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122B1 - 목재 온열패널 - Google Patents

목재 온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122B1
KR101160122B1 KR1020090108426A KR20090108426A KR101160122B1 KR 101160122 B1 KR101160122 B1 KR 101160122B1 KR 1020090108426 A KR1020090108426 A KR 1020090108426A KR 20090108426 A KR20090108426 A KR 20090108426A KR 101160122 B1 KR101160122 B1 KR 101160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wood
pane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704A (ko
Inventor
박중규
Original Assignee
박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규 filed Critical 박중규
Priority to KR102009010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1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부널재;와, 상기 하부널재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온수배관;과, 상기 온수배관의 유동 방지를 위해 상기 온수배관의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온수배관을 통해 방사되는 열기가 대류 현상에 의해 유출될 수 있도록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널재의 재질은 목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무, 패널, 널재, 보일러, 온수배관, 통공, 온열봉, 원적외선, 찜질

Description

목재 온열패널{A WOOD HEATING BOARD}
본 발명은 목재 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단한 목재를 이용하여 허리와 척추 등의 통증을 예방하고, 더불어 온수배관에서 방열되는 높은 온도의 열을 축열하여 장시간에 걸치 균일한 온도로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패널에 다수의 통공으로 온수배관을 통해 방열되는 열을 대류현상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국소적인 찜질 효과를 갖을 수 있으며, 또한 상부널재에 온수배관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노출시키되, 상기 고정수단은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광물로 이루어지는 온열봉으로 구성하여 온돌효과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구조의 목재 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주거문화의 향상과 생활양식 등이 서구화됨에 따라 보편화되고 있는 것으로서, 침대의 전체 형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부에 일반적으로 스프링 형식의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매트리스는 집먼지진드기 등의 서식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호흡기질환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데다, 온돌문화에 익숙한 세대는 허리 통증 등의 이유로 사용을 꺼 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열히터 등을 이용하여 온돌기능을 접목시킴과 동시에 황토, 맥반석, 옥돌 따위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을 방출시키는 부가적 기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온돌패널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돌패널은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이동 및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겨울철에는 매우 차가워 내장된 전열히터를 통해 미리 온도를 높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돌패널은 전열히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전자파가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온돌패널은 전열히터를 꺼둘 경우에는 바로 온돌패널이 차가워지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목재의 질감과 축열 특성을 이용하여 여름철에는 시원하고, 겨울철에는 온수배관의 열을 축열하여 장시간에 걸쳐 발열과 함께 더불어 통공을 통한 국소적인 찜질효과 및 온열봉을 통한 온돌효과(원적외선 및 음이온)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구조의 목재 온열패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온열봉을 통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다량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는 목재 온열패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호환성이 좋은 하나의 온열패널로 구성하여 침대의 상부에 설치 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므로 침대의 설치 및 이동에 따른 취급이 편리하며, 아울러 다수의 온열패널를 조합하여 넓은 공간에 걸쳐 온열효과를 낼 수 있는 구조의 목재 온열패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목재 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하부널재;와, 상기 하부널재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온수배관;과, 상기 온수배관의 유동 방지를 위해 상기 온수배관의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온수배관을 통해 방사되는 열기가 대류 현상에 의해 유출될 수 있도록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널재의 재질은 목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널재에는 고정수단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끼움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봉" 형태로 성형된 광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온열봉으로 구성되되, 상부가 상부널재에 형성된 끼움공의 표면으로 노출되고, 하부가 상기 온수배관의 둘레에 밀착되어 온수배관의 열에 의해 발열되는 한편 온수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아치형상의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하부널재에는 상부널재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배관과 온수배관의 사이에 지지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통공에는 상기 온수배관에서 방사되는 열기를 인가받아 전달시키는 다수의 온열봉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제 6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온열봉에는 상부널재의 저면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에 형성되는 밀착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4발명에서, 상기 온열봉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맥반석, 석영, 수정, 패그마나이트,형석, 폴리머겔, 옥, 히게리온, 화산석, 일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2개 이상 혼합된 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하부널재에는 지면과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받침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에 따르면, 단단한 목재의 질감과 축열 특성을 이용하여 허리와 척추 등의 통증을 예방하고, 여름철에는 시원하며, 겨울철에는 온수배관의 열을 축열하여 장시간에 걸쳐 발열과 함께 더불어 통공을 통한 국소적인 찜질효과 및 온열봉을 통한 온돌효과(원적외선 및 음이온)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온열봉을 통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다량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생리작용을 활성화시켜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 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환성이 좋은 하나의 온열패널로 구성하여 침대의 상부에 설치 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므로 침대의 설치 및 이동에 따른 취급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온열패널를 조합하여 넓은 공간에 걸쳐 온열효과를 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제 1단면구성도이고, 도 4은 도 3에 따른 다른 일례의 통공을 도시한 제 2단면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단한 목재를 이용하여 허리와 척추 등의 통증을 예방하고, 더불어 온수배관(60)에서 방열되는 높은 온도의 열을 축열하여 장시간에 걸치 균일한 온도로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목재 온열패널(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재 온열패널(100)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하부널재(10)와, 온수배관(60) 및 상부널재(20)로 구성된다.
삭제
여기서 하부널재(10)와 상부널재(20)는 목재로 구성되어 온수배관(60)으로부 터 방열되는 높은 온도의 열을 축열하여 장시간에 걸치 균일한 온도로 상부널재(20)를 통해 발열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상기 하부널재(10)에는 내부에 온수배관(60)이 배치되며 테두리 4개소에 각재목(11)이 더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 때 각재목(11)의 두께는 상기 온수배관(60)의 높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온수배관(60)이 상부널재(20)의 저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부널재(20)와 하부널재(10)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온수배관(60)으로부터 방열되는 열에 의해 상부널재(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대류현상을 활성화시켜 상부널재(20)가 대류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축열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하부널재(10)의 상부면에는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배관(60)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50)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때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하부널재(10)의 저면에는 다수의 받침돌기(12)가 돌출 형성되어, 온수배관(60)의 열이 하부널재(10)를 통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온수배관(60)은 단열재(50)의 상부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온수배관(60)은 이동식 보일러(B) 또는 일반 보일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유입구측 및 배출구측이 1개소에 집중되어 이동성을 편리하게 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온수배관(60)에는 하부널재(10)의 상부면에서 유동 방지를 위해 상기 온수배관(60)의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Ω" 형태의 고정핀(41)으로 구성되어 온수배관(60)을 하부널재(10)의 상부면에 단열재(50)와 더불어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널재(10)에는 상부널재(2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배관(60)과 온수배관(60)의 사이에 지지판(13)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널재(20)에 다수의 통공(21)을 형성하여 온수배관(60)을 통해 방열되는 열을 대류현상에 의해 직접 및 간접적으로 전달하여 국소적인 찜질 효과를 갖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널재(20)에는 상기 온수배관(60)을 통해 방열되는 열이 대류 현상에 의해 유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21)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공(21)의 구조는 온수배관(60)으로부터 방열되는 열을 대류현상에 의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국소적인 찜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통공(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단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공(21)의 구성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내경이 넓어진 부분으로 대류현상을 활성화시고, 더불어 온수배관(60)을 통해 방열되는 열의 유출은 보다 장시간에 걸쳐 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제 1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로 상부널재(20)의 형성된 다수의 통공(21)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불규칙하게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미도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허리부분 또는 어깨부분 또는 다리 부분에 국소적인 찜질 효과를 원할 경우에는 통공(21)을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부위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미도시)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B-B'선에 따른 제 1단면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다른 일례의 통공을 도시한 제 2단면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목재를 이용하여 온수배관(60)에서 방열되는 높은 온도의 열을 축열하여 장시간에 걸치 균일한 온도로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널재(20)에 다수의 통공(21)을 형성하여 온수배관(60)을 통해 방열되는 열을 대류현상에 의해 직접 및 간접적으로 전달하여 국소적인 찜질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상부널재에 온수배관(6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노출시키되, 상기 고정수단은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광물로 이루어지는 온열봉(42)으로 구성하여 온돌효과를 동시에 행할 수 있는 목재 온열패널(100)에 관한 것이다.
제 2실시예의 목재 온열패널(100)은 저면에 다수의 받침돌기(12)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단열재(50)가 구비된 하부널재(10)와, 상기 단열재(5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온수배관(60)과, 상기 온수배관(6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하부널재(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널재(20)로 구성된다.
제 2실시예의 상부널재(20)에는 통공(21)과, 고정수단을 노출시키는 끼움공(22)이 혼재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봉" 형태로 성형된 광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온열봉(4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온열봉(42)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맥반석, 석영, 수정, 패그마나이트, 형석, 폴리머겔, 옥, 히게리온, 화산석, 일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2개 이상 혼합된 광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온열봉(42)은 상기 각 광물을 분말상태로 분쇄시키고 이를 2종 이상 혼합한 다음 압축 성형시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온열봉(42)은 상부가 상부널재(20)에 형성된 끼움공(22)의 표면으로 노출되고, 하부가 상기 온수배관(60)의 둘레에 밀착되어 온수배관(60)의 열에 의해 발열하는 한편 온수배관(6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아치형상의 안착부(421)가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온열봉(42)은 안착부(421)를 통해 상기 온수배관(60)과 밀착되는 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빠른 시간에 온수배관(60)의 열을 전열받을 수 있는 구조이며, 이로써 상부널재(20)의 끼움공(22)으로 노출된 부위로 열과 함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생리작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널재(20)에 형성된 끼움공(22)은 온열봉(42)이 온수배관(6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온수배관(60)의 루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온열봉(42)은 온수배관(6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쌍으로 짝을 이루어 온수배관(60)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통공(21)은 상기 상부널재(20)의 전면에 걸쳐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조이며, 일부의 통공(21)은 상기 온수배관(60)의 수직선상에 형성하여 온수배관(60)으로부터 방사되는 열을 대류현상에 의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국소적인 찜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온열봉(42)의 원주방향으로는 상부널재(20)의 저면을 지지하는 밀착테(422)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부널재(20)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통공(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단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공(21)의 구성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내경이 넓어진 부분으로 대류현상을 활성화시고, 더불어 온수배관(60)을 통해 방열되는 열의 유출은 보다 장시간에 걸쳐 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제 2실시예에서 다른 일례로 상부널재(20)의 통공(21)만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각 통공(21)에 온열봉(42)을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상기 온열봉(42)은 고정수단으로 사용되지 않고, 상부널재(20)와 하부널재(10)의 사이에 온수배관(60)의 열을 대류현상에 의해 인가받아 상부널재(20)의 표면으로 열을 인가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온열봉(42)은 각각의 통공(21)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부널재(20)의 형성된 통공(21)의 개수 만큼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온열봉(42)은 통공(21)이 패쇄될 수 있도록 통공(21)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온열봉(42)은 상부널재(20)의 표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할 수 있다.(미도시)
따라서 상기 상부널재(20)의 다수 형성된 통공(21)은 끼움공(22)으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부널재(20)에는 통공(21)이 없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구성은 온돌침대와 같은 온돌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온돌침대의 효과를 갖을 수 있는 구성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 조합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목재 온열패널(100)은 침대(20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9은 제 2실시예를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러한 구조는 목재의 질감과 축열 특성을 이용하여 여름철에는 시원하고, 겨울철에는 온수배관(60)의 열을 축열하여 장시간에 걸쳐 발열과 함께 더불어 통공(21)을 통한 국소적인 찜질효과 및 온열봉(42)을 통한 온돌효과(원적외선 및 음이온)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본원발명은 한 명의 성인 또는 두 명의 성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패널로 제작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 침대(200)에 매트리스(미도시)를 제거하여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매우 좋은 특징이 있다.
또한 다른 일례로 도 10과 같이, 여러 장의 온열패널(100)을 다(多)인(人)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합시키고, 각 온수배관(60)은 별도의 연결배관(60)으로 상통되도록 구성하여 단일의 이동식 보일러(B) 또는 일반 보일러(미도시)로 넓은 공간에 걸쳐 온열효과를 낼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제 1단면구성도,
도 4은 도 3에 따른 다른 일례의 통공을 도시한 제 2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B-B'선에 따른 제 1단면구성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다른 일례의 통공을 도시한 제 2단면구성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온열패널 조합한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널재 11: 각재목 12: 받침돌기
13: 지지판
20: 상부널재 21: 통공 22: 끼움공
30: 온수배관
41: 고정핀 42: 온열봉 421: 안착부
422: 밀착테
50: 단열재
60: 연결배관
100: 목재 온열패널
200: 침대 B: 이동식 보일러

Claims (8)

  1. 하부널재;
    상기 하부널재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상부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온수배관;
    상기 온수배관의 유동 방지를 위해 상기 온수배관의 둘레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온수배관을 통해 방사되는 열기가 대류 현상에 의해 유출될 수 있도록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상부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널재의 재질은 목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널재에는 고정수단을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끼움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봉" 형태로 성형된 광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온열봉으로 구성되되, 상부가 상부널재에 형성된 끼움공의 표면으로 노출되고, 하부가 상기 온수배관의 둘레에 밀착되어 온수배관의 열에 의해 발열되는 한편 온수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아치형상의 안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온열패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널재에는 상부널재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온수배관과 온수배관의 사이에 지지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온열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통공에는 상기 온수배관에서 방사되는 열기를 인가받아 전달시키는 다수의 온열봉이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온열패널.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봉에는 상부널재의 저면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에 형성되는 밀착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온열패널.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봉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맥반석, 석영, 수정, 패그마나이트,형석, 폴리머겔, 옥, 히게리온, 화산석, 일라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2개 이상 혼합된 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온열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널재에는 지면과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받침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온열패널.
KR1020090108426A 2009-11-11 2009-11-11 목재 온열패널 KR101160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426A KR101160122B1 (ko) 2009-11-11 2009-11-11 목재 온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426A KR101160122B1 (ko) 2009-11-11 2009-11-11 목재 온열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704A KR20110051704A (ko) 2011-05-18
KR101160122B1 true KR101160122B1 (ko) 2012-07-02

Family

ID=4436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426A KR101160122B1 (ko) 2009-11-11 2009-11-11 목재 온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526B1 (ko) * 2019-12-05 2022-01-05 (주)넥스웜 발열 패널
KR102484287B1 (ko) * 2022-08-03 2023-01-02 김정언 단열기능을 가지는 목조 건축용 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325A (ja) * 2005-11-18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パネ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325A (ja) * 2005-11-18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房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704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11190U (en) Assembled heating pad
KR101395236B1 (ko) 전신 돔 사우나 장치
KR101160122B1 (ko) 목재 온열패널
KR101613666B1 (ko) 에너지절약형 냉온수 매트
US5500007A (en) Therapeutic, portable water bed assembly having a water heating system
CN208415767U (zh) 一种墙板以及建筑内调温结构
KR20160115473A (ko) 일라이트 토굴형 접이식 온열기
KR200489095Y1 (ko) 기능성 온수 침대
CN201772541U (zh) 安全节能箱式控温取暖器
KR101862668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신체밀착형 난로
KR20110132778A (ko) 열선관이 내장된 전열식 스프링 매트리스
KR20180015892A (ko) 온열 찜질기
KR101217141B1 (ko) 냉난방 매트
WO2006118336A1 (ja) 健康補助装置
RU2253341C1 (ru)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аемый предмет мебели
CN208850996U (zh) 一种多功能暖床
CN201595996U (zh) 自限温电热片汗蒸房
KR102418748B1 (ko) 온열 침대
CN205041056U (zh) 托玛琳养生火炕式床垫
CN201822349U (zh) 盐暖床
KR102239689B1 (ko) 우레탄전기열판이 포함된 온열보료
JP3138157U (ja) ポータブル岩盤浴装置
KR200220173Y1 (ko) 전열의자
CN202873097U (zh) 碳纤维远红外线暖毯
KR100361437B1 (ko) 원적외선 방사 보온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