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174B1 -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174B1
KR101159174B1 KR1020110081779A KR20110081779A KR101159174B1 KR 101159174 B1 KR101159174 B1 KR 101159174B1 KR 1020110081779 A KR1020110081779 A KR 1020110081779A KR 20110081779 A KR20110081779 A KR 20110081779A KR 101159174 B1 KR101159174 B1 KR 101159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fixed
elastic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호
정호수
Original Assignee
정호수
류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수, 류지호 filed Critical 정호수
Priority to KR102011008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바디, 바디의 측면에 고정되는 판고정부와, 판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관통공을 커버하는 회동부로 이루어지는 개폐판, 개폐판의 후면에서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판, 회동부와 접하는 폐곡선 형상의 판지지부와, 판지지부에서 한 쌍이 분기하여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단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BAD SMELL AND BACKFLOW OF DRAINAGE}
본 발명은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수구에 설치되어 일정량 이상의 물이 흐르는 경우에만 개방되고 배수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폐쇄되어 악취가 올라오거나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가 필요한 곳, 예를 들면 주방의 싱크대, 화장실의 세면대 그리고 욕실의 변기 등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수관은 하수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수관의 악취 및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겨울철과 같이 난방을 위해서 실내를 밀폐하여 실내 온도가 하수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악취의 유입이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여름철의 잦은 집중 호우로 인해서 하수구를 통해서 하수가 역류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하수의 역류는 주로 저지대에서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하수의 역류로 인해서 많은 물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배수구로부터 악취 및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배수관을 S자로 형성하여 그 부분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S자형 배수관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부분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S자형 배수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5733에서와 같은 악취역류 방지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에 기재되어 있는 악취역류 방지장치는,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 그 힘에 의해 개폐판이 개방되고, 일정량 미만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중량추에 의해서 계폐판이 닫히게 되어 악취의 유입이 차단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스프링에 의해 개폐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종래의 악취역류 방지장치는 중량추를 이용하기 때문에 그 작동이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중량추의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진동에 의해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수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바디, 바디의 측면에 고정되는 판고정부와, 판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관통공을 커버하는 회동부로 이루어지는 개폐판, 개폐판의 후면에서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지판, 회동부와 접하는 폐곡선 형상의 판지지부와, 판지지부에서 한 쌍이 분기하여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단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는 교차점을 갖고, 교차점을 기준으로 판지지부 및 고정단부는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단부는 지지판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판지지부는 개폐판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단부는 지지판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판지지부는 개폐판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판지지부는 개폐판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단부는 개폐판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지지판은 바디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으며 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은 바디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으며 관통공의 중심축에 대해 개폐판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개폐판은 ABS 수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는 스테인리스 와이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폐판을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폐곡선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개폐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홈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탄성부재의 형상에 의해서 분산되기 때문에, 탄성부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판이 과도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에서 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에서 바디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에서 개폐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에서 고정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에서 탄성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에서 개폐판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개폐판이 물의 압력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은 싱크대, 세면대, 욕실 등의 배수구, 화장실 변기의 배수구 등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 그 압력에 의해 개폐판(140)이 개방되고, 일정량 미만의 물이 유입되거나 또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판(140)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관통공(126)을 폐쇄하여, 하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또는 해충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은 배수관(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는 바디(120)와, 바디(120)의 관통공(126)을 개폐하는 개폐판(140)과, 탄성부재(160)를 지지하는 지지판(170)과, 개폐판(14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개폐판(140)은 고정부재(150)에 의해 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은 도 7에 예시되어 있는 형상의 탄성부재(160)를 이용하기 때문에, 개폐판(140)의 반복적인 개폐에 대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성부재(160)와 개폐판(140)이 접하는 부분은 폐곡선 형상을 갖기 때문에 개폐판(140)의 넓은 면적을 커버하게 되어 개폐판(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160)의 끝 부분을 개폐판(140)에 고정하기 위한 홈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은 지지판(170)을 구비하는데, 지지판(170)은 개폐판(140)의 과도한 개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탄성부재(1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바디(1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바디(120)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바디(120)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바디(120)는 중공(中空)의 관 형상을 가지는 배수부(124)를 가지고, 배수부(124)의 일 단부는 사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다. 배수부(124)에 형성된 관통공(126)을 통해서 물이 배수관(도시하지 않음)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배수부(124)의 다른 단부에는 플랜지(122)가 외향 돌출되어 있는데, 플랜지(122)는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이 설치되는 배수관(도시하지 않음)에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부(124)의 일 단부에는 사선 방향으로 절개된 경사절개면(1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관통공(126)를 개폐하는 개폐판(140)이 관통공(126)의 중심축(136)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경사절개면(128)은 개폐판(140)과 접하게 된다.
배수부(124)의 둘레에는 개폐판(140)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평면(132) 및 걸림턱(13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평면(132)은 개폐판(140)의 판고정부(142)와 접하는 면으로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평면(132)의 좌우 양측에는 고정부재(150)가 걸리게 되는 걸림턱(134)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판(140)의 판고정부(142)는 고정평면(132)과 접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50)에 의해 바디(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2 그리고 도 5를 참고하면서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개폐판(14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측면도이다.
개폐판(140)은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바디(120)의 일 단부를 폐쇄하고 있으며,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 물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물을 원활하게 배수하게 한다. 개폐판(140)은 바디(120)에 대해 개폐판(140)을 고정하는 판고정부(142)와, 경사절개면(128)과 접하면서 물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부(148)와, 판고정부(142) 및 회동부(148)를 연결하는 힌지홈(146)을 포함한다.
개폐판(140)의 판고정부(142)는 바디(120)의 둘레에 형성된 고정평면(13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삽입홈(14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44)에는 고정부재(150)가 삽입되어 판고정부(142)를 바디(120)의 둘레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힌지홈(146)은 회동부(148)와 판고정부(142)를 연결하며, 고정되어 있는 판고정부(142)에 대해 회동부(148)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판(140)은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홈(146)은 회동부(148)의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부(148)의 회전이 원활하게 된다.
회동부(148)는 판고정부(142)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절개면(128)에 대응하여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회동부(148)는 화학 약품 등이 포함되어 있는 물과 접하여 부식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내화학성이 우수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부(148)의 전면은 바디(120)의 내부를 향하고 있으며, 그 후면은 탄성부재(160)에 의해서 경사절개면(128)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폐판(140)과 바디(124)의 절개면(128) 사이에는 실링(sealing)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개폐판(140)과 절개면(12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미세한 공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면서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고정부재(15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고정부재(150)에 대한 평면도이다.
고정부재(150)는 원호(arc) 형상을 갖고 그 양 단부에는 걸림돌기(152)가 내향 돌출되어 있다. 고정부재(150)는 개폐판(140)의 삽입홈(144)에 삽입되며, 걸림돌기(152)가 걸림턱(134)에 걸리게 됨으로써 고정부재(150)가 판고정부(142)를 바디(120)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면서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탄성부재(16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탄성부재(160)에 대한 평면도이다.
탄성부재(160)는 폐곡선 형상을 갖는 판지지부(162)와, 판지지부(162)에서 연장된 한 쌍의 고정단부(164)를 포함한다.
판지지부(162)는 개폐판(140)의 후면과 접하면서 개폐판(140)이 관통공(124)을 커버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판지지부(162)는 폐곡선 형상을 가지고 개폐판(140)의 넓은 범위를 커버하기 때문에 개폐판(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판지지부(162)는 폐곡선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개폐판(140)의 후면에 탄성부재(160)를 고정하거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홈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판지지부(162)는 한 쌍의 고정단부(164)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판(140)이 개방될 때 작용하는 힘을 한 쌍의 고정단부(164)로 각각 분산함으로써 스트레스(stress)의 집중을 방지할 수 있어 탄성부재(160)의 내구성을 증가할 수 있다.
판지지부(162)는 개폐판(140)의 후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되지 않고 접촉만 이루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는 판지지부(162)가 대략 타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판지지부(162)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단부(164)는 판지지부(162)의 한 부분에서 2갈래로 분기되는 것으로 지지판(170)에 각각 고정된다. 고정단부(164)가 지지판(17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압력으로 절곡되어 있는 탄성부재(160)가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개폐판(140)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단부(164)는 지지판(170)에 고정될 수 있지만, 판지지부(162)가 개폐판(140)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지판(170)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접촉만 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판(140)이 개방되는 경우 고정단부(164)는 탄성부재(16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지지판(170)을 따라서 슬라이딩 하게 된다.
탄성부재(160)는 폐곡선의 임의의 지점에 형성된 교차점(166)을 갖고, 그 교차점(166)을 기준으로 판지지부(162) 및 고정단부(164)는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지지판(170)은 바디(120)의 둘레에 고정되어 있으며, 관통공(126)의 중심축(136)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170)은 바디(120)에 대해 하향 돌출되어 고정단부(164)가 고정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한다. 또한, 지지판(170)은 개폐판(140)의 후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개폐판(140)이 과도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판(170)은 중심축(136)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지만, 개폐판(140)의 후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판(140)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개폐판(140)도 그 개방되는 각도가 제한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의 개폐판(140)이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100)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어 개폐판(140)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일정량 이상의 물이 관통공(126)으로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판(140)은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탄성부재(160)는 도 8에서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판(140)을 위로 미는 탄성력을 개폐판(140)에 제공한다. 따라서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또는 해충 등은 폐쇄된 개폐판(140)에 의해서 차단되어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탄성부재(160)의 판지지부(162)는 폐곡선 형상을 갖기 때문에, 개폐판(140)의 넓은 부분을 안정적으로 가압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어 배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물의 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힘이 탄성부재(160)를 변형시켜서 개폐판(140)이 개방된다. 이때 탄성부재(160)에 작용하는 힘은 한 쌍의 고정단부(164)로 분산되기 때문에 탄성부재(160)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60)는 한 쌍의 고정단부(164)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160)가 쉽게 떨어지거나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120: 바디
122: 플랜지 124: 배수부
126: 관통공 128: 경사절개면
132: 고정평면 134: 걸림턱
140: 개폐판 142: 판고정부
144: 삽입홈 146: 힌지홈
148: 회동부 150: 고정부재
152: 걸림돌기 160: 탄성부재
162: 판지지부 164: 고정단부
170: 지지판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관통공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측면에 고정되는 판고정부와, 상기 판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커버하는 회동부로 이루어지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의 후면에서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의 둘레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회동부와 접하는 폐곡선 형상의 판지지부와, 상기 판지지부에서 한 쌍이 분기하여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단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힘은 한 쌍의 상기 고정단부로 분산되며,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지지판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판지지부는 상기 개폐판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5. 관통공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측면에 고정되는 판고정부와, 상기 판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커버하는 회동부로 이루어지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의 후면에서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의 둘레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회동부와 접하는 폐곡선 형상의 판지지부와, 상기 판지지부에서 한 쌍이 분기하여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단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힘은 한 쌍의 상기 고정단부로 분산되며,
    상기 판지지부는 상기 개폐판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단부는 상기 개폐판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6. 관통공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측면에 고정되는 판고정부와, 상기 판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커버하는 회동부로 이루어지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의 후면에서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의 둘레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회동부와 접하는 폐곡선 형상의 판지지부와, 상기 판지지부에서 한 쌍이 분기하여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단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힘은 한 쌍의 상기 고정단부로 분산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7. 관통공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측면에 고정되는 판고정부와, 상기 판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을 커버하는 회동부로 이루어지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의 후면에서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의 둘레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회동부와 접하는 폐곡선 형상의 판지지부와, 상기 판지지부에서 한 쌍이 분기하여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단부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에 작용하는 힘은 한 쌍의 상기 고정단부로 분산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개폐판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10081779A 2011-08-17 2011-08-17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KR10115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79A KR101159174B1 (ko) 2011-08-17 2011-08-17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779A KR101159174B1 (ko) 2011-08-17 2011-08-17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174B1 true KR101159174B1 (ko) 2012-06-25

Family

ID=4668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779A KR101159174B1 (ko) 2011-08-17 2011-08-17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46Y1 (ko) * 2012-09-13 2014-01-16 최종력 하수관용 역류방지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223A (ko) * 2007-03-15 2008-09-19 전경희 하수용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223A (ko) * 2007-03-15 2008-09-19 전경희 하수용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46Y1 (ko) * 2012-09-13 2014-01-16 최종력 하수관용 역류방지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2409A (ko) 일반적으로 바닥 배수구에 삽입되는 회전 플랩형의 역류 방지 밸브 어셈블리
KR200434948Y1 (ko) 하수구용 배스트랩
KR20190004251A (ko) 냄새차단 기능이 구비된 그레이팅
JP6031647B2 (ja) 管体継ぎ手
KR101159174B1 (ko) 하수구 악취차단 및 역류 방지장치
KR100938733B1 (ko) 배수트랩
US8439078B2 (en) Odour trap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90001900U (ko)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180000380U (ko) 회동커버의 작동을 위한 탄성수단의 고장을 방지한 배수트랩
KR101609201B1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154243Y1 (ko) 방취막이 부착된 배수트랩
JP2014196605A (ja) 配管装置
EP3255216B1 (en) Odour trap
JP6194505B2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102330104B1 (ko) 악취차단이 가능한 배수트랩
KR200434172Y1 (ko) 배수구용 개폐장치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JP3637493B2 (ja) 排水用トラップ及びその取付方法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2305306B1 (ko) 조립성 및 내구성이 개선된 하수구 트랩
JP2000087410A (ja) 排水用トラップ
JP2000054452A (ja) 排水用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