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052B1 -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052B1
KR101158052B1 KR1020090089792A KR20090089792A KR101158052B1 KR 101158052 B1 KR101158052 B1 KR 101158052B1 KR 1020090089792 A KR1020090089792 A KR 1020090089792A KR 20090089792 A KR20090089792 A KR 20090089792A KR 101158052 B1 KR101158052 B1 KR 10115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outflow
water quality
storage facility
run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355A (ko
Inventor
정진홍
김원재
오현제
한형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8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0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시 강우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非點汚染源)에 기인하는 유출오염부하를 실시간 모니터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류시설에서의 유입유량 및 방류 유량 제어를 통해 감소시킴으로써 방류 수역인 하천이나 호소(湖沼), 해역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의 유출 관로에서 유출 수질 및 유량을 동시에 측정하고; 측정된 수질 및 유량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출오염부하량을 실시간 산출하고;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하며; 상기 유출 수질, 유출오염부하량 및 잔여저류용량에 근거하여 저류시설로의 유입 유량 및 저류시설로부터의 방류 유량을 제어하며, 수질 및 유량의 측정, 유출오염부하량 산출, 잔여저류용량의 산출 및 유입과 방류 유량의 제어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과 같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강우유출수, 유출오염부하, 저류시설, 모니터링장치, 잔여저류용량, 제어

Description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PROCESSING SYSTEM FOR REDUCING RUNOFF POLLUTION LOAD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강우시 양식장?야적장?농경지배수, 도시노면배수, 강우유출수, 합류식하수도 월류수, 분류식하수도 월류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非點汚染源; nonpoint pollution source)에 기인하는 유출오염부하를 실시간 모니터링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저류?처리시설에서의 유출입 유량 제어를 통해 감소시킴으로써 방류 수역인 하천이나 호소(湖沼), 해역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토해양부의 첨단도시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07첨단도시A01, 과제명: U-based Eco Space 구축기술(U-물순환시스템 구축기술 개발)(2차년도)].
최근 하수처리시설 등의 확충에 따라 점오염물질(點汚染源; point pollution source)에 의한 오염 부하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반면, 도시지역이나 농어촌 등 비도시지역의 강우유출수, 도시노면배수, 합류식하수도 월류수, 분류식하수도 월류수, 양식장?야적장?농경지배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非點汚染源; nonpoint pollution source)에 기인하는 유출오염부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을 감소시키는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들에서 대표적인 시설 형태는 자연형 시설과 장치형 시설로 구분된다.
자연형 시설은 저류시설, 인공습지, 침투시설 및 식생형 시설을 포함한다.
장치형 시설은 여과형 시설, 와류형 시설, 스크린형 시설, 응집침전처리형 시설 및 생물학적처리형 시설 등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특히 유출 관로 등에 연결하거나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일시 저류한 다음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방류하는 등 고농도 고부하의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유출수를 저류?처리하는 다양한 시설들이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한편, 유출수의 오염농도 및 유출오염부하는 강우의 발생특성, 강우 개시 이전에 지속된 선행 건기(乾期) 일수, 유역의 토지 이용특성 등 매우 다양한 요인에 따라 실시간으로 다양하게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도시 유역에서는 강우 개시 초기에 상대적으로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초기강우(first flush) 현상), 그 유출특성은 강우발생특성 및 오염물질별로 상이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유역이 넓어지고, 비도시화지역에 근접할수록 초기강우현상이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는다.
도 1은 유역별, 강우발생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관찰되는 오염물질(SS)의 유출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강우 강도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데 이 경우 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또한 강우 강도에 영향을 받아 직접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저류처리시설의 구성 및 운전제어방법은 오염물질의 농도 및 오염부하량의 변동특성과 저류처리시설의 잔여 저류 용량을 고려하지 않고, 강우 발생 초기부터 저류 용량만큼을 일괄적으로 저류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많은 비용을 들여 도입한 저류처리시설임에도 불구하고 방류 수역으로 유출되는 유출오염부하량을 최대한으로 삭감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또한, 기존 기술들은 관로 등에 수질 측정장치 및 유량 측정장치 등을 설치하여, 수질 또는 부하량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예는 있었으나, 단순한 모니터링에 그치고 있어서, 저류처리시설의 잔여저류용량과 연계하여 최대의 오염부하 삭감효과가 달성가능하도록 저류처리시설로의 유입유량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 및 방법에 대한 방안은 이루어진 바가 없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 또는 농어촌 등의 유역에서 강우시 발생하는 도시노면배수, 농경지 배수, 강우유출수, 합류식하수도월류수 및 분류식하수도월류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에 기인하는 오염부하에 대하여 저류 및/또는 처리시설 등의 저류시설을 도입하고, 적정한 제어방법을 제시하여 유출되는 총오염부하량을 최대로 감소시킴으로써 수질오염을 사전에 방지하여 방류 수역인 하천이나 호소, 해역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 관로 등에 수질 측정장치 또는 유량 측정장치 등을 설치하여, 수질, 유량 또는 부하량을 단순히 모니터링만 하거나, 저류처리시설로의 유입유량을 제어하지 않고 강우개시 초기부터 전량을 유입시키는 기존의 운전제어방법을 탈피하여, 유출수의 수질 및 부하량과 저류처리시설의 잔여 저류 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최대의 유출오염부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저류처리시설로의 유입용량을 결정하고 제어하는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의 자동화 설비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이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에 요구되는 작업인원 투입을 줄여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원거리에서도 제어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며 자동으로 운전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은 강우유출수의 유출 관로에서 유출 수질 및 유량을 동시에 측정하고; 측정된 수질 및 유량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출오염부하량을 실시간 산출하고;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하며; 상기 유출 수질, 유출오염부하량 및 잔여저류용량에 근거하여 저류시설로의 유입 유량 및 저류시설로부터의 방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처리 방법은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저류시설에서 처리된 처리수 또는 여분의 강우유출수를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유량과 방류 유량의 제어는 그 일 실시 예로 펌프 또는 수문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질 및 유량의 측정, 유출오염부하량 산출, 잔여저류용량의 산출 및 유입과 방류 유량의 제어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 등의 유선통신 또는 CDMA, 와이브로,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은 강우유출수가 도입되는 유출수 유입라인;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저류하는 저류 시설; 상기 유입원수의 수질 및 유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 상기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모니터링된 수질 데이터 및 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수질 및 유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출오염부하량을 산출하며, 상기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하는 산출장치; 상기 저류시설로의 유입원수의 유입 유량 및 상기 저류시설로부터의 방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저류시설로부터의 저류수를 방류하도록 안내하는 방류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 시스템은 상기 유입원수에 함유된 영양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는 유입 원수의 탁도, 전기전도도, 자외선 흡광도를 모니터링하는 수질 모니터링장치 및 유입원수의 유량을 모니터링하는 유량 모니터링 장치가 별개로 또는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산출장치는 상기 수질 모니터링장치와 유량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질 데이터 및 유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저장된 수질 데이터와 유량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유출오염부하량을 산출하는 유출오염부하량 산출장치 및 상기 저류시설의 여유고 또는 저류시설로 유입되는 유입원수의 누적유입유량을 활용하여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하는 잔여저류용량 산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과 유출수질 및 유출오염부하 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그 일 실시 예로 펌프 또는 수문을 이용하여 저류시설에서의 유입 유량과 방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 산출장치, 제어장치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따르면, 도시 또는 비도시지역의 일정한 유역에서 강우시 발생하는 도시노면배수, 강우유출수,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및 분류식하수도 월류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에 기인하는 오염부하를 최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유출되는 오염부하의 감소를 극대화하여 방류 수역인 하천이나 호소, 해역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출수의 수질 및 유량과 유출오염부하량 및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장치가 포함됨으로써 유역의 비점오염물질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의 자동화 설비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이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에 요구되는 작업인원 투입을 줄여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원거리에서도 자동 제어 및 유지관리가 가능하며 반영구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 감소를 위한 설비 및 처 리 방법의 적용범위를 적용대상 전체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점오염물질 관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은 도시지역 또는 농어촌 등 비도시지역의 유역에서 발생하는 도시노면배수, 강우유출수,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및 분류식하수도 월류수 등의 유출수를 도입하는 유출수 도입 관로인 유입라인(10); 상기 유입라인(10)을 통해 유입된 유출수(이하, "유입 원수"라 칭함)를 저류하는 저류시설(20); 상기 유입 원수의 수질 및 유량을 모니터링하는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30, 40); 상기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30, 40)에 의해 모니터링된 수질 데이터 및 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수 질 및 유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출오염부하량을 산출하며, 상기 저류시설(20)의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하는 산출장치(60, 70, 80); 상기 저류시설(20)로의 유입원수의 유입 유량 및 상기 저류시설(20)로부터의 방류 유량을 제어하는 유출입수 제어장치(90); 및 상기 저류시설(20)로부터의 저류수를 방류하도록 안내하는 방류라인(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원수에 함유된 탁질, 미량의 유기성분, 질소 및 인 등의 영양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처리장치는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경로 상에 설비되도록 채용되며, 처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저류시설(20)에 설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라인(10)은 강우시 강우유출수 등을 저류시설(20)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저류시설(20)로 강우유출수를 도입시키는 설비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 예로서 관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30, 40)는 유입 원수의 수질, 즉 탁도, 전기전도도, 자외선 흡광도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질 모니터링장치(30) 및 유입원수의 유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유량 모니터링 장치(40)로 구성되며, 이들 장치(30, 40)는 별개로 또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출장치(60, 70, 80)는 수질 모니터링장치(30)와 유량 모니터링 장치(40)로부터 제공받은 모니터링된 수질 데이터 및 유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질 및 유량 데이터 저장장치(60)와, 저장된 수질 데이터와 유량 데이터를 동시에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유출오염부하량을 산출하는 유출오염부하량 산출장치(70) 및 저류 시설의 여유고(餘裕高) 또는 저류시설로 유입되는 유입원수의 누적유입유량 등을 활용하여 저류시설(20)의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하는 잔여저류용량 산출장치(80)를 포함한다.
상기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의 측정은 저류시설(20)에 구성되는 수위계(50)를 이용하거나, 유량 측정장치(40)를 이용하여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결정한다.
상기 유출입수 제어장치(90)는 저류시설(20)의 잔여저류용량과 유출수질 및 유출오염부하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저류시설의 유출입 유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펌프 또는 수문 등을 이용하여 저류시설로 유입되거나 저류시설로부터 방류되는 유량을 최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저류시설(20)로부터의 방류 또는 방류라인은 강우시 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대상유역의 토지이용특성, 시설의 도입 및 운전목적, 시설 도입 대상지의 여건 등에 따라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30, 40), 산출장치(60, 70, 80), 제어장치(90) 및 수위계(50)는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은,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30, 40)를 통해 유출 오염물질의 농도 및 유출부하량을 모니터링하고,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수위계(50) 등에 의해 측정된 저류시설(20)의 잔여저류용량을 고려하여 산출장치(60, 70, 80)를 통해 측정항목별 유출오염부하를 연산하여 최대의 유출오염부하 삭감방안을 결정하고, 유출입 제어장치(90)를 통해 유입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유출오염부하를 최소화한다. 아울러, 처리시설을 통해 유입원수에 함유된 탁질, 전기전도도, 미량의 유기성분, 질소 및 인 등의 영양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에서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고려한 최적의 오염부하 제어에 대한 유량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류시설로 강우유출수의 유입을 유도하고, 탁도, 전기전도도, 자외선 흡광도 등 유출수질 측정항목 선정하고(S71), 유출 수질 및 유출 유량을 동시에 모니터링 또는 측정하며(S71, 72), 상기 저류시설의 수위 또는 저류시설로의 유입유량을 측정한다(S77). 이어서 유출수질과 유출유량을 측정한 각 데이터 및 저류시설 수위를 측정한 데이터를 전송하고(S74, S75, S78, S79), 측정항목별 유출오염부하의 데이터를 연산함과 동시에 저류시설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한다(S76, S80). 이후 산출된 데이터를 기초로 유출오염부하 저감 방안을 위하여 저류시설로의 유입유량을 결정하고 제어한다(S81, S82). 그리고 부가적으로 처리시설에서의 유입원수를 처리시설에 의해 처리되고, 처리된 처리수와 여분의 강우유출수는 바이패스(bypass)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유출오염부하 저감 방안의 결정은 대상오염물질별로 다양하고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유출특성을 반영하여 결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질 유량의 모니터링 또는 측정, 수위 및 유입유량의 측정, 측정 데이터 전송, 데이터 연산 및 산출, 유입유량의 제어 등 상기 구성요소들의 작동 및 상호 간의 통신은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 등의 유선통신 또는 CDMA, 와이브로,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처리 방법에서 강우 개시 시점에서 유량과 시간에 따른 저류시설의 잔여용량을 고려한 유출입 원수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강우 개시 시점으로부터,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로 기초하여 저류와 방류를 저감 결정 방안에 따라 주기적으로 실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단순히 수질 또는 부하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강우유출수 등의 유출수질, 유출오염부하 및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저류시설로의 유입 유량의 제어에 반영하여 대상오염물질별로 다양하고 실시간으로 유출특성이 변동하는 각 오염물질의 유출오염부하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도 1은 유역별, 강우발생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관찰되는 오염물질(SS)의 유출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에서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고려한 최적의 오염부하 제어에 대한 유량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유입라인 20: 저류 시설
30: 수질 모니터링 장치 40: 유량 모니터링 장치
50: 수위계 60: 데이터 저장장치
70: 유출오염부하량 산출장치 80: 잔여저류용량 산출장치
90: 유출입수 제어장치

Claims (11)

  1. 강우유출수의 유출 관로에서 유출 수질 및 유량을 동시에 측정하고;
    측정된 수질 및 유량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출오염부하량을 실시간 산출하고;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유출 수질, 유출오염부하량 및 잔여저류용량에 근거하여 저류시설로의 유입 유량 및 저류시설로부터의 방류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저류시설에 저류된 유입원수의 처리수 또는 여분의 강우유출수를 바이패스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유량과 방류 유량의 제어는 펌프 또는 수문을 통해 제어되는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및 유량의 측정, 유출오염부하량 산출, 잔여저류용량의 산출 및 유입과 방류 유량의 제어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의 저감을 위한 처리 방법.
  6. 강우유출수가 도입되는 유출수 유입라인;
    상기 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저류하는 저류 시설;
    상기 강우유출수의 수질 및 유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
    상기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모니터링된 수질 데이터 및 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수질 및 유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출오염부하량을 산출하며, 상기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하는 산출장치;
    상기 저류시설로의 상기 강우유출수의 유입 유량 및 상기 저류시설로부터의 방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영양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장치; 및
    상기 저류시설로부터의 저류수를 방류하도록 안내하는 방류라인
    을 포함하는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강우유출수의 탁도, 전기전도도, 자외선 흡광도를 모니터링하는 수질 모니터링장치 및 상기 강우유출수의 유량을 모니터링하는 유량 모니터링 장치가 별개로 또는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장치는
    상기 수질 모니터링장치와 유량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수질 데이터 및 유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장치,
    저장된 수질 데이터와 유량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유출오염부하량을 산출하는 유출오염부하량 산출장치 및
    상기 저류시설의 여유고 또는 저류시설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누적유입유량을 활용하여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을 산출하는 잔여저류용량 산출장치
    를 포함하는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저류시설의 잔여저류용량과 유출수질 및 유출오염부하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펌프 또는 수문을 이용하여 저류시설에서의 유입 유량과 방류 유량을 제어하는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11. 제6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유량 모니터링 장치, 산출장치, 제어장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구성되는
    강우유출수의 유출오염부하의 저감을 위한 처리 시스템.
KR1020090089792A 2009-09-22 2009-09-22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158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92A KR101158052B1 (ko) 2009-09-22 2009-09-22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92A KR101158052B1 (ko) 2009-09-22 2009-09-22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355A KR20110032355A (ko) 2011-03-30
KR101158052B1 true KR101158052B1 (ko) 2012-06-22

Family

ID=4393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792A KR101158052B1 (ko) 2009-09-22 2009-09-22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92B1 (ko) * 2012-08-30 2014-04-04 이창우 실시간 제어 기반의 지능형 우수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25B1 (ko) * 2011-07-01 2013-09-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가압부상을 이용한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KR101233416B1 (ko) * 2011-07-01 2013-02-1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자동측정기기 및 상압부상을 이용한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CN107246058B (zh) * 2017-06-07 2019-05-28 江苏苏邑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城市排污系统
CN113379191B (zh) * 2021-05-11 2023-08-29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南方高密度建成区面源污染重点区域的整治与管理方法
CN113551717B (zh) * 2021-06-10 2023-07-25 广州资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监控截流井的监控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135A (ja) * 1999-12-22 2001-07-03 Toshiba Corp 下水道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2009150178A (ja) * 2007-12-21 2009-07-09 Bridgestone Corp 工場排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135A (ja) * 1999-12-22 2001-07-03 Toshiba Corp 下水道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2009150178A (ja) * 2007-12-21 2009-07-09 Bridgestone Corp 工場排水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92B1 (ko) * 2012-08-30 2014-04-04 이창우 실시간 제어 기반의 지능형 우수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355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052B1 (ko) 유출오염부하 저감을 위한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0907290B1 (ko) 저류 시스템
KR101030860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인공습지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및 그 방법
Bao et al. Phosphorus retention along a typical urban landscape river with a series of rubber dams
CN107605006B (zh) 一种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1127474B1 (ko) 저수지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KR101106779B1 (ko) 하천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CN103343570A (zh) 合流制调蓄池实时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hl et al. Constructed wetlands for CSO treatment: an overview of practice and research in Germany
CN107587580B (zh) 一种带液动下开式堰门和泵排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1360154B1 (ko) 기상정보 및 모의 산출 기반의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및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방법
Kaczor et al. Impact of snowmelt inflow on temperature of sewage discharged to treatment plants
KR20130091900A (ko) 침투도랑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CN206143897U (zh) 一种多功能雨水收集与处理回用系统
CN104679993A (zh) 一种基于二元水循环的纳污能力计算方法
KR20130058718A (ko) 기상정보 및 모의 산출 기반의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및 저류형 비점오염 저감 방법
KR20130091902A (ko) 식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를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Zubala The working conditions and optimisation of a large rainwater harvesting and treatment system in an area at a risk of erosion
KR20120038303A (ko) 빗물과 상수의 연계 활용을 위한 스마트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5256433A (ja) 下水処理水及び雨水の送排水システム
CN107806154B (zh) 一种带有在线处理设施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20110074380A (ko) 교량의 녹지 생태축 연결 및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부착용 소규모 인공습지
Kimura et al.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water quality in the wastewater catchment system of an urbanizing basin
KR101092245B1 (ko) 비점오염처리장치
Hong et al.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iciency using constructed wetland in a coastal reservo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