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878B1 -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878B1
KR101158878B1 KR20100032423A KR20100032423A KR101158878B1 KR 101158878 B1 KR101158878 B1 KR 101158878B1 KR 20100032423 A KR20100032423 A KR 20100032423A KR 20100032423 A KR20100032423 A KR 20100032423A KR 101158878 B1 KR101158878 B1 KR 101158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ydraulic
gauge
compressed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2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081A (ko
Inventor
조항덕
윤민
김동환
김성룡
홍양일
Original Assignee
하나에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에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에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32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8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87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 플랜트에는 사용되는 압력계 또는 압력 스위치의 상태를 측정하여 관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1압력 계측기를 검사하는 제1테스트부, 유압을 공급하여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2압력 계측기를 검사하는 제2테스트부, 제1테스트부 또는 상기 제2테스트부를 제어하고 제1압력 계측기 및 제2압력 계측기를 검사한 결과 데이터를 검출하는 메인 컨트롤러,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검사 명령을 수행하고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며 상기 압력 계측기들의 이력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Apparatus to manage pressure gages}
본 발명은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 플랜트의 계측제어설비에 사용되는 압력계 또는 압력 스위치의 작동불량 상태를 측정하고 이들 측정된 데이터를 컴퓨터 장치로 이력을 관리하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 플랜트에는 많은 배관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배관들에는 다수의 압력계들과 압력 스위치들이 설치된다. 작업자들은 이들 압력계와 압력 스위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규정에 맞지 않는 경우에 교환을 하거나 또는 교정을 한다.
작업자들은 이들 압력계와 압력 스위치들의 정상여부를 수동으로 측정한 후 측정된 데이터를 측정 시트에 기록한다. 실제로 발전소 현장에서 사용 중인 각종 계측기들의 정상작동 여부를 측정하고 교정한다. 이러한 계측기의 검사 작업은 제작사들이 제공하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작업자는 검사 결과를 교정 시트에 수기로 기록한다.
따라서 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계측기들의 교정이력과 정비 사항 등을 기록하고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클 뿐만 아니라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측기의 정보를 검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수기로 기록된 교정 시트를 모두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 계측기들의 정상작동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검사 결과와 교정 전, 후의 데이터 그리고 교정한 내용 등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하여 정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정비 작업량을 감소시켜 원가 절감을 도모하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1압력 계측기를 검사하는 제1테스트부, 유압을 공급하여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2압력 계측기를 검사하는 제2테스트부, 상기 제1테스트부 또는 상기 제2테스트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압력 계측기 및 제2압력 계측기를 검사한 결과 데이터를 검출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검사 명령을 수행하고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며 상기 압력 계측기들의 이력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테스트부는 상기 제1압력 계측기가 결합되는 제1테스트 블록, 상기 제1테스트 블록을 통하여 상기 제1압력 계측기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 공급부, 상기 공압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표준 계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압 공급부는 에어 컴프레셔,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 관로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에 관로로 연결되어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폭시키는 에어 부스터, 상기 에어 부스터에 관로로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탱크,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에 관로로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 계측부에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압력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테스트부는 상기 제2 압력 계측기가 결합되는 제2테스트 블록, 유압 부스터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또 다른 에어 컴프레셔,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 리저버,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 의하여 구동되며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부스터, 상기 유압 부스터에 유압 관로로 연결되어 기준 게이지와 상기 제2테스트 블록을 통하여 상기 압력 스위치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공급된 유압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기준 게이지, 상기 오일 리저버와 상기 유압공급부를 연결하는 유압 관로에 설치되어 측정 중에는 상기 기준 게이지 및 상기 제2테스트 블록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측정 후에는 유압을 배기하는 유압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상기 압력 계측기들의 점검 이력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이력관리 프로그램 모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상기 압력 계측기의 정보, 설치 위치별 고유 식별번호, 운용 범위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계측기 관리 프로그램 모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압력계 또는 압력 스위치의 정상여부작동을 측정하는 것을 컨트롤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공급받아 처리 및 저장하는 측정 관리 프로그램 모듈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압력 계측기들의 상태를 점검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이력 관리를 함으로써 정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작업 공수를 줄여 원가 절감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압력계측기 관리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압력계측기 관리 장치의 주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공압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가 테스트 블록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유압으로 작동하는 압력스위치가 또 다른 테스트 블록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공압으로 구동하는 압력계의 상태를 계측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유압으로 구동하는 압력스위치의 상태를 계측하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컴퓨터 장치에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압력계를 점검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압력스위치를 점검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는 제1테스트부(1), 제2테스트부(3), 메인 컨트롤러(5), 그리고 이 메인 컨트롤러(5)에 연결되는 관리자 단말기(7)를 포함한다.
제1테스트부(1)는 발전 플랜트에서 사용하는 배관 내부의 기체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P)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테스트부(1)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테스트 블록(9), 공압 공급부(11), 그리고 표준 계측부(13)를 포함한다.
제1테스트 블록(9)에는 제1압력 계측기인 압력계(P)가 결합된다. 도 3은 제1테스트 블록(9)에 압력계(P)가 결합된 상태의 사진이다. 제1테스트 블록(9)에는 나사홈을 구비한 복수의 연결부가 제공되고 이 연결부에 압력계(P)가 결합된다.
제1테스트 블록(9)에는 공압 공급부(11)에 의하여 압축된 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1테스트 블록(9)에는 압축된 공기가 압력계(P)에 작용하도록 그 내부에 관로(도시생략)가 제공된다.
공압 공급부(11)는 제1테스트 블록(9)을 통하여 압력계(P)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공압 공급부(11)는 에어 컴프레셔(15), 레귤레이터(17), 에어 부스터(19), 압축공기 저장탱크(21), 필터(23)를 포함한다. 상술한 에어 컴프레셔(15), 레귤레이터(17), 에어 부스터(19), 압축공기 저장탱크(21), 그리고 필터(23)는 순차적으로 관로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컴프레셔(15)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레귤레이터(17)는 에어 컴프레셔(15)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에어 부스터(19)는 레귤레이터(17)를 통과하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축공기 저장탱크(21)는 레귤레이터(17)를 통과한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곳이다.
필터(23)는 압축공기 저장탱크(21)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표준 계측부(13)는 공압 공급부(11)에서 공급되는 공압을 조절하여 제1테스트 블록(9)에 공급한다. 즉, 표준 계측부(13)는 메인 컨트롤러(5)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압축 공기의 압력을 제1테스트 블록(9)에 공급한다.
표준 계측부(13)는 압축된 공기가 공급되면 그 압력을 체크하여 메인 컨트롤러(5)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준 계측부(13)에서 검출되는 공기의 압력은 기준압력으로 메인 컨트롤러(5)에서 기준 압력으로 사용된다.
즉, 표준 계측부(13)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압력은 검사 대상이 되는 압력계(P)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한편, 표준 계측부(13)에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압력 발생기(25)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압력 발생기(25)는 진공압을 표시하는 압력계(P)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압력계(P)에 진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축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또는 진공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압력계(P) 모두를 점검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제2테스트부(3)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며 제2압력 계측기인 압력 스위치(S)의 정상작동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압력 스위치(S)는 유압이 작용하여 일정한 압력이 되면 접점이 연결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제2테스트부(3)는 유압공급장치(12)에 의하여 압력 스위치(S)에 유압이 공급되어 검측을 수행한다. 제2테스트부(3)는 제2테스트 블록(27), 또 다른 에어 컴프레셔(29), 레귤레이터(31), 오일 리저버(33), 유압 부스터(35), 유압공급부(37), 기준 게이지(39), 그리고 유압배출부(41)를 포함한다.
제2테스트 블록(27)에는 압력 스위치(S)가 결합된다. 도 4는 제2테스트 블록(27)에 압력 스위치(S)가 결합된 상태의 사진이다. 제2테스트 블록(27)에는 나사홈을 구비한 복수의 연결부가 제공되어 압력 스위치(S)에 제공된 나사산부를 통하여 압력 스위치(S)가 용이하게 결합된다.
제2테스트 블록(27)에는 유압이 공급되고, 제2테스트 블록(27)에 공급된 유압이 압력 스위치(S)에 작용하도록 그 내부에 유압 관로(도시생략)가 제공된다.
또 다른 에어 컴프레셔(29)는 유압 부스터(35)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압축 공기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테스트부(3)에 별도의 에어 컴프레셔(19)가 제공되어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일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상술한 제1테스트부(1)에서 사용되는 에어 컴프레셔(15)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에어 컴프레셔(29)에서 나오는 압축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또 다른 레귤레이터(31)가 설치된다.
오일 리저버(33)는 유압원으로 사용되는 오일이 저장된다.
유압 부스터(35)는 상술한 에어 컴프레셔(29)에 의하여 구동되며 유압을 발생시킨다.
유압 부스터(35)는 유압 공급부(37)를 통하여 상술한 기준 게이지(39)와 제2테스트 블록(27)에 유압을 공급한다.
유압공급부(37)는 메인 컨트롤러(5)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된 유압을 기준 게이지(39)와 제2테스트 블록(27)에 공급한다.
기준 게이지(39)는 공급된 유압의 압력이 작용하고, 메인 컨트롤러(5)가 기준 게이지(39)에 작용하는 유압의 압력을 검출한다.
한편, 유압배출부(41)는 오일 리저버(33)와 유압공급부(37)를 연결하는 유압 관로에 설치되어 측정 중에는 유압을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며 측정 후에는 유압을 오일 리저버(33)로 배기한다.
메인 컨트롤러(5)는 제1테스트부(1)와 제2테스트부(3)를 선택하여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테스트부(1)와 제2테스트부(3)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기(7)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7)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메인 컨트롤러(5)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관리자 단말기(7)의 제어부에는 메인 컨트롤러(5)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들이 포함된다.
즉, 관리자 단말기(7)에는 압력계(P)와 압력 스위치(P)인 압력 계측기들의 점검 이력을 데이터 베이스(43)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이력관리 프로그램 모듈(45)이 제공된다.
이력관리 프로그램 모듈(45)은 입력된 점검 이력을 데이터 베이스(43)에서 로딩(loading)하는 이력 검색기능을 포함한다. 이력관리 프로그램 모듈(45)은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된 압력계(P) 또는 압력 스위치(S)의 점검 기록의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43)에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7)에는 압력 계측기의 정보, 설치 위치별 고유 식별번호, 운용 범위를 데이터 베이스(43)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계측기 관리 프로그램 모듈(47)이 제공된다.
계측기 관리 프로그램 모듈(47)은 압력계(P) 또는 압력 스위치(S)의 새로운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43)에서 기록, 수정, 삭제하거나 또는 저장된 상기 정보를 로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7)에는 압력계(P) 또는 압력 스위치(S) 등의 압력 계측기의 정상여부작동을 측정하는 것을 컨트롤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공급받아 처리 및 저장하는 측정 관리 프로그램 모듈(49)이 제공된다.
측정관리 프로그램 모듈(49)은 압력계(P) 또는 압력 스위치(S)의 점검 측정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43)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점검 측정 결과를 점검 기록표 양식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며, 점검 측정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측정관리 프로그램(49)은 압력계(P) 또는 압력 스위치(S)의 측정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43)에 로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7)에는 소프트웨어 설정 프로그램 모듈(50)이 제공된다. 소프트웨어 설정 프로그램 모듈(50)은 관리자 단말기(7)와 메인 컨트롤러(5) 사이의 통신을 위한 설정 기능을 가지며, 스케일(scale) 또는 옵셋(Offset) 등의 관리자 단말기(7)에 필요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7)에는,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화면에 이력관리모드(51), 계측기 관리모드(53), 측정모드(55), 소프트웨이 설정모드(56)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측정모드(51)는 압력계 측정부(57)와 유압 스위치 측정부(59)를 선택할 수 있게 표시된다.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7)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력관리모드(51)를 선택하게 되면, 이력 관리 프로그램 모듈(45)이 작동한다.
그리고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7)에 디스플레이되는 계측기 관리모드(53))를 선택하게 되면, 계측기 관리 프로그램 모듈(47)이 작동한다.
또한,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7)에 디스플레이되는 측정모드(55)를 선택하게 되면, 측정관리 프로그램 모듈(49)이 작동한다.
그리고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7)에 표시되는 측정모드 중에서 압력계 측정부(57)를 선택하면 제1테스트부(1)가 작동하고, 유압 스위치 측정부(59)를 선택하면 제2테스트부(3)가 작동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에 의하여 공압으로 작동하는 압력계(P)와 유압으로 작동으로 압력 스위치(S)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테스트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을 통하여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압력계(P)의 정상작동여부를 점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리자는 검사하고자하는 압력계(P)를 제1테스트 블록(9)에 결합한다.
그리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7)에서 측정모드(5)의 압력계 측정부(57)를 선택한다.
그러면 측정관리 프로그램 모듈(47)은 측정에 필요한 압력계(P)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43)에서 로딩한다(S1).
그리고 관리자는 계측기 목록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계(P)를 선택한다.
그리고 측정 관리 프로그램 모듈(49)은 목표로 하는 압력을 제1테스트 블록에 공급할 수 있도록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5)에 전송한다. 그러면 메인 컨트롤러(5)는 목표 압력의 공압이 표준 계측부(13)를 통하여 제1테스트 블록(9)에 공급되도록 표준 계측부(13)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관리자 단말기(7)를 통하여 표준 계측부(13)의 압력 측정을 3단계, 5단계, 또는 11단계로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압력측정범위의 최대치의 압력을 설정하여 압력을 감소시키면서 단계별로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공압 공급부(11)에서 목표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는 표준 계측부(13)를 통하여 제1테스트 블록(9)으로 공급된다(S3). 이때 표준 계측부(13)가 목표 압력에 맞도록 압축 공기의 압력을 제어한다(S5).
제1테스트 블록(9)으로 공급된 압축 공기는 관로를 통하여 압력계(P)로 공급된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5)는 관리자 단말기(7)의 측정관리 프로그램 모듈(49)에서 보내준 목표 압력과 표준 계측부(13)에 작용하는 압력이 동일한가를 판단한다(S7).
목표 압력과 표준 계측부(13)의 압력을 비교하여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압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상술한 S5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목표 압력과 표준 계측부(13)의 압력을 비교하여 만족하는 경우에 메인 컨트롤러(5)는 압력계(P)에서 작용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여 입력하거나 또는 관리자가 현재에 작용하는 압력에서 압력계(P)의 눈금을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입력한다(S9).
관리자 단말기(7)에서 전송된 여러 단계의 목표 압력을 만족할 때까지 상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7)에서 압력계(P)의 압력 측정을 3단계, 5단계, 또는 11단계로 선택한 수 만큼 반복하여 상술한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S11).
압력계(P)의 압력 지시값이 표준 계측부(13)와 차이가 있는 경우에, 관리자는 단계적으로 압력을 선택하여 압력계(P) 압력 지시값이 표준 계측부(13)와 같은 수치를 나타내도록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여 교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7)에서 지정한 다단의 압력으로 압력계(P)의 상태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입력장치(도시생략)를 통하여 데이터 베이스(43)에 저장한다(S13).
유압으로 작동하는 압력 스위치(S)의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리자는 검사하고자하는 압력 스위치(S)를 제2테스트 블록(27)에 결합한다. 그리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7)에서 측정모드(5)의 압력 스위치 측정부(59)를 선택한다.
물론, 관리자는 이력관리모드(51) 또는 계측기 관리모드(53)를 먼저 선택하여 데이터 베이스(43)로부터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 스위치(P)의 이력에 관한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7)에서 압력계 측정부(57)를 선택하고 정상작동여부를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 스위치(S)에 관한 이력 및 점검 등에 관한 정보와 점검 측정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압력과 저항값 등) 데이터를 로딩한다(S31).
그리고 관리자는 계측기 목록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 스위치(S)를 선택한다.
그러면 측정 관리 프로그램 모듈(49)이 구동된다. 측정 관리 프로그램 모듈(49)은 목표로 하는 목표 압력 값을 메인 컨트롤러(5)에 전송한다(S33).
여기에서 세팅되는 유압의 ±20%에 해당하는 압력을 목표 압력으로 하여 메인 컨트롤러(5)에 전송한다.
그러면 메인 컨트롤러(5)는 유압공급부(37) 및 유압배출부(41)를 제어하여 목표 압력으로 기준 게이지(39) 및 제2테스트 블록(27)에 유압을 공급한다(S35).
그러면 기준 게이지(39)는 유압이 작용함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 출력 저항 값을 메인 컨트롤러(5)에 전송한다.
메인 컨트롤러(5)는 세팅 저항값과 기준 게이지(39)의 출력 저항값을 비교(S37)하여 세팅 저항값과 맞지 않는 경우 상술한 S35단계로 리턴시킨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5)는 세팅 저항값과 기준 게이지의 출력 저항값을 비교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압력 스위치(S)의 출력 저항값 및 출력 압력을 검출한다(S39).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5)는 압력 스위치(S)에서 검출된 출력 저항값과 출력 압력값을 관리자 단말기(7)에 전송하여 데이터 베이스(43)에 기록한다(S41).
또한, 본 발명은 압력 스위치(S)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초기 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관리자는 압력 스위치(S)를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스위치(S)가 메인 컨트롤러(5)와 교정 신호를 통하여 교정이 가능한 구조인 경우에는 단지 메인 컨트롤러(5)의 제어에 의하여 간단하게 압력 스위치(S)를 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전 플랜트에서 사용되는 압력계(P) 또는 압력 스위치(S)의 상태를 점검하고 점검 상태에 따라 이들을 교정함은 물론 교정된 내용과 압력계(P)와 압력 스위치(S)에 관련된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기록하고 보관함으로 점검 작업의 공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여 압력계와 압력 스위치(S)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1. 제1테스트부, 3. 제2테스트부,
5. 메인 컨트롤러, 7. 관리자 단말기,
9. 제1테스트 블록, 11. 공압 공급부,
13. 표준 계측부, 15. 에어 컴프레셔,
17. 레귤레이터, 19. 에어 부스터,
21. 압축공기 저장탱크, 23. 필터,
25. 진공압력 발생기, 27. 제2테스트 블록,
29. 에어 컴프레셔, 31. 레귤레이터,
33. 오일 리저버, 35. 유압 부스터,
37. 유압공급부, 39. 기준 게이지,
41. 유압배출부, 43. 데이터 베이스,
45. 이력관리 프로그램 모듈, 47. 계측기관리 프로그램 모듈,
49. 측정관리 프로그램 모듈, 51. 이력관리모드,
53. 계측기 관리모드, 55. 측정모드,
57. 압력계 측정부, 59. 유압스위치 측정부,

Claims (8)

  1.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1압력 계측기를 검사하는 제1테스트부;
    유압을 공급하여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2압력 계측기를 검사하는 제2테스트부;
    상기 제1테스트부 또는 상기 제2테스트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압력 계측기와 제2압력 계측기를 검사한 결과 데이터를 검출하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검사 명령을 수행하고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며 상기 압력 계측기들의 이력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테스트부는
    상기 제1압력 계측기가 결합되는 제1테스트 블록,
    상기 제1테스트 블록을 통하여 상기 제1압력 계측기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 공급부,
    상기 공압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표준 계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준 계측부에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압력 발생기를 포함하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압 공급부는
    에어 컴프레셔,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 관로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압축된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에 관로로 연결되어 압축 공기의 압력을 증폭시키는 에어 부스터,
    상기 에어 부스터에 관로로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 저장탱크,
    상기 압축공기 저장탱크에 관로로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를 포함하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테스트부는
    상기 제2 압력 계측기가 결합되는 제2테스트 블록,
    유압 부스터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또 다른 에어 컴프레셔,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 리저버,
    상기 에어 컴프레셔에 의하여 구동되며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 부스터,
    상기 유압 부스터에 유압 관로로 연결되어 기준 게이지와 상기 제2테스트 블록을 통하여 상기 압력 스위치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공급된 유압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기준 게이지,
    상기 오일 리저버와 상기 유압공급부를 연결하는 유압 관로에 설치되어 측정 중에는 상기 기준 게이지 및 상기 제2테스트 블록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측정 후에는 유압을 배기하는 유압배출부,
    를 포함하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상기 제1압력 계측기와 제2압력 계측기의 점검 이력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이력관리 프로그램 모듈이 제공되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상기 제1압력 계측기와 제2압력 계측기의 정보, 설치 위치별 고유 식별번호, 운용 범위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계측기 관리 프로그램 모듈이 제공되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는
    상기 제1압력 계측기와 제2압력 계측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것을 컨트롤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공급받아 처리 및 저장하는 측정 관리 프로그램 모듈이 제공되는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KR20100032423A 2010-04-08 2010-04-08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KR101158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2423A KR101158878B1 (ko) 2010-04-08 2010-04-08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2423A KR101158878B1 (ko) 2010-04-08 2010-04-08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081A KR20110113081A (ko) 2011-10-14
KR101158878B1 true KR101158878B1 (ko) 2012-06-26

Family

ID=45028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2423A KR101158878B1 (ko) 2010-04-08 2010-04-08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16U (ko) * 2016-11-22 2018-05-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다용도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53B1 (ko) * 2012-08-10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테스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713A (ja) * 1994-08-30 1996-03-12 Nagano Keiki Seisakusho Ltd 圧力計器校正装置
KR20010110877A (ko) * 2000-06-09 2001-12-15 이구택 분동식 압력계의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713A (ja) * 1994-08-30 1996-03-12 Nagano Keiki Seisakusho Ltd 圧力計器校正装置
KR20010110877A (ko) * 2000-06-09 2001-12-15 이구택 분동식 압력계의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616U (ko) * 2016-11-22 2018-05-3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다용도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081A (ko) 201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571B1 (ko) 누설 검사 장치 및 방법
EP2725335B1 (en) Method and device for verification and/or calibration of a pressure sensor
US10101022B2 (en)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fluid utilization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101395739B1 (ko) 가스미터 누설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481658B1 (ko) 가스센서 자동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158878B1 (ko) 압력 계측기 관리 장치
KR101449809B1 (ko) 휴대용 가스압력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EP2428777B1 (en) A method of operating an ultrasonic gas flow meter and an ultrasonic gas flow meter
KR101783563B1 (ko) 산업용 설비의 안전변 테스트 장치
KR101453616B1 (ko) 서보밸브의 정특성 진단장치
KR101494167B1 (ko) 에어 전송용 솔레노이드 밸브 시험장비
KR101093165B1 (ko) 압력계측기 시험 시스템
KR101741112B1 (ko) 자동화 설비의 계측기기 보정을 위한 교정 시스템
US20200292374A1 (en)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pipettes
JP6650734B2 (ja) 容積測定方法とそれを用いた気密・漏洩試験方法
JP2012047588A (ja) デジタル土壌物理性計測装置
KR20080069368A (ko) 압력게이지 검사장치
Benton Compressed air evaluation protocol
KR101761898B1 (ko) 계측기기의 추이 분석 및 자동 보정 방법
KR101103904B1 (ko) 지능형 압력전송기의 시험 및 교정 장치
JP4742548B2 (ja) 液化ガスタンクの監視方法及び監視装置
CN111781304A (zh) 天然气在线水露点仪的校准方法
KR20170123880A (ko) 가스검출센서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중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0217156A (ja) デジタル土壌物理性計測装置
KR20100099120A (ko) 독립적인 진동기들의 모니터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