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547B1 - 치간치솔 - Google Patents

치간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547B1
KR101160547B1 KR1020100022763A KR20100022763A KR101160547B1 KR 101160547 B1 KR101160547 B1 KR 101160547B1 KR 1020100022763 A KR1020100022763 A KR 1020100022763A KR 20100022763 A KR20100022763 A KR 20100022763A KR 101160547 B1 KR101160547 B1 KR 101160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interdental
body portion
angle
interdental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613A (ko
Inventor
김혜경
Original Assignee
김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경 filed Critical 김혜경
Priority to KR102010002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54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간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브러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치간치솔에 있어서,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선단부에 굽힘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브러쉬결합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후단부와 연결부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브러쉬결합부와 힌지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브러쉬결합부에 결합되는 브러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브러쉬의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브러쉬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치간치솔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간치솔{INTERDENTAL BRUSH}
본 발명은 치간치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브러쉬의 각도를 조절 및 유지시킬 수 있는 치간치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간치솔은 치아와 치아 사이(이하 '치간'이라 한다)를 세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치간에 낀 작은 이물질과 프러그 등을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치간치솔은 솔대(브러쉬가 삽입됨과 아울러 사용시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을 말한다)와 브러쉬가 일자 형태인 I타입의 치간치솔과 솔대의 선단부와 브러쉬가 거의 직각으로 형성된 L타입의 치간치솔로 대별된다.
일반적으로 I타입의 치간치솔은 솔대와 브러쉬가 일자 형태이기 때문에, 브러쉬를 어금니 영역의 치간에 삽입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I타입의 치간치솔은 주로 전치 부분의 치간 세정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L타입의 치간치솔은 솔대의 선단부에서 브러쉬가 거의 직각으로 꺾인 구조이기 때문에 I타입에 비해서 어금니 영역의 치간에 브러쉬를 삽입하기가 용이하다. 이에 의해, L타입의 치간치솔은 주로 어금니 영역의 치간 세정용으로 이용된다.
L타입의 치간치솔은 전치 영역의 치간도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I타입의 치간치솔에 비해서 L타입의 치간치솔이 보다 널리 이용되고 있고 다양한 형태의 L타입 치간치솔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L타입의 치간치솔의 경우에도 치간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치간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이 가능한 치간치솔에 관한 기술이 제공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관련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07759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치간치솔의 경우 브러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인 힌지쌍(1,2)을 정확하게 성형하기 위해서는 양쪽 레그(3,4)가 벌려진 상태에서 성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브러쉬를 금형에 삽입한 상태에서 성형하는 치간치솔의 제조 특성상 도2와 같은 방법으로 금형(7)을 구성해야만 하고 이 경우 하나의 금형(7)에서 여러 개의 치간치솔을 생산해 내기 어렵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양쪽 레그(3,4)를 상호 슬라이딩시켜 브러쉬(5)의 위치를 조절한 후 원하는 각도로 브러쉬(5)를 유지하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레그(3,4)를 잡는 손에 힘을 가하여 브러쉬(5)의 각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브러쉬의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브러쉬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치간치솔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브러쉬의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브러쉬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치간치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치간치솔은, 브러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치간치솔에 있어서,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선단부에 굽힘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브러쉬결합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후단부와 연결부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브러쉬결합부와 힌지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브러쉬결합부에 결합되는 브러쉬를 포함한다.
상기 치간치솔은, 상기 제1몸체부에는 제1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에는 제2고정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상호간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치간치솔은,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톱니 모양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간치솔은, 상기 연결부에 톱니 모양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간치솔은, 상기 브러쉬의 심선이 브러쉬결합부에 인서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간치솔에 따르면,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브러쉬의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브러쉬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간치솔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치간치솔을 생산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의 조립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의 조립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5a는 측면도 도5b는 A-A방향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의 브러쉬결합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을 생산하는 도면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은 제1몸체부(10)와 브러쉬결합부(20)와 제2몸체부(30)와 힌지부(40) 및 브러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부(10)는 치간치솔(100) 일측의 몸체를 이루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기 편하도록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에는 여러 개의 돌기(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치간치솔(100)의 브러쉬(5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치간치솔(100)을 사용하는 경우에 손가락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치간치솔(100)의 브러쉬(50)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후술하는 제2몸체부(30)와 결합하는 부분에는 제2몸체부(30)가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1슬라이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13)는 단면의 형상이 대략 'T'자 형상으로서 홈부(14)에 후술하는 제2슬라이딩부(33)의 걸림부(34)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몸체부(10)의 선단부 부근에는 굽힘보조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굽힘보조부(17)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굽힘이 가능하고 후술하는 굽힘부(60)를 보조하여 브러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몸체부(10)의 선단부에는 브러쉬결합부(20)가 굽힘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부(10)와 상기 브러쉬결합부(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몸체부(10)에 대해 상기 브러쉬결합부(20)가 굽힘이 가능하도록 굽힘부(60)가 마련된다. 즉 후술하는 제2몸체부(30)의 슬라이딩에 따라 굽힘부(60)가 굽혀지거나 펴짐으로써 상기 브러쉬결합부(20)가 제1몸체부(10)에 대해 대략 90도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1몸체부(10)에 굽힘보조부(17)가 마련된 경우에는 굽힘보조부(17)도 굽힘부(60)와 함께 굽혀지거나 펴짐으로써 브러쉬결합부(20)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결합부(20)의 일측에는 브러쉬(50)의 심선(51) 후단부 영역이 인서트 되어 결합되어 있고 반대측에는 힌지축(2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몸체부(3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힌지부(40)와 상기 힌지축(21)이 힌지결합함으로써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몸체부(10)의 후단부에는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를 연결하는 연결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70)는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가 일체화되어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며 접철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30)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고 잘 휘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70)에는 주름(7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71)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몸체부(10)에 대하여 제2몸체부(30)를 절곡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2몸체부(30)를 절곡하여 제1몸체부(10)에 결합시키는 작업도 더욱 편리하다.
상기 연결부(70)는 치간치솔(100)의 몸체가 일체화되어 성형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7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치간치솔(1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부(30)는 상기 제1몸체부(10)의 후단부에 접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제1몸체부(10)와 상기 제2몸체부(30)의 후단부는 상기 연결부(70)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제2몸체부(30)는 치간치솔(100)의 다른 일측의 몸체를 이루며 제1몸체부(1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기 편하도록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에는 여러 개의 돌기(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또한 사용자가 치간치솔(100)의 브러쉬(5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치간치솔(100)을 사용하는 경우에 손가락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부(30)의 제1몸체부(10)와 결합하는 부분에는 제1몸체부(10)와 슬라이딩하기 위한 제2슬라이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33)는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지고 각 단면의 형상이 대략 'Π'자 형상으로서 제1슬라이딩부(13)의 홈부(14)에 걸림부(34)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제2몸체부(30)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브러쉬결합부(20)와 힌지결합한다. 즉 상기 힌지부(40)의 양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41)이 상기 브러쉬결합부(20)의 힌지축(21)과 결합함으로써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브러쉬결합부(20)가 회동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브러쉬(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힌지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도를 조절하는 부분이 파손되는 경우가 적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힌지부(40)에 구멍이 형성되고 브러쉬결합부(20)에 힌지축(21)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힌지부(40)에 힌지축이 형성되고 브러쉬결합부(20)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여 힌지결합하는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 슬라이딩부의 결합은 제1슬라이딩부(13)에 홈부(14)가 형성되고 제2슬라이딩부(33)에 걸림부(34)가 형성되어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제1슬라이딩부(13)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슬라이딩부(33)에 홈부가 형성되어 결합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몸체부(10)에는 제1고정부(15)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30)에는 제2고정부(35)가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15)와 상기 제2고정부(35)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 상호간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부(10)의 제1슬라이딩부(13)의 상부에는 톱니 모양의 홈으로 형성된 제1고정부(15)가 구비되고, 제2몸체부(30)의 제2슬라이딩부(33) 사이에는 톱니 모양의 홈으로 형성된 제2고정부(35)가 구비된다.
이 경우에는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를 결합시킬 때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발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몸체부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15)와 제2고정부(35)가 서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1고정부(15)와 제2고정부(35)가 맞물리는 위치에 따라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의 상대적인 위치가 결정되고 결과적으로 브러쉬(50)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제1고정부(15)와 제2고정부(35)가 맞물림으로써 결정된 위치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서 제1고정부(15)와 제2고정부(35)는 톱니 모양의 홈이라고 하였으나 상호 압입되어 맞물리는 형식이면 채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100)의 브러쉬(50)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100)의 브러쉬결합부(20)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를 손으로 잡고 제1몸체부(10)에 대하여 제2몸체부(3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 경우 제2몸체부(30)의 선단부에 있는 힌지부(40)도 슬라이딩하여 이동한다.
힌지부(40)가 이동함에 따라 브러쉬결합부(20)의 힌지축(21)에 힘이 가해지고 가해진 힘에 의하여 연결부(70)가 회전함과 아울러 힌지축(21)이 회동하여 브러쉬결합부(20)는 몸체부(10,30)와 수평인 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에 따라 브러쉬(50)는 몸체부(10,30)와 평행인 위치에서 수직인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브러쉬(50)가 원하는 각도가 되었을 때 몸체부(10,30)를 눌러 결합부(15,35)를 결함시킴으로써 브러쉬(50)의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을 제조하는 방법 및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을 성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100)은 일 방향으로 브러쉬(50)가 금형(8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렬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비해 같은 면적의 금형(80)으로부터 많은 수의 치간치솔(100)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간치솔을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8과 같이, 치간치솔(100)을 브러쉬(50)측부터 사용자 구강내부의 치아와 볼 사이로 삽입시켜서 브러쉬(50)의 선단부가 원하는 치간으로 이동하여 그 치간 입구 영역의 치아에 닿게 한다.
이후 제2몸체부(30)를 슬라이딩시키면 도9와 같이 굽힘부(60) 부분이 회전하면서 브러쉬(50)가 치간 측으로 꺾이게 된다. 이 때 몸체부(20,30)를 잡고 있는 손을 누르게 되면 제1고정부(15)와 제2고정부(35)가 맞물린다.
이 때 브러쉬(50)는 제1고정부(15)와 제2고정부(35)가 맞물리는 힘과 사용자의 손이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를 파지하는 힘에 의해서 치간 반대측인 사용자의 볼 측으로 꺾이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1고정부(15)와 제2고정부(35)가 형성된 2개의 내측면이 서로 접촉하여 맞물리는 힘에 의해 브러쉬(50)의 각도가 유지되게 되며 이에 따라 브러쉬(50)는 사용자의 볼 측으로 꺾이지 않고 치간측으로만 꺾여있는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몸체부(10,30)를 치간측으로 밀면 치간측으로 꺾인 브러쉬(50)가 해당 치간으로 간단하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부(10,30)를 반복적으로 조금씩 밀고 당기면 브러쉬(50)가 치간 사이에서 원활하게 움직이면서 치간을 세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구강 내 깊숙한 영역에 위치하는 어금니들의 치간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구강 상기와 같이 구강 내에서 브러쉬(50)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고 구강 외측에서 브러쉬(50)의 각도를 미리 조절 한 후 구강 내에 삽입하여 치간을 세정할 수도 있으며 이 때 브러쉬(50)의 각도를 몸체부와 대략 수평하게 함으로써 전치 부분의 치간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고정부(15,35)가 있는 경우의 치간치솔(10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고정부(15,35)가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몸체부(10,30)를 파지하는 힘에 의해 브러쉬(5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손쉽게 브러쉬의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브러쉬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치간치솔을 구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1몸체부 11 : 돌기
13 : 제1슬라이딩부 14 : 홈부
15 : 제1고정부 31 : 돌기
33 : 제2슬라이딩부 34 : 걸림부
35 : 제2고정부 40 : 힌지부
41 : 구멍 50 : 브러쉬
51 : 심선 60 : 굽힘부
70 : 연결부 71 : 주름

Claims (5)

  1. 브러쉬(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치간치솔(100)에 있어서,
    제1몸체부(10)와,
    상기 제1몸체부(10)의 선단부에 굽힘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브러쉬결합부(20)와,
    상기 제1몸체부(10)의 후단부와 연결부(70)에 의해 접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몸체부(10)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몸체부(30)와,
    상기 제2몸체부(30)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브러쉬결합부(20)와 힌지결합하는 힌지부(40)와
    상기 브러쉬결합부(20)에 결합되는 브러쉬(50)를
    포함하는 치간치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10)에는 제1고정부(15)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30)에는 제2고정부(35)가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15)와 상기 제2고정부(35)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 상호간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치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5)와 제2고정부(35)는 톱니 모양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치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0)에는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치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50)의 심선(51)은 브러쉬결합부(20)에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치솔
KR1020100022763A 2010-03-15 2010-03-15 치간치솔 KR101160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763A KR101160547B1 (ko) 2010-03-15 2010-03-15 치간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763A KR101160547B1 (ko) 2010-03-15 2010-03-15 치간치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613A KR20110103613A (ko) 2011-09-21
KR101160547B1 true KR101160547B1 (ko) 2012-06-27

Family

ID=4495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763A KR101160547B1 (ko) 2010-03-15 2010-03-15 치간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22Y1 (ko) 2011-09-20 2013-07-05 (주)아모레퍼시픽 복수의 브러시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404B1 (ko) * 2017-06-27 2019-01-18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간치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214B1 (ko) 1999-07-29 2002-03-18 장지일 치간칫솔
KR200292879Y1 (ko) 2002-07-11 2002-10-28 주식회사 일성정밀 각도조절기능이 구비된 치간칫솔
KR200427311Y1 (ko) 2006-07-12 2006-09-25 최일규 브러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치간 브러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214B1 (ko) 1999-07-29 2002-03-18 장지일 치간칫솔
KR200292879Y1 (ko) 2002-07-11 2002-10-28 주식회사 일성정밀 각도조절기능이 구비된 치간칫솔
KR200427311Y1 (ko) 2006-07-12 2006-09-25 최일규 브러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치간 브러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22Y1 (ko) 2011-09-20 2013-07-05 (주)아모레퍼시픽 복수의 브러시를 구비하는 치간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613A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7829B2 (ja) 歯間清掃具
US20100050358A1 (en) Interdental brush
EP1862090B1 (en) Interdental brush
EP2002754A3 (en) Toothbrush
KR101160547B1 (ko) 치간치솔
JP3212654U (ja) 歯ブラシ
JP2001204549A (ja) 歯間ブラシ
KR100509324B1 (ko) 치간 청소구
WO2003079848A1 (fr) Manche double utilisant la deviation qui lui est imposee, brosse a dents, porte-fil de soie dentaire, nettoie-tube et pinces
WO2020020239A1 (zh) 剔牙辅助用具
TWI527536B (zh) 牙刷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KR200420524Y1 (ko) 치간 칫솔모
JP3136636U (ja) 歯間ブラシ
JP3201967U (ja) 歯のクリーニング専用の器具
KR101008695B1 (ko) 치간칫솔
KR200480799Y1 (ko) 각도조절기능과 혀클리너를 구비한 칫솔
WO2017018340A1 (ja) 歯ブラシ
TWM483715U (zh) 保健牙刷
KR101559466B1 (ko) 치간칫솔 제조용 사출금형
JP6380240B2 (ja) 歯間清掃具
JP3182169U (ja) 軟質指歯ブラシ
JP2009018145A (ja) 歯ブラシ
JP2009050708A (ja) 歯間ブラシ
JP2018509959A (ja) 回転ヘッドを有する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