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510B1 -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 Google Patents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510B1
KR101157510B1 KR1020110127658A KR20110127658A KR101157510B1 KR 101157510 B1 KR101157510 B1 KR 101157510B1 KR 1020110127658 A KR1020110127658 A KR 1020110127658A KR 20110127658 A KR20110127658 A KR 20110127658A KR 101157510 B1 KR101157510 B1 KR 101157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guide rails
rotary ring
fixing
bo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국
Original Assignee
(주)관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관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12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앵커의 간격을 현장 또는 공장에서 임의로 조정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태의 상부가이드레일(32)(34)을 회전링(30)의 외주면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부가이드레일(32)(34)과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하부가이드레일(52)(54)을 저널부싱(5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59)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설치하며, 저널부싱(50)의 외측에 회전링(30)을 끼우고 저널부싱(5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멈춤홈(56)에 스냅링(58)을 설치하며, 상부가이드레일(32)(34)과 하부가이드레일(52)(54)에 미끄럼결합되어 직선운동되는 상부슬라이드바(60)(61)와 하부슬라이드바(70)(71)에 각각 조정볼트(62)(63)(72)(73)를 설치하며, 기초앵커(20)(21)(22)(23)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를 상부슬라이드바(60)(61)와 하부슬라이드바(70)(71)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66)(67)(76)(77)를 설치하며, 고정볼트(66)(67)(76)(77)에 의해 가압되는 면취부(25)(26)를 기초앵커(20)(21)(22)(23)의 측면에 형성하고, 회전링(30)의 측면에 세트볼트(35)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Foundation Anchor for Constructoin}
본 발명은 건축의 부대시설인 난간 및 방음벽 등에 이용되는 매립형 기초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앵커의 간격을 현장 또는 공장에서 임의로 조정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기초앵커는 “L”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통상 4개의 기초앵커를 환봉으로 만들어진 사각링의 4모퉁이에 용접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초앵커는 기초앵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는 고정식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용접과정에서 열변형에 의해 치수에 오차가 발생되는 경우 현장에서 수정이 매우 곤란하여 정밀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74885호(2007.11.0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초앵커의 중심간 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태의 상부가이드레일을 회전링의 외주면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부가이드레일과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하부가이드레일을 저널부싱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설치하며, 저널부싱의 외측에 회전링을 끼우고 저널부싱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멈춤홈에 스냅링을 설치하며, 상부가이드레일과 하부가이드레일에 미끄럼결합되어 직선운동되는 상부슬라이드바와 하부슬라이드바에 각각 조정볼트를 설치하며, 기초앵커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고정슬리브를 상부슬라이드바와 하부슬라이드바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앵커고정슬리브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를 설치하며, 고정볼트에 의해 가압되는 면취부를 기초앵커의 측면에 형성하고, 회전링의 측면에 세트볼트를 설치하여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초앵커의 중심간 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회전링을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기초앵커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앵커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조정 후 볼트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앵커 고정을 위한 기존과 같은 용접작업을 배제할 수 있게 되어 열변형에 의한 치수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태의 상부가이드레일(32)(34)을 회전링(30)의 외주면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부가이드레일(32)(34)과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하부가이드레일(52)(54)을 저널부싱(5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59)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설치한다.
또한, 저널부싱(50)의 외측에 회전링(30)을 끼우고 저널부싱(5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멈춤홈(56)에 스냅링(58)을 설치하고, 회전링(30) 고정을 위한 세트볼트(35)를 회전링(30)의 측면에 설치한다.
또, 상부가이드레일(32)(34)과 하부가이드레일(52)(54)에 미끄럼결합되어 직선운동되는 상부슬라이드바(60)(61)와 하부슬라이드바(70)(71)에 각각 조정볼트(62)(63)(72)(73)를 설치한다.
여기서 조정볼트(62)(63)(72)(73)는 하부슬라이드바(70)(71)와 상부슬라이드바(60)(6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나사구멍(80)(81)(82)(83)에 결합되어 상부가이드레일(32)(34)과 하부가이드레일(52)(54)을 압박함으로써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기초앵커(20)(21)(22)(23)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를 상부슬라이드바(60)(61)와 하부슬라이드바(70)(71)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66)(67)(76)(77)를 설치하며, 고정볼트(66)(67)(76)(77)에 의해 가압되는 면취부(25)(26)를 기초앵커(20)(21)(22)(23)의 측면에 형성한다.
또한, 기초앵커(20)(21)(22)(23)의 측면에 형성되는 면취부(25)(26)는 고정볼트(66)(67)(76)(77)에 의해 기초앵커(20)(21)(22)(23)가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현장 또는 공장에서의 조립작업은 회전링(30)을 저널부싱(50)의 상측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서 조립한 다음 저널부싱(5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멈춤홈(56)에 스냅링(58)을 끼우게 되면, 회전링(30)이 저널부싱(50)으로부터 빠질 수 없게 되는 동시에 회전링(30)이 저널부싱(50)에서 수평하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된다.
이후 하부슬라이드바(70)(71)는 하부가이드레일(52)(54)에 삽입하고, 상부슬라이드바(60)(61)는 상부가이드레일(32)(34)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슬라이드바(70)(71)와 상부슬라이드바(60)(61)의 길이를 임의로 조정한 다음 하부슬라이드바(70)(71)와 상부슬라이드바(60)(61)의 나사구멍(80)(81)(82)(83)에 결합되어 있는 조정볼트(62)(63)(72)(73)를 조이게 되면, 하부슬라이드바(70)(71)와 상부슬라이드바(60)(61)가 하부가이드레일(52)(54)와 상부가이드레일(32)(34)에 각각 조립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부슬라이드바(60)(61)와 하부슬라이드바(70)(71)의 길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회전링(30)를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슬라이드바(70)(71)와 상부슬라이드바(60)(61)가 이루는 “X”자 모양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되며, 각도조정을 마친 후에는 세트볼트(35)를 조이게 되면, 조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조정작업을 마친 다음 하부슬라이드바(70)(71)와 상부슬라이드바(60)(6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의 밑에서 상측으로 기초앵커(20)(21)(22)(23)를 삽입한 다음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볼트(66)(67)(76)(77)를 조이게 되면, 기초앵커(20)(21)(22)(23)가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에 고정된다.
이때 기초앵커(20)(21)(22)(23)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면취부(25)(26)를 고정볼트(66)(67)(76)(77)의 단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66)(67)(76)(77)를 조이게 되면, 기초앵커(20)(21)(22)(2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0,21,22,23 : 기초앵커 25,26 : 면취부
30 : 회전링 32,34 : 상부가이드레일
35 : 세트볼트 50 : 저널부싱
52,54 : 하부가이드레일 56 : 멈춤홈
58 : 스냅링 59 : 플랜지
60,61 : 상부슬라이드바 70,71 : 하부슬라이드바
62,63,72,73 : 조정볼트 64,65,74,75 : 앵커고정슬리브
66,67,76,77 : 고정볼트 80,81,82,83 : 나사구멍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된 채널형태의 상부가이드레일(32)(34)을 회전링(30)의 외주면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설치하고, 상부가이드레일(32)(34)과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하부가이드레일(52)(54)을 저널부싱(5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59)에서 상반된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설치하며, 저널부싱(50)의 외측에 회전링(30)을 끼우고 저널부싱(5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멈춤홈(56)에 스냅링(58)을 설치하며, 상부가이드레일(32)(34)과 하부가이드레일(52)(54)에 미끄럼결합되어 직선운동되는 상부슬라이드바(60)(61)와 하부슬라이드바(70)(71)에 각각 조정볼트(62)(63)(72)(73)를 설치하며, 기초앵커(20)(21)(22)(23)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를 상부슬라이드바(60)(61)와 하부슬라이드바(70)(71)의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앵커고정슬리브(64)(65)(74)(75)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66)(67)(76)(77)를 설치하며, 고정볼트(66)(67)(76)(77)에 의해 가압되는 면취부(25)(26)를 기초앵커(20)(21)(22)(23)의 측면에 형성하고, 회전링(30)의 측면에 세트볼트(35)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KR1020110127658A 2011-12-01 2011-12-01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KR101157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58A KR101157510B1 (ko) 2011-12-01 2011-12-01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58A KR101157510B1 (ko) 2011-12-01 2011-12-01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510B1 true KR101157510B1 (ko) 2012-06-20

Family

ID=4668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58A KR101157510B1 (ko) 2011-12-01 2011-12-01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5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203B1 (ko) * 2016-10-06 2017-01-04 (주)극동메탈휀스 메쉬휀스에 설치되는 지주의 지면매설용 중심 가이드장치
KR101774762B1 (ko) * 2016-12-01 2017-09-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앵커볼트 결속장치
KR102641679B1 (ko) * 2023-09-11 2024-02-28 (주)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기초앵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860B1 (ko) 2005-12-31 2006-03-30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구조
KR100581092B1 (ko) 2005-10-05 2006-05-22 (주)다산컨설턴트 도로 방음벽용 기초앵커
KR100589848B1 (ko) 2006-03-08 2006-06-14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난간의 기초앵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092B1 (ko) 2005-10-05 2006-05-22 (주)다산컨설턴트 도로 방음벽용 기초앵커
KR100565860B1 (ko) 2005-12-31 2006-03-30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구조
KR100589848B1 (ko) 2006-03-08 2006-06-14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베란다 난간의 기초앵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203B1 (ko) * 2016-10-06 2017-01-04 (주)극동메탈휀스 메쉬휀스에 설치되는 지주의 지면매설용 중심 가이드장치
KR101774762B1 (ko) * 2016-12-01 2017-09-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앵커볼트 결속장치
KR102641679B1 (ko) * 2023-09-11 2024-02-28 (주)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립식 기초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681B1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KR101266737B1 (ko)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KR101157510B1 (ko) 건축 부대시설용 조립식 기초앵커
KR1012990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직 전단 연결재
KR102264882B1 (ko) 부시가 구비된 외측 포인트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AU2016256678B2 (en) Creation of Surface-Mounted Sills or Hobs on Cast-in-situ Concrete Building Slabs
JPWO2008149543A1 (ja) せき板取付枠及び型枠工法
KR101687542B1 (ko) 상부수평철근용 철근스페이서의 고정구조
JP647387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梁部材
CN204139589U (zh) 竖向混凝土墙的施工模板组件
JP5940322B2 (ja) 柱の据え付け具
KR100978502B1 (ko) 교량의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JP4757902B2 (ja) トンネル通路構築用壁面板
EP1382761A1 (en) Building system
KR100799176B1 (ko) 단열재가 취부되는 옹벽 교차부 폼패널
KR100504137B1 (ko)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JP2013249700A (ja) 梁接合部構造および耐力パネル構造
JP2013159973A (ja) フロアヒンジ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2006342533A (ja)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装置
JPH10238076A (ja) 木床構造及び木床施工方法
JP5964660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設置方法
JP3159371U (ja) コンクリート打設時の鉄筋の位置調整具
KR20130059363A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030013948A (ko) 조립식 건물의 지붕구조체와 벽체 간의 결합구조 및 방법
JP2008174923A (ja) 床スラブ用支柱脚部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