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720B1 - 세파타이 고정볼트 - Google Patents

세파타이 고정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720B1
KR101162720B1 KR1020080125773A KR20080125773A KR101162720B1 KR 101162720 B1 KR101162720 B1 KR 101162720B1 KR 1020080125773 A KR1020080125773 A KR 1020080125773A KR 20080125773 A KR20080125773 A KR 20080125773A KR 101162720 B1 KR101162720 B1 KR 101162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ixing
screw
connecting portion
se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287A (ko
Inventor
허인재
Original Assignee
허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인재 filed Critical 허인재
Priority to KR102008012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7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암나사선이 형성된 홈이 구비된 세파타이삽입몸통(1)과, 상기 세파타이삽입몸통(1)의 후면에 연장되어 설치된 나사부(2)와, 상기 나사부(2)에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볼트부(3,3-1,3-2)와, 상기 나사부(2)의 끝단부에 설치된 볼트고정부(4)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부(3)는 나사부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내부테두리에 암나사선이 구비된 관통부(35)로 구성되며, 일측에 설치된 육각볼트형상의 조임부(33)와, 상기 조임부(33)의 전면에 연장된 원통형의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원판형상의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세파타이 고정볼트.
매트리스, 내부충진물,커버, 합성섬유, 코코넛파이버

Description

세파타이 고정볼트{Separtie fixed-volt}
본 발명은 건축물 건설시 거푸집에 사용되는 세파타이 고정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 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로서, 공사 특성에 따라 합판 또는 철판등을 선택 사용하여 거푸집을 구성하게 되며, 그 조립형태로는 세파타이형, 폼타이형, 프레타이형등이 사용되고 있다.
세파타이는 건축 공사에서 벽체를 구축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로폼으로 형틀을 구축할 때 유로폼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거푸집용 세파타이는 금속봉체를 단조하여 내측을 볼트 결합부로 만들고 반대측을 납짝하게 만들어형틀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형성시키기 때문에 상당한 굵기의 철봉을 사용해야 할뿐 아니라 여러공정을 거쳐 성형하고 가공을 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고가로 되어 공사비에 영향을 끼치는 불편이 있었고 세파볼트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노출되어서 콘크리트 즙액이 침투하여 응고되기 때문에 형틀을 분리하기 위해 볼트를 해체할 때 해체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0941몸체볼트의 선단부, 즉 세파타이와 연결되는 쪽에 거푸집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기능부를 구성하되, 기능부의 측방향에는 탄성구에 의해 탄성을 가지면서 출몰이 가능한 돌출편을 2개이상 구성하고 돌출편의 측면에 곡면경사부를 구성하여 곡면경사부에 힘이 가해지면 돌출부가 밀려들어가도록 구성된 콘크리트 거푸집용 몸체볼트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352435호에는 원형바(2) 선단에 수나사산(3)을 형성한 세파타이(1)에 있어서, 원형바(2) 선단의 수나사산(3)이 끝나는 지점에 플랜지(4)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수나사산(3)에 세라믹으로 성형된 원형콘(5)의 내부 소구경(5a)을 억지끼움시키고 수나사산(3)의 선단은 원형콘(5)의 내부 대구경(5b)에 돌출시켜 상기 돌출부에 본체 볼트의 너트(6)를 직접 체결되게 되는 거푸집 매립형 세파타이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411028호에는 원형바(2)의 일측 끝단에 나사부(5)를 형성하고, 원형바(2)의 타측을 단조(PRESSING)하여 일정두께 및 폭을 형성한 후, 상부로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핀홀(3)을 형성하며, 하부 양측으로 절단홈(4)(4')을 형성하고, 원형바(2)에 1~10개의 링형태 바홈(6)이 형성된 거푸집용 세파타이(1); 및 상기 핀홀(3)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몸체(11)를 형성하고, 몸체(11)의 하부에 돌출부(15)를 형성하며, 몸체(11)의 중앙에 측면홀(16)을 형성하고, 몸체(11)의 상부에 헤드(12)를 형성하며, 헤드(12)의 중앙에 사각형태 또는 육각형태의 헤드홈(14)이 형성된 핀(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세파타이 세트가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56381호에는 일단에서 세파타이(10)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고, 타단에서 각각 멈춤핀(24)과 멈춤판(25)에 의해 지지판(20)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세파타이 고정구에 있어서:상기 세파타이(10)와 지지판(20)을 장착하기 위한 원통 구조의 실린더(30);상기 실린더(30)의 전방으로 장착되고,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전방지지대(40); 및상기 실린더(30)의 후방으로 고정핀(58)을 개재하여 고정되고, 전방지지대(40)와의 사이에 스프링(48)으로 탄지되는 후방지지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용 세파타이 고정구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파타이고정볼트는 거푸집으로 건축물을 건축한 후, 해체시 세파타이고정볼트를 이용하거나, 세파타이고정볼트에 사용되는 나사부를 스패너, 몽키등을 이용하여 각각 해체하여 왔으나, 세파타이고정볼트와 나사부의 직경이 다르거나 모양이 달라, 별개의 스패너, 몽키가 필요하며 세파타이고정볼트에서 나사부를 해체하거나 결합할 경우, 각각이 분리되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있어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 공정에 있어서도 세파타이고정볼트를 조립하거나, 해체시 나사부를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으로 조립 및 해체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 추락사고등 위험 부담 및 인건비의 과다지출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감소시키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실안등록출원번호 제20-2000-2811153호, 및 10-2003-5119호, 거푸집용 세파타이 및 콘크리트 거푸집용 세파타이의 제조방법을 개량한 것으로서, 세파타이고정볼트를 세파타이에 결합 또는 해체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진행하면서, 세파타이고정볼트에 사용되는 볼트부의 분실우려가 없도록 하여 작업능율을 높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완성품으로 구성하여 부품의 분실 방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량한 세파타이 고정볼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해결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를 보다 간소하게 개선하여 시공 및 해체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뿐 아니라 하나의 완성품으로 구성하여 부품의 분실 방지와 보관이 용이하여 경제성이 향상되는등 다수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암나사선이 형성된 홈이 구비된 세파타이삽입몸통(1)과, 상기 세파타이삽입몸통(1)의 후면에 연장되어 설치된 나사부(2)와, 상기 나사부(2)에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볼트부(3,3-1,3-2)와, 상기 나사부(2)의 끝단부에 설치된 볼트고정부(4)로 구성된 구조이며, 상기 볼트부(3)는 나사부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내부테두리에 암나사선이 구비된 관통부(35)로 구성되며, 일측에 설치된 육각볼트형상의 조임부(33)와, 상기 조임부(33)의 전면에 연장된 원통형의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원판형상의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1)와, 상기 연결부(32)와 고정부(31) 외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개 형성된 날개부(34)로 구성된 세파타이 고정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는 세파타이와 함께 거푸집를 고정하기 위하여 도2와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세파타이고정볼트의 조임부(33)와 고정부(31)의 형상, 모양 및 크기를 육각볼트 또는 사각볼트형상으로 동일하게 하여, 하나의 장비(스패너, 몽키등)로 세파타이고정볼트 또는 세파타이고정판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사부는 전체가 숫나사선이 구비거나, 일부분이 숫나사선이 구비되지 않은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세파타이고정볼트중 나사부(2)의 끝단부에 설치된 볼트고정부(4)와, 볼트부(3)의 조임부(33)는 동일한 크기임과 동시에 동일한 형상으로서 육각볼트형상 또는 사각볼트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하나 이며,
나사부(2)의 일측 끝부분에 나사부(2)보다 직경이 큰 육각볼트형상 또는 사 각볼트형상의 볼트고정부(4)를 설치하여, 세파타이고정볼트에서 해체하거나 결합할 경우, 각각이 나사부에서 볼트부를 나사식으로 해체시 나사부에서 볼트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볼트부가 분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나사부에 날개부를 설치하여 망치등으로 손쉽게 해체 할 수도 있도록 구조를 개량하였다.
본 발명의 세파타이고정볼트는 세파타이의 형태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파타이의 끝단부가 나사부형상이며, 세파타이고정볼트는 나사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부를 내장하는 암나사선이 구비된 홈부로 구성되며, 반대로, 세파타이 끝단부가 나사부를 내장하는 암나사선으로 구성되면, 세파타이고정볼트는 세파타이 끝단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숫나사선이 구비된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 상세도, 도2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 시공상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의 볼트부 다른 예, 도5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 다른 예, 도6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의 볼트부 또다른 예, 도7 및 도8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 또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세 파타이삽입몸통(1,10), 나사부(2), 볼트부(3,3-1,3-2), 볼트고정부(4), 고정판고정부(31), 연결부(32), 조임부(33), 날개부(34), 관통부(35), 고정판(100), 세파타이(200,200-1), 거푸집(A)를 도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파타이고정볼트는 암나사선이 형성된 홈이 구비된 세파타이삽입몸통(1)과, 상기 세파타이삽입몸통(1)의 후면에 연장되어 설치된 나사부(2)와, 상기 나사부(2)에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볼트부(3,3-1,3-2)와, 상기 나사부(2)의 끝단부에 설치된 육각볼트형상의 볼트고정부(4)로 구성된 구조이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볼트부(3)는 나사부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내부테두리에 암나사선이 구비된 관통부(35)로 구성되며, 일측에 설치된 조임부(33)와, 상기 조임부(33)의 전면에 연장된 원통형의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원판형상의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1)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세파타이고정볼트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 동일하나 다만, 세파타이몸통이 숫나사선이 구비된 형상임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숫나사선이 형성된 세파타이삽입몸통(10)과, 상기 세파타이삽입몸통(10)의 후면에 연장되어 설치된 나사부(2)와, 상기 나사부(2)에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볼트부(3,3-1,3-2)와, 상기 나사부(2)의 끝단부에 설치된 볼트고정부(4)로 구성된 세파타이고정볼트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볼트부의 다른 예로 날개부를 추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볼트부(3-1)는 나사부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내부테두리에 암나사선이 구비된 관통부(35)로 구성되며, 일측에 설치된 육각볼트형상의 조임부(33)와, 상기 조임부(33)의 전면에 연장된 원통형의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원판형상의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1)와, 상기 연결부(32)와 고정부(31) 외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개 형성된 날개부(34)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6은 볼트부의 또다른 형태로 나사부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내부테두리에 암나사선이 구비된 관통부(35)로 구성되며, 일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원판형상의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1)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7 및 도8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 또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7은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중 나사부(2)의 일측 끝단부 일부가 나사선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세파타이고정볼트중 나사부(2)의 끝단부에 설치된 볼트고정부(4)가 사각볼트형상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설치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2)에 고정 판(100)을 볼트부(3)의 전면에 설치한 후에, 암나사선이 형성된 홈이 구비된 세파타이삽입몸통(1)에 거푸집(A)에 삽입되어 설치된 세파타이(200)의 일측을 볼트고정부(4)를 스패너 또는 몽키를 이용하여 나사식으로 삽입시켜 결합 시킨 다음, 나사부(2)의 볼트부(3)를 전진시켜 거푸집(A)에 고정판(100)을 견고하게 밀착하여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건축물을 건설한 다음,
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하여, 세파타이에 결합된 세파타이고정볼트를 해체하되, 거푸집(A)에 밀착된 고정판(100)을 제거하기 위해 나사부(2)의 볼트부(3)를 나사식으로 해체하거나, 세파타이고정볼트의 볼트고정부(4)를 나사식으로 해체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나사부에 결착된 볼트부의 날개부를 망치로 쳐서 후면으로 이동시켜 거푸집(A)에 밀착된 고정판(100)을 해체한 다음, 세파타이고정볼트를 해체하는 방법인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 상세도
도2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 시공상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의 볼트부 다른 예
도5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 다른 예
도6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의 볼트부 또다른 예
도7 및 도8 본 발명의 세파타이 고정볼트 또다른 예
<도면의 부호>
세파타이삽입몸통(1,10), 나사부(2), 볼트부(3,3-1,3-2), 볼트고정부(4), 고정판고정부(31), 연결부(32), 조임부(33), 날개부(34), 관통부(35), 고정판(100), 세파타이(200,200-1), 거푸집(A).

Claims (6)

  1. 세파타이 고정볼트에 있어서,
    암나사선이 형성된 홈이 구비된 세파타이삽입몸통(1)과, 상기 세파타이삽입몸통(1)의 후면에 연장되어 설치된 나사부(2)와, 상기 나사부(2)에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볼트부(3,3-1,3-2)와, 상기 나사부(2)의 끝단부에 설치된 볼트고정부(4)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부(3)는 나사부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내부테두리에 암나사선이 구비된 관통부(35)로 구성되며, 일측에 설치된 육각볼트형상의 조임부(33)와, 상기 조임부(33)의 전면에 연장된 원통형의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원판형상의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세파타이 고정볼트.
  2. 세파타이 고정볼트에 있어서,
    숫나사선이 형성된 세파타이삽입몸통(10)과, 상기 세파타이삽입몸통(10)의 후면에 연장되어 설치된 나사부(2)와, 상기 나사부(2)에 설치되어 전후진되는 볼트부(3,3-1,3-2)와, 상기 나사부(2)의 끝단부에 설치된 볼트고정부(4)로 구성되며,
    상기 볼트부(3)는 나사부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내부테두리에 암나사선이 구비된 관통부(35)로 구성되며, 일 측에 설치된 조임부(33)와, 상기 조임부(33)의 전면에 연장된 원통형의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원판형상의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세파타이 고정볼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3-1)는 나사부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내부테두리에 암나사선이 구비된 관통부(35)로 구성되며, 일측에 설치된 육각볼트형상의 조임부(33)와, 상기 조임부(33)의 전면에 연장된 원통형의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원판형상의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1)와, 상기 연결부(32)와 고정부(31) 외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개 형성된 날개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세파타이 고정볼트.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3-2)는 나사부의 외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전후진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내부테두리에 암나사선이 구비된 관통부(35)로 구성되며, 일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의 전면에 설치되어 연결부(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원판형상의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세파타이 고정볼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세파타이 고정볼트중 나사부(2)의 일측 끝단부 일부가 나사선이 구비되지 않은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파타이 고정볼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세파타이고정볼트중 나사부(2)의 끝단부에 설치된 볼트고정부(4)와, 볼트부(3)의 조임부(33)는 동일한 크기임과 동시에 동일한 형상으로서 육각볼트형상 또는 사각볼트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파타이 고정볼트.
KR1020080125773A 2008-12-11 2008-12-11 세파타이 고정볼트 KR10116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773A KR101162720B1 (ko) 2008-12-11 2008-12-11 세파타이 고정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773A KR101162720B1 (ko) 2008-12-11 2008-12-11 세파타이 고정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287A KR20100067287A (ko) 2010-06-21
KR101162720B1 true KR101162720B1 (ko) 2012-07-05

Family

ID=4236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773A KR101162720B1 (ko) 2008-12-11 2008-12-11 세파타이 고정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5913B (zh) * 2016-08-22 2018-09-28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模板调节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287A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720B1 (ko) 세파타이 고정볼트
CN102909779A (zh) 一种混凝土模板用交叉固定管扣夹具
CN201349801Y (zh) 一种公用条凳
KR100519804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CN108612715B (zh) 一种自限位式快速装夹螺栓及其安装方法
KR100547023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405409Y1 (ko) 고정용 볼트
KR100946193B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핀
KR200349974Y1 (ko) 거푸집 체결부재
CN203779648U (zh) 整体式梁浇筑系统及混凝土模板的整体式梁夹具
KR200430888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381298Y1 (ko) 거푸집 체결구조
CN215443072U (zh) 一种多功能的盘扣式脚手架
CN201346750Y (zh) 一种可拆卸的钳头
KR200394589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372680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30079390A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결합구조
CN212578486U (zh) 一种可拆卸的内六角螺栓扳手
KR100794784B1 (ko) 도로용 난간 및 상하수도 파이프에 사용되는 풀림방지볼트유닛
KR200363060Y1 (ko) 원터치형 거푸집 고정구조
CN215805634U (zh) 一种断裂后便于拆卸的通孔特种螺栓结构
KR200383691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CN219865837U (zh) 一种拆卸方便的双螺母张紧防松螺母组合
KR102497159B1 (ko) 벽체단부용 거푸집 지지대 고정구
KR200384365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