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844B1 -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844B1
KR101161844B1 KR1020110118311A KR20110118311A KR101161844B1 KR 101161844 B1 KR101161844 B1 KR 101161844B1 KR 1020110118311 A KR1020110118311 A KR 1020110118311A KR 20110118311 A KR20110118311 A KR 20110118311A KR 101161844 B1 KR101161844 B1 KR 10116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ile
hole
concrete
strength
dril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원이앤씨 filed Critical (주)아이원이앤씨
Priority to KR102011011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8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3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0Cements, e.g. Portland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0Grouts, e.g. injection mixtures for cables for prestress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은 기초 콘크리트에 코어홀을 천공하여 기초 지반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기초 지반에 천공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 내에 마이크로파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 내에 시멘트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천공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의 두부를 덮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천공된 상기 코어홀에 콘크리트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종래 기존 기초 콘크리트 부분을 확대한 후 하중에 따라 계산된 수의 케미컬 앵커를 마이크로파일에 연결하던 공정 대신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로 코어홀을 그라우팅하고, 또한 기초 콘크리트의 내벽면에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가 접착되도록 코어홀에 주입된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를 설계하중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게 일체화시킴으로써 높은 하중을 마이크로파일에 전달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던 케미컬 앵커의 연결이 제거됨으로써 케미컬 앵커의 적용을 위해 필요했던 계산 등 제반 요건의 고려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 기간이 단축되고, 시공 공정이 단축되며, 적용 재료가 줄어들게 되므로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MICRO PILE}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장비의 진입이 어렵고,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제한된 지역에서 건물, 교량, 타워, 굴뚝 등의 구조물 기초에 적용되고 있는 마이크로파일을 기존 사용 건물의 보강 시 기존 건물 기초에 마이크로파일의 두부를 정착하기 위한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이 세워지는 경우, 지반의 조건이나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상부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기초공사가 행해진다.
기존 건물의 증, 개축 시 기초보강 공사를 할 경우 또는 대형 굴착장비의 사용이 불가능한 협소한 지역에 대한 기초보강 공사를 할 경우에는 소구경 파일인 마이크로파일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파일은 통상 직경이 250㎜ 이하의 파일로, 일반적인 관형 파일에 비해 소형장비를 이용한 소구경 천공으로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직경이 작아 어떤 종류의 지반에서도 천공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직에서 수평에 이르기까지 어느 각도로나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마이크로파일은 일정한 구경과 길이로 천공되어진 천공홀 안에 나선형 강봉이 삽입된 다음 그라우트를 충전시켜 마이크로파일을 지반과 일체화시키는 공정을 통해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로파일의 지지력은 마이크로파일 정착부에서 파일의 외주면과 지반의 내벽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된다.
이러한 마이크로파일은 전 길이에 대해 나사산(Threads)이 형성된 심재가 몸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몸체 외표면에 나선형의 결합돌기가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어진 트레드바(Threads Bar)와, 트레드바의 상단 및 하단부에 체결되어 트레드바가 상호간 이웃하도록 체결시키는 커플러(Coupler)와, 상기 트레드바의 외표면에 결합되어 파일 구멍 내로 삽입되어진 트레드바의 중심을 유지하는 중심간격재(Centralizer)로 통상 형성되어 천공홀에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양생하는 것으로 시공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존 건물의 증축 또는 개축 시 마이크로파일의 상부 정착은 기존 기초를 확대하고, 하중에 따른 케미컬 앵커의 수를 계산하여 케미컬 앵커를 연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공정의 증가, 공사 기간의 증가 및 사용 재료의 증가 등이 야기되어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정 단축, 공사 기간 단축 및 사용 재료의 절감 등을 통해 시공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은 기초 콘크리트에 코어를 천공하여 기초 지반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기초 지반에 케이싱 설치 및 천공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 내에 마이크로파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 내에 시멘트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천공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의 두부를 덮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천공된 공간에 콘크리트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는 450kgf/cm2 이상의 압축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내벽면에 접착되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는 200kgf/cm2 이상의 압축 전단 접착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는 주제와, 경화제 및 골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에 의하면, 종래 기존 기초 콘크리트 부분을 확대한 후 하중에 따라 계산된 수의 케미컬 앵커를 마이크로파일에 연결하던 공정 대신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로 코어홀을 그라우팅하고, 또한 기초 콘크리트의 내벽면에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가 접착되게 하여 코어홀에 주입된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를 설계하중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게 일체화시킴으로써 높은 하중을 마이크로파일에 전달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던 케미컬 앵커의 연결이 제거됨으로써 케미컬 앵커의 적용을 위해 필요했던 계산 등 제반 요건의 고려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 기간이 단축되고, 시공 공정이 단축되며, 적용 재료가 줄어들게 되므로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에 따라 기존 건물에 마이크로파일의 상부 정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에 따라 기존 건물에 마이크로파일의 상부 정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은 기초 지반 상에 기초 콘크리트로 형성된 기존 구조물의 개축, 증축 등에 의한 추가 하중의 발생에 따른 기초 보강을 부가적으로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기초 지반(120)이 노출되도록 기초 콘크리트(110)를 코어 드릴 등과 같은 장비로 코어홀(111)을 형성한다(S1).
여기서, 상기 기초 지반(120)은 점토, 모래 등에 의한 연약층과 암반에 의한 암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기초 지반(120)을 크롤러 드릴 등과 같은 장비로 소정 깊이까지 천공하여 마이크로파일(130)이 삽입될 수 있는 천공홀(121)을 형성한다(S2).
여기서, 상기 천공홀(121)의 형성 시 연약 지반층 내의 천공된 부분에서 토사의 매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관 케이싱(미도시)을 매설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홀(111)의 폭이 상기 천공홀(121)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 천공홀(121) 내에 마이크로파일(130)을 삽입한 후(S3), 천공홀(121) 내에 시멘트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기초 지반(120)의 높이까지 충진되게 한다(S4).
상기 천공홀(121)에 삽입되는 마이크로파일(13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트레드바(131)와, 상기 트레드바(131)에 결합되어 천공홀(121)의 내주면과 마이크로파일(13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중간 간격재(132)와, 심도가 깊어져 복수개의 마이크로파일(130)을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파일(130) 사이를 연결하는 커플러(1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충진된 시멘트 그라우트를 소정의 압축 강도가 형성되도록 충분히 양생한다.
다음으로, 기초 지반(120) 상부로 노출된 마이크로파일(130)에 지압판(134) 및 너트(135)를 결합하여 마이크로파일(130)의 두부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파일(130)의 두부를 덮도록 코어홀(111) 내에 콘크리트의 강도 이상을 가지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140)를 주입하고 소정의 압축 강도를 갖도록 충분히 양생시켜 추가 하중을 지지하게 한다(S6).
여기서, 상기 양생된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140)의 압축 강도는 450kgf/cm2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홀(111) 내에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140)를 주입하기 전에 코어홀(111)을 형성하는 기초 콘크리트(110)의 내벽면에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로 접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S5).
상기 접착되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의 접착력은 설계 하중 이상의 하중을 가짐으로써 기초 콘크리트(110) 및 양생된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140)와 일체화되어 높은 하중을 마이크로파일(13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120kgf/cm2 이상의 인장 접착 강도 및 200kgf/cm2 이상의 압축 전단 접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접착 과정없이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를 코어홀(111) 내에 주입 시 양생과정을 통해 기초 콘크리트(110)의 내벽면에 접하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 부분은 내벽면에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140)는 에폭시 성분의 주제와, 경화제 및 모래나 자갈 등과 같은 골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에 의하면, 종래 기존 기초 콘크리트 부분을 확대한 후 하중에 따라 계산된 수의 케미컬 앵커를 마이크로파일에 연결하던 공정 대신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로 코어홀을 그라우팅하고, 또한 기초 콘크리트의 내벽면에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가 접착되도록 코어홀에 주입된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를 설계하중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게 일체화시킴으로써 높은 하중을 마이크로파일에 전달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던 케미컬 앵커의 연결이 제거됨으로써 케미컬 앵커의 적용을 위해 필요했던 계산 등 제반 요건의 고려가 필요 없으므로 시공 기간이 단축되고, 시공 공정이 단축되며, 적용 재료가 줄어들게 되므로 경제적인 장점을 가진다.
110... 기초 콘크리트
111... 코어홀
120... 기초 지반
121... 천공홀
130... 마이크로파일
140...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

Claims (4)

  1. 기초 콘크리트에 코어홀을 천공하여 기초 지반을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기초 지반에 상기 코어홀보다 좁은 수평폭을 가진 천공홀을 천공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 내에 마이크로파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 내에 시멘트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천공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마이크로파일의 두부를 덮도록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천공된 상기 코어홀에 콘크리트 강도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를 주입 및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선택적으로 상기 코어홀을 형성하는 기초 콘크리트의 내벽면에는 상기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생된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는 450kgf/cm2 이상의 압축 강도를 가지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내벽면에 접착되는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는 120kgf/cm2 이상의 인장 접착 강도 및 200kgf/cm2 이상의 압축 전단 접착 강도를 가지고,
    상기 고강도 에폭시 그라우트는 주제와, 경화제 및 골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18311A 2011-11-14 2011-11-14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Active KR10116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311A KR101161844B1 (ko) 2011-11-14 2011-11-14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311A KR101161844B1 (ko) 2011-11-14 2011-11-14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844B1 true KR101161844B1 (ko) 2012-07-03

Family

ID=4671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311A Active KR101161844B1 (ko) 2011-11-14 2011-11-14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092A (zh) * 2016-06-08 2016-10-12 深圳市宏业基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施工方法
CN116084397A (zh) * 2023-01-05 2023-05-0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微型工程桩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285A (ja) * 2006-03-08 2007-09-20 Sekisui Chem Co Ltd 受圧体
KR101080654B1 (ko) * 2008-12-30 2011-11-08 (주)토탈지오이앤씨 기존구조물과의 마이크로 파일 결합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9285A (ja) * 2006-03-08 2007-09-20 Sekisui Chem Co Ltd 受圧体
KR101080654B1 (ko) * 2008-12-30 2011-11-08 (주)토탈지오이앤씨 기존구조물과의 마이크로 파일 결합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092A (zh) * 2016-06-08 2016-10-12 深圳市宏业基基础工程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施工方法
CN116084397A (zh) * 2023-01-05 2023-05-0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微型工程桩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377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면진 기초 파일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KR100788623B1 (ko) Pc기둥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
JP5274145B2 (ja) 場所打ち杭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378814B1 (ko) 제트그라우팅을 이용한 마이크로파일의 시공방법
KR100918771B1 (ko) 마이크로 파일 두부 정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착방법
CN203488189U (zh) 用于脱空整治的隧道结构
JP2016216975A (ja) アースアンカーの打設方法
KR101080654B1 (ko) 기존구조물과의 마이크로 파일 결합 시공방법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KR20060092552A (ko)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KR101161844B1 (ko)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KR20100124028A (ko) 선단부 확대형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KR100976621B1 (ko) 지하층 연장 운행을 위한 지하 기초 시공 방법
JP5207047B2 (ja) 既設基礎の耐震補強工法及び既設基礎の耐震補強構造
KR100991248B1 (ko) 팩을 이용한 마이크로 파일 기초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파일 조립체
KR100996444B1 (ko)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시공방법과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구조체 및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구조체의 요철단면관
KR20090125895A (ko) 지하층 연장 운행을 위한 지하 기초 시공 방법
KR20110043976A (ko) 사전 제작된 기둥을 사용하는 역타 공법 및 이에 의한 건물 구조체
KR100888166B1 (ko) 현장타설 쏘일콘크리트파일의 시공방법 및쏘일콘크리트파일
KR101121119B1 (ko) 팩을 이용한 마이크로 파일 기초공법
KR20190123854A (ko) 마이크로파일
WO2007114727A1 (en) Soil compacting method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KR101175741B1 (ko) 이중 그라우팅 주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20130073336A (ko) 파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와 지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