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062B1 - 이중바닥구조의 선박에 장착되는 수직판 전개식 유압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이중바닥구조의 선박에 장착되는 수직판 전개식 유압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062B1
KR101159062B1 KR1020090129404A KR20090129404A KR101159062B1 KR 101159062 B1 KR101159062 B1 KR 101159062B1 KR 1020090129404 A KR1020090129404 A KR 1020090129404A KR 20090129404 A KR20090129404 A KR 20090129404A KR 101159062 B1 KR101159062 B1 KR 10115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late
hull
double bottom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463A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김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재 filed Critical 김성재
Priority to KR102009012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0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0Slowing-down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선체의 이중바닥구조(더블바텀) 내부에 설치되고 긴급제동시 브레이크판(1)이 수직아래로 전개되는 유압식 브레이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이중바닥구조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지지되는 브레이크셀(2) 내부로 전개 수납되는 수직판형 브레이크를 선체 바닥에 다수개 배치하여 긴급제동 및 급선회 필요시에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써 브레이크셀(2)과 상기 브레이크셀(2)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판(1); 및 상기 브레이크판(1)을 승강 또는 하강 작동시키는 유압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동모듈(4)을 선체 바닥의 좌우 양쪽에 한 쌍 단위로 적어도 1개단(1 step)을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바람직하게는 선박의 이중바닥에 3개단(3 steps) 이상이 배치된다. 상기 브레이크판(1)은 하강전개시 전체 높이의 절반만 내려가 선체외부로 노출되며 나머지 절반은 상기 브레이크셀(2) 내부에 남아있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크는 이중바닥(double bottom) 구조로 된 거의 모든 종류의 대형선박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닥이 평평한 구조이고 선체 중간이 화물창으로 구성된 대형선박에서 가장 쉽고 경제적이며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바닥구조의 선박에 장착되는 수직판 전개식 유압브레이크{Hydraulic braking system of double bottomed ship by opening vertical plates}
본 발명은 이중바닥 구조로 된 대형 선박에 장착될 수 있는 긴급제동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대형 선박의 취약점인 급정지 능력과 급선회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평평한 이중바닥구조의 선체외피 내부에 설치한 선택적 유압 작동방식의 평판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선박은 스크류 역추진, 러더(방향타)의 좌우최대폭 요동, 선체에 부착된 수평 안정판의 직립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급정지를 시도하며, 연안 운항 시에는 닻을 급속 투하한 다음, 견인되는 닻의 바닥 마찰력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위 방법은 선체의 크기와 중량이 늘어날수록 점점 효과가 떨어지며 특히 항행 관성이 막대한 초대형 선박의 경우에는 상기의 모든 방법을 일시에 동원한다 하더라도 단시간, 단거리에 급정지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대형 선박에는 현재 실질적인 패닉브레이크(긴급제동) 시스템이 없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기계적인 신뢰성이 떨어져 쉽게 채택되지 못하고 있다.
아래 소개한 선행기술 중 문헌 1~3은 기본적으로 선체의 측면 또는 하면에 붙어 있다가 유압작동에 의해 펼쳐지는 평판 플랩을 이용한 제동장치에 대한 것이다.(비행기의 에어브레이크 또는 플랩과 유사). 또한 문헌 4는 갑판상에서 해수 속으로 투하되는 저항체에 의해 제동하는 구조이다.(비행기의 착륙제동용 패러슈트와 유사).
모두가 비행기의 공기저항식 브레이크와 동일한 개념을 따르고 있으며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되는 구조이지만, 비행기 주위를 흐르는 공기와 배 주위를 흐르는 물은, 밀도차이는 물론 비중차이로 인한 저항력 차이가 실로 엄청난 까닭에 실제로는 얇은 플레이트(=브레이크판)를 조류에 역행하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펼쳐서 유지하기는 매우 힘들다.
또한 선박의 경우에는 차나 비행기보다도 훨씬 과중한 무게 때문에라도 무게중심을 가장 중요시 생각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선수 쪽에 브레이크를 설치했을 경우 필요한 화물을 선수 탱크에 선적할 수 없다. 또한 만재배수량에 가깝게 화물을 적재한 대형화물선의 경우 항해 중 선수쪽 브레이크를 작동한다면 약간의 무게중심 이탈로도 선체가 크게 기울수 있으며 파도가 심할 때는 선박침몰도 우려된다. 선미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물의 흐름이 배 끝부분에 치우쳐 실질적인 제동효과가 미미하며 선박의 방향키 작동효율이 떨어져 선회능력에 혼란을 주는 역효과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대형선박의 관성을 낮출 정도로 넓은 면적을 갖는 브레이크판은 엄청난 저항력을 받게 되므로 펼치고 접을 때 큰 힘이 요구되며, 결합부와 브레이크판 자체에 걸리는 부하도 매우 크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전체 브레이크 시스템의 중량화, 대형화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선박건조 시장은 운항효율과 원가절감 경쟁이 극심한 상황이고 밀리미터 단위로 선체 두께를 절감하고 톤 단위로 선체구조를 경량화하는 현 시대 대형선박의 건조환경에서 위와 같은 덩치와 중량을 갖는 부수적인 중장비의 탑재는 현실적으로 상상하기 어렵다.
삭제
[문헌1]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5-0028122 유체저항력을 이용한 선박 비상제동장치
[문헌2] 한국 특허출원 10-2008-0003340 선박의 제동장치
[문헌3] 한국 특허출원 10-2007-0134862 선박의 제동장치
[문헌4] 한국 특허출원 10-2009-0005789 선박의 비상제동장치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역추진 등으로는 긴급제동이 어렵고 넓은 브레이크판을 탑재하여 사용하기에는 더욱 어려운 대형 선박의 긴급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행기술에 소개된 직관적이고 간단한 저항유발 구조에다 구동부 중량과 지지부 중량 및 요구 지지강도까지 크게 감소시킨 설계를 더하여 좀 더 실질적이고 상용화 가능한 대형 선박용 긴급제동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의 긴급선회장치, 특히 예인선에 의존하지 않고는 저속급선회가 거의 불가능한 대형 선박에 있어서 제동모듈(4)의 선택적 작동, 즉 브레이크판(1)의 선택적 전개로 선체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된 저항력을 유발하고 이를 적절히 스크류추진력과 결합시켜 좁은 항만에서 예인선에 의존하지 않고 기민한 운항이 가능하고 충돌예방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적인 제동범위 형성이 가능한 긴급제동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유압식브레이크의 원리를 이용하되 브레이크판(1)의 구조를 제방시설이나 수문에 적용되는 것과 유사하게 하여 유압작동력이 물의 저항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결과적으로 브레이크판의 전개와 수납에 필요한 유압장치의 필요용량을 감소시켰다. 이는 위급시 브레이크판(1)의 급속전개가 가능하여 급정지 능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암초/ 장애물/ 부유물 발견시 급속귀환이 가능한 것으로써 충돌에 따른 파손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크는 선체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최소의 중량증가로 최고의 지지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설치위치를 고려하였다.
본 발명 유압브레이크에서 기본적으로 브레이크판(1)을 수납하는 하우징인 브레이크셀(2)은 선체의 이중바닥구조(더블바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며, 브레이크판(1), 브레이크셀(2), 유압장치(3)로 구성된 하나의 독립된 제동모듈(4)을 각 단(braking step)마다 선체 좌우에 한 쌍 단위로 설치하되 구체적인 설치위치로는 엔진룸 전방(선수방향)으로 두번째 이중바닥구조(double bottom)에 1단, 엔진룸 전방으로 첫 번째 이중바닥구조에 2단을 설치하였고, 선박의 무게중심이 되는 엔진룸 밑부분인 코파담(cofferdam)에 3단을 설치함으로서 항해 시 긴급제동은 물론 1~3단 제동모듈(4) 중 한쪽만 제동함으로써 선체 선회시 회전반경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동모듈(4)은 구체적으로 브레이크판(1)과, 브레이크판(1)을 수납하는 브레이크셀(2), 브레이크셀(2) 외부에 배치되어 브레이크판(1)을 승하강 시키는 유압장치(3)로 이루어진다.
브레이크판(1)은 자중 또는 유압에 의하여 바닷물 속으로 내려지며, 다시 올릴 때에는 유압장치(3)를 이용한다. 이 과정에서 구조물의 보강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판(1)은 전체 높이의 절반만 내려가도록 설정하여 브레이크셀(2)의 자체강도와 브레이크셀(2)을 지지하는 이중바닥구조의 자체강도를 최대한 이용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각 브레이크판(1)의 전개위치는 배의 무게 중심을 깨뜨리지 않고 가장 제동효과가 뛰어날 수 있는 위치로 고려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체에서 실질적인 운동중심이 되는 선체 중앙부, 또는 화물적재량이 적을 때 실질적인 선체 운동중심이 되는 엔진룸 쪽에만 집중적으로 제동모듈(4)이 배치되어 브레이크판(1)의 독립적, 선택적 전개시에도 선체의 무게중심(또는 관성중심, 또는 회전중심)을 깨뜨리지 않는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브레이크판(1)의 수직전개에 의한 기초적인 제동원리를 적용한 점에서 종래 기술과 일견 유사하나, 종래 기술이 기초적인 회전식 펼침 방식을 취하여 비실용적이고 대형선박의 경우에는 구조물의 강도와 중량 문제로 설치 자체가 불가한 반면, 본 발명은 선체의 이중바닥구조(double bottom)의 구조상 부여되는 자체강도를 절묘하게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류저항과 수직으로 전개/수납되는 브레이크판(1)의 작동과정에서 큰 힘이 필요 없는 것은 당연할뿐더러, 추가로 고부하에 견디는 별도 회전구조와 지지고정구조도 필요 없어 최소한의 중량증가로 고부하에 견딜수 있는 제동지지력이 확보되는 뛰어난 구조적 특성을 가진다.
결국 종래기술 대비 동등한 제동능력에서 전체 시스템의 부피와 중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선박 전체적으로 불필요한 중량증가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핵심구조인 브레이크셀(2)이 선체의 이중바닥 중 상부 바닥을 뚫지 않고 이중바닥 상하판 내측 공간에만 설치 고정되므로 불의의 파손시에도 이중바닥의 상판은 안전하여 선체가 쉽게 침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내항으로 입항 시에 대형선박을 소형선박과 같이 짧은 거리 내에서 안전하게 정지시키며 제동모듈(4)의 선택적 작동으로 내항 운항시 회전반경도 줄일 수 있어 사고확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설명한 과제해결수단을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 기술용어와 특정 작동조건이 이하의 청구범위로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전형적인 이중바닥구조를 갖는 선체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각 이중바닥은 좌우 한쌍으로 제1~제5 더블바텀과 엔진룸 밑부분인 코파담이 있다.
도 2~4에 걸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 및 그 결합관계는 대략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먼저 선체의 이중바닥구조(더블바텀) 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셀(2)이 있고 다음에 상기 브레이크셀(2)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판(1)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판(1)을 승강 또는 하강 작동시키는 유압장치(3)가 있다.
위 3개가 결합된 하나의 독립구성을 제동모듈(4)로 정의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동모듈(4)은 선체의 바닥쪽으로 상기 브레이크판(1)을 수직 전개시킬 수 있는 독립작동식 단위제동체인 셈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동모듈은 최소한 2개, 바람직하게는 6개 배치되는데 선체 바닥의 좌우 양쪽에 한 쌍 단위로 배치된 것을 1개 단(제동단 = braking step)으로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선박의 전체 이중바닥에 적어도 3개 단이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엔진룸 전방(선수방향)으로 두번째 이중바닥구조(double bottom)에 한 쌍으로 제동모듈 1단, 엔진룸 전방으로 첫 번째 이중바닥구조에 한 쌍으로 제동모듈 2단, 선박의 무게중심이 되는 엔진룸 밑부분인 코파담(cofferdam)에 한 쌍으로 제동모듈 3단 하여 총 6개의 제동모듈(4)이 배치되고 각각의 제동모듈(4)은 독립적이고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된다.
도 2는 도 1에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그림인데, 선박의 하부는 도 2 와 같이 중앙에 파이프/덕트가 있고, 그 좌우에 더블바텀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는 좌현과 우현으로 나눠 각각 설치해야 한다. 좌/우현을 연결하여 한 개의 브레이크로 사용하기 위해 파이프/덕트를 일부 설계 조정한다면 너무나 많은 비용과 작동시 무리한 힘을 받게 되어 배가 훼손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어서 좌/우현을 연결하는 브레이크는 고려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선박이 항해중 대형파도를 만났을때 새깅과 호깅 상태에서 선박이 브레이크셀(2) 부분을 피해를 줄 가능성 때문에 한 개로 된 대형제동장치는 설치해서도 안 된다.
가장 적절한 방법은 좌현과 우현에 따로 따로 설치하여 배의 쏠림현상을 방지하고 브레이크의 효율성과 수명을 보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박의 화물창과 엔진룸 하단 Floor에 단계별로 제동모듈을 배치하였다. 구체적인 선정위치는 정지와 회전시 무게중심과 회전중심을 고려하였는데
1단은 엔진룸으로부터 2개 더블바텀 전방 좌현(port)에 1개, 우현(starboard)에 1개씩 설치하고, 2단은 엔진룸으로부터 1개 더블바텀 전방에 1단과 동일하게 거리를 두고 좌현(port)에 1개, 우현(starboard)에 1개씩 설치하며, 3단은 엔진룸의 중앙floor에 1/2단계 보다 규모가 더 큰 브레이크를 설치한다.
도 3은 미 제동시의 브레이크셀(2)과 브레이크판(1)을 나타낸 그림이며 도 4는 제동시의 브레이크셀(2)과 브레이크판(1)을 나타낸 그림이다.
유압식 브레이크를 보관하고 작동기능을 할 수 있는 브레이크셀(cell)은 도면3과 도면4처럼 유압식브레이크를 보관할 규모만큼의 오목한 공간으로 브레이크 셀을 만들었다.
더블바텀의 높이가 2m이상인 점을 감안하여 브레이크셀(2)을 만들더라도 셀주변 역시 2중저(이중바닥구조 = 더블바텀)로 제작이 가능하며, 국제법에 어긋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유압식브레이크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브레이크 중 하나는 하이드로 리프트-3이다.
1단 제동모듈은 4번 더블바텀(double bottom)좌현과 우현에 각각 1개씩(길이/폭 3m * 높이 2m * 두께 10cm) 설치하고,
2단은 5번 더블바텀(double bottom)좌현과 우현에 각각 1개씩(길이/폭 3m * 높이 2m * 두께 10cm) 설치하며,
3단은 엔진룸(engine room)과 거주구 하단부인 코파담(cofferdam)의 좌현과 우현에 각각 1개씩(길이/폭 5m * 높이 2m * 두께 10cm)하되 1/2단계 보다는 더 크게 설치한다.
작동방식은 조타실에서 전기로 연결하여 스위치로 작동하며, 도 3 은 단위 제동모듈이 작동되지 않을 때이고 도 4는 단위 제동모듈이 작동될 때이다.
브레이크의 길이/폭이 3m와 5m인 이유는 선박이 항해할 수 있는 수심이 10m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깊은 곳에서 작동되는 브레이크는 작동 시 물의 압력과 무게의 중력을 잘 견뎌야 한다. 또한 대형 물고기나 부유물에 부딪혀도 휘거나 손상이 가지않도록 하기 위한 길이나 폭은 5m 이내가 타당하다.
높이는 더블바텀의 높이가 2m 정도이기 때문에 브레이크셀의 높이를 2m로 제한하여 더블바텀의 높이로 제한 시켰으며, cargo나 hold에 화물을 싣는데 방해가 되지 않고 설계구조도 간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동장치를 작동 시에는 철판 2m중 1m 만 수심으로 나와 브레이크 역할을 해야 제동장치나 선박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브레이크셀(2)은 하면이 상기 이중바닥구조 중 바깥쪽 판(아래쪽 판)에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이중바닥구조 중 안쪽 판(위쪽 판)에 결합되며,
상기 브레이크판(1)은 자중에 의한 하강전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하강전개시 전체 높이의 절반만 내려가 선체외부로 노출되며 나머지 절반은 상기 브레이크셀(2) 내부에 남아있도록 설정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판(1)은 상기 이중바닥구조의 높이보다 같거나 작되 구체적으로는 높이 2m이하이고, 상기 브레이크판(1)의 폭은 상기 3단 제동모듈(4)에서 5m, 상기 1,2단 제동모듈(4)에서 3m로 설정되며, 상기 브레이크판(1)의 두께는 10cm로 설정될 수 있다.
브레이크판의 재질과 두께인 철판 10cm는 수십 만 톤의 선박이 약 40km/h 속도로 항해를 해도 물의 충격을 막아주고 선박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급제동까지 할 수 있다.
브레이크판 및 브레이크셀은 염분에도 부식이 되지 않는 강한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고 수명이 길며 물의 충격에도 잘 견디는 제품을 사용하면 된다. 각 제동모듈의 작동은 조타실에서 선장의 지시에 따라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유압브레이크에서 각 제동모듈(4)의 2가지 배치형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각각 일자형태와 8자형태/역8자형태가 있으며 배의 용도나 제작사의 연구에 따라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그러나 3단은 회전용 겸용이기 때문에 방향전환을 위해 작동하고자 할 때, 우측으로 방향전환 할 때에는 우현브레이크를 작동하고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좌현브레이크만 작동하면 회전반경이 훨씬 단축 할 수 있다.
즉 왼쪽으로 회항하려면 좌현 제동장치만 작동 (내리고)한 상태에서 회전을 하면 안전하고 빨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제동모듈 작동 시 브레이크판이 물속으로 1m 나와 배 밑을 지나는 물을 막아 줌으로서 배의 이동속도를 줄이고 시간이 지나면서 배는 정지하거나 우회를 하게 된다. 정지시간을 단축하려면 6개 브레이크판을 작동시키며, 40km의 속도로 항해하는 선박일 경우 정지거리는 500m 내외(-, + )가 될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1단부터 3단까지 거리를 유지하면서 3단의 브레이크판이 1/2단보다는 길어 1/2단에서 부딪히며 소용돌이 친 물이 3단 브레이크에 막히면서 물막이를 넓혀 주고, 부딪힌 물은 선미 쪽으로 흐르던 것을 선수 쪽으로 역류시켜 배에 충격을 주지 않고 제동을 할 수 있는 2중 타법 기술로 고안하였다.
사용방법은 제동장치를 설치후 조타실에서 선장이 전기를 이용한 스위치로 천천히 정지 요구 시에는 1단 혹은 1/2단 제동모듈만 작동하고, 급제동 시에는 1,2,3단 제동모듈을 동시에 사용하며, 방향전환 시에는 3단 제동모듈을 사용하되 좌로 방향전환 시에는 좌현제동모듈만 사용하고 우측으로 방향전환 시에는 우현제동모듈만 작동한다.
브레이크는 유압을 사용하여 철판(plate), 즉 브레이크판(1)을 올리고 내리는 구조이며 긴급 제동시 유압을 해제시켜 브레이크판(1)의 자중에 의한 급속한 전개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브레이크 셀은 도 3 처럼 더블바텀을 유압식브레이크 크기만큼 잘라내어 만들고, 유압장치의 조작반은 조타실과 전선케이블로 연결하여 선장이 직접 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이중바닥(double bottom) 구조로 된 거의 모든 종류의 대형선박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닥이 평평한 구조이고 선체 중간이 화물창으로 구성된 대형선박에서 가장 쉽고 경제적이며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전형적인 이중바닥구조를 갖는 선체구조를 나타낸 그림.
도 2는 도 1에 본 발명의 유압브레이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그림.
도 3은 미 제동시의 브레이크셀(2)과 브레이크판(1)을 나타낸 그림.
도 4는 제동시의 브레이크셀(2)과 브레이크판(1)을 나타낸 그림.
도 5는 본 발명 유압브레이크에서 각 제동모듈(4)의 2가지 배치형태를 나타낸 그림.
- 도면부호의 설명 -
1: 브레이크판
2: 브레이크셀
3: 유압장치
4: 제동모듈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선체의 이중바닥구조(더블바텀) 내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셀(2);
    상기 브레이크셀(2)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레이크판(1); 및
    상기 브레이크판(1)을 승강 또는 하강 작동시키는 유압장치(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동모듈(4)을 적어도 2개 포함하고,
    상기 제동모듈(4)은 선체의 바닥쪽으로 상기 브레이크판(1)을 수직전개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동모듈(4)은 선체 바닥의 좌우 양쪽에 한 쌍 단위로 1개 단을 배치하되 선박의 전체 이중바닥에 적어도 3개 단이 배치되고,
    상기 제동모듈(4)은 엔진룸 전방(선수방향)으로 두번째 이중바닥구조(double bottom)에 한 쌍으로 1단, 엔진룸 전방으로 첫 번째 이중바닥구조에 한 쌍으로 2단, 선박의 무게중심이 되는 엔진룸 밑부분인 코파담(cofferdam)에 한 쌍으로 3단 총 6개 이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제동모듈(4)은 독립적이고 선택적으로 작동하며,
    상기 브레이크셀(2)은 그 높이가 상기 이중바닥구조의 높이로 제한되어 하면이 상기 이중바닥구조 중 바깥쪽 판(아래쪽 판)에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이중바닥구조 중 상기 바깥쪽 판의 수직 상방에 위치한 안쪽 판(위쪽 판)에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판(1)은 자중에 의한 하강전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하강전개시 전체 높이의 절반만 내려가 선체외부로 노출되며 나머지 절반은 상기 브레이크셀(2) 내부에 남아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바닥구조의 선박에 장착되는 수직판 전개식 유압브레이크.
KR1020090129404A 2009-12-21 2009-12-21 이중바닥구조의 선박에 장착되는 수직판 전개식 유압브레이크 KR10115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404A KR101159062B1 (ko) 2009-12-21 2009-12-21 이중바닥구조의 선박에 장착되는 수직판 전개식 유압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404A KR101159062B1 (ko) 2009-12-21 2009-12-21 이중바닥구조의 선박에 장착되는 수직판 전개식 유압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463A KR20110072463A (ko) 2011-06-29
KR101159062B1 true KR101159062B1 (ko) 2012-06-25

Family

ID=4440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404A KR101159062B1 (ko) 2009-12-21 2009-12-21 이중바닥구조의 선박에 장착되는 수직판 전개식 유압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0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697U (ja) * 1993-02-09 1994-08-30 曽部 和久 船舶用制動機構
KR20070026728A (ko) * 2007-02-12 2007-03-08 박중현 수중 제동 장치
JP2007253897A (ja) * 2006-03-24 2007-10-0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及び船舶の減速方法
KR20090067284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697U (ja) * 1993-02-09 1994-08-30 曽部 和久 船舶用制動機構
JP2007253897A (ja) * 2006-03-24 2007-10-0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及び船舶の減速方法
KR20070026728A (ko) * 2007-02-12 2007-03-08 박중현 수중 제동 장치
KR20090067284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463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0198A1 (zh) 超大型海洋浮式结构物的基础模块
JP5563103B2 (ja) ムーンプールにおける流動抵抗を軽減するための装置
HRP20140007T1 (hr) Brod i postupak za transportiranje i postavljanje offshore struktura
CN106985981B (zh) 高安全的大型水上浮式结构
CN105083471A (zh) 一种船舶定位锚系统
WO2007097611A1 (en) Semi-submersible vessel, method for operating a semi-submersibl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submersible vessel
CN1465500A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EP2864188B1 (en) Improved hull of a tugboat and tugboat comprising said improved hull
EP1242276A1 (en) Way as acronym for wave avoidance yacht
US20180297682A1 (en) Hybrid Ship Using Wind-Powered Propulsive Force as Auxiliary
US20150166149A1 (en) Semisubmersible with tunnel structure
KR101159062B1 (ko) 이중바닥구조의 선박에 장착되는 수직판 전개식 유압브레이크
CN2574992Y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US11052978B2 (en) Floating structure, and basic module of floating structure
US5325804A (en) Fuel-efficient watercraft with improved speed, stability, and safety characteristics
JP6975724B2 (ja) 大排水量船舶
JP4401346B2 (ja) 船舶機関室のダブルハル構造
CN113697026A (zh) 三体船
CN212556736U (zh) 一种海浪能动力拖挂船
CN101348162A (zh) 船舶吃水深度调节装置及具有该装置的运输船
CN206561925U (zh) 一种太阳能观光三体船
RU2603423C1 (ru) Морское самоходное самоподъемное крановое судно
CN1631722A (zh) 一种载重型双底船台
JPH07304490A (ja) 転覆防止船舶
JP2001122189A (ja) 上甲板に浮力体を有する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