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373B1 - 무선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373B1
KR101158373B1 KR1020050115090A KR20050115090A KR101158373B1 KR 101158373 B1 KR101158373 B1 KR 101158373B1 KR 1020050115090 A KR1020050115090 A KR 1020050115090A KR 20050115090 A KR20050115090 A KR 20050115090A KR 101158373 B1 KR101158373 B1 KR 10115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eived
reception
control means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610A (ko
Inventor
다케시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6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무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이나 무선단말국 등의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무선통신장치의 기지국 내에 구비된 송수신기 (30) 는, 제어회로 (32) 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 (112) 에 설정된 시간마다,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RSSI 값과 설정값을 비교하고, RSSI 값이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에 제어회로 (32) 를 동작시켜, 수신된 수신신호를 복조한 수신데이터를 제어회로 (32) 에 송출하고, 설정값을 송수신 수단에 설정할 때와 수신전파 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때 수신데이터를 해석하는 구성을 가진다.
무선통신 장치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도 1 은 실시예에서의 송수신기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큐리티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송수신기 내의 타이머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송수신기 내의 판정부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도 2 에 도시된 제어회로 내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7 은 도 2 에 도시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8 은 도 2 에 도시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9 는 기지국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의 송수신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 은 도 10 에 도시된 기지국 내의 타이머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2 는 도 10 에 도시된 기지국 내의 비교부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3 은 도 9 에 도시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14 는 도 9 에 도시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15 는 기지국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을 나타낸 블록도.
도 16 은 도 15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기지국 내의 송수신기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7 은 도 15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기지국 내의 타이머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8 은 도 15 에 도시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19 는 도 15 에 도시된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큐리티 네트워크 시스템 20 : 기지국
24 : 무선단말 100 : RF 회로
102 : RSSI 변환회로 104 : 복조기
106 : 변조기 108 : 호스트 IF
110 : 판정부 112 : 타이머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63452호
본 발명은, 무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이나 무선 단말국 등의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송수신장치가 있는 모기기(母器機)측 무선국 (기지국) 과, 센서 등이 있는 자기기(子器機)측 무선국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여, 예를 들어 센서로 검출된 정보를 자기기로부터 모기기의 무선국에 송신하는 시큐리티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관하여, 예를 들어 사단법인 전파산업회에서는 전력절감 시큐리티 시스템의 무선국 무선설비에 관해 표준규격을 책정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국의 무선설비는, 예를 들어 무선신호의 송수신장치와 제어장치를 갖고, 방범 시스템이나 비상연락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 내의 자기기측의 무선단말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며, 기지국은 일정시간마다 수신동작을 개시한다. 무선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기지국이 수신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에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무선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그러나, 송수신장치와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무선국에서는 송수신장치와 제어장치가 항상 함께 동작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화에 맞지 않았다. 예를 들어, 모기기 및 자기기를 전지 구동하는 경우에는 한층 더 저소비 전력화가 필요하였다.
종래 기술문헌 1 에서는, 전계 강도의 레벨이 소정값 이상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함으로써 무선통신 기능을 오프상태로 하는 정보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통신부와 제어부를 별개의 반도체칩으로 구성한 경우에 대한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하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여, 무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이나 무선 단말국 등의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그 무선통신장치는, 타국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송수신수단과, 송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송수신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송수신수단은, 제어수단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수단과, 타이머수단에 설정된 시간마다,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 시의 수신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신호를 생성하는 수신강도 생성수단과, 강도신호와 소정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강도신호가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에 의해 판정된 판정 결과가, 강도신호가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고,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복조한 수신데이터를 제어수단에 송출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제어수단은, 설정값을 송수신수단에 설정하는 설정 시 및 수신전파 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때에, 수신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은 각각 별도의 반도체 칩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 그 장치는,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와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 데이터와 설정값이 일치하는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접속수단을 통하여 제어수단에 비교결과를 통지하는 비교수단으로서,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데이터를 접속수단을 통하여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상기 비교수단을 포함하면 된다. 이 경우, 제어수단으로부터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입력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강도신호가 설정값보다도 낮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 저장수단은 그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수신수단에 차례로 송출하고, 데이터의 송출이 완료되면 접속수단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출 완료를 제어수단에 통지하며, 저장수단은 또한 제어수단에 다음으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데이터를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면 된다. 또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저장수단에 없는 경우에는 타이머수단의 시간계측 만료를 기다려 송신동작을 종료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장치의 무선통신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장치는, 타국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송수신수단과, 송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송수신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그 방법은, 제어수단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공정과, 타이머공정에 설정된 시간마다,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 시의 수신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신호를 생성하는 수신강도 생성공정과, 강도신호와 소정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강도신호가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공정과, 판정공정에서 판정한 판정 결과가, 강도신호가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고,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복조하여 얻어지는 수신데이터를 제어수단에 송출하는 접속공정을 포함하며, 설정값을 송수신수단에 설정하는 설정 시 및 수신전파 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때에, 제어수단을 동작시켜 수신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와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 데이터와 설정값이 일치하는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제어수단에 비교결과를 통지하고,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데이터를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비교공정을 포함하면 된다. 또한, 제어수단으로부터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입력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공정을 포함하며, 저장공정은, 강도신호가 설정값보다도 낮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송수신수단에 차례로 송출하고, 데이터의 송출이 완료되면 데이터의 송출 완료를 제어수단에 통지하고, 제어수단에 다음으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데이터를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면 된다. 이 경우 추가로, 저장공정은, 송출해야 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경우에는 타이머공정의 시간계측 만료를 기다려 송신동작을 종료시키면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다음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시큐리티 네트워크 시스템 (10) 의 시스템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부분은 도시 및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신호의 참조부호는 그 나타낸 접속선의 참조번호로 표시한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시큐리티 네트워크 시스템 (10) 은 예를 들어 소전력 시큐리티 시스템의 무선설비 중 모기기로서 기능하는 기지국 (20) 과, 기지국 (20) 의 안테나 (22) 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기지국 (20) 으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복수의 무선단말 (24) 을 포함하며, 무선단말 (24) 은 자기기로서 기능한다. 시스템 (10) 은 이들 기지국 (20) 및 무선단말 (24) 에 의해 화재나 도난 등 비상시의 통보를 행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20) 과 무선단말 (24) 은 무선통신으로 접속된다. 무선단말 (24) 에는 각각 이상(異常)을 검지하는 센서 등이 구비되고, 검지한 이상을 나타내는 이상정보를 기지국 (20) 에 송신한다. 기지국 (20) 은, 무선단말 (24) 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면, 예를 들어 경보를 발하거나 또한 이상정보의 내용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설비에 이상정보를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20) 으로부터 송신되는 폴링 신호에 응답하여, 무선단말 (24) 에 의해 검출된 정보가 무선단말 (24) 로부터 송신되고, 이것을 기지국 (20) 에서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기지국 (20) 과 무선단말 (24) 은 AC 전원에 의한 구동뿐만 아니라 배터리에 의한 구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무선단말 (24) 및 기지국 (20) 은, 이상 등의 감시를 위해, 특히, 저소비 전력화가 가능한 저소비 전력회로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이 저소비 전력회로 방식을 기지국 (20) 에 적용한 경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기지국 (2O) 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 (20) 은, 무선통신을 행하는 송수신기 (30) 와 호스트측의 제어회로 (32) 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송수신기 (30) 와 제어회로 (32) 는 각각 별도의 반도체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 (32) 는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채용할 수 있으며, 저소비 전력화를 위한 스탠바이 모드 (슬립 모드) 등을 갖는 반도체 프로세서이다.
다음으로, 도 1 을 참조하면, 이 도면에는 송수신기 (30) 의 내부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송수신기 (30) 는, 안테나 (22) 에 접속된 RF 회로 (100) 와, RF 회로 (100) 에 접속된 RSSI 변환회로 (102), 복조기 (104), 변조기 (106) 및 타이머 (112) 를 포함한다. 타이머 (112) 의 출력은 또한 RSSI 변환회로 (102) 및 판정부 (11O) 에 접속되어 있다. 판정부 (110) 는 RSSI 변환회로 (102) 의 출력에 접속됨과 함께 호스트 IF (108) 에 접속되어 있다.
RF 회로 (100) 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주파회로이고, 송신시에 변조기 (106) 로부터 입력되는 송신데이터를 RF 신호로서 안테나 (22) 에서 출력시키고, 수신 시에 복조기 (104) 에 수신데이터를 아날로그 파형으로 출력한다. 동시에, RF 회로 (100) 는 RSSI 변환회로 (102) 에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RSSI 변환회로 (102) 는, RF 회로 (100) 에서 주어지는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고, 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정보의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 (114) 으로 판정부 (110) 에 출력한다.
복조기 (104) 는, RF 회로 (100) 에서 수신신호를 아날로그로 입력하고, 이 수신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호스트 IF (108) 에 출력하는 복조기이다.
변조기 (106) 는, 송신시 호스트 IF (108) 에서 주어지는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하여 RF 회로 (100) 에 출력하는 변조기이다.
호스트 IF (108) 는 제어회로 (32 ; 도 2) 와의 인터페이스를 취하여, 제어회로 (32) 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기 (104) 및 변조기 (106) 의 각 모듈로 전송하고, 또한, 각 모듈로부터 제어회로 (32) 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호스트 IF (108) 에는 타이머 (112) 및 판정부 (110) 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타이머 (112) 의 내부 구성예를 도 4 에 나타내면, 타이머 (112) 는 카운터 (120) 와 스톱타이머 (122) 와 스타트타이머 (124) 를 포함한다. 카운터 (120) 는 스톱타이머 (122) 로부터 출력되는 RSSI/IF 정지신호를, 입력하는 카운트값의 초기값으로 되돌려 카운트를 재개하는 업 카운터이다.
스톱타이머 (122) 는 호스트 IF (108) 를 통하여 설정값이 설정되며, 이 설정값이 설정되면 카운터 (120) 의 카운트값과 설정값이 일치하였을 때 정지신호 (126) 를 출력하는 시간계측 회로이다.
스타트타이머 (124) 는 호스트 IF (108) 를 통하여 설정값이 설정되며, 이 설정값이 설정되면 카운터 (120) 의 카운트값과 설정값이 일치하였을 때 동작신호 (128) 를 출력하는 시간계측 회로이다.
다음으로, 도 5 를 참조하면, 이 도면에는 판정부 (110) 의 내부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RSSI 기억회로 (130) 는, 수신 시에 송수신기 (30) 내의 RSSI 변환회로 (102) 에서 수신데이터의 전파강도를 나타내는 RSSI 값 (114) 이 입력되어 이 값을 유지하는 기억회로이다.
비교기 (132) 는, 설정값 입력회로 (134) 로부터의 출력과 RSSI 기억회로 (130) 로부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RSSI 기억회로 (130) 의 출력쪽이 클 때 RSSI 검출결과를 출력 (116) 에 출력하는 비교회로이다. 이 출력 (116) 은 호스트 IF (108 ; 도 1) 에 접속되어 있다.
설정값 입력회로 (134) 는, 송수신기 (30) 내의 호스트 IF (108) 를 통하여 RSSI 값을 비교하기 위한 설정값 (비교값) 을 입력하고 이 설정값을 유지함과 함께 그 설정값을 비교기 (132) 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6 을 참조하면, 이 도면에는 제어회로 (32) 의 구성예가 나타나 있다. 이 제어회로 (32) 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수신기 (30) 와는 별도의 반도체칩으로 형성되어 있고, 범용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적용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머 (150) 는, 일정 기간을 카운트하여 제어부 (152) 에 카운트 만료를 통지하는 시간계측 회로이다. 제어부 (152) 는 데이터송신, 데이터수신 및 송수신 OFF 등의 송수신기 (30)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호스트 IF (154) 를 통하여 송수신기 (30) 를 제어한다. 호스트 IF (154) 는 송수신기 (30) 에 배치된 호스트 IF (108) 에 접속되어 송수신신호나 제어정보를 주고받는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판정부 (156) 는, 송수신기 (30) 로부터 입력되는 수신전파 강도가 데이터를 수신할 만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기능부이다. 수신전파 강도가 충분히 있는 경우에 제어부 (152) 에 수신요구를 발행하여 수신동작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기지국 (20) 의 동작을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 에는 기지국 (20) 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가 나타나 있다.
먼저, 단계 S700 에서 제어회로 (32) 로부터 송수신기 (30) 의 타이머 (112) 내의 각 타이머 (122, 124) 를 설정하고, 이어지는 단계 S702 에서는 판정부 (110) 에서 RSSI 비교값 (설정값) 을 설정하고, 다시, 단계 S704 로 진행하여 타이머 (112) 의 타이머 동작을 개시한다. 이 때, 정지신호 (126) 가 스톱타이머 (122) 로부터 출력되어, 이것이 판정부 (110) 및 호스트 IF (108) 를 통하여 제어회로 (32) 에 통지됨으로써 제어회로 (32) 는 스탠바이가 되어 동작정지상태가 된다.
단계 S706 에서는, 카운터 (120) 의 출력과 스타트타이머 (124) 의 설정값이 일치 (타이머 만료) 하는지 아닌지 판정되고, 일치한 경우 ("예") 에 스타트타이머 (124) 가 동작신호 (128) 를 출력한다 (단계 S708). 이 동작신호 (128) 를 받아 RF 회로 (100) 는 수신동작을 개시하고, 단계 S710 에서 수신전파를 검지하면 RSSI 변환회로 (102) 에 수신전파 강도를 송출한다.
여기에서, 도 8 에 나타낸 단계 S800 으로 진행하여, 수신전파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802 로 진행하고, 수신전파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810 로 진행한다. 단계 S802 에서는, 판정부 (110) 에서 비교판정한 결과가 "RSSI 값>설정값" 이 되었을 때 그 판정결과를 호스트 IF (108) 에 통지한다. 호스트 IF (108) 는 판정결과를 제어회로 (32) 에 송신함으로써 제어회로 (32) 가 동작을 개시한다. 동시에, 복조기 (104) 에서 호스트 IF (108) 에 수신데이터를 송부하고, 호스트 IF (108) 는 마찬가지로 제어회로 (32) 에 송출한다. 제어회로 (32) 는 수신데이터를 검출하여 처리한다 (단계 S804~S808).
단계 S800 에서 수신전파가 없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판정부 (110) 에서 RSSI 값 (114) 이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판정부 (110) 로부터 RSSI 값의 판정결과가 통지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회로 (32) 는 동작정지를 계속한다. 그리고, 단계 S810 에서 카운터 (120) 의 출력과 스톱타이머 (122) 의 설정값이 일치하면 (단계 S810), 스톱타이머 (122) 는 정지신호 (126) 를 출력하여 수신동작을 정지시키고 (단계 S812), 이로 인해 제어회로 (32) 도 동작을 정지한다. 그 후 카운터 (120) 의 카운트값을 클리어하여 다음 타이머 만료를 기다린다 (단계 S81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머 (112) 에 설정된 시간마다 정기적으로 RSSI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로부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검출하였을 때에만 제어부 (32) 를 동작시켜 수신데이터를 제어부 (32) 에 송출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어회로 (32) 를 송수신기 (30) 의 타이머 및 RSSI 비교값의 설정 시 그리고 수신전파 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때에, 제어회로 (32) 에서 수신데이터 해석만 행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시큐리티 네트워크 시스템 (10 ; 도 3) 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에 나타낸 기지국 (90) 을 채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기지국은, 도 2 에 나타낸 기지국 (20) 과 마찬가지로 제어회로 (32) 를 갖고, 이 제어회로 (32) 에 송수신기 (92) 가 접속되어 있다.
송수신기 (92) 의 내부 구성예를 도 10 에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신기 (92) 는, 도 1 에 나타낸 송수신기 (30) 의 타이머 (112) 대신에 타이머 (94) 를 구비하고, 호스트 IF (108) 대신에 호스트 IF (96) 를 구비하며, 또한 비교부 (98) 를 추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호스트 IF (96) 는, 도 1 에 나타낸 호스트 IF (108) 의 기능구성에 비교부 (98) 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타이머 (94) 의 내부 구성예를 도 11 에 나타낸다. 타이머 (94) 는, 도 4 에 나타낸 타이머 (112) 에 추가로 비교스톱타이머 (1100) 를 구비하고 있다. 비교스톱타이머 (1100) 는 호스트 IF (96) 를 통하여 설정값이 설정되면 카운터 (120) 로부터의 카운트값 입력과 설정값이 일치하였을 때 복조기 정지신호 (1102) 를 출력한다. 이 복조기 정지신호 (1102) 는 복조기 (104), RSSI 변환회로 (102), 판정부 (110) 및 비교부 (98) 에 입력된다.
다음으로, 비교부 (98) 내부 구성예를 도 12 에 나타낸다. 비교부 (98) 는, 복조데이터 유지회로 (1200) 와, 비교기 (1202) 와, 비교값 입력회로 (1204) 와, 데이터출력기 (1206) 를 포함한다.
복조데이터 유지회로 (1200) 는, 수신 시에 복조기 (104 ; 도 10) 로부터 입력되는 복조데이터를 유지하는 회로이다. 복조데이터 유지회로 (1200) 는, 도시하지 않는 내부클록에 동기하여 비교기 (1202) 및 데이터출력기 (1206) 에 유지한 복조데이터를 출력한다.
비교기 (1202) 는, 수신 시에 복조데이터 유지회로 (1200) 로부터의 복조데이터와 비교값 입력회로 (1204) 로부터의 비교데이터를 비교하는 회로이다. 비교기 (1202) 는 복조데이터와 비교데이터가 일치한 경우에 복조데이터 비교결과 (1208) 를 출력한다. 비교기 (1202) 의 이 출력 (1208) 은 호스트 IF (96) 에 접속되어, 복조데이터 비교결과 데이터가 제어회로 (32) 에 송출된다.
비교값 입력회로 (1204) 는, 호스트 IF (96) 를 통하여, 복조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설정값이 설정되어 이것을 유지하는 데이터 유지용 회로이며, 설정값을 비교기 (1202) 에 출력한다.
데이터출력기 (1206) 는, 수신 시에 비교기 (1202) 에서 출력되는 복조데이터 비교결과 (1208) 를, 출력 인에이블을 나타내는 인에이블 신호로서 입력하고, 인에이블 상태가 되면, 복조데이터 유지회로 (1200) 로부터의 복조데이터를 호스트 IF (92) 를 통하여 제어회로 (32) 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기지국 (90) 의 동작을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 에는 기지국 (90) 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가 나타나 있다.
제어회로 (32) 에서, 송수신기 (92) 의 제어데이터 (타이머값 (단계 S1300), RSSI 비교값 (단계 S1302), 복조비교데이터값 (단계 S1304)) 을 설정하고, 이어지는 단계 S1306 에서 타이머 (94) 의 타이머동작을 개시한다. 이 때, 정지신호 (126) 가 스톱타이머 (122) 에서 출력되고, 이것이 판정부 (110) 및 호스트 IF (96) 를 통하여 제어회로 (32) 에 통지됨으로써 제어회로 (32) 는 스탠바이가 되어 동작정지가 된다.
송수신기 (92) 는 카운터 (120) 의 출력과 스타트타이머 (124) 의 설정값이 일치 (타이머 만료) 하면 (단계 S1308), 단계 S1310 으로 진행하여 스타트타이머 (124) 로부터 동작신호 (128) 가 출력된다. 동작신호 (128) 를 받으면 RF 회로 (100) 는 수신동작을 개시하고, RF 회로 (100) 는 RSSI 변환회로 (102) 로 수신전파 강도를 송출한다. 이 때, 판정부 (110) 에서 비교한 결과가 "RSSI 값>설정값" 이 되면 (단계 S1312), 도 14 에 나타낸 단계 S1400 으로 진행하여 복조기 (104) 를 동작시켜 수신신호의 복조를 개시하고, 복조한 데이터를 비교부 (98) 에 출력한다. 단계 S1312 에서, RSSI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4 에 나타낸 단계 S1410 로 진행하여, 복조기 (104) 는 타이머 (94) 에서 공급되고 있는 정지신호 (126) 에 의해 동작하지 않고 정지상태가 계속된다.
수신데이터가 비교부 (98) 에 입력되면, 비교부 (98) 에서는 복조데이터 유지회로 (1200) 의 출력과 비교값 입력회로 (1204) 의 설정값을 비교기 (1202) 로 비교하고 (단계 S1402), 그 비교가 일치한 시점에서 복조데이터 비교결과 (1208) 를 호스트 IF (96) 에 출력한다. 이와 함께 데이터출력기 (1206) 로부터 복조데이터를 호스트 IF (96) 에 출력한다. 호스트 IF (96) 는 비교기 (1202) 로부터 공급되는 복조데이터 비교결과 (1208) 에 의해 복조데이터를 제어회로 (32) 에 송출한다.
제어회로 (32) 는, 복조데이터를 송수신기 (92) 로부터 수신하면 기동되고, 제어회로 (32) 로부터 송출한 데이터를 송수신기 (92) 에 출력하며 (단계 S1404), 또한, 수신한 복조데이터를 처리한다 (단계 S1406).
이어서, 단계 S1408 로 진행하여 카운터 (120) 의 출력과 비교스톱타이머 (1100) 의 설정값이 일치하면, 비교스톱타이머 (1100) 가 복조기 정지신호 (1102) 를 출력한다 (단계 S1410). 이 복조기 정지신호 (1102) 에 의해 복조기 (104) 및 비교부 (98) 의 동작이 정지되고, 다시, 제어부 (32) 도 동시에 정지된다. 그 후, 카운터 (120) 의 출력과 스톱타이머 (122) 의 설정값이 일치하면 (단계 S1412), 스톱타이머 (122) 로부터 정지신호 (126) 가 출력되어 (단계 S1414), 수신동작이 정지된다. 그 후, 카운터 (120) 의 카운트값을 클리어하여 다음 타이머 만료를 기다린다 (단계 S1416).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머 (94) 에 설정된 시간마다 정기적으로 RSSI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해 설정값보다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검 출하였을 때 복조기 (104) 를 동작시키고, 복조기 (104) 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와 비교부 (98) 에서 설정된 비교값이 일치하였을 때, 호스트 IF (96) 를 통하여 제어회로 (32) 에 복조데이터 비교결과 (1208) 를 통지하고, 다시, 수신데이터의 복조데이터를 제어부 (32) 에 전송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신전파 강도가 일정치를 초과한 경우에도 복조데이터가 원하는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 제어회로 (32) 의 동작을 계속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어회로 (32) 가 동작하는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어, 저소비 전력화를 더욱더 꾀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 데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오동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시큐리티 네트워크 시스템 (10 ; 도 3) 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 에 나타낸 기지국 (1500) 을 채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기지국 (1500) 은 도 2 및 도 9 에 나타낸 기지국 (20 및 90) 과 동일한 제어회로 (32) 를 갖고, 이 제어회로 (32) 에 송수신기 (1502) 가 접속되어 있다.
송수신기 (1502) 의 내부 구성예를 도 16 에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신기 (1502) 는, 도 10 에 나타낸 송수신기 (92) 의 타이머 (94) 대신에 타이머 (1600) 를 구비하고, 호스트 IF (96) 대신에 호스트 IF (1602) 를 구비하며, 또한, 데이터 저장부 (1604) 를 추가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호스트 IF (1602) 는, 도 10 에 나타낸 호스트 IF (96) 의 기능구성에, 데이터 저장부 (1604) 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데이터 저장부 (1604) 는, 송신데이터를 유지하는 기억회로이고, 호스트 IF (1602) 를 통하여 제어회로 (32) 로부터 설정된다. 데이터 저장부 (1604) 는, 송수신기 (1502) 가 송신모드로 이행하면,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수동적으로 차례로 변조기 (106) 에 송출한다. 송출 완료되면 데이터저장부 (1604) 는 호스트 IF (1602) 를 통하여 제어회로 (32) 에 송출 완료를 통지한다.
다음으로, 타이머 (1600) 의 내부 구성예를 도 17 에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머 (1600) 는, 도 11 에 나타낸 타이머 (94) 에 추가로 송신스톱타이머 (1700) 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스톱타이머 (1700) 는 호스트 IF (1602) 를 통하여 설정값이 설정되면, 카운터 (120) 로부터의 카운트값 입력과 설정값이 일치하였을 때 변조기 정지신호 (1702) 를 출력한다. 이 변조기 정지신호 (1702) 는 변조기 (106) 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기지국 (1500) 의 동작을 도 18 및 도 1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 에는 기지국 (1500) 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회로 (32) 에서, 송수신기 (1502) 의 제어데이터 (타이머값 (단계 S1800), RSSI 비교값 (단계 S1802), 복조비교데이터값 (단계 S1804), 송신데이터 (단계 S1806)) 를 설정하고, 이어지는 단계 S1808 에서 타이머 (1600) 의 타이머 동작이 개시된다. 이 때, 제어부 (32) 는 스탠바이가 되어 동작을 정지한다.
송수신기 (1502) 에서는, 카운터 (120) 의 출력과 스타트타이머 (124) 의 설정값이 일치 (타이머 만료) 하면 (단계 S1810), 스타트타이머 (124) 로부터 동작신호 (128) 가 출력된다 (단계 S1812). 이 동작신호 (128) 를 받아 RF 회로 (100) 가 수신동작을 개시하고, RF 회로 (100) 는 RSSI 변환회로 (102) 에 수신전 파 강도를 송출한다.
다음으로, 단계 S1814 로 진행하면, 카운터 (120) 의 출력과 스톱타이머 (122) 의 설정값이 일치하면 스톱타이머 (122) 로부터 정지신호 (126) 가 출력되어 (단계 S1816) 수신동작이 정지된다.
이어서, 도 19 에 나타낸 단계 S1900 로 진행하여, 판정부 (110) 에서 비교한 결과가 "RSSI 값>설정값" 인 경우에 복조기 (104) 를 동작시켜 수신데이터의 복조를 개시, 복조한 데이터를 복조기 (104) 로부터 비교기 (98) 에 출력한다.
수신데이터가 비교부 (98) 에 입력되면, 비교부 (98) 에서는 복조데이터와 설정값을 비교하여 (단계 S1904), 그 비교가 일치한 시점에서 복조데이터 비교결과를 호스트 IF (1602) 에 출력한다. 이와 함께 복조데이터를 호스트 IF (1602) 에 출력한다. 호스트 IF (1602) 는 비교부 (98) 로부터 공급되는 복조데이터 비교결과에 의해 복조데이터를 제어회로 (32) 에 송출한다.
제어회로 (32) 는, 복조데이터를 송수신기 (1502) 로부터 수신하면 기동하여, 제어회로 (32) 로부터 송출한 데이터를 송수신기 (1502) 에 출력하고 (단계 S1906), 또한 수신한 복조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어서 단계 S1908 로 진행하여, 카운터 (120) 의 출력과 비교스톱타이머 (1100) 의 설정값이 일치하면 비교스톱타이머 (1100) 가 복조기 정지신호 (1102) 를 출력한다 (단계 S1910). 이 복조기 정지신호 (1102) 에 의해 복조기 (104) 및 비교부 (98) 의 동작이 정지되고, 다시 제어부 (32) 도 동시에 정지된다. 그 후, 카운터 (120) 의 출력과 스톱타이머 (122) 의 설정값이 일치하면 (단계 S1908) 스톱타이머 (122) 로부터 정지신호 (126) 가 출력되어 (단계 S1910) 수신동작이 정지된다. 그 후, 카운터 (120) 의 카운트값을 클리어하여 다음 타이머 만료를 기다린다 (단계 S1912).
단계 S1900 에서, RSSI 판정결과가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920 로 진행하여 변조기 (106) 를 동작시킨다. 이어서 단계 S1922 로 진행하면, 데이터저장부 (1604) 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가 차례로 변조기 (106) 에 송출되고, 변조기로 처리된 신호는 다시 RF 회로 (100) 에 입력되어 무선신호로서 발신된다 (단계 S1924).
데이터저장부 (1604) 에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가 모두 송출되면, 데이터저장부 (1604) 는 호스트 IF (1602) 를 통하여 제어부 (32) 에 데이터의 송출이 완료된 것을 통지한다. 제어부 (32) 는, 다음에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호스트 IF (1602) 를 통하여 데이터저장부 (1604) 에 설정하여 이어지는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 (1604) 에 송출한다. 반대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 (32) 는 정지한다.
이어서 단계 S1926 로 진행하여, 카운터 (120) 의 출력과 송신스톱타이머 (1700) 의 설정값이 일치하면, 송신스톱타이머 (1700) 로부터 변조기 정지신호 (1702) 가 출력되어 변조기 (106) 및 데이터저장부 (1604) 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단계 S1928). 그 후, 카운터 (120) 의 출력과 스톱타이머 (122) 의 설정값이 일치하면 카운터 (120) 의 카운트값이 클리어되어 (단계 S1912), 다음 타이머 만료를 기다린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머 (1600) 에 설정된 시간마다 정기적으로 RSSI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해 설정보다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검출하였을 때,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등한 동작을 하고, 또한 설정보다 낮은 신호레벨의 전파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데이터저장부 (1604) 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조기 (106) 에 차례로 송출하고, 송출이 끝나면 호스트 IF (1602) 를 통하여 제어회로 (32) 에 그 종료를 통지한다. 제어회로 (32) 에서는, 이어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그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 (1604) 에 설정함으로써 데이터송출을 계속할 수 있고,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타이머 만료를 기다리게 되어 송신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설정해 둠으로써 자동으로 데이터의 송출가능기간을 검출하여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동작뿐만 아니라 송신동작을 자주 실시하는 시스템에서도 저소비 전력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으며, 정기적으로 전파를 검출하거나 데이터를 송출하는 동작을 하는 무선단말 (24) 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머수단에 설정된 시간마다 강도신호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로부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판정수단으로 판정하였을 때에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고, 수신데이터를 제어부 (32) 에 송출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송수신수단의 타이머 설정 시 및 강도신호의 설정 시 그 리고 수신전파 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때에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기 때문에,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와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데이터와 설정값이 일치하는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제어수단에 비교결과를 통지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데이터를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수신전파 강도가 일정값을 초과한 경우에도 복조 데이터가 원하는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 제어수단의 동작을 계속 정지시킬 수 있어, 제어수단의 동작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어 한층 더 저소비 전력화가 꾀해진다.
그리고, RSSI 값이 설정값보다도 낮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수신수단에 차례로 송출하고, 데이터의 송출이 완료되면, 접속수단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출 완료를 제어수단에 통지하며, 또한, 제어수단에 다음으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데이터를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다음에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그 데이터를 저장수단에 설정함으로써 데이터송출을 계속할 수 있고, 반대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타이머 만료를 기다리게 되어 송신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저소비 전력화를 더 기대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장치로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타국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송수신수단, 및
    그 송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송수신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수단,
    그 타이머수단에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 시의 수신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그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신호를 생성하는 수신강도 생성수단,
    상기 강도신호와 소정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및
    그 판정수단에 의해 판정된 판정 결과가,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복조한 수신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에 송출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설정값을 상기 송수신수단에 설정하는 설정 시 및 상기 수신전파 강도가 상기 설정값을 초과할 때에, 상기 수신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강도신호와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 상기 데이터와 상기 설정값이 일치하는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그 비교결과를 통지하는 비교수단으로서, 상기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상기 비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3.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장치로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타국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송수신수단, 및
    그 송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송수신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수단,
    그 타이머수단에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 시의 수신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그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신호를 생성하는 수신강도 생성수단,
    상기 강도신호와 소정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및
    그 판정수단에 의해 판정된 판정 결과가,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복조한 수신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에 송출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설정값을 상기 송수신수단에 설정하는 설정 시 및 상기 수신전파 강도가 상기 설정값을 초과할 때에, 상기 수신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입력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낮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은 그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차례로 송출하고, 그 데이터의 송출이 완료되면 상기 접속수단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의 송출 완료를 상기 제어수단에 통지하며, 상기 저장수단은, 또한, 상기 제어수단에 다음으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상기 저장수단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수단의 시간계측 만료를 기다려 송신동작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은 각각 별도의 반도체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6. 삭제
  7.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장치의 무선통신방법으로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타국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송수신수단과, 그 송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송수신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방법은,
    상기 제어수단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공정,
    그 타이머공정에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 시의 수신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그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신호를 생성하는 수신강도 생성공정,
    상기 강도신호와 소정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공정, 및
    그 판정공정에서 판정한 판정 결과가,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그 복조하여 얻어지는 수신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에 송출하는 접속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값을 상기 송수신수단에 설정하는 설정 시 및 상기 수신전파 강도가 상기 설정값을 초과할 때에, 상기 제어수단을 동작시켜 수신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무선통신방법은, 상기 강도신호와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비교한 결과, 상기 데이터와 상기 설정값이 일치하는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상기 제어수단에 그 비교결과를 통지하며, 또한, 상기 비교결과가 얻어지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에 전송하는 비교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8.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장치의 무선통신방법으로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타국과 무선통신을 행하는 송수신수단과, 그 송수신수단에 접속되어, 송수신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통신방법은,
    상기 제어수단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공정,
    그 타이머공정에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 시의 수신전파 강도를 검출하여, 그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신호를 생성하는 수신강도 생성공정,
    상기 강도신호와 소정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공정, 및
    그 판정공정에서 판정한 판정 결과가,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높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송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그 복조하여 얻어지는 수신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에 송출하는 접속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값을 상기 송수신수단에 설정하는 설정 시 및 상기 수신전파 강도가 상기 설정값을 초과할 때에, 상기 제어수단을 동작시켜 수신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입력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공정을 포함하며,
    그 저장공정은, 상기 강도신호가 상기 설정값보다도 낮은 수신전파 강도를 나타내는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에 차례로 송출하고, 그 데이터의 송출이 완료되면 상기 데이터의 송출 완료를 상기 제어수단에 통지하며, 상기 제어수단에 다음으로 송출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그 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정은, 송출해야 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공정의 시간계측 만료를 기다려 송신동작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KR1020050115090A 2005-03-30 2005-11-29 무선통신장치 KR101158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9188 2005-03-30
JP2005099188A JP2006279822A (ja) 2005-03-30 2005-03-30 無線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610A KR20060106610A (ko) 2006-10-12
KR101158373B1 true KR101158373B1 (ko) 2012-06-22

Family

ID=3703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090A KR101158373B1 (ko) 2005-03-30 2005-11-29 무선통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87195B2 (ko)
JP (1) JP2006279822A (ko)
KR (1) KR101158373B1 (ko)
CN (1) CN18419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7761B1 (en) * 2005-12-28 2013-09-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Incorporation of mesh base stations in a wireless system
JP4659638B2 (ja) * 2006-02-17 2011-03-30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354917B2 (en) * 2007-02-21 2013-01-15 Impinj, Inc. RFID tag chips and tags complying with only a limited number of remaining commands and methods
KR20100135868A (ko) * 2008-05-01 2010-12-27 호치키 가부시키가이샤 경보기
US9131448B2 (en) * 2011-06-02 2015-09-08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tandalone radio frequency wireless device having data acquisition capabilities
US9558607B2 (en) * 2012-11-14 2017-01-31 Infineon Technologies Ag Relay attack prevention using RSSIPPLX
US10142846B2 (en) * 2012-11-14 2018-11-27 Infineon Technologies Ag Relay attack prevention
JP7082576B2 (ja) * 2016-06-24 2022-06-08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情報伝送方法及び装置
US10904055B2 (en) * 2019-01-18 2021-01-26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Digital mobile radio with enhanced transceiver
US11872853B2 (en) * 2021-06-01 2024-01-16 Infineon Technologies Ag Selective activation of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TPMS) sensor modules for radio-frequency (RF) communication using directional RF bea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4824A (ja) * 1991-02-19 1992-09-21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032504A (ja) * 1996-07-15 1998-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3021A (ja) * 1986-07-26 1988-02-12 Nec Corp 携帯無線電話機
US5487181A (en) * 1992-10-28 1996-01-23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Low power architecture for portable and mobile two-way radios
JPH07264118A (ja) * 1994-03-23 1995-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受信データ間欠受信装置及び方法
US5680112A (en) * 1994-07-29 1997-10-21 Dimango Products Corporation Wireless audible indication system with battery status indicator
JP3250401B2 (ja) * 1995-02-07 2002-0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信機
JPH09163452A (ja) * 1995-12-06 1997-06-20 Toshiba Corp 無線通信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100814A (en) * 1996-05-07 2000-08-08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Remote control wake up detector system
JP3193642B2 (ja) * 1996-08-26 2001-07-30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受信機
JP3369063B2 (ja) * 1996-10-18 2003-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
JP2877116B2 (ja) * 1996-12-26 1999-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3085236B2 (ja) * 1997-02-28 2000-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ースト信号復調器
JP3043699B2 (ja) * 1997-11-28 2000-05-22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Tdma−tdd方式の基地局同期装置
US6229988B1 (en) * 1998-05-20 2001-05-08 Lojack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attery and similar power source conservation in periodically operable portable and related radio receivers and the like
KR100318963B1 (ko) * 1998-11-13 2002-03-20 윤종용 무선단말기의소비전력감소방법
US6360085B1 (en) * 1999-09-30 2002-03-19 Conexan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JP2002217764A (ja) * 2001-01-15 2002-08-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機
JP3756110B2 (ja) * 2001-11-29 2006-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3795868B2 (ja) * 2003-02-05 2006-07-12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装置とその制御モジュール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3832665B2 (ja) * 2004-01-23 2006-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通信装置、端末装置、通信端末装置、受信方法、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758547A (zh) * 2004-10-04 2006-04-1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收信装置、半导体集成电路、收发信装置、以及收信方法
US7262684B2 (en) * 2004-10-29 2007-08-28 Lear Corporation Efficient RKE energy monitoring strateg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4824A (ja) * 1991-02-19 1992-09-21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032504A (ja) * 1996-07-15 1998-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1945A (zh) 2006-10-04
CN1841945B (zh) 2011-05-18
KR20060106610A (ko) 2006-10-12
US20060252448A1 (en) 2006-11-09
JP2006279822A (ja) 2006-10-12
US7587195B2 (en)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373B1 (ko) 무선통신장치
US2006012841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0726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ponder aided wake-up of a low power radio device by a wake-up event
US692034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operating mode and an energy saving standby mode, and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the two modes
EP2221978A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WO2012114968A1 (ja) 無線基地局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CN105103476A (zh) 用于身体耦合通信设备的接收器、收发器、收发器模块、身体耦合通信系统和唤醒身体耦合通信设备的身体耦合接收器的方法
US10375756B2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transceiver operating accordingly, and computer program
CN110621086B (zh) 一种通信系统、网关、终端和通信方法
JP2007312165A (ja) 位置情報通信端末装置
US902550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000967B1 (ko) 무선 인터넷 접속 중계기
CN111092631B (zh) 一种实现低功耗的433m通信系统
EP1127415B1 (en) Battery economis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H0927782A (ja) 無線装置
JP4621993B2 (ja) 無線通信装置
CN109506798A (zh) 一种高压开关柜触头温度监测系统
CN213754971U (zh) 一种物联网蓝牙接收器
WO2011118117A1 (ja) 無線受信起動制御装置、無線受信機用の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および応用システム
CN101202594A (zh) 无线外围装置的换频方法
CN117641520A (zh) 通信节能方法、通信终端和存储介质
KR19990081200A (ko) 순찰 점검 시스템
JP2007096624A (ja) キャリア周波数変更手段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JP2003052081A (ja) 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