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637B1 -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637B1
KR101159637B1 KR1020090072645A KR20090072645A KR101159637B1 KR 101159637 B1 KR101159637 B1 KR 101159637B1 KR 1020090072645 A KR1020090072645 A KR 1020090072645A KR 20090072645 A KR20090072645 A KR 20090072645A KR 101159637 B1 KR101159637 B1 KR 101159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pace
exhaust hole
co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101A (ko
Inventor
유주완
Original Assignee
유주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완 filed Critical 유주완
Priority to KR102009007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6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3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n element bursting upon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container being excee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덮개 일측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이 마련되되, 배출 뿐만 아니라 어느정도의 가스가 용기 내에 발생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측정수단을 함께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을 최대한 신선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저장용기 본체와, 상기 저장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 내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배출하는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은, 상기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제 1 배기홀 및 제 2 배기홀이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어 그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체결홈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 1 배기홀 내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 배기홀이 관통 형성된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체결덮개와, 상기 결합공간 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배기홀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측청한 후 상기 제 3 배기홀을 통해 배출시키는 가스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폐용기, 저장용기 본체, 덮개, 가스측정, 배출수단

Description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GAS-EXHAUSTIBLE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용기의 덮개 일측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이 마련되되, 배출 뿐만 아니라 어느정도의 가스가 용기 내에 발생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측정수단을 함께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을 최대한 신선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은 밀폐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렇게 밀폐용기에 저장된 음식물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로 보관 및 저장되어야 상하지 않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음식물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김치등과 같은 발효식품을 보관 및 저장하게 되는 경우에는 용기 내부의 공기와 발효가스가 어느정도 배출되면서 순환되어야 적당히 발효되는 바, 용기 내부의 공기나 발효가스를 배출 또는 순환시킬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용기의 덮개 일측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이 마련되되, 배출 뿐만 아니라 어느정도의 가스가 용기 내에 발생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측정수단을 함께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을 최대한 신선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저장용기 본체와, 상기 저장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 내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배출하는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은, 상기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제 1 배기홀 및 제 2 배기홀이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어 그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체결홈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 1 배기홀 내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 배기홀이 관통 형성된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체결덮개와, 상기 결합공간 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배기홀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측청한 후 상기 제 3 배기홀을 통해 배출시키는 가스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가스조절유닛은,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 2 배기홀과 연통되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 배기홀과 연통되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 내에 밀착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충전공간 내에 충전되되 상기 제 1 관통공은 개방되고 제 2 관통공은 밀폐되도록 상기 제 2 관통공 측에 치우쳐 충전되는 실리콘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리콘부재는 제 1 관통공을 통해 가스가 유입될 시에 그 압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제 2 관통공 측으로 점차적으로 밀려나 압력을 표시하다가 상기 제 2 관통공이 개방될 시에 제 3 배기홀을 통해 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실리콘부재는 상기 충전공간 내에서 가스의 압력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이 가미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에 따르면, 밀폐용기의 덮개 일측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수단이 마련되되, 배출 뿐만 아니라 어느정도의 가스가 용기 내에 발생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측정수단을 함께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을 최대한 신선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a 및 2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의 부분확대도가 도시되며,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1)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이 저정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저장용기 본체(100)와, 저장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덮개(200)와, 덮개(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공간부 내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배출하는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용기 본체(100)는 음식물이 직접 저장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이 저정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저장용기 본체(100)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재질 또한 유리나 합성수지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덮개(200)는 저장용기 본체(100)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이 저장된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 시킴으로써 음식을 신선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밀폐용기 본체 및 덮개(200)는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용기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덮개(200)의 일측에는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300)이 구비되는데, 이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300)은 전술한 공간부 내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300)은, 덮개(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공간부와 연통되는 제 1 배기홀(312) 및 제 2 배기홀(314)이 형성되는 체결홈(310)과, 체결홈(31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어 그 회동여부에 따라 체결홈(310)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는 제 1 배기홀(312) 내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322)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 배기홀(324a)이 관통 형성된 결합공간(324b)이 형성되는 체결덮개(320)와, 결합공간(324b) 내에 결합 구비되어 상기 제 2 배기홀(314)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측정한 후 제 3 배기홀(324a)을 통해 배출시키는 가스조절유닛(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가스조절유닛(330)은, 내부에 충전공간(332a)이 형성되며 결합공간(324b) 내에 밀착 결합가능하도록 결합공간(324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는 제 2 배기홀(314)과 연통되는 제 1 관통공(332b)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 배기홀(324a)과 연통되는 제 2 관통공(332c)이 형성되는 케이스(332)와, 충전공간(332a) 내에 충전되되 제 1 관통공(332b)은 개방되고 제 2 관통공(332c)은 밀폐되도록 제 2 관통공(332c)측에 치우쳐 충전되는 실리콘부재(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체결덮개(320)는 체결홈(310) 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전술한 체결홈(310) 내에는 제 1 배기홀(312)이 그리고 체결덮개(320) 내부면 상에는 이에 결합되는 삽입돌기(322)가 돌출 형성된다.
삭제
또한 전술한 제 1 배기홀(312)은 삽입돌기(322)과 결합되어 체결덮개(320)를 체결홈(310) 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공간부와 연통됨으로써 체결덮개(320) 개방시에 내부 가스를 배출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 1 배기홀(312)은 제 2 배기홀(314)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용기 본체(100)의 크기에 따라 제 1 배기홀(312) 및 삽입돌기(322)가 각각 한 개 이상씩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체결덮개(320) 측에 형성되는 결합공간(324b)은 가스조절유닛(330)이 밀착 결합되는 공간으로, 이 결합공간(324b) 내에 형성되는 제 3 배기공(324a)은 가스조절유닛(330)의 제 2 관통공(332c)과 연통되고, 가스조절유닛(330)의 제 1 관통공(332b)은 제 2 배기홀(314)과 각각 연통됨으로써 최종적으로 공간부 내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 2 배기홀(314)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는 제 1 관통공(332b)을 통해 가스조절유닛(330)의 충전공간(332a)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가스는 그 압력에 의해 실리콘부재(334)를 점차적으로 밀어낸 다음 제 2 관통공(332c)과 제 3 배기공(324a)을 차례로 통과해 외부로 배출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실리콘부재(334)는 제 1 관통공(332b)을 통해 가스가 유입될 시에 그 압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제 2 관통공(332c) 측으로 점차적으로 밀려나면서 압력을 표시하다가 제 2 관통공(332c)이 개방될 시에 제 3 배기홀(324a)을 통해 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삭제
이때, 전술한 충전공간(332a) 내에 충전되는 실리콘부재(334)는 충전공간(332a) 내에서 가스의 압력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이 가미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저장용기 본체(100)의 공간부 내에 음식을 저장한 다음, 덮개(200)를 덮어 소정의 장소에 보관한다.
시간이 흘러 저장된 음식물로 부터 가스가 배출되면, 배출된 가스는 제 2 배기홀(314) → 제 1 관통공(332b)을 지나 충전공간(332a) 내로 진입하게 된다.
충전공간(332a) 내에 가스가 진입하게 되면 그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실리콘부재(334)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점차적으로 제 2 관통공(332c) 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사용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가스 발생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케이스(332) 또는 체결덮개(320) 상에 소정의 눈금(도시되지 않음)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실리콘부재(334)의 길이변화에 따른 압력측정을 보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충전공간(332a) 내로 진입되는 가스에 의해 점차적으로 밀려나던 실리콘부재(334)가 제 2 관통공(332c)을 개방하게 되면 내부의 가스는 제 3 배기홀(324a)을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체결덮개(320)를 열어줄 경우 제 1 배기홀(312)을 통해 공간부 내의 가스가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의 사시도.
도 2a 및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의 부분확대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100 : 저장용기 본체
200 : 덮개 300 :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
310 : 체결홈 312 : 제 1 배기홀
314 : 제 2 배기홀 320 : 체결덮개
322 : 삽입돌기 324a : 제 3 배기홀
324b : 결합공간 330 : 가스조절유닛
332 : 케이스 332a : 충전공간
332b : 제 1 관통공 332c : 제 2 관통공
334 : 실리콘부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저장용기 본체;
    상기 저장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밀폐시키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 내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를 배출하는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측정 및 배출수단은, 상기 덮개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제 1 배기홀 및 제 2 배기홀이 형성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구비되어 그 회동여부에 따라 상기 체결홈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 1 배기홀 내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3 배기홀이 관통 형성된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체결덮개와, 상기 결합공간 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배기홀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측청한 후 상기 제 3 배기홀을 통해 배출시키는 가스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조절유닛은,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 내에 밀착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 2 배기홀과 연통되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 3 배기홀과 연통되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충전공간 내에 충전되되 상기 제 1 관통공은 개방되고 상기 제 2 관통공은 밀폐되도록 상기 제 2 관통공측에 치우쳐 충전되는 실리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부재는 상기 충전공간 내에서 가스의 압력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이 가미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090072645A 2009-08-07 2009-08-07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KR101159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45A KR101159637B1 (ko) 2009-08-07 2009-08-07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45A KR101159637B1 (ko) 2009-08-07 2009-08-07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01A KR20110015101A (ko) 2011-02-15
KR101159637B1 true KR101159637B1 (ko) 2012-07-03

Family

ID=4377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645A KR101159637B1 (ko) 2009-08-07 2009-08-07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6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224B1 (ko) * 2016-06-20 2018-01-18 주식회사 씨앤알테크 착탈 가능한 음식물 부패 측정 모듈을 갖는 용기
US20200189808A1 (en) * 2018-12-13 2020-06-18 Nottingham Spirk Design Associates Case for securely transporting high-value go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224B1 (ko) * 2016-06-20 2018-01-18 주식회사 씨앤알테크 착탈 가능한 음식물 부패 측정 모듈을 갖는 용기
US20200189808A1 (en) * 2018-12-13 2020-06-18 Nottingham Spirk Design Associates Case for securely transporting high-value go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01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771B2 (ja) 防湿性を有し再シール自在の容器
MX2009007837A (es) Contenedor resellable para almacenar elementos de prueba sensibles a humedad.
UA94256C2 (ru) Набор для сборки потребителем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потребительских изделий, пригодного для многократного закрывания, и подобный контейнер
WO2005097617A8 (en) Package with integral plug
KR101159637B1 (ko) 가스배출이 가능한 밀폐용기
EP3017869A1 (en) Dried-Blood-Spot-card shipping and storage container
JP2014534137A (ja) 中空で取外し可能な蓋を含む容器
KR102139006B1 (ko) 가스충전식 포장용기
KR20070062383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102166320B1 (ko) 발효식품 포장용 파우치,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포장방법, 및 포장용 파우치
KR101169811B1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1780035B1 (ko) 밀폐용기
KR200404791Y1 (ko) 쌀 포장용기
KR20080040532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078311B1 (ko) 기능성 지퍼가 부착된 김치 포장재
KR101074979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140110812A (ko) 벤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마개
KR20050102754A (ko) 음식물 보관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질소가스 주입장치
KR200440321Y1 (ko) 내부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저장용기
KR100520089B1 (ko) 저장용기
KR20070078673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80079156A (ko) 압력기체가 내입된 용기에 사용되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1335098B1 (ko) 식품 보관 용기
KR20110078060A (ko) 질소 가스가 충전된 상자
KR20080077534A (ko) 압력기체가 내입된 용기에 사용되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