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444B1 - 로봇 폰 및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폰 및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444B1
KR101161444B1 KR1020050042076A KR20050042076A KR101161444B1 KR 101161444 B1 KR101161444 B1 KR 101161444B1 KR 1020050042076 A KR1020050042076 A KR 1020050042076A KR 20050042076 A KR20050042076 A KR 20050042076A KR 101161444 B1 KR101161444 B1 KR 10116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call
phone
robot phon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306A (ko
Inventor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444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폰에 있어서, 상기 로봇 폰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소정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부와, 촬영에 의한 화상 정보를 통해 화상의 내용을 인식하는 화상 인식부와, 주변의 사람을 감지하고, 명령 모드 전환 요구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전화 수/발신 및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 기능부와, 상기 로봇 폰이 소속된 맵(map) 정보와 전화 수신자의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최초 전화를 수신한 제1 수신자의 통화 중, 수신자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된 맵 정보와 장소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 폰을 이동시켜 제1 수신자 대신 통화를 수행할 제2 수신자를 탐색하고 상기 제2 수신자로 수신자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화를 받을 사람이 전화기로 이동할 필요없이, 로봇 폰이 전화받을 사람에게 이동하므로 전화받는 사람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로봇 폰, 맵 정보, 장소 우선순위, 이동, 수신자 전환

Description

로봇 폰 및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ROBOT PHONE AND METHOD FOR CHANGE RECIPIENT IN ROBOT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폰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일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환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인식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환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탐색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기반 지능형 서비스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봇 폰(ROBOT PHONE)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여러 사람이 하나의 전화기를 공용으 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이 개인의 휴대 단말기외에 가정용 전화기를 공용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사무실에서는 사무실 직원들이 개인 단말기 외에 사무실 대표 전화를 공용으로 사용한다.
이렇게 하나의 전화기를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공용 전화기에 전화가 왔을때, 처음 전화를 받은 수신자는 송신자가 다른 수신자를 원할 경우 전화를 송신자가 원하는 다른 수신자에게 바꿔주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공용 전화기에 걸려온 전화를 받은 수신자는 송신자가 원하는 수신자가 자신이 아닌 다른 수신자이면 송신자가 원하는 수신자를 직접 찾아 전화를 바꿔주어야 한다.
예를 들면, 처음 전화를 받은 수신자는 만약 공용 전화기가 무선 전화기이면 공용 전화기를 직접 송신자가 원하는 수신자에게 전달하여 전화를 바꿔줄 수 있다. 또한 공용 전화기가 유선 전화기이면, 처음 전화를 받은 수신자는 큰소리로 송신자가 원하는 수신자를 불러오거나, 송신자가 원하는 곳에 이동하여 전화가 왔음을 알려 전화를 바꿔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수신자 전환 방법은 처음 전화를 받은 수신자가 직접 송신자가 원하는 수신자를 찾아야 수신을 알리거나, 직접 전화기를 들고 이동하여 전달해야 하므로 시간을 빼앗길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를 받은 수신자 대신 자동으로 송신자가 원하 는 다른 수신자를 찾아 수신자를 전환하는 로봇 폰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를 받은 수신자 대신 미리 저장된 장소 우선순위에 의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수신자를 찾아 수신자를 전환하는 로봇 폰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봇 폰에 있어서, 상기 로봇 폰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소정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부와, 촬영에 의한 화상 정보를 통해 화상의 내용을 인식하는 화상 인식부와, 주변의 사람을 감지하고, 명령 모드 전환 요구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전화 수/발신 및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 기능부와, 상기 로봇 폰이 소속된 맵(map) 정보와 전화 수신자의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최초 전화를 수신한 제1 수신자의 통화 중, 수신자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된 맵 정보와 장소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 폰을 이동시켜 제1 수신자 대신 통화를 수행할 제2 수신자를 탐색하고 상기 제2 수신자로 수신자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에 있어서, 최초 전화를 수신한 제1 수신자의 통화 중 수신자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수신자 전환 명령에 따라 미리 저장된 맵 정보와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수신자 대신 통화를 수행할 제2 수신자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수신자가 탐색되면 상 기 제2 수신자로 수신자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폰(Robot Phone)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폰(100)은 로봇 형태의 무선 기반 지능형 서비스 단말(이동하는 전화)로서 URC(Ubiquitous Robotic Companion) 서버를 통해 서로 다른 다수의 로봇 폰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외형상 머리(10), 몸통(20), 다리(30)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로봇 폰(100)은 최초 전화를 받은 수신자(이하‘제1 수신자’라 칭함)가 송신자가 원하지 않는 수신자일 경우 제1 수신자의 요청으로 송신자가 원하는 수신자(이하 ‘제2 수신자’라 칭함)를 찾아 수신자 전환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폰(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로봇 폰(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봇 폰(100)은 크게 제어부(110), 전화 기능부(120), 화상 인식부(130), 음성 인식부(140), 센서부(150), 메모리부(160), 이동부(170)로 구성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환에 필요한 제어 동작을 수신 한다. 즉, 제어부(110)는 전화 수신 시 제1 수신자의 요청에 따라 송신자가 원하는 제2 수신자를 찾아 수신자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전화 기능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장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전화 발신 및 전화 수신을 수행하고,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
화상 인식부(130)는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통해 화상의 내용을 인식하고, 화상 정보를 처리한다. 이러한 화상 인식부(130)는 카메라(132)와 화상 인식 처리부(134)를 포함한다. 카메라(132)는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 정보를 화상 인식처리부(134)로 전달한다. 화상 인식 처리부(134)는 카메라(132)에 의해 전달받은 화상 정보로부터 화상의 내용을 인식하고, 소정 화상처리기법을 사용하여 화상 정보를 처리한다.
음성 인식부(140)는 마이크(142), 스피커(144), 음성 인식 처리부(146)를 포함한다. 음성 인식 처리부(146)는 마이크(14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음성신호와 비음성신호로 구분하며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에 해당하는 명령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내용을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인식 처리부(146)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소정 음성 데이터를 가청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44)를 통해 출력한다.
센서부(150)는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152), 터치 센서(Touch sensor)(154), 휴먼 센서(Human sensor)(156)등과 같은 각종 센서들을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152)는 적외선을 이용해 온도,압력의 세기 등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터치 센서(152)는 사용자로부터의 접촉(touching)등을 감지하고, 외부 접촉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휴먼 센서(156)는 인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양의 변화상태를 포착하여 인체를 감지하는 PIR(Pyroelectronic Infrared)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이동부(160)는 바퀴, 바퀴를 움직이기 위한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로봇 폰(100)을 이동시킨다.
메모리부(170)는 롬(ROM:Read Only Memory) 및 램(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환을 위한 수신자 전환 프로그램 및 자신이 소속된 가정 또는 회사의 건물에 대한 맵(map) 정보를 저장하며, 각 수신자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 일예도이다. 도 3에서는 로봇 폰(100)이 가정의 각 가족 구성원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가족 구성원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는 각 가족 구성원들 별로 존재할 확률이 높은 장소 순서를 나타낸다. 예컨대 가족 구성원이 A, B, C라면 A, B, C 각각에 대해 존재할 확률이 높은 장소에 따라 장소 우선순위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가족 구성원 각각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는 개인의 장소에서 가족 공용의 장소 순서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족 구성원 중 A의 장소 우선순위 정보는 ‘A방->화장실->주방->거실’과 같이 A방(A의 개인방), A방 다 음에 화장실, 화장실 다음에 주방, 주방 다음에 거실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가족 구성원 각각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 외에 모든 가족 구성원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기본(default) 장소 우선순위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이때 기본 장소 우선순위 정보는 가족 공용의 장소에서 개인의 장소 순서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 장소 우선순위 정보는‘거실-> 화장실->주방->개인방’과 같이 가족 공용의 장소인 거실, 거실 다음에 화장실, 화장실 다음에 주방, 주방 다음에 개인의 장소인 개인방으로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개인방이란 A방, B방, C방과 같은 가족 구성원 각자의 방을 말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로봇 폰(100)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환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로봇 폰(100)은 402단계에서 전화를 수신한다. 그리고 로봇 폰(100)은 404단계에서 최초 전화를 받은 제1 수신자와 발신자간의 통화를 수행한다.
제1 수신자는 발신자와 통화를 하면서, 발신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수신자가 자신이 아닌 제2 수신자이면 로봇 폰(100)에게 제2 수신자에게 전화를 바꾸라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제1 수신자는 명령을 내리기 위해 로봇 폰(100)에게 명령 모드 전환을 요구해야 한다. 명령 모드 전환 요구가 필요한 이유는 로봇 폰(100)이 통화중이므로 음성으로 로봇 폰(100)에게 전화를 바꾸라는 음성 명령을 내리면, 로봇 폰(100)은 상기 음성 명령을 통화 음성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이때 제1 수신자는 명령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 센서(154)를 터치하여 명령 모드 전환을 요구할 수 있다.
로봇 폰(100)은 406단계에서 제1 수신자로부터 명령 모드 전환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로봇 폰(100)은 제1 수신자로부터 명령 모드 전환 요구가 있으면 408단계에서 제1 수신자로부터 명령 모드 전환 요구에 따라 명령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로봇 폰(100)은 명령 모드 상태가 되면 410단계에서 제1 수신자로부터의 수신자 전환 음성 명령을 인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인식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수신자(‘A’)는 발신자와 통화 도중 발신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수신자가 자신이 아닌 제2 수신자(‘B’)이면 명령 모드 전환 버튼을 누르고, “B에게 전화 이동”과 같은 음성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그러면 로봇 폰(100)은 A로부터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B에게 전화 이동 명령을 수행하겠습니다.”와 같이 응답 음성을 출력하여 음성 명령이 인식되었음을 알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명령이 인식되면, 로봇 폰(100)은 412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맵(map) 정보와 장소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이동하면서 제2 수신자를 탐색한다. 즉, 로봇 폰(100)은 적외선 센서(152)로부터 감지 결과 데이터를 얻어 미리 저장된 맵과 비교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장소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자율 주행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2 수신자를 찾는다.
예컨대 제2 수신자가 B인 경우 로봇 폰(100)은 B의 장소 우선순위 정보“B방->거실->화장실->주방”에 따라 자율 주행하여 우선 B방에서 거실, 화장실, 주방 순서대로 이동하면서 B를 찾는다. 만약 로봇 폰(100)은 최우선순위 장소인 B방에 도착해서 B를 찾지 못하면, 그 다음 장소 우선순위인‘거실’로 이동하여 B를 찾는 다. 그리고‘거실’에 도착해서 B를 찾지 못하면 다음 장소 우선순위인 ‘화장실’로 이동하여 B를 찾고, 화장실에 도착해서 B를 찾지 못하면 주방으로 이동하여 B를 찾는다. 한편, 장소 우선순위가 기본 우선순위 정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로봇 폰(100)은 기본 장소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거실->화장실->주방->개인방(B방)”의 순서대로 이동하면서 B를 찾을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2 수신자 탐색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탐색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수신자에게 전화를 바꾸라는 음성 명령 예를 들어“B에게 전화 이동”과 같은 음성 명령이 인식되면, 로봇 폰(100)은 702단계에서 적외선 센서(152)로부터 감지 결과 데이터를 얻어 미리 저장된 맵과 비교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로봇 폰(100)은 704단계에서 메모리부(170)에서 B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읽어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B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가 “B방->거실->화장실->주방”인 경우로 가정한다.
로봇 폰(100)은 제2 수신자 예컨대 B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읽어온 다음, 706단계에서 자율 주행하여 장소 우선순위 정보의 최우선순위 장소로 이동한다. 즉, 로봇 폰(100)은 B에 대한 장소 우선순의 정보의 최우선순위 장소인 “B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로봇 폰(100)은 B의 최우선순위 장소인“B방”으로 이동하면서 708 단계에서 제2 수신자 즉, B를 탐색한다. 이때 로봇 폰(100)은 휴먼 센서(156) 예컨대 PIR 센서를 통해 사람을 감지하고, 소정 휴먼 인식(Human recognition) 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장소의 사람이 가족 중 누구인지를 구분하여 'B'를 찾는다.
그리고 로봇 폰(100)은 710단계에서 제2 수신자 즉, B 탐색 성공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제2 수신자 탐색이 성공하면 로봇 폰(100)은 제2 수신자 탐색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그런데 만약 제2 수신자 탐색이 성공하지 않으면 로봇 폰(100)은 712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우선순위 장소가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다음 우선순위 장소가 있으면 로봇 폰(100)은 714단계에서 다음 우선순위 장소로 이동한다. 예컨대 로봇 폰(100)은“B방”의 다음 우선순위 장소인 “거실”로 이동한다.
그리고 로봇 폰(100)은 708단계로 되돌아가서 제2 수신자 즉, B를 탐색하고, B 탐색이 실패하면, 우선순위에 따른 장소를 다 방문해서 더 이상 이동할 다음 우선순위 장소가 없을 때까지 708내지 714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로봇 폰(100)은 B 탐색이 실패함에 따라 더 이상 이동할 다음 우선순위 장소가 없으면 716단계에서 제2 수신자 탐색 실패를 인식하고 제2 수신자 탐색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로봇 폰(10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2 수신자 탐색 과정 후, 414단계에서 제2 수신자 탐색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로봇 폰(100)은 제2 수신자 탐색이 성공하지 못했으면 416단계에서 제2 수신자 탐색 실패를 알린다. 또한 로봇 폰(100)은 제2 수신자 탐색이 성공하였으면 418단계에서 상기 탐색된 제2 수신자에게 전화 수신을 알려 수신자 전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로봇 폰(100)은 420단계에서 제2 수신자와 발신자간의 통화를 수행한 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자 전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로봇 폰(100)은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는 제2 수신자, 예컨대 B를 찾으면, “전화왔습니다." 와 같은 음성을 출력하여 B에게 전화왔음을 알려 B가 전화를 받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2 수신자인 B가 전화를 받으면 로봇 폰(100)은 통화모드로 전환하여 제2 수신자와 발신자간의 통화를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로봇 폰(100)이 가정에서 이용되는 경우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로봇 폰(100)은 가정 뿐만 아니라 회사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를 받을 사람이 전화기로 이동할 필요없이, 로봇 폰이 전화받을 사람에게 이동하므로 전화받는 사람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초 전화를 받은 수신자가 다른 사람에게 전화를 바꿔줘야 될 경우 명령만 내리면 로봇 폰이 자동으로 전화를 바꿔줄 사람을 찾아 전화를 바꿔주므로 전화를 바꿔주기 위해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전화를 바꿔주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로봇 폰에 있어서,
    상기 로봇 폰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소정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인식부와,
    촬영에 의한 화상 정보를 통해 화상의 내용을 인식하는 화상 인식부와,
    주변의 사람을 감지하고, 명령 모드 전환 요구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전화 수신, 발신 및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 기능부와,
    상기 로봇 폰이 소속된 맵(map) 정보와 전화 수신자의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최초 전화를 수신한 제1 수신자의 통화 중, 수신자 전환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된 맵 정보와 장소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 폰을 이동시켜 제1 수신자 대신 통화를 수행할 제2 수신자를 탐색하고 상기 제2 수신자로 수신자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외부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향 신호를 음성신호와 비음성신호로 구분하여상기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명령을 인식하고, 소정 음성 데이터를 가청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인식 처리부와,
    상기 가청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부는,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에 의한 화상 정보를 전달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화상 정보로부터 화상의 내용을 인식하고, 소정 화상처리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인식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외선을 이용해 상기 로봇 폰 주변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외부 접촉 및 외부 접촉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와,
    인체를 감지하는 휴먼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로봇 폰이 소속된 가정의 맵(map) 정보와 가족 구성원의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로봇 폰이 소속된 회사의 맵(map) 정보와 회사 구성원의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초 전화를 수신한 제1 수신자의 통화 중, 명령 모드 전환 요구에 따라 명령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명령 모드에서 수신자 전환 명령 음성을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감지 결과 데이터를 얻어 미리 저장된 맵과 비교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장소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장소에서 우선순위가 낮은 장소로 이동하면서 제2 수신자를 탐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폰.
  9.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에 있어서,
    최초 전화를 수신한 제1 수신자의 통화 중 수신자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수신자 전환 명령에 따라 미리 저장된 맵 정보와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신자 대신 통화를 수행할 제2 수신자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수신자가 탐색되면 상기 제2 수신자로 수신자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자가 탐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2 수신자의 탐색 실패를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전환 명령을 입력 받는 과정은,
    상기 최초 전화를 수신한 제1 수신자의 통화 중 명령 모드 전환 요구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명령 모드 전환 요구 입력에 따라 명령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명령 모드에서 상기 수신자 전환 명령에 대응된 음성을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자를 탐색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자 전환 명령에 따라 센서부의 감지 결과와 미리 저장된 맵과 비교하여 상기 로봇 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상기 제1 수신자 대신 통화를 수행할 제2 수신자에 대한 장소 우선순위 정보를 읽어오는 과정과,
    상기 제2 수신자의 장소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장소에서 우선순위가 낮은 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수신자를 탐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42076A 2005-05-19 2005-05-19 로봇 폰 및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 KR10116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76A KR101161444B1 (ko) 2005-05-19 2005-05-19 로봇 폰 및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76A KR101161444B1 (ko) 2005-05-19 2005-05-19 로봇 폰 및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06A KR20060120306A (ko) 2006-11-27
KR101161444B1 true KR101161444B1 (ko) 2012-07-02

Family

ID=3770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076A KR101161444B1 (ko) 2005-05-19 2005-05-19 로봇 폰 및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17B1 (ko) * 2006-12-07 2008-04-22 주식회사 유진로봇 로봇의 동작 제어시스템
KR100857578B1 (ko) * 2007-05-14 2008-09-09 주식회사 유진로봇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우미로봇
KR101009721B1 (ko) * 2008-07-16 2011-01-19 주식회사 쏠리테크 모바일 영상 로봇 단말기
KR101298482B1 (ko) * 2010-04-19 2013-08-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 인지 기반의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KR102145371B1 (ko) * 2013-02-05 2020-08-18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시스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착신 호 처리 방법
KR101629442B1 (ko) * 2014-04-30 2016-06-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피규어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551A (ja) 1999-12-28 2001-07-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3062776A (ja) 2001-08-22 2003-03-05 Taito Corp コミュニケーション小形ロボットシステム
JP2004328395A (ja) 2003-04-24 2004-11-1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移動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551A (ja) 1999-12-28 2001-07-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3062776A (ja) 2001-08-22 2003-03-05 Taito Corp コミュニケーション小形ロボットシステム
JP2004328395A (ja) 2003-04-24 2004-11-1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移動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06A (ko) 2006-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444B1 (ko) 로봇 폰 및 로봇 폰에서 수신자 전환 방법
CN108900502B (zh) 一种基于家居智能互联的通信方法、系统
JP4026758B2 (ja) ロボット
US9282182B2 (en) Monitoring system
JP7179834B2 (ja) 音声認識デバイス、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システム、及び音声認識デバイスの連携方法
US20120157161A1 (en) Enabling speaker phone mode of a portable voic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built-in camera
CN108259277B (zh) 基于智能家居设备的移动终端通讯信息的共享方法及系统
CN104038625A (zh) 来电时电话音频的自动路由
US20170282373A1 (en) Reception system and reception method
KR20190026521A (ko) 인공지능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2010226541A (ja) 応対装置、来訪者応対方法、来訪者応対制御プログラム
US1041277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CN109522058A (zh) 唤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07189588A (ja) 携帯通信端末及び終話通知方法
JP2006245919A (ja) 携帯電話端末、音声データ受信の報知方法、通話音声の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95479B2 (ja) ロボット、ロボット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899943B1 (ko)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CN110738762A (zh) 用于智能门锁的控制装置及门控系统
JP2006032998A (ja) 無線ドアフォンシステム
KR200480083Y1 (ko) 방문자 통보와 통화 연결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KR100824729B1 (ko) 주거정보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CN103888612A (zh) 呼叫转移方法、装置及终端
JP2010212903A (ja) 応対制御装置、応対制御方法、応対制御プログラム、応対機器、及び応対システム
KR102582357B1 (ko) 동시통화 가능한 스마트 너스콜 시스템
CN108134865A (zh) 终端拨号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