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205B1 -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205B1
KR101160205B1 KR1020090062589A KR20090062589A KR101160205B1 KR 101160205 B1 KR101160205 B1 KR 101160205B1 KR 1020090062589 A KR1020090062589 A KR 1020090062589A KR 20090062589 A KR20090062589 A KR 20090062589A KR 101160205 B1 KR101160205 B1 KR 10116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lock
dried
contaminants
magne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070A (ko
Inventor
고진호
정용의
정인환
Original Assignee
정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환 filed Critical 정인환
Priority to KR102009006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2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건조시킬 오염물이 적재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에서 가 건조된 오염물을 블럭으로 만드는 블럭부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오염물 블럭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제 2챔버; 그리고,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마이크로웨이브, 슬러지, 블럭

Description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A Pollutant Disposal System and A Disposal Method}
본 발명은 오염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을 건조시키면서, 오염물을 블럭으로 제조하는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오염물 즉 예를 들면, 음식물쓰레기나 하수슬러지 등은 소각도 쉽지 않고, 그대로 매몰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음에 따라 점차 오염물의 처리에 관한 규정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기 오염물들을 이용하여, 사료로 사용하거나, 연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오염물을 사료나 연료로 사용할 때, 오염물을 블럭으로 만들면 편리한데, 오염물을 완전히 건조시킨 후, 다시 오염물을 블럭으로 만드는 장치에 물 등을 다시 혼합하여 블럭으로 제조한 후 다시 건조시켜 블록을 만드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서와 같이, 오염물을 건조시킨 후, 다시 물을 혼합하여 블록으로 제조 한 후, 다시 건조시켜 그 공정을 위한 장치들이 많이 필요하고, 번거로워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물을 건조시키면서 자동으로 블록으로 만드는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오염물 처리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건조시킬 오염물이 적재되는 제 1챔버와, 상기 제 1챔버에서 가 건조된 오염물을 블럭으로 만드는 블럭부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오염물 블럭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제 2챔버; 그리고,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제 1챔버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제 1마그네트론; 그리고, 상기 제 2챔버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제 2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에는 히터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 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산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 처리 방법은, 오염물울 1차로 수분이 함유되 도록 가건조시키는 건조시키는 제 1단계와, 1차 건조된 오염물을 블럭으로 제조하는 제 2단계; 그리고, 상기 블럭으로 제조된 오염물 블럭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 및 제 3단계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오염물을 1차로 가건조 한 후, 블럭으로 제조하고, 2차로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으로, 하나의 장치로 오염물 블럭을 제조할 수 있어, 전체적인 공정이 짧아지고, 다른 제조물질이 투입되지 않아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오염물 처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건조시킬 오염물이 적재되는 제 1챔버(10)와, 상기 제 1챔버(10)에서 가건조된 오염물을 블럭으로 만드는 블럭부(20)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오염물 블럭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제 2챔버(30)와, 상기 제 1챔버(10)와 상기 제 2챔버(30)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19, 3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오염물 처리 장치에서 블럭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인 오염물이 마련된다. 상기 오염물은 수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건조시켜야 하는 쓰레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염물에는 하수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하수슬러지는 건조하여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경우, 건조시킨 후 동물의 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오염물 처리 장치에는 제 1챔버(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챔버(10)는 건조대상인 오염물이 탑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챔버(10) 내에서 용이하게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챔버 (10) 내에 상기 오염물이 고르게 펼쳐지면서 건조되도록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챔버(10)에는 일단에 모터(1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풀리(14)와 타단의 종동풀리(16)를 따라 동작하는 컨베이어벨트(18)와, 상기 컨베이어벨트(18) 상에 적재되어 이동하는 오염물에 에너지를 가하는 제 1마그네트론(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마그네트론(19) 외에 다른 열원 즉 히터(4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히터(40)는 상기 제 1챔버의 상면, 측면 또는 바닥면 어디라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챔버(10) 내벽에는 산란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산란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챔버(10) 내부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산란부에 부딪혀 여러 방향으로 산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챔버(10)에서 상기 오염물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8) 상에 적재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제 1마그네트론(19)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상기 오염물이 건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챔버(10)는, 오염물은 예비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1챔버(10)는 상기 오염물에 함유되는 수분을 모두 건조시키지 않고, 블럭을 만들수 있을 정도의 점성을 가지도록 적당히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챔버(10)의 일측에는 블럭부(20)가 마련된다. 상기 블럭부(20)는 상기 제 1챔버(10)에서 예비건조된 오염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블럭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블럭부(20)는, 상기 제 1챔버(10)에서 점성을 가지도록 건조된 오염물을 사료 또는 연료로 이용할 수 있는 크기로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럭부(20)는 여러가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을 소정의 크기로 성형되도록 가압하는 형틀부(22)와, 상기 제 1챔버(10)에서 건조된 오염물을 상기 형틀부(22)로 안내하는 호퍼(24)와, 상기 형틀부(22)의 블럭을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챔버(30)로 안내하는 이송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부(20)의 일측에는 제 2챔버(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챔버(30)는 건조대상인 오염물 블럭이 탑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챔버(30) 내에서 용이하게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2챔버(30) 내에서 상기 오염물 블럭이 용이하게 건조되도록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 1챔버(10)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챔버(30) 내에도 산란부와, 다른 열원인 히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 2챔버(30)는 상기 제 1챔버(10)와 다르게, 상기 오염물 블럭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1챔버(10) 보다 더 강한 마그네트론이 장착될 수 있으며, 건조시간을 늘이기 위해, 상기 제 2챔버(30)의 크기를 상기 제 1챔버(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마그네트론(19) 및 상기 제 2마그네트론(39)의 열을 제거하도록 공냉장치(미도시) 또는 수냉장치(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 처리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오염물을 본 발명인 오염물 처리 장치로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오염물은 제 1챔버(10)에 마련되는 컨베이어벨트(18) 상에 얇게 펼쳐진다. 상기 오염물이 상기 제 1챔버(10)의 컨베이어벨트(18)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 1챔버(10)의 제 1마그네트론(19)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수분이 가건조된다.
상기 가건조된 오염물은 상기 제 1챔버(10)의 컨베이어벨트(18)를 따라 이동하면서, 블럭부(20)로 이동한다. 상기 블럭부(20)의 호퍼(24)로 안내된다. 상기 호퍼(24)에 투입된 가건조된 상기 오염물은 형틀부(22)로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형틀부(22)에 투입된 상기 오염물을 가압하여, 상기 형틀 부(22)의 형상에 대응되는 블럭모양으로 성형한다. 상기 형틀부(22)는 제거되고, 상기 이송부(26)가 상기 오염물 블럭을 제 2챔버(30)로 안내한다.
상기 제 2챔버(30)로 안내된 상기 오염물 블럭은 상기 제 2챔버(30)의 컨베이어벨트 상에 적재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챔버(30) 내의 제 2마그네트론(39)에서 발진되는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완전히 건조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오염물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블럭부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오염물 처리 장치의 제 1챔버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 1챔버 12: 모터
14: 구동풀리 16: 종동풀리
18: 컨베이어 벨트 19: 제 1마그네트론
20: 블럭부 22: 형틀부
24: 호퍼 26: 이송부
30: 제 2챔버 39: 제 2마그네트론
40: 히터 50: 산란부

Claims (6)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건조시킬 오염물이 컨베이어벨트 상방에 적재되어 이동하며,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건조되는 제 1챔버;
    상기 제 1챔버에서 가 건조된 오염물을 블럭으로 만드는 블럭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블럭부에서 만들어진 블럭이 컨베이어벨트 상방에 적재되어 이동하며,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완전히 건조시키는 제 2챔버; 그리고,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의 내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산란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블럭부는,
    오염물을 소정의 크기로 성형되도록 가압하는 형틀부와,
    상기 제 1챔버에서 건조된 오염물을 상기 형틀부로 안내하는 호퍼와,
    상기 형틀부의 블럭을 제 2챔버로 안내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챔버는 상기 제 1챔버보다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론은,
    상기 제 1챔버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제 1마그네트론; 그리고,
    상기 제 2챔버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제 2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에는 히터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처리 장치.
  4. 삭제
  5.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건조시킬 오염물이 컨베이어벨트 상방에 적재되어 이동하며,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건조되는 제 1챔버;
    상기 제 1챔버에서 가 건조된 오염물을 블럭으로 만드는 블럭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블럭부에서 만들어진 블럭이 컨베이어벨트 상방에 적재되어 이동하며,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완전히 건조시키는 제 2챔버; 그리고,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제 2챔버의 내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된 산란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블럭부는,
    오염물을 소정의 크기로 성형되도록 가압하는 형틀부와,
    상기 제 1챔버에서 건조된 오염물을 상기 형틀부로 안내하는 호퍼와,
    상기 형틀부의 블럭을 제 2챔버로 안내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챔버는 상기 제 1챔버보다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처리장치에서,
    오염물을 1차로 수분이 함유되도록 상기 오염물을 제 1챔버 내의 컨베이어벨트에 적재하여 이동시키면서 가건조시키는 제 1단계;
    1차 건조된 오염물을 블럭부에서 블럭으로 제조하는 제 2단계; 그리고,
    상기 블럭으로 제조된 오염물 블럭을 제 2챔버 내의 컨베이어벨트에 적재하여 이동시키면서 완전히 건조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 처리 방법.
  6. 삭제
KR1020090062589A 2009-07-09 2009-07-09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KR10116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89A KR101160205B1 (ko) 2009-07-09 2009-07-09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589A KR101160205B1 (ko) 2009-07-09 2009-07-09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70A KR20110005070A (ko) 2011-01-17
KR101160205B1 true KR101160205B1 (ko) 2012-06-27

Family

ID=4361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589A KR101160205B1 (ko) 2009-07-09 2009-07-09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2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6793A (ja) * 1997-02-14 1998-08-25 Meidensha Corp 廃棄物の固形化処理方法
KR20010073474A (ko) * 2000-01-15 2001-08-01 권정수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코팅액 건조 방법 및 건조장치
KR100450898B1 (ko) 2001-05-03 2004-10-01 송기도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소성 건자재 제조방법
KR20070082719A (ko) * 2006-02-17 2007-08-22 이영희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6793A (ja) * 1997-02-14 1998-08-25 Meidensha Corp 廃棄物の固形化処理方法
KR20010073474A (ko) * 2000-01-15 2001-08-01 권정수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코팅액 건조 방법 및 건조장치
KR100450898B1 (ko) 2001-05-03 2004-10-01 송기도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소성 건자재 제조방법
KR20070082719A (ko) * 2006-02-17 2007-08-22 이영희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70A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8807B2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68620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US201101929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material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mr)
KR101034569B1 (ko) 슬러지 고화처리장치
IT1245070B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omogeneizzazione di scarti di materia plastica di natura diversa ai fini di un riutilizzo dei medesimi
JP2008231146A (ja) 感染性廃棄物の処理物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KR101160205B1 (ko) 오염물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JP2011083654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使った有機廃棄物を成分とする肥料及び固形燃料の製造方法
KR200455199Y1 (ko) 슬러지 고화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 시스템
US20230233720A1 (en) System for pretreating and disinfecting waste
JP2010197024A (ja) 乾燥装置
TWM579180U (zh) 污泥處理設備
KR200339427Y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962170B1 (ko) 슬러지 건조시스템
US6013137A (en) Process and device for treating screenings from the mechanical cleaning stage of a sewage treatment plant
TWI693114B (zh) 用於處理混合廢料的裝置及其方法
JP2006343069A (ja) マイクロ波乾燥装置
KR20130009404A (ko) 슬러지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처리방법
KR20200056726A (ko) 폐지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US11780749B2 (en) Electromagnetic energy system for the breakdown and destruction of organic waste
KR19990038331A (ko) 슬러지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0889485B1 (ko) 축산분뇨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질비료를만드는 방법
KR102599503B1 (ko) 슬러지 간접건조 시스템
KR102539596B1 (ko) 미생물 발효 고속 감량장치
EP1156292A2 (en) Device for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