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333B1 -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333B1
KR101157333B1 KR1020100008678A KR20100008678A KR101157333B1 KR 101157333 B1 KR101157333 B1 KR 101157333B1 KR 1020100008678 A KR1020100008678 A KR 1020100008678A KR 20100008678 A KR20100008678 A KR 20100008678A KR 101157333 B1 KR101157333 B1 KR 10115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external device
area
class
acc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936A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0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333B1/ko
Priority to US12/862,344 priority patent/US8793622B2/en
Priority to CN2010102752584A priority patent/CN102141836A/zh
Priority to EP10188003A priority patent/EP2378749A3/en
Publication of KR2011008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제1 디바이스는 아이템을 클래스화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디바이스가 접근함에 따라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접근하는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와 매칭되는 적절한 클래스를 인식하여 해당 디바이스로 제공하거나 해당 클래스와 연동된 서비스(디스플레이 상태 변경 등)를 실행한다. 제2 디바이스는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제1 디바이스의 화면 중 원하는 클래스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접근하여 제1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클래스를 수신하고, 그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아이템 제어 시 위치 인식을 활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최대한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구현하고, 그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DEVICES FOR CONTROLLING ITEMS, SYSTEM FOR CONTROLLING ITEMS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디바이스와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개인용 디바이스의 대중화가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디바이스들이 제공하는 기능 역시 점차 다양해져 다양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폰, 개인휴대단말,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음악, 영화, 드라마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휴대하면서 즐길 수 있는 동영상 플레이어, 음악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등이 급격히 보급되고 있다.
한편, 광 센서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이 몇몇 연동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으로서 활용범위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디바이스 상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를 컨텐츠가 등록된 장치와 연결시킨 후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거쳐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선택해서 미리 저장해 두거나, 유무선 인터넷의 서버에 접속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후 재생하여야 하는 방식이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아이템 제어 시 위치 인식을 활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최대한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구현하고, 그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프트웨어적 데이터의 범위를 벗어나 배터리 등의 물리적인 데이터까지 송수신 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 인식 결과에 따라 아이템의 제공 여부를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맞는 동작으로 쉽고 자연스럽게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는 복수의 영역으로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아이템의 전체영역을 영역별로 분할하여 클래스화하고, 외부 디바이스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식별하여 선택영역에 연동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템은 파일,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종류, 명령 오브젝트, 어플리케이션 화면구성요소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일 수도 있고, 전기신호를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는 물리적인 데이터일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와 매칭되는 영역의 클래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는 복수의 영역으로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의 접근동작에 의해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일부영역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선택영역의 클래스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클래스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동 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연동 서비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클래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템 제어 시스템은 접근동작에 의해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아이템의 전체영역을 영역별로 분할하여 클래스화한 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를 감지하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클래스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클래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이템 제어 방법은 디바이스가 아이템의 전체영역을 영역별로 분할하여 클래스화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외부 디바이스가 접근함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식별하여 선택영역에 연동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선택영역의 클래스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아이템 제어 방법은 디바이스가 복수의 영역으로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외부 디바이스로 접근하여 상기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일부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접근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선택된 영역을 식별하여 선택영역의 클래스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영역의 클래스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클래스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템 제어 시 위치 인식을 활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최대한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구현하고, 그로 인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적 데이터의 범위를 벗어나 배터리 등의 물리적인 데이터까지 송수신 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위치 인식 결과에 따라 아이템의 제공 여부를 자동으로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맞는 동작으로 쉽고 자연스럽게 아이템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아이템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가 제공할 수 있는 아이템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과,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아이템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을 감지하여 아이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비롯하여 개인휴대단말, 휴대폰, 스마트폰,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각종 임베디드 장치에 이르기까지, 아이템의 디스플레이와 통신을 통한 아이템 제공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이다. 이러한 제1 디바이스(10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부(110)의 화면 상에서 다양한 아이템 및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 디바이스(100)는 아이템들을 영역별로 클래스화하여 저장한 후 클래스화된 상태의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와 매칭되는 선택영역과 연동된 서비스를 실행한다.
제1 디바이스(100)는 크게 표시부(110) 및 구동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구동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화면을 구현하는 부분으로서 상황에 맞는 여러 가지 아이템과 기능들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특히 아이템 제공을 위해 화면에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한다.
구동 제어부(120)는 아이템을 분할하여 클래스화한 후 표시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접근하는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를 판단한다. 아울러, 구동 제어부(120)는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와 매칭되는 영역에 연동된 서비스를 실행한다. 예컨대,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의 클래스화된 아이템 일부를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와 매칭하여 제2 디바이스(20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는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서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 거리, 접근방향, 이동경로, 각도, 진입속도, 진입면적 등에 해당하는 값이다. 예를 들어, 접근방향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클래스를 식별한다면,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가 자신의 화면 상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인 경우와 역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각각의 동작이 서로 다른 클래스를 선택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20)에는 아이템 관리부(121), 근접 디바이스 인식부(122), 선택 서비스 실행부(123), 인터페이스부(124)가 포함된다.
아이템 관리부(121)는 아이템들을 복수의 클래스로 나누어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각 아이템을 클래스화된 상태로 표시부(1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근접 디바이스 인식부(122)는 광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을 구비하여 접근하는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로 접근하는 경우 근접 디바이스 인식부(122)는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나 거리 등을 인식하거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그 접근정보를 획득하여 선택 서비스 실행부(123)로 제공한다.
선택 서비스 실행부(123)는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와 매칭되는 선택영역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래스를 식별하여 식별된 클래스와 연동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선택 서비스 실행부(123)는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제2 디바이스(200)와 매칭되는 일부영역의 클래스를 검색한 후 인터페이스부(124)를 통해 선택 서비스 실행부(123)에서 검색된 클래스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제공한다. 혹은, 선택 서비스 실행부(120)가 검색된 클래스와 상응하는 오브젝트 명령을 실행하여 표시부(110) 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한다.
제2 디바이스(200)는 개인휴대단말이나 휴대폰, 스마트폰 등 제1 디바이스(100)에 접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의 일부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서,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제1 디바이스(100)로의 접근동작에 의해 해당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일부 선택영역과 매칭되어 있는 클래스를 획득한다.
제2 디바이스(200)에는 표시부(210),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 인터페이스부(230)가 포함된다.
표시부(210)는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 화면을 구현하는 부분으로, 특히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획득한 클래스를 상황에 맞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는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된 클래스를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해당 클래스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예컨대, 수신된 선택영역의 확대 디스플레이, 부분 재생 등)를 제공한다.
수신된 클래스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의 형태는 해당 클래스의 속성이나 제2 디바이스(200)의 현재 모드, 제2 디바이스(2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바이스(100)에서 이미지 일부가 수신된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는 수신된 이미지 부분을 확대할 수 있다. 동영상 일부가 수신된 경우에는,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가 해당 부분을 재생하거나 동영상앨범으로 등록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페이스부(230)는 제1 디바이스(100) 내 인터페이부(124)와의 통신을 통해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동작에 의해 선택되는 영역의 클래스를 수신하여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는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전송이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사용자가 전송받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동작을 거치지 않더라도 해당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표시되는 영역과 제2 디바이스(200)가 접근하는 위치, 거리 등의 접근정보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적절한 영역의 클래스를 선택한다.
도 2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아이템을 클래스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고, 제2 디바이스(200)는 접근동작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아이템을 전송받고자 하는 것이다. D110은 제1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영역, D120은 제1 디바이스(100)가 영역별로 클래스화하여 디스플레이한 아이템, D130은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의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이동한 경로(궤적), D140은 제2 디바이스(200)가 선택한 클래스이다.
제1 디바이스(100)는 2D 인터페이스, 3D 인터페이스, 홀로그램 영상 등으로 표시 가능한 모든 아이템(예컨대, 파일, 이미지, 동영상 등의 컨텐츠, 메뉴 등의 명령 오브젝트, 어플리케이션 화면구성요소)을 클래스화시켜 디스플레이한다. 이는 제1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영역별로 나누어 클래스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로 접근하는 거리나 위치 등의 접근정보를 인지하여 클래스화시킨 아이템의 영역들을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와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제2 디바이스(200)가 특정 이동경로(D130)를 따라 움직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해당 이동경로(D130)와 매칭되는 클래스(D140)를 식별하여 이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혹은, 제1 디바이스(100)가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동작에 의해 선택된 클래스(D140)에 매칭되어 있는 서비스(오브젝트 명령 실행 등)를 제공하거나, 자신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의 특정 클래스(D140) 측으로 접근하여 해당 클래스(D140)를 획득하고, 그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가 제공할 수 있는 아이템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 제1 디바이스(100)가 클래스화를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환경은 도 3의 (a), (b)와 같은 2D, 3D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c)와 같은 홀로그램 영상에도 적용될 수 있다. 2D/3D 인터페이스, 홀로그램 영상 등은 표현 방식에 따라 영역과 거리 등을 기준으로 나누어 클래스화시킬 수 있다.
(a)는 2D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을 영역별로 나누어 클래스화시킨 상태이다. (b)의 3D 인터페이스 경우 2D 인터페이스와 마찬가지로 아이템이 영역별로 나뉘지만 입체적으로 보이는 면까지 모두 클래스화가 가능하다. 홀로그램 영상에서는 (c)의 점선 화살표로 구분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된 아이템과 제2 디바이스(200) 간의 거리에 따라 해당 아이템의 영역별 클래스화가 가능할 것이다.
클래스화가 적용되는 아이템은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로서, 파일,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음성, 음악) 등의 컨텐츠나, 명령 오브젝트 등일 수도 있고, 전기신호를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는 물리적인 데이터일 수도 있다. 즉, 제1 디바이스(100)가 클래스화하는 아이템은 단순 메뉴, 이미지, 동영상, 음악재생 리스트, 전화번호부, 배터리 등 영상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표시 가능한 모든 종류의 것일 수 있다.
도 4의 (a)는 이미지를 클래스화한 것, (b)는 전화번호부를 영역별로 클래스화한 것이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0)의 물리적인 데이터인 배터리 등도 도 4의 (c)와 같은 방식으로 클래스화시켜 영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100)로 접근하는 제2 디바이스(200)의 각도와 거리, 위치 등의 접근정보를 판단하여 한 개의 데이터만이 아닌 여러 개의 데이터들을 동시에 매칭시킬 수도 있다.
(a)는 2D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전화번호부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디바이스(200)가 이동경로(궤적)에 따라 한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E110)와 두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E120)를 나타내고 있다. (b)는 홀로그램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디바이스(200)가 이동경로에 따라 한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E130)와 두 개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E140)를 나타내고 있다. (b)의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와 거리 등을 측정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이동경로를 판단하고, 그에 매칭되는 선택영역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래스를 제1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2 디바이스(200)가 다중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 각도(기울기)를 가지고 접근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최초 접근거리를 측정하고, 일정 시간(예컨대, 0.1초)마다 제2 디바이스(200)와의 거리를 여러 번 측정하며, 마지막으로 측정된 접근거리를 이용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선택한 클래스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00)는 동영상이나 오디오 등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화면에서 상태표시줄(progress bar)을 영역별로 나누고,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위치 등에 따라 파일의 일부분을 적절히 매칭시켜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컨텐츠가 제1 디바이스(100)에서 재생(play) 중인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도 6과 같이 접근동작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표시줄의 특정영역만을 선택함으로써 재생 중인 컨텐츠의 특정영역만을 선택하여 수신하거나 선택한 영역부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 예컨대, 도 6에서, 상태표시줄을 클래스#1(C110), 클래스#2(C120), 클래스#3(C130) 등의 영역들로 나누게 되면 제2 디바이스(200)는 접근위치에 의해 아이템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재생 중인 동영상에서 클래스#2(C120)와 클래스#3(C130)에 해당하는 부분만 전송받거나 해당 부분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당해 실시예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아이템의 특정부분만을 가져와 제2 디바이스(200)에서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아이템이 이미지인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는 선택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의 D210은 제2 디바이스(200)의 이동경로이다. 제2 디바이스(200)는 이동경로(D210)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일부를 가져와 확대한다.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된 한 장의 이미지 중 원하는 영역을 가져오기 위해 해당 영역과 근사하게 제2 디바이스(200)를 위치시키면, 제1 디바이스(100)는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영역별로 나누어서 저장한 클래스 값과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파악하여 가까운 위치의 이미지 일부분(이미지 중 접근정보와 대응되는 클래스)만을 전송하고, 제2 디바이스(200)는 이를 수신한 후 화면에 맞게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키 이벤트(key event)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로 접근하는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클래스와 수행 중인 키 이벤트를 연동하여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여러 클래스들로 나뉘어진 아이템으로 접근하면서 동시에 다른 이벤트 동작(키 이벤트 등)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이 가진 제2 디바이스(200)가 단순 전송을 포함하여 연결된 다른 동작(통화 시동) 등을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제1 디바이스(100)에서 전화번호부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E210)만으로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C120)를 선택하여 바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도 8에서, E210은 제2 디바이스(200)의 이동경로이고, C210은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부의 클래스#1이다.
제2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100)의 전화번호부 중 '1. JINI'로 바로 발신하기 위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위치를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 중 클래스#1(C210)에 가깝게 위치시키면서 동시에 키 입력 이벤트(key press event)를 발생시키기 위한 통화키(send key)를 눌러주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원하는 전화번호를 전송받아 바로 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00)의 구동 제어부(1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제2 디바이스(200)가 접근하는 경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상호 연동된 컨텐츠 중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에 상응하는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제2 디바이스(200)의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는 제1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상호 연동된 컨텐츠 중 선택영역과 상응하는 일부를 수신하여 연동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제1 디바이스(100)가 홈쇼핑 방송을 실행 중이고, 하단에 여러 종류의 쿠폰을 영역별로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디바이스(200)가 제1 디바이스(100)로 접근한다면, 제1 디바이스(100)가 제1 디바이스(100)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쿠폰을 식별하여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의 경우,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이동시켜 영상통화 중인 제1 디바이스(100)에 제2 디바이스(200)를 접근시킴으로써 제1 디바이스(100)에서 영상통화 중에 생성되는 영상과 오디오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디바이스(200)의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는 접근동작에 의해 제1 디바이스(100)의 배터리 잔량 중 원하는 게이지만큼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디바이스(100)의 배터리 잔량 중 원하는 게이지만큼을 전송받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00)의 구동 제어부(12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에 상응하여 표시부(110) 상에서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에 제2 디바이스(200)를 어떻게 위치시키느냐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도 11의 (a), (b)에 도시된 벽돌 쌓기 게임, 테니스 게임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이 (a)와 같이 벽돌 쌓기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바꿔 벽돌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제2 디바이스(200)에서 기능 키를 눌러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벽돌을 발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에 상응하는 클래스를 인식하여 해당 클래스 영역에 벽돌(E310)을 생성하고, 기능 키가 눌리는 시점에서 해당 벽돌(E310)의 쌓기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서 (b)와 같이 테니스 게임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바꿔 테니스공(E320)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제2 디바이스(200) 상에서 기능 키를 눌러 키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테니스공을 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테니스공(E320)은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와 매칭되는 선택영역의 클래스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디바이스(100)가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와 키 이벤트를 감지하면, 자신의 화면 중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와 근사한 영역의 클래스에 벽돌(E310), 테니스공(E320)을 새롭게 디스플레이한 후 해당 아이템(벽돌, 테니스공)이 움직이는 것으로 표현하여 새로운 방식의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가 접근하는 위치와 거리, 각도 등에 따라 자신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화시켜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아이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00)의 구동 제어부(12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에 상응하여 선택영역의 클래스와 매칭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템이 영역별로 실행명령이 매칭되어 있는 경우라면, 제2 디바이스(200)의 연동 서비스 제어부(220)가 선택영역의 클래스와 매칭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 제1 디바이스(100)는 화면에 영화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해당 화면을 이루는 클래스들 중 프리뷰 버튼(C310)과 프리뷰 영상을 보고 싶은 영화(C320)가 위치한 부분을 근접하게 지나도록 하는 이동경로(D310)를 따라 제2 디바이스(200)를 움직여 해당 영화(C320)의 프리뷰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200)의 이동경로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화(C320)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메뉴(C310)를 한꺼번에 선택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제1 디바이스(100)의 특정영역에 제2 디바이스(200)를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데이터 전송, 데이터의 특정영역 복사, 영역 확대 등의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를 변화시키는 등의 동작도 구현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제1 디바이스(100)는 표시하고자 하는 아이템을 거리에 따라 클래스화시켜 저장한 후(S110),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접근하는 디바이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S130). 이때, 제2 디바이스(200)의 사용자는 원하는 아이템의 클래스를 선택하기 위해 해당 클래스의 위치와 유사하게 제1 디바이스(100)로 접근한다(S130).
제1 디바이스(100)는 접근하는 제2 디바이스(200)의 거리와 위치 등에 해당하는 접근정보와 클래스화시켜 저장한 아이템 일부를 매칭시켜, 디스플레이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적절한 클래스를 선택하며 선택된 클래스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140 내지 S170).
당해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0)가 다중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 각도(기울기)를 가지고 접근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최초 접근거리를 측정하고, 일정 시간(예컨대, 0.1초)마다 제2 디바이스(200)와의 거리를 여러 번 측정한다(S140).
제1 디바이스(100)는 최초 측정된 접근 거리와 마지막으로 측정된 접근거리를 이용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선택한 클래스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동안의 측정 작업이 완료된 후, 최초 측정거리와 마지막 측정거리가 다르면(S150),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가 다중 데이터를 요청한 것으로 판단하여 마지막 측정거리와 매칭되는 클래스부터 최초 측정거리와 매칭되는 클래스까지 모든 데이터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160). 최초 측정거리와 마지막 측정거리가 동일한 경우에는(S150), 해당 측정거리와 근접하게 위치한 클래스만 선택하여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170). 아이템 전송이 끝난 후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받은 아이템 전송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제1 디바이스(100)는 특정 아이템을 복수의 클래스로 나누어 클래스화하는 저장한 후(S210),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표시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220).
제2 디바이스(200)의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 일부를 제공받기 위하여 제2 디바이스(200)를 제1 디바이스(100)에 접근시키면(S230), 제1 디바이스(100)는 이를 감지하여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를 획득한다(S240).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로 접근하는 동작을 통해 제1 디바이스(100) 상에서 접근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후, 제1 디바이스(100)는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와 매칭되는 선택영역의 클래스를 식별하며(S250), 제2 디바이스(200)와의 통신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래스를 제2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S260). 제2 디바이스(200)는 제1 디바이스(100)로부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자신의 접근정보와 매칭되는 선택영역의 클래스를 제공받는다. 당해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200)는 클래스 수신 중에 제1 디바이스(100)로 수신 응답을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클래스 수신 완료 후 이를 제1 디바이스(100)로 알릴 수 있다. 이후, 제2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클래스를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이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한다(S270).
실시예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는 제2 디바이스(200)의 접근정보와 매칭되는 클래스를 식별한 후 이를 반영하여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식별된 클래스와 연동되어 있는 오브젝트 명령을 실행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S280, 도 11 참조). 이러한 경우 S260 및 S270은 생략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템은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로서, 파일,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종류, 명령 오브젝트, 어플리케이션 화면구성요소 등일 수 있다. 혹은, 배터리 등 전기신호를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는 물리적인 데이터가 아이템으로 채용되어 제1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클래스화된 상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제1 디바이스(100)의 특정영역에 제2 디바이스(200)를 위치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복사, 확대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혹은, 제2 디바이스(200)의 위치 등에 따라 제1 디바이스(100)에서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해당 클래스와 매칭된 오브젝트 명령을 실행하는 등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제1 디바이스 110: 표시부
120: 구동 제어부 200: 제2 디바이스
210: 표시부 220: 연동 서비스 제어부
230: 인터페이스부

Claims (22)

  1. 복수의 영역으로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아이템의 전체영역을 영역별로 분할하여 클래스화하고, 외부 디바이스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식별하여 선택영역에 연동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아이템을 복수의 클래스로 나누어 클래스화하는 아이템 관리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접근함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를 획득하는 근접 디바이스 인식부; 및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의해 선택된 영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클래스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클래스와 연동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선택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서비스 실행부는,
    상기 식별된 클래스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는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위치, 거리, 접근방향, 이동경로, 각도, 진입속도, 진입면적 중 하나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로서, 파일,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종류, 명령 오브젝트, 어플리케이션 화면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전기신호를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는 물리적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상응하여 선택영역의 클래스와 매칭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상호 연동된 컨텐츠 중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상응하는 일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표시부 상에서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0. 복수의 영역으로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의 접근동작에 의해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일부영역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선택영역의 클래스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클래스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동 서비스 제어부; 및
    상기 연동 서비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신된 클래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이 이미지인 경우, 상기 연동 서비스 제어부는 선택영역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의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영역별로 실행명령이 매칭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동 서비스 제어부는 선택영역의 클래스와 매칭되어 있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이 동영상 또는 오디오인 경우, 상기 연동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 선택영역과 상응하는 일부를 수신하여 재생하거나, 상기 아이템을 선택영역부터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연동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상호 연동된 컨텐츠 중 선택영역과 상응하는 일부를 수신하여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제10항에 있어서,
    키 이벤트가 수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의 접근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연동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클래스와 상기 키 이벤트를 연동하여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서비스 제어부는 접근동작에 의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배터리 잔량 중 원하는 게이지만큼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7. 접근동작에 의해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1 디바이스; 및
    아이템의 전체영역을 영역별로 분할하여 클래스화한 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를 감지하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클래스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클래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아이템 제어 시스템.
  18. 디바이스가 아이템의 전체영역을 영역별로 분할하여 클래스화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외부 디바이스가 접근함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클래스화된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접근정보에 의해 선택된 영역을 식별하여 선택영역에 연동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실행 단계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선택영역의 클래스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로서, 파일,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종류, 명령 오브젝트, 어플리케이션 화면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제어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전기신호를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는 물리적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템 제어 방법.
  22. 디바이스가 복수의 영역으로 클래스화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외부 디바이스로 접근하여 상기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일부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의 접근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접근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아이템의 전체영역 중에서 선택된 영역을 식별하여 선택영역의 클래스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영역의 클래스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클래스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이템 제어 방법.
KR1020100008678A 2010-01-29 2010-01-29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78A KR101157333B1 (ko) 2010-01-29 2010-01-29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2/862,344 US8793622B2 (en) 2010-01-29 2010-08-24 Device for item control, system for item control, and method
CN2010102752584A CN102141836A (zh) 2010-01-29 2010-09-03 项控制设备、项控制系统和方法
EP10188003A EP2378749A3 (en) 2010-01-29 2010-10-19 Device for item control, system for item control,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78A KR101157333B1 (ko) 2010-01-29 2010-01-29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36A KR20110088936A (ko) 2011-08-04
KR101157333B1 true KR101157333B1 (ko) 2012-06-15

Family

ID=4392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78A KR101157333B1 (ko) 2010-01-29 2010-01-29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93622B2 (ko)
EP (1) EP2378749A3 (ko)
KR (1) KR101157333B1 (ko)
CN (1) CN1021418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163B1 (ko) * 2010-12-31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홀로그램 제어방법
CN103677500B (zh) * 2012-09-11 2017-11-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电子设备
EP2998831A4 (en) * 2013-05-16 2016-07-20 Futureplay Inc METHOD FOR ADJUSTING MULTIPLE DEVICES AND SERVERS FOR ADJUSTING
US10263989B2 (en) 2013-05-16 2019-04-16 Futureplay Inc. Method for matching multiple devices, and device and server system for enabling matching
CN105334947A (zh) * 2014-06-09 2016-02-1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6080395A1 (ja) * 2014-11-21 2016-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バ、アイテム提供システム、表示装置、携帯端末、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10728363B (zh) * 2018-06-29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任务处理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681B1 (ko) * 2004-10-26 2006-09-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70029318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팬택 두 개의 화면에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 및 방법
KR20090024445A (ko) * 2007-09-04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483A (ja) 1993-12-22 1995-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6710754B2 (en) * 2001-11-29 2004-03-23 Palm, Inc. Moveable output device
KR100695081B1 (ko) 2005-03-22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
US9489109B2 (en) 2006-03-30 2016-11-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Data commun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8736547B2 (en) 2006-04-20 2014-05-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ing a digital device with an interactive display surface
KR20080029717A (ko) 2006-09-29 2008-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기반 그룹핑 서비스를 이용한 포탈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8140062B1 (en) * 2007-09-12 2012-03-20 Oceans' Edge, Inc. Mobile devic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KR20090090086A (ko) 2008-02-20 2009-08-25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무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서버 및 이를 이용한콘텐츠 제공 방법
CN101477753B (zh) * 2009-01-21 2010-08-11 中国移动通信集团山西有限公司 基于多种控制方式的交互式多媒体演示系统和方法
KR101582686B1 (ko) * 2009-03-02 2016-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템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681B1 (ko) * 2004-10-26 2006-09-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70029318A (ko) * 2005-09-09 2007-03-14 주식회사 팬택 두 개의 화면에 하나의 영상을 분할하여 재생하는 영상재생장치 및 방법
KR20090024445A (ko) * 2007-09-04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8749A2 (en) 2011-10-19
US8793622B2 (en) 2014-07-29
US20110191724A1 (en) 2011-08-04
KR20110088936A (ko) 2011-08-04
CN102141836A (zh) 2011-08-03
EP2378749A3 (en)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333B1 (ko) 아이템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들, 그를 이용한 아이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56895B2 (en) System for linking and controlling terminals and user terminal used in the same
US11875027B2 (en) Contextual user interface
KR101971624B1 (ko)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KR101919008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885775B1 (ko) 컨텐트 캡쳐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2071579B1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126292B1 (ko) 이동 단말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201000831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 context based coordination of information among multiple devices
US20100257473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102270633B1 (ko) 단말기에서 근전도 검사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3403655A (zh) 与上下文有关的用户界面
US200802847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ory Based Media Control
JPWO2014155730A1 (ja)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CN104958898A (zh) 游戏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48523A (ko)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865765A (zh) 终端及地图控制方法
CN106649582A (zh) 推荐方法及装置
US20130244730A1 (en) User terminal capable of shar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768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149163A1 (en) Software-Enabled Mobile Game Controller with Integrated Platform Operating Service
KR102506608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0746034B1 (ko)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CN109845284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70070663A (ko) 컨텐츠 관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