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118B1 -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0118B1 KR101160118B1 KR1020110000839A KR20110000839A KR101160118B1 KR 101160118 B1 KR101160118 B1 KR 101160118B1 KR 1020110000839 A KR1020110000839 A KR 1020110000839A KR 20110000839 A KR20110000839 A KR 20110000839A KR 101160118 B1 KR101160118 B1 KR 1011601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panel
- calibration
- housing
- fil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평판디스플레이장치에서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센서하우징(10); 구동부(20); 중심축(31)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부재로서, 센서하우징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패널(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회전시에 일단이 센서돌출슬릿(12)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동회전축(22)에 중심축(31)이 연결된 센서이동판넬(30); 캘리브레이션 센서(40); 및 내부에 전기도선이 형성된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의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일측면인 제1고정위치(S1)에 고정되고 타단은 센서하우징측 일측면인 제2고정위치(S2)에 고정된 센서신호전달필름(50)을 포함하고,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은, 센서이동판넬의 회전에 따라 제1고정위치를 기점으로 제2고정위치까지의 부분이 센서이동판넬의 측면에 감겨졌다가 풀려지도록 하는 위치에서, 센서이동판넬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확한 센싱위치가 제공되며, 배선꼬임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배선의 훼손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판디스플레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정확한 센싱위치가 보장되고 센싱회로선의 꼬임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센싱위치가 보다 디스플레이패널에 근접하게 제어되는 캘리브레이션센서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디스플레이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평판디스플레이장치는 LCD, PDP 등의 평판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한 장치로서 높은 화질, 낮은 소모전력 및 안정적인 구동방식에 의해 여러 응용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평판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중 노화, 구성요소의 미미한 기계적 및 물리적 변경등으로 인해 화질의 조정을 필요로 한다. 이 조정은 캘리브레이션 센서(calibration sensor)라고 하는 광센서에 의해 입력된 값을 기준으로 모니터의 디스플레이설정값을 재설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캘리브레이션의 원리 및 캘리브레이션센서의 구동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캘리브레이션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평판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2) 및 패널프레임(3)을 포함한다. 패널프레임(3)의 일측에는 캘리브레이션센서(4)를 이동시키는 캘리브레이션센서이동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캘리브레이션센서 이동장치(5)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에 위치하는 패널프레임내부에 삽입된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위치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센싱위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수직상부에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이며, 보통 패널프레임의 외곽면으로부터 5~10mm 정도 이격되는 위치이다.
종래의 캘리브레이션센서 이동장치(5)는 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수직방향의 이동을 위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톱니레일과 이 톱니레일에 연결된 회전기어가 구동모터를 통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직이동식의 캘리브레이션센서 이동장치는, 첫째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센서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둘째 톱니레일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하는데 패널프레임(3)의 길이에 의해 그 길이가 한정되기 때문에 센싱위치에 제한이 있다.
특히, 의료용 모니터등 고화질 및 고정확도를 요하는 캘리브레이션이 필요한 경우에는 센싱위치의 정확성이 매우 중요한데 상기와 같은 수직이동식의 경우 톱니레일상을 움직이는 톱니기어의 수직상의 정확한 위치를 제어하기 용이하지 않으며,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위치제어장비를 설치하기에는 추가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설치공간이 늘어나서 패널프레임을 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이동식의 캘리브레이션이동장치를 회전식으로 변경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센싱위치의 제어를 달성하게 하는 캘리브레이션센서의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패널(2) 및 패널프레임(3)을 포함하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1)의 캘리브레이션센서(4)를 센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패널프레임(3)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하단에 슬릿형상의 센서돌출슬릿(12)이 형성된 센서하우징(10); 상기 센서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한 형태로 고정된 구동회전축(22) 및 상기 구동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4)를 포함하는 구동부(20); 중심축(31)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회전시에 일단이 상기 센서돌출슬릿(12)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회전축(22)에 상기 중심축(31)이 연결된 센서이동판넬(30);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말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캘리브레이션센서(40); 및 내부에 전기도선이 형성된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의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일측면인 제1고정위치(S1)에 고정되고 타단은 센서하우징측 일측면인 제2고정위치(S2)에 고정되며, 상기 전기도선이 상기 캘리브레이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의 감지신호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전달하는 센서신호전달필름(50)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이동판넬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센서하우징으로부터 최외측단에 돌출되는 위치인 센싱위치(P2)에 도달하고, 상기 센서이동판넬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센서하우징의 최내측단에 위치하는 위치인 안착위치(P1)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의 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은,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고정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제2고정위치까지의 부분이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측면에 감겨졌다가 풀려지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위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센싱위치(P2)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2고정위치로부터 최원거리이고,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안착위치(P1)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2고정위치로부터 최근거리가 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은,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측면에서, 센서신호전달필름이 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 슬릿형상의 필름통과슬릿(32); 및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이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40)와 연결되는 위치와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이 상기 센서이동판넬(30)에 고정부착되는 위치사이에,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형상의 필름회전지지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은 상기 필름회전지지부(6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한후 상기 필름통과슬릿(32)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회전지지부(60)는, 상기 센서이동판넬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필름회전고정축(62); 외주면이 만곡된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필름회전고정축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필름회전만곡부(64)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회전만곡부(64)는 탄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은,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안착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캘리브레이션센서의 반대측 일단이 상기 센서하우징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의 위치의 반대측 일단(301)이 일자형상으로 절단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은, 상기 중심축(31)의 외주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방향으로 환 형상으로 돌출된 중심축주변돌출턱(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하우징(10)은, 상기 중심축(31)과 대향하는 센서하우징부분인 측면하우징(10b)에, 상기 중심축주변돌출턱(34)과 교번하는 위치에 돌출된 환 형상의 부재인 하우징돌출턱(15) 및 상기 하우징돌출턱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만입된 환 형상의 부재인 하우징만입부(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이 회전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센싱위치(P2)에 오면,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중심축주변돌출턱(34)이 상기 하우징만입부(1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표면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이동식이 아닌 회전이동식을 채택함으로서 별도의 위치제어장치없이도 간단히 센서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신호전달필름의 플렉시블한 형태 및 센서신호전달필름의 고정위치의 선택에 의해,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달하는 배선의 꼬임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회전지지부(60)에 의해 센서신호전달필름의 반복적사용에 의해 발생가능한 훼손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축주변돌출턱(34), 하우징돌출턱(15) 및 하우징만입부(16)의 체결원리에 의해, 센서의 이동에 의한 스크레치가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센서의 보다 가까운 센싱거리가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된 캘리브레이션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브레이션센서 이동장치(100)의 외부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장치의 외부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내부구성도로서, 각각 필름회전지지부(60)가 설치된 센서이동판넬(30)의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은 센서이동판넬의 중심축과 이에 대향하는 측면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에 대응하는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8의 중심축의 주변과 상기 측면하우징의 주변이 상호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프레임(3)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브레이션센서 이동장치(100)의 외부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장치의 외부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내부구성도로서, 각각 필름회전지지부(60)가 설치된 센서이동판넬(30)의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은 센서이동판넬의 중심축과 이에 대향하는 측면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에 대응하는 구성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8의 중심축의 주변과 상기 측면하우징의 주변이 상호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 의한 패널프레임(3)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브레이션센서 이동장치(100)의 외부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장치의 외부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캘리브레이션센서 이동장치(100)는 센서하우징(10), 구동부(20), 센서이동판넬(30), 캘리브레이션센서(40)및 센서신호전달필름(50)를 포함한다.
센서하우징(10)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패널프레임(3)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센서하우징(10)은 하단에 슬릿형상의 센서돌출슬릿(12)이 형성되어 있고, 센서하우징내부에 위치한 센서이동판넬(30)이 회전하여 센서돌출슬릿(1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하우징(10)은 상부하우징(10a), 측면하우징(10b) 및 하부하우징(10c)로 구성된다. 각각 상부면,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는 기능을 한다.
구동부(20)는,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동회전축(22) 및 구동모터(24)를 포함한다. 구동회전축(22)의 일단은 센서하우징(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한 형태로 고정되고, 타단은 센서이동판넬(30)의 중심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모터(24)는 구동풀리(23) 및 구동벨트(21)을 통해 구동회전축(22)과 연결된다. 구동모터(24)가 회전하면 구동회전축(22)이 회전하고, 그 결과 센서이동판넬(30)이 회전한다.
센서이동판넬(3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에 중심축(31)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부재이다. 센서이동판넬(30)은 상기 센서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중심축(31)은 상기 구동회전축(22)의 타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회전축(22)이 회전하면 센서이동판넬(3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캘리브레이션센서(40)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광적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일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캘리브레이션센서(40)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위치하는 수직적 위치는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외부직경에 가깝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센서이동판넬(30)이 회전하여 센서하우징(10)의 외부방향으로 돌출하였을때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로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센서신호전달필름(50)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에 전기도선이 형성된 플렉시블한 필름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전기도선이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의 감지신호를 상기 평판디스플레이장치(1)로 전달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은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일측면인 제1고정위치(S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센서하우징의 일측면 제2고정위치(S2)에 고정된다.
즉,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은,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고정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제2고정위치까지의 부분이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측면에 감겨졌다가 풀려지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센서이동판넬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30)의 타단은 상기 센서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의 윗도면은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안착위치(P1)에 위치할때의 센서이동판넬(30)의 위치 및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아랫도면은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센싱위치(P2)에 위치할 때의 센서이동판넬(30)의 위치 및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윗도면에서, 센서이동판넬(30)은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센서하우징의 측면하우징(10b)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인 안착위치(P1)에 위치한다. 여기서 안착위치(P1)이란 센서이동판넬(30)은 중심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센서돌출슬릿(12)로 돌출되지 않고 센서하우징의 측면하우징(10b)의 가장 깊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태의 센서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 때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은 센서이동판넬(30)의 일측면인 제1고정위치(S1)에 고정되고, 타단은 센서하우징의 측면하우징(10b)의 일측면인 제2고정위치(S2)에 고정된다.
도 5의 아랫도면에서, 센서이동판넬(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M1회전), 센서이동판넬(30)은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센서하우징의 측면하우징(10b)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인 센싱위치(P2)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센싱위치(P2)이란 센서이동판넬(30)이 중심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센서돌출슬릿(12)로부터 돌출되어 센서돌출슬릿으로부터 최원거리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태의 센서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 때 도 5의 윗도면과 마찬가지로,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은 센서이동판넬(30)의 일측면인 제1고정위치(S1)에 고정되고, 타단은 센서하우징의 측면하우징(10b)의 일측면인 제2고정위치(S2)에 고정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이동판넬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센서하우징으로부터 최외측단에 돌출되는 위치인 센싱위치(P2)에 도달하고, 상기 센서이동판넬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센서하우징의 최내측단에 위치하는 위치인 안착위치(P1)에 도달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센서의 위치가 결정된다.
즉, 중심축(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는 상기 센싱위치와 안착위치를 교번하여 위치하게 되고, 이때 센서신호전달필름(50)은 도 5의 윗도면 및 아랫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제1고정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센서하우징의 측면하우징의 제2고정위치를 양 고정단으로하여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측면에 감겼다가 풀렸다가 하는 형상을 반복하게 된다.
다시 센서이동판넬이 반시계방향(M2)로 회전하게 되면, 센서는 도 5의 윗도면과 같이 안착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회전방향의 역전은 중심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역회전가능한 모터로 구현함으로써 가능하고, 중심축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센서는 센싱위치와 안착위치를 교번하여 위치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고정위치(S1)는,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센싱위치(P2)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2고정위치로부터 최원거리이고, 상기 캘리브레이션서가 상기 안착위치(P1)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2고정위치로부터 최근거리가 되도록 하는 위치로 결정된다.
이는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이 풀렸다가 감기는 상태가 가장 원활하도록 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제1고정위치를 너무 가깝게 하면 센서이동판넬이 회전하는 각도가 부족하게 되어 센서가 안착위치에 도달할 수 없게 되고, 제1고정위치를 너무 멀게하면 센서신호전달필름의 잔여분이 많이 발생하여 센싱위치일때 센서신호전달필름의 꼬임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이동판넬(30)은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안착위치에 도달하였을때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캘리브레이션센서의 반대측 일단이 상기 센서하우징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의 위치의 반대측 일단(301)이 일자형상으로 절단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센서이동판넬이 안착위치로 회전할 때 센서이동판넬이 센서돌출슬릿(1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의 디스플레이부분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한 센싱위치가 보장된다. 종래의 수직이동식 센서이동장치는 수직레일과 회전기어의 조합으로 센서의 센싱위치를 결정 및 구동하였기 때문에, 매번 구동시마다 정확한 종착지점을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별도의 위치제어장치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식 센서이동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센서위치가 매번 정확한 위치에 도달할뿐 아니라 위치제어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그 구현에 비용이 절감된다.
둘째, 배선꼬임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캘리브레이션센서는 배선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야 하고, 캘리브레이션센서는 매번 이동하여야하기 때문에, 중간에 배선이 꼬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꼬임문제는 특히 회전식 이동장치에서 더욱 그러한데, 본 발명에서는 회전식으로 구성하여 정확한 위치제어를 달성하면서도 플렉시블한 센서신호전달필름과 그 고정위치의 특이성으로 인해 배선꼬임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한 센서신호전달필름을 채용하는 동시에 이것의 고정위치가 센서이동판넬의 측면 및 센서하우징에 고정되게하고, 센서이동판넬의 회전시에 센서신호전달필름이 상기 센서이동판넬에 감겼다가 풀려지는 현상을 반복되게 함으로써 센서로부터의 배선이 센서의 이동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구성함으로써, 회전식의 구현에 따른 배선꼬임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내부구성도로서, 각각
필름회전지지부(60)가
설치된
센서이동판넬(30)의
일측면도
및 타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센서이동판넬의 전판넬(30a)의 내측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전판넬에 대향하는 후판넬(30b)의 내측도면이다. 전판넬(30a)과 후판넬(30b)은 서로 대향하여 체결됨으로써 센서이동판넬(30)을 구성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판넬(30a)의 내측면에는 필름통과슬릿(32) 및 필름회전지지부(60)가 형성되어 있다.
필름통과슬릿(32)은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이 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 슬릿형상의부재로서, 센서이동판넬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벽(33)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생성된다.
필름회전지지부(60)는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이 캘리브레이션센서(40)와 연결되는 위치와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이 센서이동판넬(30)에 고정부착되는 위치사이에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표면 즉 전판넬(30a)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형상의 부재이다. 센서신호전달필름(50)은 상기 필름통과슬릿(32)의 주변에서 상기 필름회전지지부(60)를 회전한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필름회전지지부(60)는 필름회전고정축(62) 및 필름회전만곡부(64)를 포함한다. 필름회전고정축(62)는 센서이동판넬의 전판넬(30a)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축형상의 부재이다. 필름회전만곡부(64)는 외주면이 만곡된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필름회전고정축(62)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부재이다. 필름회전만곡부(64)는 탄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신호전달필름(50)은 상기 필름통과슬릿(32)의 주변에서 상기 필름회전지지부(60)의 만곡된 형상을 외면으로 한번 회전한 후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이 절곡되거나 피로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센서이동판넬은 센싱위치와 안착위치를 반복해서 이동하고, 이 이동시마다 센서신호전달필름(50)은 제1고정위치와 제2고정위치사이에서 유연한 상태로 만곡되었다가 풀렸다가 하는 형상의 변화를 겪게된다. 이러한 형상의 변화는 반복된 피로에 의해 센서신호전달필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데, 이러한 손상은 특히 센서신호전달필름이 센서이동판넬에 부착되는 위치인 제1고정위치 즉 필름통과슬릿(32)의 주변에서 심하다. 왜냐하면, 이 부분에서 센서신호전달필름(50)이 가장 큰 형상의 변화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름통과슬릿(32)의 주변에서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이 보다 유연한 형상의 변화를 가질수 있도록 필름회전만곡부를 설치하고, 상기 필름회전만곡부의 만곡된 면을 따라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이 진행되게 함으로써, 센서신호전달필름의 손상을 방지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름회전만곡부를 탄성있는 재료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의 격한 운동시에 탄성을 통해 격한 충돌 및 변형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상기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이동판넬의 후판넬(30b)에는 센서하우징방향으로 돌출된형상의 센서고정스토퍼(70)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고정스토퍼(70)는 센서이동판넬이 회전하였을 때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안착위치(P1) 및 센싱위치(P2)에서 정확히 멈출수 있도록 센서이동판넬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단턱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센서고정스토퍼(70)는 센서하우징에 형성된 별도의 스토퍼단턱(도 4의 도면부호 18)과 충돌접촉함으로써 센서이동판넬의 위치가 제어된다. 센서고정스토퍼(70)는 좌측 및 우측스토퍼(72,74)가 있으며, 각각 안착위치(P1) 및 센싱위치(P2)에 도달하였을 때 스토퍼단턱에 충돌하는 스토퍼이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위치제어장치없이도 보다 용이하게 안착위치 및 센싱위치의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의료용과 같은 정확도를 요구하는 캘리브레이션 센서의 이동장치를 구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센서고정스토퍼는 회전식의 센서이동원리와 함께 상호작용하여 별도의 추가비용없이도 정확한 센싱위치를 달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은
센서이동판넬의
중심축과 이에
대향하는
측면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 도 9는
상기 도
8에 대응하는 구성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상기 중심축의 주변과 상기
측면하우징의
주변이 상호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패널프레임(3)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8 및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은 중심축주변돌출턱(34)을 더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하우징(10)은 하우징돌출턱(15) 및 하우징만입부(16)를 더 포함한다.
중심축주변돌출턱(34)은 , 돌출된 환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중심축(31)의 외주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의 방향으로 돌출된 부재이다.
하우징돌출턱(15)은 , 돌출된 환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중심축(31)에 대향하는 센서하우징의 부분인 측면하우징(10b)에서, 상기 중심축주변돌출턱(34)과 교번하는 위치에 돌출된 형상의 부재이다.
하우징만입부(16)는 , 만입된 환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측면하우징에서, 상기 하우징돌출턱(15)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만입된 형상의 부재이다.
도 10의 왼쪽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캘리브레이션센서의 안착위치(P1)에서, 중심축주변돌출턱(34)은 하우징돌출턱(15)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센서이동판넬(30)이 회전하여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센싱위치(P2)에 오면, 도 10의 왼쪽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축주변돌출턱(34)은 하우징돌출턱을 모두 지난후 하우징만입부(16)에 위치하게 되며, 결국 중심축주변돌출턱(34)는 하우징만입부(16)에 삽입되는 형상이 된다.
또한 이때, 도 10의 오른쪽도면에 빗금친부분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축주변돌출턱(34)의 양쪽 말단과 하우징돌출턱(15)의 양쪽 말단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34a,15a), 센서이동판넬의 회전에 따라 이 두 개의 부재가 서로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딩하여 보다 원활하게 회전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패널프레임에 삽입되었을 때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센싱위치(P1)에 도달하면, 센서이동판넬의 중심축주변에 형성된 중심축주변돌출부(34)가 센서하우징의 측면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만입부(15)에 삽입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센서(40)와 디스플레이패널(2)의 표면사이의 거리인 센서거리(t3)가 평상시보다 줄어든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캘리브레이션 센서의 측정이 가능하다.
즉 이 실시예에 의하면,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안착위치 및 이동중에는 캘리브레이션센서가 디스플레이패널표면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센서와 디스플레이팬널의 접촉으로 인한 패널 및 센서의 스크레치 및 손상을 방지하고,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센싱위치에 도달하면 캘리브레이션센서를 디스플레이표면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센싱감도를 향상되도록 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캘리브레이션센서 이동장치
10: 센서하우징 20: 구동부
30: 센서이동판넬 40: 캘리브레이션센서
50: 센서신호전달필름 60: 필름회전지지부
10: 센서하우징 20: 구동부
30: 센서이동판넬 40: 캘리브레이션센서
50: 센서신호전달필름 60: 필름회전지지부
Claims (6)
- 디스플레이패널(2) 및 패널프레임(3)을 포함하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1)의 캘리브레이션센서(4)를 센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패널프레임(3)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박스형상의 부재로서, 하단에 슬릿형상의 센서돌출슬릿(12)이 형성된 센서하우징(10);
상기 센서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한 형태로 고정된 구동회전축(22) 및 상기 구동회전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24)를 포함하는 구동부(20);
중심축(31)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회전시에 일단이 상기 센서돌출슬릿(12)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회전축(22)에 상기 중심축(31)이 연결된 센서이동판넬(30);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말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측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캘리브레이션센서(40); 및
내부에 전기도선이 형성된 플렉시블한 필름 형상의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일측면인 제1고정위치(S1)에 고정되고 타단은 센서하우징측 일측면인 제2고정위치(S2)에 고정되며, 상기 전기도선이 상기 캘리브레이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의 감지신호를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전달하는 센서신호전달필름(50)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이동판넬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센서하우징으로부터 최외측단에 돌출되는 위치인 센싱위치(P2)에 도달하고, 상기 센서이동판넬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센서하우징의 최내측단에 위치하는 위치인 안착위치(P1)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의 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은,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고정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제2고정위치까지의 부분이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측면에 감겨졌다가 풀려지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위치는,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센싱위치(P2)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2고정위치로부터 최원거리이고,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안착위치(P1)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2고정위치로부터 최근거리가 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은,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측면에서, 센서신호전달필름이 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 슬릿형상의 필름통과슬릿(32); 및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의 일단이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40)와 연결되는 위치와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이 상기 센서이동판넬(30)에 고정부착되는 위치사이에,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형상의 필름회전지지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신호전달필름(50)은 상기 필름회전지지부(6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한후 상기 필름통과슬릿(32)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회전지지부(60)는,
상기 센서이동판넬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필름회전고정축(62);
외주면이 만곡된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필름회전고정축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필름회전만곡부(64)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회전만곡부(64)는 탄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은,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가 상기 안착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의 캘리브레이션센서의 반대측 일단이 상기 센서하우징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의 위치의 반대측 일단(301)이 일자형상으로 절단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은, 상기 중심축(31)의 외주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방향으로 환 형상으로 돌출된 중심축주변돌출턱(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하우징(10)은, 상기 중심축(31)과 대향하는 센서하우징부분인 측면하우징(10b)에, 상기 중심축주변돌출턱(34)과 교번하는 위치에 돌출된 환 형상의 부재인 하우징돌출턱(15) 및 상기 하우징돌출턱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만입된 환 형상의 부재인 하우징만입부(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이동판넬(30)이 회전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센싱위치(P2)에 오면, 상기 센서이동판넬의 중심축주변돌출턱(34)이 상기 하우징만입부(1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캘리브레이션센서(40)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표면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0839A KR101160118B1 (ko) | 2011-01-05 | 2011-01-05 |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0839A KR101160118B1 (ko) | 2011-01-05 | 2011-01-05 |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0118B1 true KR101160118B1 (ko) | 2012-06-26 |
Family
ID=4668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0839A KR101160118B1 (ko) | 2011-01-05 | 2011-01-05 |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0118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5055A (ko) * | 2014-02-12 | 2015-08-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기기 |
WO2015147375A1 (ko) * | 2014-03-25 | 2015-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50111145A (ko) * | 2014-03-25 | 2015-10-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50128186A (ko) * | 2014-05-08 | 2015-1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N106384563A (zh) * | 2016-10-28 | 2017-02-08 | 明基电通有限公司 | 显示装置 |
CN110751899A (zh) * | 2019-09-20 | 2020-02-04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显示设备及光学感测单元的控制方法 |
CN110782778A (zh) * | 2019-10-17 | 2020-02-11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显示设备 |
TWI700002B (zh) * | 2019-01-31 | 2020-07-21 |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 顯示裝置及其色彩校正方法 |
CN113608379A (zh) * | 2021-07-30 | 2021-11-05 |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 一种光传感器装置和显示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460A (ja) * | 1994-06-21 | 1996-01-12 | Canon Inc | デイスプレイモニタの輝度/色度の検出方法とその装置 |
US20020180750A1 (en) | 2001-05-29 | 2002-12-05 | Imation Corp. | Display system |
KR100658039B1 (ko) | 2005-03-29 | 2006-12-15 | 주식회사 와이드 | 모니터 화면보정용 센서 유니트 |
KR20090037785A (ko) * | 2007-10-12 | 2009-04-16 | 주식회사 트루픽스 | 영상기기 특성값 측정센서부의 자동 이송장치, 그 이송방법및 이를 구비한 영상기기 |
-
2011
- 2011-01-05 KR KR1020110000839A patent/KR1011601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460A (ja) * | 1994-06-21 | 1996-01-12 | Canon Inc | デイスプレイモニタの輝度/色度の検出方法とその装置 |
US20020180750A1 (en) | 2001-05-29 | 2002-12-05 | Imation Corp. | Display system |
KR100658039B1 (ko) | 2005-03-29 | 2006-12-15 | 주식회사 와이드 | 모니터 화면보정용 센서 유니트 |
KR20090037785A (ko) * | 2007-10-12 | 2009-04-16 | 주식회사 트루픽스 | 영상기기 특성값 측정센서부의 자동 이송장치, 그 이송방법및 이를 구비한 영상기기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5055A (ko) * | 2014-02-12 | 2015-08-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기기 |
KR102300925B1 (ko) * | 2014-02-12 | 2021-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기기 |
WO2015147375A1 (ko) * | 2014-03-25 | 2015-10-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50111145A (ko) * | 2014-03-25 | 2015-10-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182818B1 (ko) * | 2014-03-25 | 2020-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9900591B2 (en) | 2014-03-25 | 2018-02-20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apparatus |
KR102182822B1 (ko) * | 2014-05-08 | 2020-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50128186A (ko) * | 2014-05-08 | 2015-1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N106384563A (zh) * | 2016-10-28 | 2017-02-08 | 明基电通有限公司 | 显示装置 |
TWI700002B (zh) * | 2019-01-31 | 2020-07-21 |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 顯示裝置及其色彩校正方法 |
CN110751899A (zh) * | 2019-09-20 | 2020-02-04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显示设备及光学感测单元的控制方法 |
CN110751899B (zh) * | 2019-09-20 | 2022-03-08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显示设备及光学感测单元的控制方法 |
CN110782778A (zh) * | 2019-10-17 | 2020-02-11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显示设备 |
CN113608379A (zh) * | 2021-07-30 | 2021-11-05 |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 一种光传感器装置和显示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0118B1 (ko) |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캘리브레이션센서를 센싱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
US9920914B2 (en) | Moving head light fixture with yoke and head position encoding means | |
JP4760324B2 (ja) | 超音波プルーブのトランスデューサ駆動装置 | |
CN106053873B (zh) | 用于确定旋转部件的转速和旋转方向的布置结构 | |
BR122018072831B1 (pt) | Carretel de arame | |
KR20200035054A (ko) | 중심 신호 프로세서를 가지는 유도형 센서 모듈 조립체 | |
US20140340668A1 (en) |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 |
JP7054646B2 (ja) | 回転構造体 | |
CN103383268A (zh) | 用于编码器的传感头 | |
JP2014188229A (ja) | 演出操作ユニット | |
CN211042090U (zh) | 一种转轴定位装置 | |
US20180127026A1 (en) | Steering angle detecting apparatus | |
JP2016173244A (ja) | チェーン伸び検出装置 | |
TWI747221B (zh) | 兩軸捲線器用基板單元 | |
JP5139709B2 (ja) | 指針体駆動装置および指針式計器 | |
KR101619898B1 (ko) | 초음파 유량 센서 | |
KR101380737B1 (ko) | 변위센서를 구비하는 다자유도 구동장치 | |
JP6033696B2 (ja) | 触覚呈示装置 | |
JP3981499B2 (ja) | 長さ又は距離の測定装置 | |
CN219089350U (zh) | 超声探头 | |
TW528896B (en) | Test instrument for testing the slots on spiral spacer for carrying the optical fiber | |
JP5255406B2 (ja) | 指示計器 | |
US20230360826A1 (en) | Fader device | |
JP5546001B2 (ja) | 回転計 | |
KR200491037Y1 (ko) | 손가락 굵기 측정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