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755B1 - 마감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 Google Patents

마감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755B1
KR101159755B1 KR1020080085433A KR20080085433A KR101159755B1 KR 101159755 B1 KR101159755 B1 KR 101159755B1 KR 1020080085433 A KR1020080085433 A KR 1020080085433A KR 20080085433 A KR20080085433 A KR 20080085433A KR 101159755 B1 KR101159755 B1 KR 10115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round
retaining wall
finishing
p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433A (ko
Inventor
한중근
이종영
홍기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지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85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7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 또는 성토에 의하여 형성된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옹벽과, 옹벽의 마감에 사용되는 마감블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단면(端面)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말뚝과,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배면토사가 지지말뚝 사이로 노출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지지말뚝 사이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블럭을 구비하며, 마감블럭은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지지말뚝 중 일측에 배치된 지지말뚝에 일단부가 밀착되어 배치되는 암블럭과 타측에 배치된 지지말뚝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는 암블럭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수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말뚝 사이의 배면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말뚝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옹벽을 마감을 할 수 있다.
옹벽

Description

마감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Finishing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반을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지반 또는 성토에 의하여 형성된 성토지반이 토압에 의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단면에 설치되는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HC말뚝 등 지지말뚝을 이용한 옹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말뚝을 이용한 옹벽에서 지지말뚝 사이로 배면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블럭에 관한 것이다.
건물 등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하여 기초공사를 행하게 되는데, 기초공사 중에 굴착된 지반이 토압에 의하여 붕괴되거나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토류벽이 설치된다.
또한, 지상에서 도로의 건설을 위하여 사면을 절개하거나 골프장 건설을 위하여 성토를 하는 경우에 절토되거나 성토된 지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옹벽이 설치된다.
당업계에서는 토류벽, 흙막이, 옹벽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그 형태를 유의미 하게 분류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굴착, 절토, 성토 등의 방식이나, 지상 또는 지하 등 설치위치와 무관하게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물을 통칭하여 옹벽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즉, 옹벽은 토압에 의하여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상에서는 철근콘크리트옹벽, 석축, PHC말뚝을 이용한 옹벽 등이 많이 사용되며, 지하에서는 연속벽, 시트파일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이들 중 PHC말뚝을 이용한 옹벽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PHC 말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상태가 나타나 있는 사진이며, 도 2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난 옹벽을 마감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HC말뚝을 이용한 옹벽은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PHC말뚝을 지반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시켜 형성한다. 즉, PHC말뚝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말뚝들을 경계로하여 일측 지반을 굴착하게 된다. 굴착되지 않은 지반은 PHC말뚝들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토압에 의한 붕괴가 방지된다.
이렇게 옹벽이 설치되면, 도 1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C말뚝의 일부는 굴착되지 않은 배면지반(배면토사)에 삽입된 상태가 되며, 다른 일부는 지반굴착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C말뚝들 사이에는 배면토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말뚝들 사이는 응력이 전이되는 영역으로서 이 부분에 배치된 토사는 매우 밀집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비, 바람 등 외부의 요인에 의하여 배면토사가 점차 유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배면토사가 도 1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되면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말뚝들 사이의 배면토사를 일정 깊이로 제거한 후, 제거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말뚝들 사이 영역에 배치된 배면토사는 밀집되어 있어 인력으로 제거하기는 매우 곤란하였으며, 기계를 사용하여 제거하고자 하여도 말뚝들 사이가 좁아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말뚝들 사이의 배면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말뚝들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변경된 마감블럭 및 이 마감블럭을 이용한 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단면(端面)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말뚝과, 상기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배면토사가 상기 지지말뚝 사이로 노출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말뚝 사이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마감블럭은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지지말뚝 중 일측에 배치된 지지말뚝에 일단부가 밀착되어 배치되는 암블럭과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지지말뚝 중 타측에 배치된 지지말뚝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암블럭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수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감블럭의 암블럭은 상기 지지말뚝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끼움부를 구비하며,상기 마감블럭의 수블럭은 상기 지지말뚝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 장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블럭의 삽입부가 상기 암블럭의 끼움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블럭의 삽입부가 상기 암블럭의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수블럭의 삽입부와 상기 암블럭의 끼움부가 상호 겹쳐지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감블럭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수단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말뚝 사이에 삽입되는 철근과, 상기 철근이 상기 복수의 마감블럭의 중공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에 충전되는 큰크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암블럭과 수블럭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마감블럭을 이용하여 지지말뚝 사이를 완전히 커버함으로써 배면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지지말뚝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범용으로 마감블럭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감블럭 및 이 마감블럭이 적용된 옹벽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옹벽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100)은 복수의 지지말뚝(10)과 마감수단을 구비한다.
복수의 지지말뚝(10)은 지반(c)의 절개면 또는 굴착면이 토압에 의하여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의 지지말뚝(10)은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단면에 배치된다. 굴착 또는 절토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굴착 또는 절토 전에 지지말뚝(10)을 삽입시킨 뒤, 지지말뚝(10)을 경계로 하여 지반의 일측을 절개 또는 굴착한다. 상기한 방식으로 굴착을 하면 지지말뚝(10)을 경계로 하여 굴착되지 않은 부분 즉, 굴착지반의 단면(端面)에 지지말뚝(10)이 배치되어 굴착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말뚝(10)들은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하부(12)는 저면(g)으로부터 일정 깊이 이상 근입된다. 본 발명에서의 지지말뚝(10)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PHC말뚝(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이 사용된다. PHC말뚝은 토목업계에서는 주지한 부재로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지지말뚝(10) 사이로 노출되어 있는 배면토사(s)가 강우나 바람 등 외부의 요인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말뚝(10) 사이를 커버하는 마감수단을 구비한다. 마감수단은 마감블럭(20)과 철근(30)과 콘크리트(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럭(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블럭(21)과 수블럭(22)을 구비한다.
암블럭(21)은 제1접촉부(213)와 끼움부(211,212)를 구비한다. 제1접촉부(213)는 지지말뚝(10)의 외면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제1접촉부(213)는 지지말뚝(1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지지말뚝(10)과 제1접촉부(213)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틈이 생기는 경우 이 틈을 통해 배면토사(s)가 유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암블럭(21)의 제1접촉부(213)는 지지말뚝(10)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지지말뚝(10)은 원형의 외면을 가지므로, 암블럭(21)의 제1접촉부(213)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끼움부(211,212)는 제1접촉부(213)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부분(211)과 폭방향 타측으로 부터 연장형성되는 부분(212)으로 이루어진다. 제1접촉부(213)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부분(211,212)들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이 부분들(211,21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214)이 형성된다.
수블럭(22)은 제2접촉부(223)와 삽입부(221,222)르 구비한다. 수블럭(22)의 제2접촉부(223)는 암블럭(21)의 제1접촉부(213)와 동일한 기능과 작용을 행한다. 즉, 지지말뚝(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말뚝(10)과 제2접촉부(223)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배면토사(s)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암블럭(21)의 제1접촉부(213)와 마찬가지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수블럭(22)의 삽입부(221,222)는, 암블럭(21)의 끼움부(211,212)와 마찬가지로, 제2접촉부(223)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부분(221)과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부분(222)으로 이루어진다. 제2접촉부(223)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각 각 연장된 부분들(221,222)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224)이 형성된다.
수블럭(22)의 삽입부(221,222)의 폭은 암블럭(21)의 끼움부(211,21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블럭(22)의 삽입부(221,222)가 암블럭(21)의 끼움부(211,212)에 끼워진다. 또한, 수블럭(22)의 삽입부(221,222)와 암블럭(21)의 끼움부(211,212)는 모두 일정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끼워지는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수블럭(22)의 삽입부(221,222)가 암블럭(21)의 끼움부(211,212)에 끼워져 삽입부(221,222)와 끼움부(211,212)가 서로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암블럭(21)과 수블럭(22)이 서로 끼워지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옹벽의 마감에 있어서 시공의 용이성 및 경제성에 있어서 매우 유의미한 장점을 부여한다. 지지말뚝(10)들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반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 시공에 있어서 인접한 지지말뚝들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지 않고 배치간격이 약간씩 다르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말뚝이 약간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 말뚝과 말뚝 사이의 거리가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르게 된다. 즉, 말뚝과 말뚝 사이의 이격 거리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되어도,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럭(20)은 그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지지말뚝(10) 사이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마감블럭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다면, 말뚝 사이의 이격거리가 큰 경우에는 지지말뚝(10) 사이를 완전히 커버하지 못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므로, 다양한 규격의 마감블럭을 모두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이 는 경제성과 시공성에 있어서 유리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과 같이 마감블럭(20)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하나의 규격으로 이루어진 마감블럭(20)으로 다양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말뚝(10)들 사이를 모두 커버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과 시공성이 향상된다.
철근(30)과 콘크리트(40)를 이용하여 마감블럭(20)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복수의 철근(30)을 지지말뚝(10) 사이에 설치한다. 이 철근(30)은 지지말뚝(10)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부는 저면(g)에 근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철근(30)을 중앙에 배치한 상태에서, 마감블럭(20)이 철근(30)을 감싸도록 암블럭(21)과 수블럭(22)을 서로 끼운다. 즉, 암블럭(21)과 수블럭(22)이 상호 끼워지면, 암블럭(21)과 수블럭(22)의 내측면에 의하여 둘러싸인 중공부가 형성되는데, 철근(30)은 이 중공부에 배치된다. 복수의 마감블럭(20)을 적층시켜 지지말뚝(10)의 높이 전체를 커버할 수 있게 설치한 후, 마감블럭(20)의 중공부에 콘크리트(30)를 충전시킨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콘크리트(30)가 양생되어 복수의 마감블럭(30)은 철근(20)과 콘크리트(30)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말뚝(10)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콘크리트 외에 다른 경화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모래를 충전시켜서 철근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마감블럭(20)의 암블럭(21)과 수블럭(22)이 일대일로 대응되어 설치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암블럭(21)과 수블럭(22)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어 엇갈리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개략적 사시 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점선 부분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150)에서는 암블럭(21)과 수블럭(22)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암블럭(21)과 수블럭(22)을 서로 엇갈리게 설치하면 복수의 마감블럭(20)이 서로 맞물려 있게 되므로, 엇갈리지 않고 일 대 일로 대응시켜 설치된 경우에 비하여 마감블럭(2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는, 암블럭(21)과 수블럭(22)이 상호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구성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지금까지는 지반을 절토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성토한 경우에는 마감블럭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성토된 지반을 지지하기 위한 옹벽에 사용되는 마감블럭의 단면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암블럭(71)이 지지말뚝(10) 사이에 깊게 삽입되어 있는 점이 앞에서 설명한 굴착지반용 옹벽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토의 경우, 지지말뚝(10)을 지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지지말뚝(10)을 경계로 일측에 토양을 쌓아서 성토지반을 형성하게 되므로, 지지말뚝(10) 사이에 배치된 토사는 절토지반에 비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에, 절토 또는 굴착에 의하여 형성된 지반용 옹벽에 사용되는 마감블럭(20)에 비하여 성토에 의하여 형성된 지반용 옹벽에 사용되는 마감블럭(70)은 지지말뚝(10)들 사이의 토사에 깊게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암블럭(71)의 끼움부 일측(711)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마감블럭(20)의 끼움부 일측(211)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마감블럭(20,70)으로 지지말뚝(10) 사이를 완전히 커버하므로 지지말뚝(10) 사이의 배면토사가 바람 등에 의하여 유실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마감블럭은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PHC 말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상태가 나타나 있는 사진이다.
도 2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난 옹벽을 마감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옹벽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점선 부분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7은 성토지반을 지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50, 200 ... 옹벽 10 ... 지지말뚝
20 ... 마감블럭 21 ... 암블럭
22 ... 수블럭 211,212 ... 끼움부
213 ... 제1접촉부 221,222 ... 삽입부
223 ... 제2접촉부 30 ... 철근
40 ... 콘크리트

Claims (9)

  1.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단면(端面)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말뚝과,
    상기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배면토사가 상기 지지말뚝 사이로 노출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말뚝 사이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마감블럭은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지지말뚝 중 일측에 배치된 지지말뚝에 일단부가 밀착되어 배치되는 암블럭과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지지말뚝 중 타측에 배치된 지지말뚝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암블럭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수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블럭의 암블럭은 상기 지지말뚝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끼움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감블럭의 수블럭은 상기 지지말뚝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블럭의 삽입부가 상기 암블럭의 끼움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말뚝과 상기 마감블럭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지지말뚝과 접촉되는 상기 암블럭과 수블럭의 각 일단부는 상기 지지말뚝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말뚝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암블럭과 수블럭의 단부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블럭의 삽입부가 상기 암블럭의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수블럭의 삽입부와 상기 암블럭의 끼움부가 상호 겹쳐지는 길이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럭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수단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말뚝 사이에 삽입되는 철근과, 상기 철근이 상기 복수의 마감블럭의 중공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부에 충전되는 큰크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블럭과 수블럭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8.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단면(端面)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굴착지반 또는 성토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말뚝 사이로 배면토사가 노출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말뚝 사이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지지말뚝 중 일측에 배치된 지지말뚝에 일단부가 밀착되어 배치되는 암블럭과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지지말뚝 중 타측에 배치된 지지말뚝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는 상기 암블럭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수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암블럭은 상기 지지말뚝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끼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블럭은 상기 지지말뚝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블럭의 삽입부가 상기 암블럭의 끼움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블럭.
  9. 삭제
KR1020080085433A 2008-08-29 2008-08-29 마감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159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433A KR101159755B1 (ko) 2008-08-29 2008-08-29 마감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433A KR101159755B1 (ko) 2008-08-29 2008-08-29 마감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433A KR20100026433A (ko) 2010-03-10
KR101159755B1 true KR101159755B1 (ko) 2012-06-28

Family

ID=4217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433A KR101159755B1 (ko) 2008-08-29 2008-08-29 마감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7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8637A (zh) * 2014-04-14 2014-07-23 叶长青 夹硬层软土地质刚柔组合桩基坑支护施工方法
CN105887890A (zh) * 2016-04-14 2016-08-24 广州市鲁班建筑集团股份有限公司 塑性桩及塑性桩的施工方法、基坑支护止水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19462B (zh) * 2014-04-28 2017-02-15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吊脚嵌岩灌注桩围护基坑开挖方法
KR101684399B1 (ko) 2016-07-27 2016-12-08 이상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후방의 다단 억지말뚝을 이용한 지지 구조를 가지는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10453691B (zh) * 2019-09-10 2022-02-15 山东建筑大学 一种具有内支撑的钢管砂桩深基坑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111576435B (zh) * 2020-04-17 2021-09-24 中建五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桩间土钢构造柱控滑移面施工方法及结构
KR102475046B1 (ko) 2021-08-23 2022-12-06 윤현승 강관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115434328B (zh) * 2022-09-23 2024-01-16 中工国际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水电站岩石基坑非爆破开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371A (ko) * 2003-01-17 2004-07-27 주식회사 특수건설 건설용 강관의 접속구조
KR100827783B1 (ko) * 2007-01-10 2008-05-07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371A (ko) * 2003-01-17 2004-07-27 주식회사 특수건설 건설용 강관의 접속구조
KR100827783B1 (ko) * 2007-01-10 2008-05-07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8637A (zh) * 2014-04-14 2014-07-23 叶长青 夹硬层软土地质刚柔组合桩基坑支护施工方法
CN105887890A (zh) * 2016-04-14 2016-08-24 广州市鲁班建筑集团股份有限公司 塑性桩及塑性桩的施工方法、基坑支护止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433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755B1 (ko) 마감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215390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1216716B1 (ko) 지중 연속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86445B1 (ko) 소일 탱크 형태의 흙막이
KR102382616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100914158B1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CN113216213B (zh) 一种地下室防水基坑结构及施工方法
KR102173079B1 (ko) 차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CN108978704A (zh) 一种加筋挡土墙及其施工方法
KR102113291B1 (ko) Phc 파일을 이용한 벽체 조성방법 및 벽체
KR102021496B1 (ko)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KR101385090B1 (ko) 흙막이 파일 구조체 및 흙막이 파일 구조체 형성방법
JP4888293B2 (ja) 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構造、及び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構築方法、並びに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工法
KR102289576B1 (ko) 흙막이판을 이용한 탑다운 방식 지하구조물 축조 공법
KR101306626B1 (ko) 블럭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20090084571A (ko) 토목 벽제 건설용 블록구조물 시공 방법
KR20090078684A (ko) H빔으로 이루어진 엄지 말뚝을 구비한 지지말뚝, 이를이용한 합성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01330B1 (ko) 건축용 흙막이 공법
KR10065497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 및이의 시공 방법
KR101551487B1 (ko) 2단계 시공으로 토압 저항력을 갖는 옹벽 축조공법
KR100479500B1 (ko) 강재봉을 이용한 사면녹화 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64103B1 (ko) 지지용 강빔을 이용한 pc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KR102371284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2605191B1 (ko)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