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034B1 -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034B1
KR100746034B1 KR1020060017345A KR20060017345A KR100746034B1 KR 100746034 B1 KR100746034 B1 KR 100746034B1 KR 1020060017345 A KR1020060017345 A KR 1020060017345A KR 20060017345 A KR20060017345 A KR 20060017345A KR 100746034 B1 KR100746034 B1 KR 10074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con
button
preview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애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버튼 조작을 통해 반 누름을 수행하면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해 주어 해당 아이콘의 정보를 미리 보여주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는,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1 신호인지 제2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인 경우 소정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휴대용 장치, 미리보기 아이콘, 버튼 반 누름, 버튼 완전 누름

Description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review icon}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장치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용 장치 10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미리보기 아이콘 200 : 입력 장치
310 : 신호 입력부 320 : 신호 판단부
330 : 버튼 선택 감지부 340 : 포커스 위치 체크부
350 :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 360 : 디스플레이부
270 : 제어부
본 발명은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버튼 조작을 통해 반 누름을 수행하면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해 주어 해당 아이콘의 정보를 미리 보여주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됨에 따라 개인이 이동 중에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장치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장치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 등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인터넷을 접속하기도 하는 등 일상 생활에서 늘 가까이 사용하는 편리한 통신 도구로서,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Mobile telephone), 휴대폰, 핸드폰,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폰, 개인휴대 전화,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2000)단말기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장치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의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디스플 레이하는 방식으로는 2D 및 3D 형태의 이미지 객체를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다음, 사용자가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메뉴 아이콘들(12)을 일일이 선택한 후, 선택된 메뉴 아이콘(12)에 포함된 세부 메뉴 항목을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어떤 메뉴 아이콘에 포함되어 있는지 모르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메뉴 아이콘들(12)을 일일이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 아이콘 내에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 항목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다른 메뉴 아이콘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다시 상위 메뉴 아이콘으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많은 버튼 조작(즉, 버튼 선택)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5-0043354(스틸 영상을 이용한 디지털 녹화기의 썸네일 생성 방법 및 장치)는 디지털 녹화기에서 재생 또는 스틸(Still)중인 디스크의 이미지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 또는 스틸 이미지를 캡쳐한 후, 디지털 녹화기 내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저장 수단에 저장해 두고, 디지털 기록 디스크의 동화상 타이틀 편집 시에 대표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을 썸네일 영상을 활용하여 동영상이나 스틸 이미지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기술에만 관심이 있을 뿐,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기초로 해당 아이콘의 정보에 관한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기술은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버튼 조작을 통해 반 누름을 수행하면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확인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해당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는,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1 신호인지 제2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인 경우 소정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방법은,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1 신호인지 제2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 입력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제1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체크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장치(10)는 다수개의 아이콘(icon)(11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110)들을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20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휴대용 장치(1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 전송, 및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써, 예를 들어 핸드폰, PDA, 및 무선 통신 단말기 등을 말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개의 아이콘(110)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입력 장치(200)를 조작하여 반 누름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아이콘(110a)이 반 누름에 의해 선택된다. 이때, 사용자가 반 누름을 수행하면 제1 신호가 발생되고, 이에 해당 아이콘(110a)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 장치(200)를 조작하여 완전 누름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아이콘(110a)이 완전 누름에 의해 선택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완전 누름을 수행하면 제2 신호가 발생되고, 이에 해당 아이콘(110a)이 활성화되어 전체 화면(130)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디스플레이된 소정 아이콘(110)이 입력 장치(200)의 완전 누름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제공되는 정보를 미리보기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이미지, 오디오, 및 동영상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200)의 반 누름은 사용자가 입력 장치(200) 즉, 소정 버튼을 소정 압력 이하로 살짝 누른 상태를 의미하고, 입력 장치(200)의 완전 누름은 사용자가 입력 장치(200) 즉, 소정 버튼을 소정 압력 이상으로 소정 시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입력 장치(200)는 숫자, 문자, 및 특수 기호가 할당되거나, 특정 기능이 할당되는 버튼을 말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 장치(200)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제공된 아이콘(110)을 선택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위치된 포커스(focus)(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다수개의 아이콘(110)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 장치(200)를 조작하여 소정 아이콘(110a)에 포커스를 위치시키고 반 누름을 수행하면, 제1 신호가 발생 된다. 이에, 해당 아이콘(110a)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소정 아이콘(110)들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위에 디스플레이된다. 이하, 도 5에서 미리보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컨텐츠를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10)는 신호 입력부(310), 신호 판단부(320), 버튼 선택 감지부(330), 포커스 위치 체크부(340),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350), 디스플레이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 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 입력부(310)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입력된 버튼 신호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신호는 소정 버튼의 반 누름에 의해 발생되며, 제2 신호는 소정 버튼의 완전 누름에 의해 발생 된다.
신호 판단부(320)는 신호 입력부(3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가 제1 신호인지 제2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신호인지 제2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해당 아이콘(110)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을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또는 해당 아이콘(110)을 활성화시킬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버튼 선택 감지부(330)는 신호 입력부(310)를 통해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해당 버튼 위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감지한다.
즉, 제1 신호가 발생된 후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속적으로 해당 버튼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110)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계속 디스플레이되며, 제1 신호가 발생된 후 사용자의 손가락이 해당 버튼 위에서 떨어지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되었던 미 리보기 아이콘(120)은 사라지고, 미리보기 아이콘(120)이 디스플레이되기 이전의 화면(예를 들어, 다수개의 아이콘(110)들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다시 디스플레이 된다.
포커스 위치 체크부(34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소정 아이콘(110)에 위치된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하며,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 한다.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350)는 신호 입력부(310)를 통해 제1 신호가 입력되면, 포커스 위치 체크부(340)를 통해 체크된 포커스의 위치를 기초로 해당 아이콘(11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세부 항목, 사진, 음향 등)를 미리보기 아이콘(120)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이미지, 오디오, 및 동영상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반 누름으로 선택된 아이콘이 메뉴 아이콘인 경우, 미리보기 아이콘(120)으로 해당 메뉴 아이콘의 세부 항목 이미지가 생성되며, 또한 사용자에 의해 반 누름으로 선택된 아이콘이 사진 아이콘인 경우, 미리보기 아이콘(120)으로 해당 사진 아이콘을 소정 크기로 확대한 이미지가 생성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반 누름으로 선택된 아이콘이 MP3 파일 아이콘인 경우, 미리보기 아이콘(120)으로 해당 MP3 파일의 노래가 재생된다.
디스플레이부(360)는 다수개의 아이콘(110),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120), 및 소정 아이콘(110)이 활성화된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60)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 에 의해 이동된 포커스를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370)는 휴대용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310 내지 36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에는 다수개의 아이콘(110)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소정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 입력부(310)는 발생된 신호를 입력받고(S400), 신호 판단부(320)는 입력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S402). 여기서,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신호는 소정 버튼의 반 누름에 의해 발생되며, 제2 신호는 소정 버튼의 완전 누름에 의해 발생 된다.
판단 결과 입력된 신호가 제1 신호인 경우(S404), 포커스 위치 체크부(340)는 현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소정 아이콘(110) 상에 위치된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을 체크한다(S406).
그 다음, 제어부(370)는 체크된 아이콘(110) 정보를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350)에게 전송하고, 이에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350)는 해당 아이콘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을 생성한다(S408). 여기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디스플레이된 소정 아이콘이 입력 장치(200)의 완전 누름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제공되는 정보를 미리보기 화면 형태로 제공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제공되는 미리보기 아이콘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체 화면 크기 보다는 작게 생 성된다. 여기서, 미리보기 아이콘(120)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디스플레이부(3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 된다(S410).
그 다음, 버튼 선택 감지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해당 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한다(S412). 여기서, 사용자의 버튼 선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해당 버튼에 접촉되어 있는지 또는 접촉되어 있지 않은지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의 삭제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감지된 결과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하고 있지 않은 경우(S414), 디스플레이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삭제한다(S416). 이에, 미리보기 아이콘(120)이 디스플레이되기 전의 화면이 다시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신호 입력부(310)는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신호를 입력받고(S418), 신호 판단부(320)는 입력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신호가 제2 신호인 경우(S420), 제어부(170)는 해당 아이콘(110)을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부(3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시킨다(S422).
한편, 사용자에 의해 해당 버튼이 계속 선택되었는지를 감지한 결과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S414), 디스플레이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입력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제1 신호가 아닌 경우(S404), 포커 스 위치 체크부(340)는 현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소정 아이콘(110) 상에 위치된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을 체크하고(S426), 포커스 위치가 체크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70)에게 전송한다.
그 다음, 제어부(370)는 해당 아이콘(110)을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부(3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시킨다(S422).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 조작을 통해 반 누름을 수행하여 해당 아이콘에 대한 정보(또는 내용)을 미리 볼 수 있어, 적은 수의 버튼 조작으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메뉴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미리보기 아이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사진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미리보기 아이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c는 소프트 버튼에 대한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미리보기 아이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다수개의 '메뉴 항목' 아이콘(110)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버튼(예를 들어, 확인 버튼) 조작을 통해 반 누름을 수행하면, 신호 입력부(310)는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 판단부(3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버튼 신호가 제1 신호로 판단되면, 제어부(370)는 포커스 위치 체크부(340)에게 현재 포커스(140)의 위치를 체크하도록 요청한다. 이에, 체 크 결과 포커스(140)가 위치된 메뉴 항목 아이콘(110)은 '화면 보기' 메뉴 아이콘(110a)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350)는 해당 아이콘(즉, 화면 보기 메뉴 아이콘)(110a)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디스플레이부(3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다수개의 '메뉴 항목' 아이콘(110)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화면 위에 오버랩(overlap)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 다음, 버튼 선택 감지부(3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해당 버튼에 지속적으로 위치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 결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속적으로 해당 버튼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110a)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을 계속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해당 버튼 위에서 떨어지면, 디스플레이되었던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사라진다.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소정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 입력부(310)는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 판단부(3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버튼 신호가 제2 신호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사라지고, 해당 메뉴 항목 아이콘(110a)의 세부 항목 메뉴가 전체 화면(130)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다수개의 '사진' 아이콘(11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버튼(예를 들어, 확인 버튼) 조작을 통해 반 누름을 수행하면, 신 호 입력부(310)는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 판단부(3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버튼 신호가 제1 버튼 신호로 판단되면, 제어부(370)는 포커스 위치 체크부(340)에게 현재 포커스(140)의 위치를 체크하도록 요청한다. 체크 결과 포커스(140)가 위치된 사진 아이콘은 '하이킹' 사진 아이콘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350)는 해당 아이콘(즉, 하이킹 사진 아이콘)(110)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디스플레이부(3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다수개의 사진 아이콘(110)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화면 위에 오버랩(overlap)되어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해당 사진(즉, '하이킹' 사진)이 확대된 이미지가 제공된다.
그 다음, 버튼 선택 감지부(3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해당 버튼에 지속적으로 위치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 결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속적으로 해당 버튼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을 계속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해당 버튼 위에서 떨어지면, 디스플레이되었던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사라진다.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소정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 입력부(310)는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 판단부(3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버튼 신호가 제2 신호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사라지고, 해당 하이킹 사진 아이콘(110)이 활성화되어 전체 화면(130)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단어 검색 메뉴' 아이콘(11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버튼(예를 들어, 메뉴 선택 버튼) 조작을 통해 반 누름을 수행하면, 신호 입력부(310)는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 판단부(3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버튼 신호가 제1 버튼 신호로 판단되면,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350)는 해당 아이콘(즉, 단어 검색 메뉴 아이콘)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즉, 소프트 버튼 아이콘)(120)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디스플레이부(36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미리보기 아이콘(120)으로 제공된 소프트 버튼 내의 메뉴 항목은 선택될 수 없다.
그 다음, 버튼 선택 감지부(3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해당 버튼에 지속적으로 위치되어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 결과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속적으로 해당 버튼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에 대한 미리보기 아이콘(120)을 계속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해당 버튼 위에서 떨어지면, 디스플레이되었던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사라진다.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소정 신호가 발생되면, 신호 입력부(310)는 발생된 버튼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 판단부(320)는 입력된 버튼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버튼 신호가 제2 신호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된 미리보기 아이콘(120)은 사라지고, 해당 아이콘에 대한 소프트 버튼 아이콘이 활성화되어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이 MP3, 및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 해당 아이콘의 음악 및 동영상을 미리 듣기로 재생해 주는 미리보기 아이콘(120)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미리 듣기 대신 해당 MP3 및 동영상 데이터의 정보(예를 들어, 가수 정보, 앨범 정보 등)를 미리보기 아이콘(120)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버튼 조작을 통해 반 누름을 수행함으로써, 확인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해당 아이콘에 대한 정보(또는 내용)을 미리 볼 수 있어, 사용자는 적은 수의 버튼 조작으로 원하는 아이콘(또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사용자가 버튼 조작을 통해 반 누름을 수행하면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확인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해당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미리 볼 수 있어, 사용자는 적은 수의 버튼 조작으로 원하는 아이콘(또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 조작을 통해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해줌으로써, 작은 크기의 아이콘도 식별 가능하여 한 화면에 보다 많은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1 신호인지 제2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신호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1 신호인 경우 소정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미리보기 아이콘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소정 버튼이 반 누름되는 경우 발생되며, 상기 제2 신호는 소정 버튼이 완전 누름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버튼 선택 여부를 감지하는 버튼 선택 감지부; 및
    소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위치된 포커스의 위치를 체크 하는 포커스 위치 체크부를 더 포함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4.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1 신호인지 제2 신호인지를 판 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 입력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제1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체크된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미리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소정 버튼이 반 누름되는 경우 발생되며, 상기 제2 신호는 소정 버튼이 완전 누름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060017345A 2006-02-22 2006-02-22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KR100746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345A KR100746034B1 (ko) 2006-02-22 2006-02-22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345A KR100746034B1 (ko) 2006-02-22 2006-02-22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034B1 true KR100746034B1 (ko) 2007-08-06

Family

ID=3860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345A KR100746034B1 (ko) 2006-02-22 2006-02-22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62B1 (ko) * 2009-07-28 201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231A (ko) * 2003-06-18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집된 초기화면 확인방법 및 초기화면 미리보기 기능이제공되는 휴대폰
KR20050049793A (ko) *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팬택 키보드 미리보기 제공 방법
KR20050068673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아이큐브 페이지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060133416A (ko) * 2005-06-20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231A (ko) * 2003-06-18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편집된 초기화면 확인방법 및 초기화면 미리보기 기능이제공되는 휴대폰
KR20050049793A (ko) * 2003-11-24 2005-05-27 주식회사 팬택 키보드 미리보기 제공 방법
KR20050068673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아이큐브 페이지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060133416A (ko) * 2005-06-20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62B1 (ko) * 2009-07-28 201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9691B2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9600108B2 (en)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TWI459282B (zh) 用以使用多媒體項目之使用者介面的提供方法、系統及電腦程式產品
US8060825B2 (en) Creating digital artwork based on content file metadata
KR101170877B1 (ko) 사진 관리용 휴대용 전자 장치
US7817143B2 (en) Method of inputting function into portable terminal and button input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950831B1 (ko) 휴리스틱스를 적용하여 명령을 판단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288188B1 (ko) 휴대용 다기능 장치를 위한 음성 메일 관리자
US92181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US2009024920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 media history
KR100657520B1 (ko) 정보 단말 장치에서 파일 계층 구조의 탐색 방법
TW200928953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TW200845710A (en) Multi-state unified pie user interface
KR101386012B1 (ko) 플레이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재생장치
KR20100086788A (ko) 멀티미디어 아이템 조작 장치 및 방법
US8866932B2 (en) Voice recordable terminal and its image processing method
CN111427449A (zh) 界面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835210B1 (ko) 파일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0746034B1 (ko) 미리보기 아이콘을 제공하는 휴대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89481A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8287373A (ja) サーバ装置
TWI289017B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ple working modes, and its comparison method with comparison database
KR2008000628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디어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