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009B1 -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009B1
KR101162009B1 KR1020110001618A KR20110001618A KR101162009B1 KR 101162009 B1 KR101162009 B1 KR 101162009B1 KR 1020110001618 A KR1020110001618 A KR 1020110001618A KR 20110001618 A KR20110001618 A KR 20110001618A KR 101162009 B1 KR101162009 B1 KR 101162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현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01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되는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따라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와;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측위 서버로부터 측위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메뉴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FOR REGISTERING POSITION INFORMATION OF WIRELESS LA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사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음식점 정보를 제공하거나 길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들이 그 한 예이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먼저 판단해야 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사의 측위 서버(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에 의해 판단되는 위치 좌표를 수신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랜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때 이동통신사의 측위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랜 통신 장치(예를 들어 AP : Access Point)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통신 장치의 장치 정보 및 해당 무선랜 통신 장치의 신호 세기 등을 수신한 측위 서버는 무선랜 통신 장치의 장치 정보에 매칭되어 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기지국과 달리 무선랜 통신 장치는 상대적으로 그 위치 변화가 빈번히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가정이나 건물에 개인적으로 구비되는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는 고정된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임의로 해당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새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측위 서버는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없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는 신속히 등록 및 갱신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측위 요청 과정과 무선랜 통신 장치 위치의 갱신 과정이 분리되어 있어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의 업데이트가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아 결국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판단이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신속히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신되는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따라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정보 수집부와; 상기 이벤트 감지부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장치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측위 요청부와; 상기 측위 서버로부터 측위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와; 상기 표시된 메뉴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수집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무선랜 위치 정보 등록 요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신되는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따라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와;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측위 서버로부터 측위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메뉴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측위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와 상기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측위 요청 신호에 포함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측위 불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등록 판단부와; 상기 통신부에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등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측위 서버의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측위 요청 신호에 포함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측위 불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가 등록/갱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그 등록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 의해 신속한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결국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보다 정확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각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위치 측위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제어 및 신호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제어 및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랜 통신 장치(300)와, 측위 서버(200), 포인트 적립 서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랜 통신 장치(300)는 근거리 무선랜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Wi-Fi(Wireless Fidelity)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무선랜 통신 장치(3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 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측위 서버(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랜 통신 장치(300) 정보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과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과 연결되는 무선랜 통신망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랜 통신망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무선랜 통신 장치(300)와 직접 연결되는 망으로서 인터넷(INTERNET)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측위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등록 판단부(220), 등록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와 해당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측위 요청 신호는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위치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하는 신호이고,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는 무선랜 통신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치 좌표)를 등록해달라고 요청하는 신호이다.
등록 판단부(220)는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위 요청 신호에 포함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측위 불가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등록부(230)는 통신부(210)에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기 스캔하여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측위 요청 신호를 기지국을 통한 통신 즉, 이동통신을 통해 측위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써 소정의 무선랜 통신 장치(300)와 통신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통신 채널이 연결된 무선랜 통신 장치(300)를 통해 측위 요청 신호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또한, 측위 서버(200)로부터 측위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그 표시된 메뉴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위치 정보와 현재 통신 채널을 형성한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체적 기능을 도 3에 도시된 기능 블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저장부(160), 디스플레이부(170), 이벤트 감지부(120), 측위 요청부(130), 메뉴 표시부(140), 무선랜 위치 정보 등록 요청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6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과 소정의 데이터들이 저장되는데, 특히 무선랜 위치 정보의 등록을 위해 필요한 메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따른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 정보 수집부(110)는 무선랜 통신 장치(300)에 대한 장치 정보 즉,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 주변에 위치하는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장치 정보 수집부(110)는 주변의 무선랜 통신 장치(300)와의 신호 송수신을 통한 스캔 과정을 통해 각 무선랜 통신 장치(300)들의 장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180)는 기지국(400)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에 의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180)는 비활성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랜 통신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측위 서버(200)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180)는 필요할 때 즉, 기지국 기반 측위가 필요한 경우에만 활성화되어 해당 기지국(400)의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한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2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는 사용자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발생할 수도 있고,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 즉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 기반한 음식점 또는 길 찾기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이벤트 감지부(12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측위 요청부(130)는 이벤트 감지부(120)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장치 정보 수집부(110)의 스캔 동작에 의해 수집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측위 요청부(130)는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180)에서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와 장치 정보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에서(180)에서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를 측위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측위 서버(200)에 전송하게 되면, 측위 서버(200)는 예를 들어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결국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정보를 갱신해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400)과의 통신에 의해 획득되는 기지국 정보를 측위 요청부(130)가 측위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측위 서버(200)에 전송하는 경우, 측위 서버(200)는 그 기지국 정보에 따른 위치와 기 등록된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기 등록된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새로 갱신해야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즉, 새로 위치 정보를 갱신해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측위 서버(200)는 측위 불가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 즉, 측위 불가 신호는 현 시점에 기 저장된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장치 정보(예를 들어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 또는 판단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메뉴 표시부(140)는 측위 서버(200)로부터 측위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를 저장부(160)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는 사용자가 지도상의 특정 지점을 특정하여 입력하거나 직접 주소 또는 좌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예는 후술토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측위 서버(200)는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가 측위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측위 불가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등록은 되었으나 그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도 측위 불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랜 위치 정보 등록 요청부(150)는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된 메뉴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정보와 장치 정보 수집부(110)에 의해서 수집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결합한 등록 요청 신호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무선랜 위치 정보 등록 요청부(150)는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180)에서 생성한 현재 위치 정보를 등록 요청 신호에 더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트 적립 서버(600)는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등록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 또는 그 사용자에 대해 소정의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언급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측위 서버(200) 간의 통신 및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랜 통신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데(단계 S1), 여기서 통신 채널 형성 과정에는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장치 정보 수집과 해당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신호 세기 수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랜 통신 장치(300)와 신호 송수신을 통해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한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한 경우(단계 S3)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5).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측위 서버(200)간의 통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무선랜 통신 장치(300)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측위 요청 신호에는 무선랜 통신 장치(300) 정보(예를 들어 맥어드레스 등의 장치 고유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데, 측위 서버(200)는 그 측위 요청 신호에 포함된 무선랜 통신 장치(300) 정보를 기초로 해당 무선랜 통신 장치(300)(특히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 정보)가 기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7), 확인 결과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무선랜 통신 장치(300)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측위 결과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고(단계 S9), 확인 결과 기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측위 불가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10).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측위 서버(200)로부터 측위 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단계 S11)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단계 S13).
해당 표시된 메뉴의 조작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15)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와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정보를 결합하여 측위 서버(200)에 전송하면서 무선랜 통신 장치(300)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단계 S19).
물론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측위 서버(200)가 연결 세션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5의 측위 요청 신호에 이미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정보를 전송하였으므로 이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만을 측위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이 이루어지면 측위 서버(200)는 해당 무선랜 통신 장치(300)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지정된 위치 정보와 매칭시켜 등록하고(단계 S21), 추후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해당 무선랜 통신 장치(300)를 통한 측위 요청에 따라 측위 결과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각 단계별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사용자는 도 5(a)와 같이 자신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하여 측위 요청 신호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한다.
만일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 무선랜 통신 장치(300)가 기 등록되어 있지 않아서 측위 서버(200)가 측위 불가 신호를 전송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5(b)와 같이 위치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동시에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를 도 5(c)와 같이 표시한다. 이러한 메뉴의 표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지도상의 특정 위치가 선택되어 등록되면(도 5(d) 및 도 5(e) 참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랜 통신 장치(300) 위치 등록 요청 신호를 측위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측위 서버(200)에는 무선랜 통신 장치(300)에 대한 정보(위치 정보 포함)가 저장 및 등록된다.
이후, 측위 서버(200)는 소정의 포인트 제공 서버에 포인트 적립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단계 S23), 포인트 제공 서버가 그 무선랜 통신 장치 위치 등록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대해서 포인트를 적립한 후(단계 S25) 적립 결과를 전송하면(단계 S27), 측위 서버(200)는 포인트 적립 안내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하고(단계 S28),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수신한 포인트 적립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29).
이러한 포인트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신 요금을 할인해 주거나, 다른 서비스 이용 또는 구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대한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위치 등록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측위 서버(200)간의 통신 및 제어흐름이 도시되었다.
도 6에 도시된 과정이 도 4에 도시된 과정과 다른 점은 기지국 정보를 고려한다는 점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측위 서버(200)로부터 측위 불가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41) 주변 기지국(400)의 정보를 수집하고(단계 S42), 그 수집된 기지국 정보를 무선랜 통신 장치(300) 위치 등록 요청에 포함시켜(단계 S47) 측위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49).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무선랜 통신 장치(300)를 통해 통신하는 경우로써 기지국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 된 경우라면 기지국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43에서 위치 등록 메뉴를 표시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42에서 획득한 기지국 정보에 따른 현재의 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그 표시된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수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현재 위치 정보가 선택 또는 수정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그 선택 또는 수정된 위치 정보를 단계 S49의 무선랜 통신 장치 위치 등록 요청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측위 서버(200)는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입력한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 정보가 올바른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올바른 값이라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를 해당 무선랜 통신 장치(300)에 매칭시켜 등록한다.
여기서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입력 값이 올바른 값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측위 서버(200)는 기지국의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라고 지정된 좌표가 기지국의 위치 좌표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는 경우 측위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지정된 좌표를 무시하여 등록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위 서버(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에 의해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라고 지정되는 값을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신하고 있거나 통신하였던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잘못된 위치 값이 무선랜 통신 장치(300)에 매칭 등록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측위 서버(200)에 무선랜 통신 장치(300)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무선랜 통신 장치(300)가 측위 서버(200)에 등록되었지만 그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측위 서버(200)에 측위 요청 신호를 전송할 때, 기 구비된 GPS 모듈이나 기지국 통신 모듈의 동작시 수집되었던 정보(GPS 좌표 또는 기지국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측위 서버(200)가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측위 서버(200)는 측위 요청 신호에 포함된 기지국 정보를 기초로 해당 기지국의 위치와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가 기 설정된 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해당 무선랜 통신 장치(300)의 위치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여 측위 불가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측위 서버
300 : 무선랜 통신 장치 110 : 장치 정보 수집부
120 : 이벤트 감지부 130 : 측위 요청부
140 : 메뉴 표시부 150 : 무선랜 위치 정보 등록 요청부
160 : 저장부 17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수신되는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따라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와;
    (b)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측위 서버로부터 측위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표시된 메뉴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에 의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에 의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표시되는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 또는 수정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에 의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수신되는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따라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 측위 서버와 통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정보 수집부와;
    상기 이벤트 감지부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상기 장치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측위 요청부와;
    상기 측위 서버로부터 측위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을 위한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메뉴 표시부와;
    상기 표시된 메뉴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수집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무선랜 위치 정보 등록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에 의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랜 위치 정보 등록 요청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위치 정보와, 상기 수집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기지국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에 의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위 요청부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수집된 무선랜 통신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상기 측위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01618A 2011-01-07 2011-01-07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6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618A KR101162009B1 (ko) 2011-01-07 2011-01-07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618A KR101162009B1 (ko) 2011-01-07 2011-01-07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009B1 true KR101162009B1 (ko) 2012-07-04

Family

ID=46716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618A KR101162009B1 (ko) 2011-01-07 2011-01-07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0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70B1 (ko) 2004-10-20 2006-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ap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JP2008219394A (ja) 2007-03-02 2008-09-18 Nec Corp 測位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の管理方法
KR100875903B1 (ko) 2007-07-12 2008-12-26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ap의 위치를 설정하는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70B1 (ko) 2004-10-20 2006-07-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ap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JP2008219394A (ja) 2007-03-02 2008-09-18 Nec Corp 測位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の管理方法
KR100875903B1 (ko) 2007-07-12 2008-12-26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동적으로 ap의 위치를 설정하는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0967B2 (ja) 車両配車システム及び管理サーバ
EP30127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content receiver recommendation service
KR20120058946A (ko)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JP2015156664A (ja) 端末の位置を獲得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3039095A (zh) 用于定位辅助数据的移动站中心式确定的方法和装置
US9648450B2 (en) Assistance techniques
JP375711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3080123A (ja) サイネージ装置
KR20150039413A (ko)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060012390A (ko)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101162009B1 (ko) 무선랜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 등록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336948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3013962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치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6459491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806419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1012622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JP5961239B2 (ja) 位置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60041204A (ko) 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83146B1 (ko) Voip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voip 통신 지원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38170A (ko) 사용자 방향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단말, 네트워크 제공 에이전시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
KR20130030430A (ko) Gps를 이용한 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30735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코드를 이용한 위치등록방법 및 장치
JP2012120021A (ja) 検索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検索方法
JP2017049893A (ja) 情報提供サーバ、アクセスポイント、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情報共有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共有プログラム
US10484816B2 (e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