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261B1 -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261B1
KR101158261B1 KR1020100086869A KR20100086869A KR101158261B1 KR 101158261 B1 KR101158261 B1 KR 101158261B1 KR 1020100086869 A KR1020100086869 A KR 1020100086869A KR 20100086869 A KR20100086869 A KR 20100086869A KR 101158261 B1 KR101158261 B1 KR 10115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oscillator
phase error
phase difference
pha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147A (ko
Inventor
이정훈
김상원
이규송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86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2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4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26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 방법에 있어서,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에서 상기 방향탐지수신기로부터 채널위상차를 입력받는 단계와, ES(Electronic Support) 시스템의 수신주파수대역을 참조하여 위상오차 테이블 및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이전 채널위상차를 저장하고,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를 점검하며,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부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채널위상차 오차를 저장하는 단계와, 이전 PDW(Pulse Description Word) 테이블의 채널위상차에 포함된 위상차 오차 성분을 제거하여 PDW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상오차 테이블과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작성하여 방향탐지수신기의 위상오차를 제거함으로써 위상오차를 제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ELEMINATING CHANNEL PHASE ERROR OF DIRECTION FINDING RECEIVER}
본 발명은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ES(Electronic Support) 시스템에 사용되는 방향탐지수신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채널위상차 오차를 제거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상비교 방향탐지를 수행하는 방향탐지방법은 신호원의 위상을 측정하여 방향을 탐지한다. 신호원의 위상은 공간 및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을 거치면서 위상오차가 추가된다. 특히, 방향탐지수신기 내에서 발생되는 오차는 채널위상차에 추가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오차는 채널위상차에 추가되어 신호원의 도래각(AOA, Angle Of Arrival)을 구할 때, 정확도를 감소시키므로, 방향탐지수신기 내에서 발생되는 위상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사전측정에 의해 위상오차정보를 룩업보정테이블(LUT, Look Up Table)에 측정된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여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방법과, 사후측정에 의해 방향탐지수신기내에서 발생된 위상오차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사후측정 방법은 신호원의 변수를 PDW(Pulse Description Word)로 저장하고, 다시 신호원의 변수를 PDW의 주파수와 신호세기에 따라 분류하고 난 후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방향탐지수신기의 위상오차를 구하고 이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PDW를 저장하고 난 후 PWD의 변수 중 주파수와 신호세기로 분류를 하여 방향탐지수신기의 위상차 오차를 제거하기 때문에 PDW 저장시간과 변수분류 등의 시간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상차테이블과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시간 소요 없이 위상차 오차를 제거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상차테이블과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시간 소요 없이 위상차 오차를 제거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은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 방법에 있어서,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에서 상기 방향탐지수신기로부터 채널위상차를 입력받는 단계와, ES(Electronic Support) 시스템의 수신주파수대역을 참조하여 위상오차 테이블 및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이전 채널위상차를 저장하고,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를 점검하며,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부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채널위상차 오차를 저장하는 단계와, 이전 PDW(Pulse Description Word) 테이블의 채널위상차에 포함된 위상차 오차 성분을 제거하여 PDW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가 수신되는 주파수와 신호세기에 의하여 생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가 상기 채널위상차의 중복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은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이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와 동일한 갯수의 주소를 가지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한 데이터란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은 상기 국부발진기가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의 데이터란에 저장된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는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발진기와, 수신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탐지수신기와,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기,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신호 또는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신호를 택일적으로 수신하도록 하는 복수의 스위치 및 상기 수신기의 안테나 간의 위상차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상검출기로 구성되어 채널위상차를 발생하는 방향탐지수신기와, 상기 신호탐지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의 특성변수와 상기 채널위상차 데이터를 이전 PDW 테이블에 저장하고,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생성하여 위상오차 테이블과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저장하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를 점검하는 신호분석기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 및 상기 이전 PDW 테이블을 생성/유지하고, 상기 채널위상차 데이터를 상기 신호분석기에 전달하고, 상기 신호분석기에 의해서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 값을 결정하며, 상기 방향탐지수신기의 스위치 전환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국부발진기의 신호 변환 시점을 제어하는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는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가 수신되는 주파수와 신호세기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플래그는 채널위상차의 중복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는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이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와 동일한 갯수의 주소를 가지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한 데이터란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는 상기 국부발진기가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의 데이터란에 저장된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위상오차 테이블과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작성하여 방향탐지수신기의 위상오차를 제거함으로써 위상오차를 제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의 예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위상오차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이전 PDW(Pulse Description Word) 저장,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 변환 및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의 위상오차 테이블주소 저장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채널위상차 오차를 위상오차 테이블에 저장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위상오차 테이블의 채널위상차 오차를 이용하여 이전 PDW 테이블의 채널위상차 오차를 제거하여 PDW 테이블에 저장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을 이용한 방향탐지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방향탐지수신기에서의 위상차는 크게 안테나부와 방향탐지수신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위상오차의 성분이 포함되어 채널위상차를 발생시킨다. 안테나부는 안테나를 보호하는 레이돔(radome), 안테나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물인 하우징(housing) 및 안테나와 방향탐지수신기를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서 발생하는 위상오차와 무선신호의 하향변환, 여파 및 증폭 등을 수행하는 방향탐지수신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위상오차로 나누어진다. 특히, 방향탐지수신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위상오차는 안테나부보다 여파기, 혼합기 및 증폭기 등으로 구성되어 방향탐지수신기의 온도, 신호세기 및 주파수 등의 변수에 의해 발생된다. 본 발명은 방향탐지수신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위상오차를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은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 방법에 있어서,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에서 방향탐지수신기로부터 채널위상차를 입력받는 단계(S110)와, ES(Electronic Support) 시스템의 수신주파수대역을 참조하여 위상오차 테이블 및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120)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이전 채널위상차를 저장하고,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를 점검하며,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하는 단계(S130)와,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부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채널위상차 오차를 저장하는 단계(S140)와, 이전 PDW(Pulse Description Word) 테이블의 채널위상차에 포함된 위상차 오차 성분을 제거하여 PDW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에서 방향탐지수신기로부터 입력받는 채널위상차(
Figure 112011105094487-pat00001
)는 수학시 1에 의하여 구하게 된다.
Figure 112010057684971-pat00002
여기서,
Figure 112010057684971-pat00003
는 수신신호의 파장이고, dmn은 m번째 수신기와 n번째 수신기의 안테나 거리이고, AOA(Angle Of Arrival)는 신호 도래각이고, Amn은 방향탐지수신기의 m번째 수신기와 n번째 수신기의 안테나부에서 발생한 채널 위상차 오차이고, Emn은 방향탐지수신기의 m번째 수신기와 n번째 수신기의 방향탐지수신기 자체에서 발생한 채널위상차 오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 시스템의 수신주파수대역을 참조하여 위상오차 테이블 및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ES 시스템이 주파수대역을 선정하면, 초기주파수(210)와 최종주파수(220) 및 필터대역폭(230)이 정해진다. 또한, 국부발진기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주파수는 일정한 단위로 제어되기 때문에 수신주파수의 대역폭을 주파수 제어단위(Kf)로 나눈 값이 주파수 제어에 필요한 갯수(NFS)이며, 이는 수학식 2에 의하여 구해진다.
Figure 112010057684971-pat00004
여기서, Fo는 수신 시작주파수이고, FL은 수신 최종주파수이고, Kf는 주파수 제어단위이고, Round는 반올림함수이고, 단위는 Hz이다.
상기 국부발진기를 제어할 때는 주파수와 마찬가지로 신호세기에 대해서도 제어가 필요하며, 신호세기 제어에 필요한 갯수(NAS)는 수학식 3에 의하여 구해진다.
Figure 112010057684971-pat00005
여기서, Ao는 최고 수신신호세기이고, AL은 최소 수신신호세기이고, Ka는 신호제어단위이고, Round는 반올림함수이고, 단위는 dB이다.
일반적으로 ES 시스템의 신호수신범위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신호세기의 범위는 거의 고정적이다. 이전 PDW 테이블에 저장되는 주파수 데이터와 신호세기 데이터에 대한 정렬이 필요하며 주파수 데이터의 순서(NF(i))는 수학식 4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0057684971-pat00006
여기서, F(i)는 i번째 입력되는 주파수 데이터이며, Quof[a,b]는 a를 b로 나눈 몫을 구하는 함수이다.
다음으로 신호세기 데이터의 순서(NA(j))는 수학식 5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0057684971-pat00007
여기서, A(i)는 i번째 입력되는 신호세기 데이터이며, Quoa[a,b]는 a를 b로 나눈 몫을 구하는 함수이다.
한편, 방향탐지수신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오차 요인 중 수신되는 주파수와 신호세기의 두 변수는 위상오차 테이블 및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이전 PDW 테이블에 저장되는 주파수와 신호세기로 위상오차 테이블의 주소를 형성하며, 이에 해당되는 위상오차 테이블의 주소(AddressF ,A)는 상기 신호세기 제어에 필요한 갯수(NAS), i번째 입력되는 주파수 데이터(NF(i)) 및 i번째 입력되는 신호세기 데이터(NA(i))를 이용하여, 수학식 6에 의하여 구해진다.
Figure 112010057684971-pat00008
또한,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의 총 주소는 위상오차 테이블의 경우와 같지만, 각 데이터부에 저장되는 갯수는 위상오차 테이블의 데이터 저장갯수보다 같거나 작다. 이는,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 부분을 점검하여 채널위상차가 중복되는 데이터는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는 수신범위영역에 해당하는 주파수와 신호세기에 의하여 생성되며,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의 데이터란은 채널위상차 및 채널위상차의 중복성을 점검하는 플래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의 주소와 동일한 갯수의 주소를 가지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란을 포함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위상오차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 시스템이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였을 때 위상오차 테이블은 채널위상차부와 플래그부로 구성되며, 상기 플래그부는 초기값으로 0을 가진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은 주소부와 데이터부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이전 PDW 저장,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 변환 및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의 위상오차 테이블주소 저장의 예시도이다.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이전 채널위상차를 저장하고,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를 점검하며,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데 있어, 도 4에 도시된 예시 테이블과 데이터 흐름을 참조한다. 본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신 신호의 특성변수인 주파수, 신호세기, 펄스폭 및 TOA(Time Of Arrival)와 위상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채널위상차 데이터를 이전 PDW 테이블(410)에 저장하며, 이때, 위상오차 테이블(450)에는 상기 이전 PDW 테이블(410)에 저장되는 PDW 변수 중 주파수와 신호세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생성하고, 상기 위상검출기로부터 검출된 채널위상차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의 데이터가 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주소와 데이터로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450)에 해당되는 주소의 플래그를 참조하여 플래그 데이터가 0이면 1로 바꾸고, 1이면 그대로 남겨둔다. 또한, 국부발진기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450)의 플래그 부분이 0에서 1로 변할 때,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470)에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하며,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470)에 저장되는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는, 정렬되는 것 없이, 위상오차 테이블에 저장되는 순서대로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450)의 플래그는 위상오차 테이블주소가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470)의 데이터란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450)과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470)의 데이터 저장은 PDW 저장이 완료됨과 동시에 완료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채널위상차 오차를 위상오차 테이블에 저장하는 예시도이다.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부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채널위상차 오차를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데 있어, 도 5에 도시된 예시 테이블과 데이터 흐름을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방향탐지수신기의 스위치는 국부발진기의 출력된 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상기 국부발진기의 케이블 쪽으로 선택되고,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로 국부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방향탐지수신기 자체에서 발생한 위상오차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순서대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위상오차 테이블주소값은 국부발진기 제어 신호인 주파수와 신호세기로 사용된다. 자체보정용 주입을 위하여 필요한 주파수(FOSC)는 수학식 7에 의하여 구해지고, 신호세기(AOSC)는 수학식 8에 의하여 구해진다.
Figure 112010057684971-pat00009
여기서, LCTadd는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이고, int(a)는 a를 정수 부분만 잘라내는 함수이다.
Figure 112010057684971-pat00010
상기 수학식 7과 수학식 8에서는 주소를 생성할 때 일정한 주파수 단위로 주소를 생성하였기 때문에, 보정시 사용하는 주파수는 중앙값을 취하도록 하였고, 신호세기에 대해서도 중앙신호세기 값을 취하여 자체보정에 사용한다.
즉,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의 데이터인 위상오차 테이블주소(510)와 국부발진기 제어에 의해 방향탐지수신기에서 검출된 채널위상차 오차를 채널위상차 오차 데이터로 하여, 위상오차 테이블에 채널위상차 오차가 저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에서의 위상오차 테이블의 채널위상차 오차를 이용하여 이전 PDW 테이블의 채널위상차 오차를 제거하여 PDW 테이블에 저장하는 예시도이다. 이전 PDW 테이블의 채널위상차에 포함된 위상차 오차 성분을 제거하여 PDW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데 있어, 도 6에 도시된 예시 테이블과 데이터 흐름을 참조한다. 이전 PDW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위상차는 방향탐지수신기에서 생성된 위상차 오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위상오차 테이블에 저장된 방향탐지수신기 자체의 위상차 오차를 제거해야 한다. 즉, 이전 PDW 테이블의 주파수와 신호세기로 형성된 주소를 이용하여 위상오차 테이블의 주소를 찾고, 이전 PDW 테이블의 채널위상차와 위상오차 테이블의 채널위상차 오차를 연산하여 이전 PDW 테이블의 채널위상차가 포함하고 있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를 제거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를 제거한 결과를 PDW 테이블(610)에 저장함으로써 모든 단계가 종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을 이용한 방향탐지수신기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는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발진기(730)와, 수신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탐지수신기(740)와,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기(711),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신호 또는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신호를 택일적으로 수신하도록 하는 복수의 스위치(712) 및 상기 수신기의 안테나 간의 위상차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상검출기(713)로 구성되어 채널위상차를 발생하는 방향탐지수신기(710)와, 상기 신호탐지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의 특성변수와 상기 채널위상차 데이터를 이전 PDW 테이블에 저장하고,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생성하여 위상오차 테이블과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저장하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를 점검하는 신호분석기(750)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 및 상기 이전 PDW 테이블을 생성/유지하고, 상기 채널위상차 데이터를 상기 신호분석기에 전달하고, 상기 신호분석기에 의해서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 값을 결정하며, 상기 방향탐지수신기의 스위치 전환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국부발진기의 신호 변환 시점을 제어하는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72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상비교 방향탐지수신기가 무선신호를 수신할 때 발생하는 방향탐지수신기내의 위상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헐 것이다.
210 : 초기주파수 220 : 최종주파수
230 : 필터대역폭 410 : 이전 PDW 테이블
450 : 위상오차 테이블 470 :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
510 : 위상오차 테이블주소 610 : PDW 테이블
710 : 방향탐지수신기 711 : 수신기
712 : 스위치 713 : 위상검출기
720 :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 730 : 국부발진기
740 : 신호탐지수신기 750 : 신호분석기

Claims (9)

  1.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 방법에 있어서,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에서 상기 방향탐지수신기로부터 채널위상차를 입력받는 단계;
    신호분석기에서 ES(Electronic Support) 시스템의 수신주파수대역을 참조하여 위상오차 테이블 및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신호분석기에서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이전 채널위상차를 저장하고,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를 점검하며,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에서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을 이용하여 국부발진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에 채널위상차 오차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에서 이전 PDW(Pulse Description Word) 테이블의 채널위상차에 포함된 위상차 오차 성분을 제거하여 PDW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는 수신되는 주파수와 신호세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는 상기 채널위상차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와 동일한 갯수의 주소를 가지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한 데이터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발진기는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의 데이터란에 저장된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6. 변환된 신호를 생성하는 국부발진기;
    수신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탐지수신기;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신호 또는 상기 국부발진기로부터의 신호를 택일적으로 수신하도록 하는 복수의 스위치와, 상기 수신기의 안테나 간의 위상차를 출력하는 복수의 위상검출기로 구성되어 채널위상차를 발생하는 방향탐지수신기;
    상기 신호탐지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의 특성변수와 상기 채널위상차 데이터를 이전 PDW 테이블에 저장하고,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생성하여 위상오차 테이블과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에 저장하며, 위상오차 테이블의 플래그를 점검하는 신호분석기;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과,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과, 상기 이전 PDW 테이블을 생성/유지하고, 상기 채널위상차 데이터를 상기 신호분석기에 전달하고, 상기 신호분석기에 의해서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 값을 결정하며, 상기 방향탐지수신기의 스위치 전환시점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국부발진기의 신호 변환 시점을 제어하는 위상수집 및 방향탐지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는 수신되는 주파수와 신호세기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플래그는 채널위상차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은 상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와 동일한 갯수의 주소를 가지며, 위상오차 테이블주소를 저장한 데이터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발진기는 상기 국부발진기 제어테이블의 데이터란에 저장된 위상오차 테이블주소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장치.

KR1020100086869A 2010-09-06 2010-09-06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 KR101158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69A KR101158261B1 (ko) 2010-09-06 2010-09-06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69A KR101158261B1 (ko) 2010-09-06 2010-09-06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147A KR20120024147A (ko) 2012-03-14
KR101158261B1 true KR101158261B1 (ko) 2012-06-19

Family

ID=46131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869A KR101158261B1 (ko) 2010-09-06 2010-09-06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2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72B1 (ko) * 2012-10-05 2013-11-05 국방과학연구소 다채널 디지털 수신장치의 신호도착시간(toa) 보정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465A (ja) * 1995-04-28 199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受信装置の補償方法・受信装置及び送受信装置
KR20050066942A (ko) * 2003-12-27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신기 위상 보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7212246A (ja) 2006-02-08 2007-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ダ装置の校正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465A (ja) * 1995-04-28 199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受信装置の補償方法・受信装置及び送受信装置
KR20050066942A (ko) * 2003-12-27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신기 위상 보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7212246A (ja) 2006-02-08 2007-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ダ装置の校正装置及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72B1 (ko) * 2012-10-05 2013-11-05 국방과학연구소 다채널 디지털 수신장치의 신호도착시간(toa) 보정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147A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709B1 (ko) 위상비교 방향탐지기의 채널위상오차 제거 시스템 및 방법
US82946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olving interferometric angle-of-arrival ambiguities due to local multipath reflections
US20020080062A1 (en) Doppler complex FFT police radar with direction sensing capability
EP2746813A1 (en) Detection of spoofing of GNSS navigation signals
WO2015033156A1 (en) Frequency discriminator
US10419135B2 (en) Over the air power sensor and method
KR20160039666A (ko) 항법 및 무결성 모니터링
US9348012B2 (en) Vehicle inclination detecting device
CN110208737B (zh) 一种超短波双通道宽带测向系统及门限判定测向方法
KR101158261B1 (ko) 방향탐지수신기의 채널위상차 오차 제거방법 및 장치
CN102077116A (zh) 毫米波成像设备
US10908258B2 (en) Method for calibrating an active sensor system
EP3268757B1 (en) Frequency discriminator
CN105008950A (zh) 用于测向和方向不确定度确定的测量装置和测量方法
US107322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a signal
KR101278541B1 (ko) 다채널 디지털 수신 방법 및 장치
US73157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iminating VSWR errors in phase and amplitude measurements
RU2543065C1 (ru) Фазовый пеленгатор
JP2001264403A (ja) 電波到来方位探知装置
EP3975438A1 (en) Receiver circuit and method of using receiver circuit
RU2682165C1 (ru) Фазовый пеленгатор
JP2003315395A (ja) ベクトル・ネットワーク・アナライザおよびその位相測定方法
JP4930421B2 (ja) 電波探知装置
JPH11160407A (ja) 受信装置
RU16515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источника сигн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