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658B1 -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 Google Patents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658B1
KR101157658B1 KR1020090104334A KR20090104334A KR101157658B1 KR 101157658 B1 KR101157658 B1 KR 101157658B1 KR 1020090104334 A KR1020090104334 A KR 1020090104334A KR 20090104334 A KR20090104334 A KR 20090104334A KR 101157658 B1 KR101157658 B1 KR 101157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ying
mixing
mixture
mo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630A (ko
Inventor
최문규
배용환
Original Assignee
(주)대동기술단
배용환
최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기술단, 배용환, 최문규 filed Critical (주)대동기술단
Priority to KR102009010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6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기 시에도 건조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슬러지를 자원화할 수 있으며, 시스템 운영장비로 기존의 농기계를 사용하여 운영할 수 있으므로 쉽고 간단하게 운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있어서, 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제1 건조부의 바닥에 포설하는 제1 포설단계와; 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면서 슬러지의 함수율이 5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제1 건조단계와; 제1 건조단계를 거친 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제2 건조부의 바닥에 포설하는 제2 포설단계; 및 혼합물을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면서 혼합물의 함수율이 3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제2 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90104334
슬러지, 물성개량제, 토양개량제, 온실, 태양열, 건조부, 쟁기부, 믹서

Description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RESOURCE RECOVERY SYSTEM FOR SLUD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기 시에도 건조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슬러지를 자원화할 수 있으며, 시스템 운영장비로 기존의 농기계를 사용하여 운영할 수 있으므로 쉽고 간단하게 운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호수 등에서 수질정화 또는 수량확보를 위하여 바닥을 준설한 준설토는 준설토에 포함된 모래나 자갈을 재이용하기 위하여 모래나 자갈에 부착된 토사나 오니를 세정한 후 모래나 자갈 등으로 분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세정수 내에는 토사나 오니가 혼탁물로 존재하며, 혼탁물을 세정수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화학적 고분자 응집제인 폴리머로 응집, 침전시킨 후 탈수기로 탈수하여 탈수슬러지로 배출된다. 이처럼 배출된 탈수슬러지는 응집, 침전시 사용한 폴리머로 인하여 폐기물로 분류되어 대부분 해양투기나 폐기물 매립장에 매립처리되어 왔다.
한편, 정수슬러지와 굴착토슬러지도 구성 물질 특성상 이산화규소(SiO2)가 많고 유기물질이 적어서 일반토사로 사용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폴리머를 사용하여 응집한 후 탈수하기 때문에 하수슬러지와 함께 폐기물로 분류되어 폐기물 매립장에 매립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폐기물 관리법의 강화로 탈수슬러지의 함수율이 50% 이하일 때 매립장에 반입할 수 있도록 제한함에 따라 탈수기에서 70-85%의 함수율로 탈수되어 나오는 탈수슬러지의 함수율을 50% 이하로 낮추기 위하여 탈수슬러지를 건조하는데 많은 건조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탈수슬러지 자체의 물성 개량 없이 단순하게 수분만 제거한 상태에서 매립장에 반입되어 매립되므로 매립 후에 침출수나 우수에 의해 건조되었던 탈수슬러지가 재 슬러리화 되어서 폐기물 매립층과 복토층사이의 층분리나 층 미끄러짐을 유발시켜 매립폐기물의 안정화를 파괴하고 슬러리의 유동으로 매립된 폐기물층의 부분 침하나 융기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탈수슬러지의 폐기물 매립장에의 반입에 대한 반대가 심해지고, 하천을 정화하거나 새로운 터널의 건설 등 녹색산업의 발전으로 준설토나 굴착토의 탈수슬러지가 폭발적으로 단기간에 발생량이 급증하자 비교적 오염물질이 적게 함유된 준설토슬러지나 굴착토슬러지, 정수장찌꺼기 등은 탈수슬러지 자체의 물성을 변화시켜 토양개량제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우선, 첫 단계로 슬러지를 탈수하기 전에 응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응집제를 화학응집제인 폴리머 대신 친환경 응집제인 키토산계 응집제로 대체하고, 슬러지에 포함된 나트륨(Na) 성분이 수분이 없을 경우 슬러지를 돌처럼 딱딱하게 하여 토양 내의 통기도를 없애고, 수분이 많은 경우 재슬러리가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치환하기 위하여 칼슘제를 탈수슬러지의 물성개량제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칼슘제로 순수한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소석회)나 생석회를 사용할 경우 토양의 알칼리도를 높일 수 있어서 중화된 칼슘계열의 황산칼슘(CaSO4)이나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인산석회)을 탈수슬러지의 물성개량제로 많이 사용하며 때로는 벤토나이트(Bentonite)나 제올라이트(Zeolite)를 첨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탈수슬러지의 물성 개량을 하기 위해서는 약 70~85%가 되는 탈수슬러지의 높은 함수율을 50% 이하로 떨어뜨려야 물성개량제와의 분산 혼합률이 높아지게 되고, 토양개량제로 제조하여 복토제나 객토제 등으로 사용하려면 토양개량제 자체의 함수율이 30% 이하가 되어야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살포 효과가 있게 된다.
이에, 탈수슬러지의 함수율을 1차로 50% 이하로 낮추기 위하여 높은 함수율의 탈수슬러지를 생석회(CaO)와 직접 혼합하여 생석회가 수화 발열 반응에 의해 소석회로 변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탈수슬러지를 건조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생석회가 수화반응시 아세틸렌 가스(Acetylene Gas)를 발생시켜 화재의 위험이 있고, 가스 냄새로 인한 악취를 유발시키며, 투입된 생석회는 전부 소석회(CaCO3)로 변하여 토양의 알칼리화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투입된 생석회 의 발열반응이 전부 종료되는데 5~6일의 긴 반응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각열을 이용한 직접건조, 스팀건조, 전기건조, 기류건조, 마이크로파 건조 등의 여러 가지 기술적으로 우수한 건조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건조방식들은 단시간에 많은 양의 탈수슬러지를 건조할 수는 있지만 건조설비 자체가 크고 건설비가 비싸며, 운전유지에 따른 동력비나 건조열원을 얻기 위한 연료비가 너무 많이 들어서 다량의 탈수슬러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대규모의 하수처리장이나 정수처리장 등의 탈수슬러지 건조에는 적용되고 있으나, 소규모 정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탈수슬러지나 준설현장 및 굴착현장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탈수슬러지, 단기간에 대량 발생하거나 발생원이 이동하는 탈수슬러지의 처리에는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설비를 쉽게 이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 부지면적이 넓은 곳에서 탈수슬러지를 바닥에 펼쳐 놓고 태양열로 자연 건조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이 방법은 넓은 부지가 필요하고 건조 중 비가 오거나 우기 시에는 건조가 어렵고, 비를 맞은 탈수슬러지는 쉽게 재슬러리화하여 다시 탈수 후 건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여러 가지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상기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1차로 탈수슬러지의 함수율을 50% 이하로 건조시켜 1차 건조슬러지로 제조하더라도 1차 건조슬러지와 물성개량제의 혼합을 위해 혼합기에 1차 건조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투입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1차 건조슬러지의 경우 건조기 하단에 투입 컨베이어 등을 설치하여 혼합기에 이송 투입이 가능하지만 물성개량제의 경우 별도로 물성개량제를 저장하는 창고(사일로)를 포함한 개량기, 이송 컨베 이어 등의 많은 추가 설비가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혼합기에서 배출되는 혼합물을 토양개량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혼합물의 함수율을 30% 이하로 낮추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혼합물을 2차로 건조하게 되면 연료비 및 동력비가 추가로 소요된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물성개량제의 투입량을 늘려서 최종 토양개량제의 함수율을 조절하는 경우 토양개량제의 물성이 급격하게 알칼리화하여 토양개량제로서의 사용이 어렵게 되고, 처리하고자 하는 탈수슬러지의 처리량도 증가하게 되어 비경제적이며, 처리슬러지의 감량화가 어렵게 된다. 또한, 1차 건조시 탈수슬러지를 과다하게 건조시켜 수분율을 30% 이하로 낮추는 경우 건조기의 용량 및 운전 유지관리비가 더욱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서 기인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기 시에도 건조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슬러지를 자원화할 수 있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 운영장비로 기존의 농기계를 사용하여 운영할 수 있으므로 쉽고 간단하게 운영이 가능하고, 이동이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있어서, 슬러지와 물성개량제가 투입되어 바닥에 포설되고, 슬러지의 함수율이 5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제1 건조부와; 제1 건조부에 배치되어 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는 제1 쟁기부와; 제1 건조부에서 건조된 슬러지와 물성개량제가 투입되어 혼합되는 믹서와; 믹서에서 배출된 혼합물이 투입되어 바닥에 포설되고, 혼합물의 함수율이 3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제2 건조부; 및 제2 건조부에 배치되어 혼합물을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는 제2 쟁기부; 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을 제공한다.
제1 건조부, 제2 건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온실로 구성될 수 있다.
물성개량제는 황산칼슘(CaSO4),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인산석회),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소석회), 벤토나이트(Bentonite), 제올라이트(Zeolite), 일라이트(Illi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배합된 것이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믹서는, 슬러지와 물성개량제가 투입되고, 슬러지와 물성개량제가 혼합된 혼합물이 배출되는 본체와; 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본체 내에 배치되고, 본체의 회전에 따라 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뒤섞어주는 날개;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있어서, 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제1 건조부의 바닥에 포설하는 제1 포설단계와; 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면서 슬러지의 함수율이 5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제1 건조단계와; 제1 건조단계를 거친 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제2 건조부의 바닥에 포설하는 제2 포설단계; 및 혼합물을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면서 혼합물의 함수율이 3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제2 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의하면, 우기 시에도 건조가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슬러지를 자원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운영장비로 기존의 농기계를 사용하여 운영할 수 있으므로 쉽고 간단하게 운영이 가능하고, 이동이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슬러지는 하수처리 또는 정수(淨水)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상적인 슬러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응집제에 의해 응집, 침전된 후 탈수기로 탈수된 탈수슬러지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의해 구축되는 시스템은 크게 제1 건조부(100)와 제1 쟁기부(110), 믹서(200), 제2 건조부(300) 및 제2 쟁기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건조부(100)는 탈수기(H)에서 탈수되어 반입되는 탈수슬러지(이하, 슬러지라 함)와 창고 등에 저장되어 있던 물성개량제(PC)가 투입되어 살포기(120)에 의해 바닥에 포설되고, 슬러지(S)의 함수율이 50% 이하가 될 때까지 1차로 건조시켜 1차 건조물(D)을 제조하는 구성요소로써 통상의 온실이 사용된다. 이러한 온실은 내부에 난방시설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난방시설 없이 외벽이 비닐 또는 유리와 같이 햇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태양열에 의해 내부 온도를 높여 슬러지를 건조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슬러지(S)와 물성개량제(PC)를 살포하는 살포기(120)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농기계 중 비료살포기를 사용하여 운영할 수 있다. 물성개량제(PC)는 황산칼슘(CaSO4),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인산석회),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소석회), 벤토나이트(Bentonite), 제올라이트(Zeolite), 일라이트(Illi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배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쟁기부(110)는 제1 건조부(100)에 배치되어 살포기(120)에 의해 살포된 슬러지(S)와 물성개량제(PC)를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는 구성요소로써, 농기계 중 로터리(Rotary)가 사용될 수 있다.
믹서(200)는 제1 건조부(100)에서 건조된 슬러지(S)와 물성개량제(PC), 즉 1차 건조물(D)이 투입되어 슬러지(S)와 물성개량제(PC)가 잘 섞이도록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M)을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 건조부(300)는 믹서(200)에서 배출된 혼합물(M)이 투입되어 살포기(320)에 의해 바닥에 포설되고, 혼합물(M)의 함수율이 30% 이하가 될 때까지 2차로 건조시켜 2차 건조물, 즉 토양개량제(SC)를 제조하는 구성요소로써, 난방시설이 구비된 온실이나 별도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등 전술한 제1 건조부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제1 건조부(100)와 동일하게 태양열을 이용하여 혼합물(M)을 건조시켜 토양개량제(SC)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제2 건조부(300)를 사용 하게 된다.
제2 쟁기부(310)는 제2 건조부(300)에 배치되어 혼합물(M)을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는 구성요소이며, 제1 쟁기부(110)와 동일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건조부의 구조도이다. 여기서, 제2 건조부는 제1 건조부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제2 건조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부(100)는 외벽이 비닐 또는 유리로 된, 예를 들어 비닐하우스 구조로 구성된다. 내부의 바닥에는 다짐한 원지반(102) 위에 슬러지(S)와 물성개량제(PC)가 포설되는데, 슬러지(S)에 포함된 물이 흘러나올 때 물만 하부로 흘러나오도록 필터(104)를 바닥 전체에 설치한다. 필터(104)는 토목섬유, 투수고무판 등 바닥을 유지하면서 물만 통과시키는 역할만 하면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재질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필터(104)를 현장에 설치할 때는 바닥에 핀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잘 고정시켜야 하며, 제1 건조부(100)에 배치되어 바닥에 포설된 슬러지(S)와 물성개량제(PC)를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는 제1 쟁기부(110)의 날에 의해 필터(104)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제1 쟁기부(110)로 농기계 중 로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 로터리의 날의 길이가 약 30cm 정도 되므로 슬러지(S)와 물성개량제(PC)를 약 40cm 이상의 두께로 포설하여 로터리 날이 필터(104)를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제1 건조부(100)의 양 측면은 슬러지(S)를 건조할 때 단순히 태양열로 만 건조하는 것보다 제1 건조부(100) 내부를 통과하는 통풍이 있으면 건조가 더욱 빠르게 진행된다. 이에, 제1 건조부(100)의 양 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수단(106)을 부착하여 맑은 날에는 개폐수단(106)을 동작시켜 양 측면을 개방, 예를 들어 비닐하우스일 경우 양 측면을 감아 올려 통풍력을 높이고, 흐린 날이나 우기 시에는 양 측면을 폐쇄하여 제1 건조부(100)에서 건조가 진행중인 1차 건조물(D) 및 제2 건조부(300)에서 건조가 진행 중인 토양개량제(SC)에 수분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 건조부(100)의 외측 바닥에는 필터(104)를 통과하여 나온 물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배수로(108)를 설치할 수 있으며, 물이 지반에 유입되지 않고 배수로로 유도되도록 지반 위에 물유도판(미도시) 등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운영 방법이 될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믹서의 구조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믹서(200)는 크게 본체(220)와 구동수단(230) 및 날개(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건조부(100)에서 건조된 1차 건조물(D, 슬러지와 물성개량제)이 투입될 수 있도록 입구에 투입호퍼(210)가 형성되어 있고, 슬러지(S)와 물성개량제(PC)가 잘 혼합된 혼합물(M)을 배출하기 위하여 출구에 배출슈트(240)가 형성된다. 여기서, 1차 건조물(D)의 투입 및 배출은 페이로더(pay loader, 셔블로더)나 컨베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 템을 연속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운영유지 관리상 편리성을 도모할 수가 있다.
구동수단(230)은 본체(22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써, 통상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체(220)에 장착되는 기어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날개(222)는 본체(220) 내에 배치되고, 본체(220)의 회전에 따라 슬러지(S)와 물성개량제(PC)를 뒤섞어주어 혼합물의 혼합률을 높여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의 자원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탈수기(H)에서 탈수되어 반입되는 슬러지(S)는 현장에서 창고 등에 저장되어 있던 물성개량제(PC)와 함께 살포기(120)에 의해 제1 건조부(100)의 바닥에 포설된다(S10).
살포가 완료되면 1일 3회 이상 간헐적으로 제1 쟁기부(110), 예를 들어 로터리로 혼합, 교반되는데 이때 로터리의 강력한 뒤집기 및 흩뿌려짐과 제1 건조부(100)의 외벽을 통해 흡수되는 태양열에 의하여 2~3일 내에 함수율이 50% 이하로 건조되어 1차 건조물(D)이 제조된다(S20).
제조된 1차 건조물(D)은 믹서(200)로 투입된 후 믹서(200)에 의해 1차 건조 물(D) 내의 여러 혼재 성분들이 고르게 분산 혼합된 혼합물(M)로 제조되어 믹서(200) 외부로 배출된다(S30).
배출된 혼합물(M)은 살포기(320)에 의해 제2 건조부(300)의 바닥에 살포되고(S40), 제2 쟁기부(310), 예를 들어 로터리에 의해 1일 3회 이상 혼합, 교반되면서 제1 건조부(100)에서의 건조원리와 같은 원리로 함수율이 30% 이하인 토양개량제(SC)로 제조되는 것이다(S5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건조부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믹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의 자원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 건조부 102: 지반
104: 필터 106: 개폐수단
108: 배수로 110: 제1 쟁기부
120, 320: 살포기 200: 믹서
210: 투입호퍼 220: 본체
222: 날개 230: 구동수단
240: 배출슈트 300: 제2 건조부
310: 제2 쟁기부 H: 탈수기
S: 슬러지 PC: 물성개량제
D: 1차 건조물 M: 혼합물
PC: 토양개량제

Claims (6)

  1.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에 있어서,
    슬러지와 물성개량제를 제1 건조부의 바닥에 포설하는 제1 포설단계와;
    상기 슬러지와 상기 물성개량제를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면서 상기 슬러지의 함수율이 5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제1 건조단계와;
    상기 제1 건조단계를 거친 상기 슬러지와 상기 물성개량제를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제2 건조부의 바닥에 포설하는 제2 포설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면서 상기 혼합물의 함수율이 3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제2 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설단계는,
    상기 슬러지의 함수율이 5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상기 제1 건조단계는,
    상기 제1 건조부에 배치되는 제1 쟁기부를 통해 상기 슬러지와 상기 물성개량제를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며,
    상기 제2 포설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함수율이 3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되,
    상기 제2 건조단계는,
    상기 제2 건조부에 배치되는 제2 쟁기부를 통해 상기 혼합물을 간헐적으로 뒤집어 섞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부, 상기 제2 건조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온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개량제는 황산칼슘(CaSO4),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인산석회),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소석회), 벤토나이트(Bentonite), 제올라이트(Zeolite), 일라이트(Illi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는,
    상기 슬러지와 상기 물성개량제가 투입되고, 상기 슬러지와 상기 물성개량제가 혼합된 혼합물이 배출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러지와 상기 물성개량제를 뒤섞어주는 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는,
    상기 슬러지와 상기 물성개량제가 투입되고, 상기 슬러지와 상기 물성개량제가 혼합된 혼합물이 배출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러지와 상기 물성개량제를 뒤섞어주는 날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KR1020090104334A 2009-10-30 2009-10-30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KR101157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334A KR101157658B1 (ko) 2009-10-30 2009-10-30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334A KR101157658B1 (ko) 2009-10-30 2009-10-30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630A KR20110047630A (ko) 2011-05-09
KR101157658B1 true KR101157658B1 (ko) 2012-06-18

Family

ID=4423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334A KR101157658B1 (ko) 2009-10-30 2009-10-30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6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616A (ko) * 2002-07-04 2002-07-26 양해석 유기성 폐기물 슬러지를 원료로한 퇴비료 생산 방법
KR100833217B1 (ko) * 2007-04-03 2008-05-28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준설토의 고화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준설토용 고화제
KR100914993B1 (ko) * 2009-01-12 2009-09-02 문홍란 하수슬러지 이용 폐기물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616A (ko) * 2002-07-04 2002-07-26 양해석 유기성 폐기물 슬러지를 원료로한 퇴비료 생산 방법
KR100833217B1 (ko) * 2007-04-03 2008-05-28 주식회사 제철세라믹 준설토의 고화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준설토용 고화제
KR100914993B1 (ko) * 2009-01-12 2009-09-02 문홍란 하수슬러지 이용 폐기물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630A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832B1 (ko) 탄산가스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석회성분 제거방법 및 그장치
CN105884230A (zh) 一种回收及强化混凝土骨料的方法
CN105413623B (zh) 一种水体内源磷吸附材料的制备方法
KR100872058B1 (ko)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슬러리 장치
KR20140126016A (ko) 벤토나이트를 주재료로 하는 벤토텍스, 벤토쉬트, 벤토혼합토, 벤토스프레이의 다기능성 벤토나이트 차수방수재
CN110563294A (zh) 河湖淤泥脱水干化一体化处理工艺及系统
KR100803706B1 (ko) 순환골재와 탄산가스를 이용한 침강성 탄산칼슘 생산방법및 그 장치
KR101157658B1 (ko) 슬러지의 자원화 방법
KR100897386B1 (ko) 하천 오염 준설토를 이용한 친환경 보도 블록으로의 재활용 처리방법
CN102605853A (zh) 用于中央商务区雨水生态处理及回用的设施及其方法
JP2011235253A (ja) 再生石膏由来の無機系中性凝集剤及びこれを用いた汚濁水浄化システム
KR100725842B1 (ko)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처리방법 및그 장치
JP2013247860A (ja) リサイクル土壌
JP2005013973A (ja) 汚泥の固化処理材、それを用いる汚泥の処理方法及び汚泥固化物の再利用方法
RU249498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для дорожн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на основе переработанных осадков сточных вод предприятий коммунального хозяйства
JP2004174305A (ja) 無機性汚泥処理方法及び無機性汚泥処理装置
KR101196034B1 (ko) 오염 준설토의 재활용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토양 개량 플랜트
CN113845341A (zh) 一种用于河塘底泥的复合固化剂及固化方法
JP3933737B2 (ja) セメント含有廃泥の処理方法
JP2010099655A (ja) 汚泥造粒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41891A (ja) ロックウールのマテリアル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101210365B1 (ko) 퇴적폐준설토를 활용한 토양시멘트 지반안정화공법
JPH11315554A (ja) 発生土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898850B2 (ja) 泥土の処理方法
JPS6233599A (ja) 廃棄汚泥の天日乾燥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