게는, 하부 부재에 래칭된 플레이트가 하부 부재로 부터 분리되어, 당해 플레이트가 하부 부재로 부터 회전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 작용은 흡입기의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플레이트와 하부 부재 사이의 래칭(latching)은 돌출 고정 러그(projecting retaining lug)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캡슐 홀더에 꽂히는 최소한 하나의 핀을 갖는 이중 작용 구동 부재가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구동 부재가 하부 부재로 부터 분리되고, 하부 부재에 래칭된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 분리될 수 있는 흡입기의 모든 태양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충실히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흡입기의 분해조립도를 도시한다. 필수 부품은, 플레이트(9)를 수용하고 이에 의해 덮히는 하부 부재(1), 손잡이 보조장치(17)가 있는 마우스피스(12) (당해 마우스피스는 스크린 홀더(11)의 고정 러그(lug)에 의해 하부 부재(1)에 래칭될 수 있다), 및 하부 부재(1)을 보완하도록 형상화된 뚜껑(13)이다.
흡입기의 닫힌 상태에서, 뚜껑(13) 상의 닫힘 장치(14)는 플레이트(9)에 작용하여, 마찰적 맞물림에 의해 그곳에 유지된다. 또한, 닫힘 장치(14) 상에 비이드형 구조를 제공하여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플레이트(9)에 작용하는 뚜껑(13)상의 닫힘 장치(14)에 대해,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의 본체는 함요(8)을 포함하며, 닫을 때에 닫힘 장치(14)가 함요(8) 속으로 내려간다. 함요(8)은 경사진 측벽을 가지며, 뚜껑과 가장 가까운 상부 선조형 표면(15) 구역에 위치한다. 특히 확실한 작동을 위하여,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에는 하나 이상의 측면 선조형 표면(16)이 제공된다.
뚜껑(13)을 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이중 작용 구동 부재(7)를 흡입기를 향하여 이동시키거나 누른다. 뚜껑(13) 상의 닫힘 장치(14)는 함요의 경사진 측벽과 접촉하고, 이 측벽은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의 본체가 계속하여 앞으로 이동할 때 활주면으로서 작용하고, 뚜껑(13)을 벗긴다.
하부 부재(1)은 컵-모양이고, 플레이트(9)의 아래쪽에 설치된 캡슐 홀더(4) 전체를 수용한다. 약물-충전된 캡슐(도시되지 않음)을 캡슐 홀더(4) 속에 넣을 수 있기 위해서는, 마우스피스(12)가 젖혀져서 열려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태양에서, 이는 도시된 손잡이 보조장치(17)에 작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뚜껑(13) 및 마우스피스(12)의 이러한 열린 상태에서, 캡슐이 플레이트(9)에 있는 개구를 통해 캡슐 홀더 속에 넣어질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9) 내의 스크린 홀더(11)의 고정 러그의 래칭에 의해, 마우스피스(12)가 역으로 다시 회전되고, 다시 닫힌다. 활성 물질을 방출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수직으로 오프셋(offset)된 평행 핀(6)이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의 본체에 설치되고, 이중 작용 구동 부재(7)가 눌려지면 캡슐(도시되지 않음)을 향하여 계속적으로 이동하여, 당해 캡슐을 천공시킨다. 천공 과정은 점검 창(2)을 통해 관찰될 수 있다.
캡슐 홀더(4)에는, 핀(들)(6)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 향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관모양의 핀 가이드가 존재한다. 이는 핀(들)이 캡슐(도시되지 않음)에 정확하게 표적을 정하도록 하며, 또한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에 대한 추가적 인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필수적인 인도는 측면상에 설치된 두 개의 가이드 암(18)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이드 암(18)은 또한 프리텐션(pre-tension)하에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암(18)이 본체로 부터 멀리 떨어진 선단에 구비되며,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의 정지 위치에서 캡슐 홀더(4)의 가이드 슬리브와 접하는 선단 멈추개가 있다. 가이드 슬리브는 캡슐 홀더(4)의 바깥쪽에 구비된다. 가이드 암(18) 사이에는, 핀(들)(6)과 평행으로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나선 스프링(5)이 있으며, 당해 나선 스프링(5)은 가이드 암(18)의 길이와 일치하여, 이중 작용 구동 부재(7)가 정지 위치에서 여전히 바이어스되도록 한다.
하부 부재(1), 플레이트(9), 마우스피스(12) 및 뚜껑(13)의 개개의 부품은 조인트 소켓 및 조인트 볼트(3)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들은 이 볼트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거나 회전할 수 있다.
흡입에 사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흡입 투여가 치료학적으로 권장되는 모든 종류의 분말화된 약제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한 것은 항콜린제, 베타-2-효능제, 스테로이드, PDE IV-억제제, LTD4-길항제, 및 EGFR-키나제 억제제 중에서 선택된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사용하기 위한 항콜린제는 바람직하게는 티오트로퓸 브로마이드, 옥시트로퓸 브로마이드, 플루트로퓸 브로마이드, 이프라트로퓸 브로마이드, 글리코피로늄 염, 트로스퓸 클로라이드, 톨테로딘, 트로페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2-플루오로-2,2-디페닐아세테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3,3',4,4'-테트라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3,3'-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플루오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벤질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2,2-디페닐프로피오네이트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9-하이드록시-플루오렌-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메틸 4,4'-디플루오로벤질레이트 사이클로프로필트로핀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하이드록시-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스코핀 9-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에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트로페놀 9-디플루오로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및 스코핀 9-하이드록시메틸-크산텐-9-카복실레이트 메토브로마이드, 및 임의로 이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 및 임의로 이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형태 중에서 선택된다.
사용된 베타-2-효능제는 바람직하게는 알부테롤, 밤부테롤, 비톨테롤, 브록사테롤, 카부테롤, 클렌부테롤, 페노테롤, 포르모테롤, 헥소프레날린, 이부테롤, 이소타린, 이소프레날린, 레보살부타몰, 마부테롤, 멜루아드린, 메타프로테레놀, 오르시프레날린, 피르부테롤, 프로카테롤, 레프로테롤, 리미테롤, 리도드린, 살메테롤, 살메파몰, 소테레노트, 설폰테롤, 티아라미드, 테르부탈린, 톨루부테롤, CHF-1035, HOKU-81, KUL-1248, 3-(4-{6-[2-하이드록시-2-(4-하이드록시-3-하이드록시메틸-페닐)-에틸아미노]-헥실옥시}-부틸)-벤젠설폰아미드, 5-[2-(5,6-디에틸-인단-2-일아미노)-1-하이드록시-에틸]-8-하이드록시-1H-퀴놀린-2-온, 4-하이드록시-7-[2-{[2-{[3-(2-페닐에톡시)프로필]-설포닐}에틸]-아미노}에틸]-2(3H)-벤조티아졸론, 1-(2-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2-[4-(1-벤즈이미다졸릴)-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1-[3-(4-메톡시벤질-아미노)-4-하이드록시페닐]-2-[4-(1-벤즈이미다졸릴)-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즈옥사진-8-일]-2-[3-(4-N,N-디메틸아미노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즈옥사진-8-일]-2-[3-(4-메톡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즈옥사진-8-일]-2-[3-(4-n-부틸옥시페닐)-2-메틸-2-프로필아미노]에탄올, 1-[2H-5-하이드록시-3-옥소-4H-1,4-벤즈옥사진-8-일]-2-{4-[3-(4-메톡시페닐)-1,2,4-트리아졸-3-일]-2-메틸-2-부틸아미노}에탄올, 5-하이드록시-8-(1-하이드록시-2-이소프로필아미노부틸)-2H-1,4-벤즈옥사진-3-(4H)-온, 1-(4-아미노-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3급-부틸아미노)에탄올 및 1-(4-에톡시카보닐아미노-3-시아노-5-플루오로페닐)-2-(3급-부틸아미노)에탄올, 및 임의로 이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 및 임의로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이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형태 중에서 선택된다.
사용된 스테로이드는 바람직하게는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손, 부틱소코르트프로피오네이트, RPR-106541, 플루니솔리드, 베클로메타손, 트리암시놀론, 부데소니드, 플루티카손, 모메타손, 시클레소니드, 로플레포니드, ST-126, 덱사메타손, (S)-플루오로메틸 6α,9α-디플루오로-17α-[(2-푸라닐카보닐)옥시]-11β-하이드록시-16α-메틸-3-옥소-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보티오네이트, (S)-(2-옥소-테트라하이드로-푸란-3S-일) 6α,9α-디플루오로-11β-하이드록시-16α-메틸-3-옥소-17α-프로피오닐옥시-안드로스타-1,4-디엔-17β-카보티오네이트 및 에티프레드놀-디클로로아세테이트 (BNP-166), 및 임의로 이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 및 임의로 이의 염 및 유도체, 이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형태 중에서 선택된다.
사용된 PDE IV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엔프로필린(enprofyllin), 테오필린(theophyllin), 로플루밀라스트(roflumilast), 아리플로(ariflo) (실로밀라스트(cilomilast)), CP-325,366, BY343, D-4396 (Sch-351591), AWD-12-281 (GW-842470), N-(3,5-디클로로-1-옥소-피리딘-4-일)-4-디플루오로메톡시-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벤즈아미드, NCS-613, 푸마펜틴, (-)p-[(4aR*,10bS*)-9-에톡시-1,2,3,4,4a,10b-헥사하이드로-8-메톡시-2-메틸벤조[s][1,6]나프티리딘-6-일]-N,N-디이소프로필벤즈아미드, (R)-(+)-1-(4-브로모벤질)-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2-피롤리돈, 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1-(4-N'-[N-2-시아노-S-메틸-이소티오우레이도]벤질)-2-피롤리돈,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카복실산], 2-카보메톡시-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온, 시스[4-시아노-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사이클로헥산-1-올], (R)-(+)-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리덴]아세테이트, (S)-(-)-에틸[4-(3-사이클로펜틸옥시-4-메톡시페닐)피롤리딘-2-일리덴]아세테이트, CDP840, Bay-198004, D-4418, PD-168787, T-440, T-2585, 아로필린(arofyllin), 아티조람(atizoram), V-11294A, Cl-1018, CDC-801, CDC-3052, D-22888, YM-58997, Z-15370,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2-티에닐)-9H-피라졸로[3,4-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및 9-사이클로펜틸-5,6-디하이드로-7-에틸-3-(3급-부틸)-9H-피라졸로[3,4-c]-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 및 임의로 이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 및 임의로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이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형태 중에서 선택된다.
사용된 LTD4-길항제는 바람직하게는 몬텔루카스트(montelukast), 1-(((R)-(3-(2-(6,7-디플루오로-2-퀴놀리닐)에테닐)페닐)-3-(2-(2-하이드록시-2-프로필)페닐)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1-(((1(R)-3(3-(2-(2,3-디클로로티에노[3,2-b]피리딘-5-일)-(E)-에테닐)페닐)-3-(2-(1-하이드록시-1-메틸에틸)페닐)프로필)티오)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세트산, 프란루카스트, 자피를루카스트(zafirlukast), [2-[[2-(4-3급-부틸-2-티아졸릴)-5-벤조푸라닐]옥시메틸]페닐]아세트산, MCC-847 (ZD-3523), MN-001, MEN-91507 (LM-1507), VUF-5078, VUF-K-8707 및 L-733321, 및 임의로 이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 및 임의로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뿐만 아니라 이의 염 및 유도체, 이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형태 중에서 선택된다.
사용된 EGFR-키나제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세툭시마브, 트라스투주마브(trastuzumab), ABX-EGF, Mab ICR-62,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4-[(R)-(1-페닐-에틸)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S)-(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S)-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4-[(R)-(1-페닐-에틸)아미노]-6-({4-[N-(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2-메톡시-에틸)-N-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사이클로펜틸옥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R)-(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7-비스-(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4-[(R)-(1-페닐-에틸)아미노]-6-(4-하이드록시-페닐)-7H-피롤로[2,3-d]피리미딘, 3-시아노-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N,N-디메틸아미노)-1-옥소-2-부텐-1-일]아미노}-7-에톡시-퀴놀린, 4-[(R)-(1-페닐-에틸)아미노]-6-{[4-((R)-6-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4-(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7-[(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4-(5,5-디메틸-2-옥소-모르폴린-4-일)-1-옥소-2-부텐-1-일]아미노}-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4-(2-옥소-모르폴린-4-일)-피페리딘-1-일]-에톡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피페리딘-3-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아세틸아미노-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에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모르폴린-4-일)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피페리딘-1-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모르폴린-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에탄설포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피페리딘-1-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모르폴린-4-일)카보닐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2-옥소피롤리딘-1-일)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1-아세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틸-피페리딘-4-일옥시)-7(2-메톡시-에톡시)-퀴나졸린, 4-[(3-에티닐-페닐)아미노]-6-{1-[(모르폴린-4-일)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N-메틸-N-2-메톡시에틸-아미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에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시스-4-(N-아세틸-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메탄설포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디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트랜스-4-{N-[(모르폴린-4-일)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1-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2-(2,2-디메틸-6-옥소-모르폴린-4-일)-에톡시]-7-[(S)-(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메탄설포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시아노-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및 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아미노]-6-{1-[(2-메톡시에틸)카보닐]-피페리딘-4-일옥시}-7-메톡시-퀴나졸린, 및 임의로 이의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 형, 및 임의로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 이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형태 중에서 선택된다.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산과의 산 부가염의 예로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하이드로니트레이트, 하이드로말레에이트, 하이드로아세테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하이드로시트레이트, 하이드로푸마레이트, 하이드로타르트레이트,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하이드로석시네이트, 하이드로벤조에이트 및 하이드로-p-톨루엔설포네이트,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설페이트, 하이드로포스페이트, 하이드로푸마 레이트 및 하이드로메탄설포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염을 포함한다.
흡입은 위에서 언급된 활성 물질 뿐만 아니라, 이의 염, 에스테르, 및 이들 활성 물질, 염 및 에스테르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분말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선택사항이다.
참조 번호의 목록
1. 하부 부재
2. 점검 창
3. 조인트 볼트
4. 캡슐 홀더
5. 나선 스프링
6. 핀
7. 이중 작용 구동 부재
8. 활주면으로서 경사진 측벽이 있는 함요
9. 플레이트
10. 스크린
11. 고정 러그가 있는 스크린 홀더
12. 손잡이 보조장치가 있는 마우스피스
13. 뚜껑
14. 닫힘 장치
15.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의 상부 선조형 표면
16.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의 측면 선조형 표면
17. 손잡이 보조장치
18. 가이드 암
본 발명의 분말 흡입기는 이의 취급면에서 용이하고 편리하다.

Claims (16)

  1. - 하부 부재(1),
    - 하부 부재(1)에 래칭(latching)될 수 있고 하부 부재(1)를 닫을 수 있는 플레이트(9), 및 하부 부재(1) 속으로 내릴 수 있도록 적용되어진,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 홀더(4) ,
    - 플레이트(9)에 래칭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12),
    - 닫힌 상태에서 마우스피스(12)를 덮고 닫힘 장치(14)에 의해 마우스피스를 래칭하는 뚜껑(13) [이들 하부 부재(1), 플레이트(9), 마우스피스(12) 및 뚜껑(13)은 함께 단일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주의: 조인트란 용어는 도 1에 관한 설명에 충실히 정의되어 있다)], 및
    - 정지 위치로 부터 이동되어 하나 이상의 핀(6)과 상호작용하여 핀이 캡슐 홀더(4)를 찌르도록 할 수 있는 구동 부재(7)를 포함하며,
    구동 부재(7)가 이중 작용 구동 부재로서 제작되어, 이러한 구동 부재에 의한 제1 구동에서는 뚜껑(13)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닫힘 장치(14)가 하부 부재(1)로 부터 벗겨질 수 있고,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한 제2 구동에서는 캡슐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 부터 분말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7)가 플레이트(9), 캡슐 홀더(4) 또는 이들 둘 다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에 의한 열림 작동을 돕기 위하여 스프링 부품이 플레이트(9)와 하부 부재(1)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7)가 플레이트(9)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에 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7)가 본체 및 본체에 작용하는 2개의 평행 가이드 암(1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7. 제6항에 있어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의 본체가 상부 선조형(rifled) 표면(15) 및 하나 이상의 측면 선조형 표면(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의 상부 표면에 함요(8)가 있으며, 당해 함요가 경사져서 닫힘 장치(14)를 위한 활주면이 경사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캡슐의 천공이, 이중 작용 구동 부재(7)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어 캡슐을 천공시키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오프셋된 평행으로 내밀어지는 핀(6)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0. 제9항에 있어서, 핀(들)(6)이 관모양의 핀 가이드를 통해 인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1. 제9항에 있어서, 핀(들)(6)이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암(18)을 통해 각각 인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 암이 프리텐션(pre-tension)하에 이중 작용 구동 부재(7)를 받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3. 제1항에 있어서,
    - 하부 부재(1),
    - 하부 부재(1)에 래칭(latching)될 수 있고 하부 부재(1)를 닫을 수 있는 플레이트(9), 및 하부 부재(1) 속으로 내릴 수 있도록 적용되어진, 캡슐을 수용하는 캡슐 홀더(4) ,
    - 플레이트(9)에 래칭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12),
    - 닫힌 상태에서 마우스피스(12)를 덮고 닫힘 장치(14)에 의해 마우스피스를 래칭하는 뚜껑(13) [이들 하부 부재(1), 플레이트(9), 마우스피스(12) 및 뚜껑(13)은 함께 단일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주의: 조인트란 용어는 도 1에 관한 설명에 충실히 정의되어 있다)], 및
    - 정지 위치로 부터 이동되어 하나 이상의 핀(6)과 상호작용하여 핀이 캡슐 홀더(4)를 찌르도록 할 수 있는 구동 부재(7)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피스(12)에 손잡이 보조장치(17)가 있어서, 이를 이용해 마우스피스(12)를 측면으로 젖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로 부터 분말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손잡이 보조장치(17)가, 마우스피스(12)의 테이퍼 부분의 방향에서 돌기부로서 제작되어, 마우스피스로 부터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
  15. 삭제
  16.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분말화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 입기.
KR1020050037204A 2005-05-03 2005-05-03 분말 흡입기 KR101162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04A KR101162913B1 (ko) 2005-05-03 2005-05-03 분말 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04A KR101162913B1 (ko) 2005-05-03 2005-05-03 분말 흡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965A KR20060114965A (ko) 2006-11-08
KR101162913B1 true KR101162913B1 (ko) 2012-07-06

Family

ID=3765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204A KR101162913B1 (ko) 2005-05-03 2005-05-03 분말 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9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522A (en) 1990-06-14 2000-07-25 Rhone-Poulenc Rorer Limited Powder inhaler having capsule holding structure and anti-static walls
KR100323942B1 (ko) 1994-02-02 2002-07-27 플루리 케미에 안스탈트 의약흡입기및흡입방법
US20030131847A1 (en) 2002-01-16 2003-07-17 Fabrizio Niccolai Device usable in the treatment of affections of the airway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522A (en) 1990-06-14 2000-07-25 Rhone-Poulenc Rorer Limited Powder inhaler having capsule holding structure and anti-static walls
KR100323942B1 (ko) 1994-02-02 2002-07-27 플루리 케미에 안스탈트 의약흡입기및흡입방법
US20030131847A1 (en) 2002-01-16 2003-07-17 Fabrizio Niccolai Device usable in the treatment of affections of the airw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965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676B2 (en) Dry powder inhaler
US9687617B2 (en) Nebulizer
US10556069B2 (en) Inhaler
KR101719137B1 (ko) 분말 흡입기
KR101496196B1 (ko) 분말 흡입기
KR20080042085A (ko) 분무기
DE102006017699A1 (de) Inhalator
CA2505366C (en) Dry powder inhaler
JP5650125B2 (ja) 吸入器
JP2012510324A5 (ko)
KR101162913B1 (ko) 분말 흡입기
JP4825455B2 (ja) 粉末吸入器
RU2369411C2 (ru) Порошковый ингалятор
MXPA05004558A (en) Dry powder inhaler
BRPI0501592B1 (pt) inalador de p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