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873B1 -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식을 이용한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식을 이용한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873B1
KR101161873B1 KR1020040115347A KR20040115347A KR101161873B1 KR 101161873 B1 KR101161873 B1 KR 101161873B1 KR 1020040115347 A KR1020040115347 A KR 1020040115347A KR 20040115347 A KR20040115347 A KR 20040115347A KR 101161873 B1 KR101161873 B1 KR 10116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transmission
output
mod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630A (ko
Inventor
안토니오포렌자
히스로버트더블유.
박형운
양호
김호진
마리오스컨토리스
아시시판드하리판드
Original Assignee
더 보드 오브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보드 오브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 보드 오브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Priority to US11/221,223 priority Critical patent/US7778147B2/en
Priority to DE200560007135 priority patent/DE602005007135D1/de
Priority to EP20050019436 priority patent/EP1643661B1/en
Publication of KR2006002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9/00Multiplex systems in which each channel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type of modulation of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입출력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공간다중화방식과 공간다이버시티 방식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송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여 복수개의 송신안테나들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기와, 복수개의 수신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송신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송신기의 전송방식에 대응하는 수신방식으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방식은 상기 수신기로부터 궤환되는 채널상태정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 상관 행렬의 최대 고유치(eigenvalue)와 최소 고유치의 비로 정의되는 관계상태변수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40115347
다중입출력 (MIMO), 공간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다이버시티(diversity), 적응변조/부호화(AMC)

Description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식을 이용한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MIMO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TRANSMISSION MODE SWITCHING TECHNIQUE}
도 1은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4 가지 채널 모델을 위한 관계상태변수 (relative condition number)의 누적밀도함수 (cumulative density function: CDF) 곡선을 보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기법에 적용되는 참조테이블을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기법을 이용한 MIMO 시스템의 송신기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기법을 이용한 MIMO 시스템의 수신기를 보인 구성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방법과 적응적 MCS를 채용한 종래의 고정된 MIMO 전송방식의 성능 실험 결과를 보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널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최적의 다중입출력(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송수신 방식을 선택하여 통신하는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무선통신기술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속의 데이터 전송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3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를 전송방식으로 하고 있으나 CDMA 방식은 대용량의 무선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방식으로 다중 반송파 기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전송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OFDM 전송방식의 기본 개념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열을 N개의 병렬 데이터열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된 부반송파에 실어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율을 높이는 것이다.
OFDM 에서 부반송파들은 직교성을 갖기 때문에 각 부반송파는 스펙트럼상에서 중첩이 허용된다. 또한 수신기에서는 간단한 신호처리 기법으로 부반송파를 분리해 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하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경우보다 전송되는 심볼의 간격이 길어져 채널의 지연시간 영향과 임펄스 잡음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또한 연속된 심볼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다중 경로 채널에 강하며 채널 등화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고 일반적인 주파수 분할방식에 비하여 스펙트럼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목표로 하는 전송 속도를 만족시키는 것은 단순히 전송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주어진 대역폭에서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현재까지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송률을 증가시키는 MIMO 다중화 기법은 광대역 전송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OFDM의 특징을 이용하면 MIMO 다중화 기법을 광대역 전송에도 적용 시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MIMO 다중화와 OFDM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새로운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순간적인 전송률도 중요하지만, 전체 시스템의 용량 (throughput)을 증가시키는 것도 중요한 사항 중의 하나이다. 전체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적응 변조 및 부호화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방식이다. AMC는 전송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조 및 부호화 기법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AMC는 전체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반 기술이며, OFDM은 AMC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시스템이다. OFDM의 경우는 각 부 반송파별로 다른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각 부반송파에 대해 AMC 기법이 적용된다.
4세대 무선 시스템에서 목표로 하는 전송 속도를 만족시키는 것은 단순히 전송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주어진 대역폭에서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현재까지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송률을 증가시키는 MIMO 기법은 광대역 전송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OFDM의 특징을 이용하면 MIMO 기법을 광대역 전송에도 적용 시킬 수가 있다. 이런 이유로 MIMO와 OFDM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새로운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MIMO는 주어진 데이터율 (date rate)에 대해 수신 신뢰도를 개선하거나 주어진 신뢰도에 대해 데이터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채널상태가 열악한 환경에서는 동일한 데이터를 다중 패스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채널상태가 양호한 환경에서는 개별 데이터 스트림들을 서로 다른 공간 채널들을 통해 병렬로 전송함으로써 다중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MIMO 와 관련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연구활동은 최대 다이버시티 이득 (diversity gain) 또는 최대 공간 다중화 이득 (spatial multiplexing gain)을 얻기 위한 전송방식에 집중되고 있으며 채널 변화에 따라 다이버시티 모드와 다중화 모드를 스위칭하는 방식도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전송 모드 스위칭 방식의 하나인 링크 적응 알고리즘은 신호대잡음비 (Signal to Noise Ratio: SNR)와 시간/주파수 지시자 (time/space indicator)를 기반으로 전송 다이버시티 (transmission diversity: TM) 와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SM) 모드가 스위칭을 통해 대역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링크 적응 알고리즘에서는 채널의 공간 선택성은 고려되지 않는다.
또 다른 전송모드 전환 방식으로 성상도에서의 신호점간 거리를 기반으로 하는 다중화 및 다이버시티 모드 스위칭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 성상도 기반의 전송모드 전환 방식에서는 모드 선택 기준으로서 순간채널실현성(instantaneous channel realization)의 상태변수수(condition number)가 공간 정보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이 전송모드 전환 방식에서는 상당한 다이버시티 이득을 기대할 수 있으나 고정 전송율을 가정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스위칭 기준을 이용하여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을 함으로써 일정한 목표 오류율에 대해 대역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MIMO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중입출력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공간다중화방식과 공간다이버시티 방식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송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여 복수개의 송신안테나들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기와, 복수개의 수신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송신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송신기의 전송방식에 대응하는 수신방식으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방식은 상기 수신기로부터 궤환되는 채널상태정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 상관 행렬의 최대 고유치(eigenvalue)와 최소 고유치의 비로 정의되는 관계상태변수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법에서는 정해진 목표 오류율 성능에 대해 대역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새로운 전환 기준 (switching criterion)을 도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법은 공간 상관 행렬로부터 기인하는 매트릭 (metric)을 기반으로 하는 채널의 공간 선택도 (spatial selectivity)로 특징지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법에서는 채널 품질을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 품질을 기반으로 주어진 오류율 및 송신전력에 대해 전체 용량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MIMO 전송 방식을 적응적으로 선택한다. 이와 같은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채널 시나리오를 대표하는 일군의 링크품질 영역의 정의를 통해 실재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링크 품질 영역들은 참조테이블 (lookup table: LUT)를 통해 변조/코딩 방식과 MIMO 전송방식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일군의 전송모드들과 매핑된다. 따라서,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알고리즘은 링크품질영역을 추정하고 현재 전송을 위한 최적의 모드를 참조테이블에서 선택한다.
본 발명의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기법에서는, 편의상, 셀룰러 시스템 환경에서의 두 가지 극단적인 채널 시나리오를 가정한다. 첫 번째 채널 시나리오는 가시권 (line-of-site: LOS) 및 셀 경계 지역으로 정의된다. 이 경우 채널은 낮은 등급 (rank) 또는 낮은 신호대잡음비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의 입장에서 다이버시티 기능을 필요로 하며, 본 발명의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알고리즘에 의해 링크의 강건성 (robustness)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이버시티 방식 (빔포밍) 이 선택된다.
한편, 두 번째 채널 시나리오는 산란성이 풍부한 (rich scattering) 또는 기지국에 인접한 지역이다. 이 경우 채널은 높은 등급 또는 높은 신호대잡음비를 갖기 때문에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알고리즘은 대역 효율 증가를 위해 다중화 방식으로 전송모드를 전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기법에서는, 각 확산 (angle spread: AS), 클러스터의 수 (Nc), 그리고 라이시안 K-팩터 (Ricean K-factor) (또는 가시도: LOS)의 함수인 공간 선택도에 따라 4개의 채널 모델을 정의한다. 공간 선택도는 안테나 배열에 따라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파장 만큼 이격되도록 배열된 4 개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균등 선형 어레이 (uniform linear array: ULA)를 가정한다. 상기 4개의 채널 모델은 다음 표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제1모델 제2모델 제3모델 제4모델
LOS N-LOS N-LOS Q-LOS F-LOS
AS [28°, 55°] [24.6°, 22.4°] [24.6°, 22.4°] 30°
K-factor -inf dB -inf dB 2 dB 6 dB
NC 6 2 2 1
상기 채널 모델들과 각 모델에 대한 SNR 임계치의 조합에 의해 링크 품질 영 역이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는 링크 품질 영역을 정의 하기 위해 두 개의 링크 품질 매트릭, 즉, 평균 SNR과 관계상태변수 (
Figure 112004062475013-pat00011
) 을 도입한다. 관계상태변수 (
Figure 112004062475013-pat00012
)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04062475013-pat00013
여기서
Figure 112011042560058-pat00014
Figure 112011042560058-pat00015
은 MIMO 채널의 공간 상관 행렬의 최대 고유치(eigenvalue) 및 최소 고유치이고,
Figure 112011042560058-pat00016
이다. 한편 MIMO 시스템의 성능은 전파(propagation) 환경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용량 및 오류율 성능 (error rate performance)은 송수신 공간 상관 행렬들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MIMO 채널의 공간 선택성을 추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고유치들의 관계상태변수의 분산을 이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4 가지 채널 모델을 위한 관계상태변수 (relative condition number)의 누적밀도함수 (cumulative density function: CDF) 곡선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1의 CDF 곡선들은 채널 모델들 간에 잘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채널의 공간 선택성을 나타내는 지시자로서 상태변수(condition number)를 이용 할 수 있다. 특히, CDF의 70%를 임계치로 선택함으로써, 4개의 분리 가능한 영역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영역#1 (N-LOS, High AS):
Figure 112004062475013-pat00017
영역#2 (N-LOS, Low AS):
Figure 112004062475013-pat00018
영역#3 (Q-LOS):
Figure 112004062475013-pat00019
영역#4 (F-LOS):
Figure 112004062475013-pat00020
여기서 각 영역은 공간 선택도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일반적인 채널 시나리오를 정의한다. 이들 영역들과 목표 SNR의 서로 다른 양자화된 값들을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도입되는 링크 품질 영역이 정의된다.
상기 상태변수는 상기 송수신 공간 상관 행렬 (RTX와 RRX)의 고유치들로부터 얻는다. 이들 행렬은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해 추정된다.
Figure 112004062475013-pat00021
Figure 112004062475013-pat00022
여기서
Figure 112004062475013-pat00023
는 시간 t에서의 MIMO 채널 행렬이다. 수학식 2와 수학식 3에서처럼 50회 이상의 MIMO 채널 행렬 갱신을 평균하여 신뢰성 있는 공간 상관 행렬 추정값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송수신 공간상관행렬에 대해 상태변수를 계산하고 송수신기 사이의 최고 상태 변수를 선택하여 이를 기반으로 현재의 링크 품질 영역을 결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IEEE 802.11a 표준에 따라 8 가지의 변조/부호화 방식(modulation/coding scheme: MCS)을 정의한다. 상기한 3 가지 MIMO 방식과 8 가지의 MCS를 결합하면 전체 24 가지의 전송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4가지의 전송모드 중 미전송모드(mode 0)를 포함한 12개의 모드를 선택하여 이용한다. 이와 같이 선택된 12개의 전송모드들은 평균 SNR과 관계상태변수(
Figure 112011042560058-pat00024
)로 대별되는 채널상태정보와 매핑되어 참조테이블로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기법에 적용되는 참조테이블을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채널 모델이 주어질 때, 각 점에서의 SNR 값이 MIMO 전송모드와 매핑된다. 상기 (SNR임계치와 채널모델의 결합으로 정의되는) 링크 품질 영역과 전송모드들의 매핑은, 미리 정해진 목표 오류율을 만족시키기 위해, BER 곡선으로부터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법에서는 평균 SNR과 관계상태변수를 기반으로 하는, 현재 전송을 위한 링크 품질을 추정한다. 이들 파라미터들은 미리 정해진 목표 오류율을 위한 최고의 성능(throughput)을 제공하는 전송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참조 테이블의 입력으로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기법을 이용한 MIMO 시스템의 송신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IMO 송신기는 제어기(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부호화/변조유닛 (310), 상기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부호화/변조유닛 (3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심볼의 전송모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전송모드로 상기 심볼을 출력하는 모드전환유닛(320), 그리고 상기 모드전환유닛 (3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송심볼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N개의 송신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D/A(Digital to Analog) 변환유닛 (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전환유닛(320)은 서로 다른 MIMO 알고리즘으로 동작하는 세가지 모듈, 다시 말해, 공간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SM) 모듈(323), 이중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 (double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DSTTD) 모듈(325), 그리고 빔포밍 (BF) 모듈(327)을 포함한다.
또한, 모드전환유닛(320)은 상기 제어기 (3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부호화/변조 유닛 (310)의 출력 신호를 상기 SM 모듈 (323), STTD 모듈(325), 그리고 BF 모듈 (327)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제1스위치 (321)와 상기 SM 모듈 (323), STTD 모듈(325), 그리고 BF 모듈 (327)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D/A변환유닛(330)으로 출력하는 제2스위치(329)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수신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참조테이블(340)로부터 상기 채널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전송모드를 선택하여 제어신호로서 상기 부호화/변조유닛 (310)과 모드전환유닛(32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IMO 알고리즘으로 SM, STTD, 및 BF 등 세 개의 전송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MIMO 알고리즘의 종류 및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기법을 이용한 MIMO 시스템의 수신기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MIMO 수신기는 무선채널을 통해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A/D(Analog to Digital) 변환유닛 (410), 상기 A/D변환유닛 (410)의 출력신호를 송신기에 의해 선택된 전송모드에 대응하는 수신모드로 상기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전환유닛(420), 그리고 상기 모드전환유닛 (4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복호 및 복조하여 원본 데이터로 출력하는 복호/복조유닛 (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드전환유닛(420)은 상기 송신기의 모드전환유닛(420)을 구성하는 각각의 MIMO 알고리즘들에 대응하는 검출 모듈인 SM-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모듈(423), DSTTD-MMSE모듈 (425), 그리고 BF-최대 비율 결합(maximum ratio combining: MRC) 모듈 (427)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공간다중화 알고리즘(SM)과 이중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DSTTD)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MMSE 방식이 이용되며 빔포밍(BF)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MRC 방식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모드전환유닛(420)은 송신기로부터의 전송모드정보와 채널추정기(440)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를 이용하여 상기 A/D변환유닛(410)의 출력 신호를 상기 SM-MMSE 모듈(423), DSTTD-MMSE모듈 (425), 그리고 BF-MRC 모듈 (427)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제1스위치(421)와 상기 SM-MMSE 모듈(423), DSTTD-MMSE모듈 (425), 그리고 BF-MRC 모듈 (427)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복호/변조유닛(230)으로 출력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복조/변조유닛(430)은 상기 채널 추정기(440)으로부터의 채널 추정치와 상기 전송모드정보를 이용하여 복호 및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방법과 적응적 MCS를 채용한 고정된 MIMO 전송방식의 성능 실험 결과를 보인 그래프이다.
실험은 제1채널모델 환경(rich scattering environment)에서 행해졌지만 다른 채널모델로 확장 가능하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법이 적용된 경우 빔포밍 방식과 비교할 때 SNR에 대한 대역 효율 측면에서 13.5 bps/Hz의 이득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기법을 이용한 MIMO통신 시스템에서는 채널의 공간 선택성을 이용하여 MIMO 전송모드간의 스위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채널 상태에 따라 SNR과 대역효율 측면에서 최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6)

  1. 다중입출력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공간다중화방식과 공간다이버시티 방식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전송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여 복수개의 송신안테나들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기와,
    복수개의 수신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송신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송신기의 전송방식에 대응하는 수신방식으로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방식은 상기 수신기로부터 궤환되는 채널상태정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 상관 행렬의 최대 고유치(eigenvalue)와 최소 고유치의 비로 정의되는 관계상태변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평균 신호대잡음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상태변수는
    Figure 112011042560058-pat00051
    로 표현되며, 여기서
    Figure 112011042560058-pat00052
    는 상기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상관행렬의 최대 고유치이고,
    Figure 112011042560058-pat00053
    은 상기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상관행렬의 최소고유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상태변수
    Figure 112011042560058-pat00054
    는 1≤
    Figure 112011042560058-pat00055
    조건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식은 채널품질영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채널품질영역은 각확산, 클러스터의 수, 및 라이시안 K-팩터의 함수인 공간 선택도에 따라 정의되는 4개의 채널모델들과 신호대잡음비 임계치의 조합으로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품질 영역은 평균 신호대잡음비 및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 상관 행렬의 최대 고유치(eigenvalue)와 최소 고유치의 비로 정의되는 관계상태변수
    Figure 112011042560058-pat00056
    에 의해 예측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상태변수는
    Figure 112011042560058-pat00057
    로 표현되며, 여기서
    Figure 112011042560058-pat00058
    는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상관행렬의 최대 고유치(eigenvalue)이고,
    Figure 112011042560058-pat00059
    은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상관행렬의 최소고유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상태변수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0
    는 1≤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1
    조건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채널모델들은 비가시거리(non-line-of-sight) 영역에 포함되며 임계값보다 높은 각확산(angle spread:AS) 특성을 갖는 제1모델, 상기 비가시거리 영역에 포함되며 상기 임계값보다 낮은 각확산 특성을 갖는 제2모델, 준가시거리(Quasi-line-of-sight) 영역에 포함되는 제3모델, 그리고 완전가시거리(full-line-of-site) 영역에 포함되는 제4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품질영역은 상기 4개의 채널모델에 대응하는 4가지 채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4가지 채널영역들 각각은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2
    ,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3
    ,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4
    , 및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5
    에 의해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신호를 부호화하고 변조하여 전송심볼을 출력하는 부호화/변조유닛;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송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으로 상기 전송심볼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송신모드전환유닛; 그리고
    상기 송신모드전환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송심볼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복수개의 송신안테나들을 통해 전송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드전환유닛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전송방식에 따른 다중입출력 알고리즘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듈들;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부호화/변조유닛의 출력단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들의 입력단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 그리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들의 출력단을 선택적으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듈들은 공간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SM) 알고리즘으로 상기 전송심볼을 처리하는 SM 모듈, 이중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 (double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DSTTD) 알고리즘으로 상기 전송심볼을 처리하는 DSTTD 모듈, 또는 빔포밍 (Beamforming: BF) 알고리즘으로 상기 전송심볼을 처리하는 BF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궤환되는 채널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모드지시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평균 신호대잡음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상태정보는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 상관 행렬의 최대 고유치(eigenvalue)와 최소 고유치의 비로 정의되는 관계상태변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상태변수는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6
    로 표현되며, 여기서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7
    는 상기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상관행렬의 최대 고유치이고,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8
    은 상기 다중입출력 채널의 공간상관행렬의 최소고유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상태변수
    Figure 112011042560058-pat00069
    는 1≤
    Figure 112011042560058-pat00070
    조건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모드지시자는 다중입출력방식과 적응변조/부호화방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관계상태변수
    Figure 112011042560058-pat00071
    와 상기 다중입출력방식 및 적응변조/부호화방식을 매핑시키는 참조테이블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복수개의 수신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유닛;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유닛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는 채널추정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유닛의 출력신호를 상기 채널추정기에 의해 추정된 채널추정치 및 상기 송신기의 전송방식에 대응하는 수신방식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수신모드전환유닛;
    상기 수신모드전환유닛의 출력신호를 복호 및 복조하여 원본 데이터로 출력하는 복호/복조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드전환유닛은 상기 송신기의 송신모드전환유닛에 포함되는 모듈들 각각에서 동작되는 다중입출력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검출 알고리즘들로 동작하는 검출 모듈들; 상기 전송방식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모듈의 출력단을 상기 검출 모듈들의 입력단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스위치; 그리고
    상기 검출 모듈들의 출력단을 선택적으로 상기 복호/복조유닛의 입력단에 연결하는 제4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모듈들은 최소평균자승오류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방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처리모듈과 최대비율결합(maximum ratio combining: MRC) 방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장치.
KR1020040115347A 2004-09-07 2004-12-29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식을 이용한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 KR10116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21,223 US7778147B2 (en) 2004-09-07 2005-09-07 MIMO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adaptive transmission mode switching technique
DE200560007135 DE602005007135D1 (de) 2004-09-07 2005-09-07 MIMO System mit adaptiver Umschaltung des Übertragungsschemas
EP20050019436 EP1643661B1 (en) 2004-09-07 2005-09-07 MIMO system with adaptive switching of transmission sche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773804P 2004-09-07 2004-09-07
US60/607,738 2004-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630A KR20060022630A (ko) 2006-03-10
KR101161873B1 true KR101161873B1 (ko) 2012-07-03

Family

ID=3712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5347A KR101161873B1 (ko) 2004-09-07 2004-12-29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식을 이용한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78147B2 (ko)
KR (1) KR1011618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660A (ko) 2015-04-30 2016-11-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에 대한 효율적인 링크 적응 방법
KR20190041387A (ko) 2017-10-12 2019-04-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0782B2 (ja) * 2001-08-06 2004-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基地装置、無線端末装置、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動作制御プログラム
US8396153B1 (en) 2004-12-07 2013-03-12 Adaptix, Inc. Cooperative MIMO in multicell wireless networks
US7428268B2 (en) * 2004-12-07 2008-09-23 Adaptix, Inc. Cooperative MIMO in multicell wireless networks
JP4589711B2 (ja) 2004-12-14 2010-12-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EP1885071A4 (en) * 2005-05-20 2015-01-28 Fujitsu Ltd RADIO COMMUNICATION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1929662B1 (en) * 2005-09-08 2017-08-02 Nokia Technologies Oy Data transmission sche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57244B2 (en) * 2005-10-27 2010-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antenna selection for downlink MIMO-OFDM transmission over spatial correlated channels
US20070147536A1 (en) * 2005-12-27 2007-06-28 Ezer Melz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interference-sensitive mode sel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20070160156A1 (en) * 2006-01-09 2007-07-12 Ezer Melz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interference-sensitive mode sel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7773951B2 (en) * 2006-05-23 2010-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1170759A (zh) 2006-10-24 2008-04-30 国际商业机器公司 多模通信终端、多模通信实现方法
US8375804B2 (en) 2009-05-15 2013-02-19 VISWELL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testing bonding strength of electrical connections and frictionless calibration device for the same
KR100950655B1 (ko) 2006-12-20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300842B1 (ko) 2007-02-02 2013-08-29 퍼듀 리서치 파운데이션 멀티-유저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드결정 방법
KR101071690B1 (ko) 2007-02-05 2011-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방식 선택 장치 및 방법
ATE447799T1 (de) * 2007-02-05 2009-11-15 Research In Motion Ltd Multimodus-empfänger mit adaptiver modusauswahl
US7826574B2 (en) 2007-02-05 2010-11-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mode receiver with adaptive mode selection
KR101326695B1 (ko) * 2007-02-20 201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신기 및 그의 송신방법, 디지털 방송 수신기및 그의 수신방법, 그리고, 디지털 방송 시스템
KR100980646B1 (ko) * 2007-03-14 2010-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 전송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US20080248802A1 (en) * 2007-04-09 2008-10-09 Tzero Technologies, Inc. Antenna pattern selection within a wireless network
KR101424527B1 (ko) * 2007-04-16 2014-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WO2008144151A2 (en) 2007-05-15 2008-11-27 Rambus Inc. Multi-antenna transmitter for multi-tone signaling
US8482462B2 (en) * 2007-05-25 2013-07-09 Rambus Inc. Multi-antenna beam-forming system for transmitting constant envelope signals decomposed from a variable envelope signal
KR100910020B1 (ko) * 2007-05-30 2009-07-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Mim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tc 모드 결정 방법 및장치, 결정된 stc 모드의 응답 방법 및 장치
US8009580B2 (en) * 2007-07-13 2011-08-30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ignaling and training for antenna selection in OFDMA networks
KR100966054B1 (ko) * 2007-12-14 2010-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부반송파별 가변 전송 방법
US9185601B2 (en) * 2007-12-18 2015-11-10 At&T Mobility Ii Llc Optimal utilization of multiple transceivers in a wireless environment
US8228809B1 (en) * 2007-12-21 2012-07-24 Adaptix, Inc. Intelligent mode switching in communication networks
ATE473565T1 (de) * 2007-12-28 2010-07-15 Alcatel Lucent Virtuelle mimo-system vorrichtung und basisstation
US8077802B2 (en) * 2008-03-17 2011-12-13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279913B2 (en) * 2008-03-19 2012-10-02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nfigurable transceiver
US8995590B2 (en) * 2008-03-28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Hardware engine to demod SIMO, MIMO, and SDMA signals
KR101537591B1 (ko) * 2008-04-07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imo 시스템에서 모드 적응 방법
WO2009142000A1 (ja) * 2008-05-22 2009-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Mimo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US8320492B2 (en) * 2008-07-07 2012-11-27 Wi-Lan Inc. Closed form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US8619887B2 (en) 2008-09-23 2013-12-31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Adjustable operational state wireless MIMO
CN102362439B (zh) 2009-01-26 2015-06-10 德雷塞尔大学 用于在mimo系统中选择可重新配置天线的系统和方法
WO2010088721A1 (en) * 2009-02-04 2010-08-12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and transmission mode switching
KR101103136B1 (ko) * 2009-04-08 2012-01-04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mimo 모드 변경 장치 및 방법
US20110012798A1 (en) * 2009-07-20 2011-01-20 Tel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imo performance of vehicular 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038814B1 (ko) * 2010-04-13 2011-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안테나 시스템용 빔포밍 장치 및 방법
CN105634570B (zh) * 2010-12-10 2019-02-15 太阳专利托管公司 信号生成方法及信号生成装置
EP2689542A1 (en) * 2011-03-21 2014-01-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network devices for efficiently and reliably transferring data streams
JP5670275B2 (ja) * 2011-07-27 2015-02-1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809273B1 (ko) * 2011-08-12 2018-01-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30355B1 (ko) * 2011-12-23 2018-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상태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 기법을 결정하는 통신 시스템
US9313010B2 (en) * 2012-06-29 2016-04-12 Broadcom Corporation Controlling TX antenna selection
CA2886761C (en) 2012-10-01 2017-09-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radio node, a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aging a transmission
US10178616B2 (en) * 2013-02-21 2019-01-08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Enhanced discovery channel for interworking between a cellular wide-area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less local-area communication system
KR102000439B1 (ko) 2013-03-07 2019-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간 변조 방식에서의 안테나 스위칭 장치
GB2514174B (en) * 2013-05-17 2015-12-02 Cambium Networks Ltd Improvements to adaptive modulation
DE102013209708A1 (de) * 2013-05-24 2014-11-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IMO Radars
WO2016132660A1 (ja) * 2015-02-19 2016-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監視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障害要因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CN108432154A (zh) * 2015-10-29 2018-08-2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执行无线电通信的第一和第二无线电节点以及其中的方法
US10250309B2 (en) 2016-03-24 2019-04-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channel estimation in massive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7953A1 (en) * 2000-09-19 2002-10-10 Severine Catreux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optimizing a transmission mode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5434B2 (en) * 2000-09-01 2006-01-10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time diversity and spatial diversity for OFDM
US6760882B1 (en) 2000-09-19 2004-07-06 Intel Corporation Mode selec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based on statistical parameters
EP1355434B1 (en) 2002-04-19 2004-12-29 Alcatel Alsthom Compagnie Generale D'electricite A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a terminal and a network component
KR20050086449A (ko) * 2002-11-12 2005-08-3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변환-영역 샘플 단위의 결정 피드백 등화기
FI20031079A0 (fi) * 2003-07-16 2003-07-16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toresurssien kontrolloimiseksi, sekä kontrolleri
FR2859333A1 (fr) * 2003-09-01 2005-03-04 France Telecom Procede de decodage d'un signal code a l'aide d'une matrice de codage espace-temps, recepteur et procede de codage et de decodage correspondants
KR100713403B1 (ko) 2003-09-30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에 따른 송신 방식 제어 장치및 방법
US20060018410A1 (en) * 2004-07-26 2006-01-26 Onggosanusi Eko N Multimode det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7953A1 (en) * 2000-09-19 2002-10-10 Severine Catreux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optimizing a transmission mode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660A (ko) 2015-04-30 2016-11-09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에 대한 효율적인 링크 적응 방법
KR20190041387A (ko) 2017-10-12 2019-04-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트스트림 전송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3195A1 (en) 2006-04-20
KR20060022630A (ko) 2006-03-10
US7778147B2 (en)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873B1 (ko) 적응적 전송모드 전환 방식을 이용한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
EP1643661B1 (en) MIMO system with adaptive switching of transmission scheme
US10856305B2 (en) Multi-user MIMO systems and methods
EP22962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time diversity and spatial diversity for ofdm
US10404515B2 (en) Adaptive time diversity and spatial diversity for OFDM
EP1495557B1 (en) A robust multiple chain receiver
US2007014753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interference-sensitive mode sel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080078813A (ko) Mimo 시스템에 사용될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결정하는 방법
KR20120108986A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시스템에서 프리코딩 행렬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KR100910020B1 (ko) Mim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tc 모드 결정 방법 및장치, 결정된 stc 모드의 응답 방법 및 장치
EP16867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time diversity and spatial diversity for OFDM
RU2402163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формирования диаграммы направленности антенны в системах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ом входов и множеством выходов
KR101339587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변조 및 코딩 방식 결정 방법
Park et al. MIMO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adaptive transmission mode switching technique
Lin et al. Space-time block coded OFDM with adaptive modulation and transmitter beamforming
Gidlund A sub-optimal eigenvalue-based adaptive modulation scheme for broadband MIMO-OFDM systems
Malekafzaliardakani Transmit Adaptation Scheme for MIMO-OFDM Systems
Rajkhowa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MIMO over MIMO-LTE for QPSK considering Rayleigh Fading Distribution
Javornik et al. Dynamic channel mapping strategies in adaptive MIMO systems
KR20090045906A (ko) Mim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tc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결정된 stc 모드의 응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