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718B1 -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718B1
KR101156718B1 KR1020100088126A KR20100088126A KR101156718B1 KR 101156718 B1 KR101156718 B1 KR 101156718B1 KR 1020100088126 A KR1020100088126 A KR 1020100088126A KR 20100088126 A KR20100088126 A KR 20100088126A KR 101156718 B1 KR101156718 B1 KR 101156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arch
information
research information
unit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927A (ko
Inventor
임윤철
Original Assignee
(주)기술과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술과가치 filed Critical (주)기술과가치
Priority to KR102010008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7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437Administration of user profiles, e.g. generation, initialisation, adaptation,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구정보 수요자 맞춤형 연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구 지원 포탈 서버에서 관심 분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구비된 지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 분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세부분야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부에서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각 세부 분야에 대한 전문성 정도 및 최종 목표를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연구 지원 포탈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연구 지원 포탈 서버에서 상기 세부분야 정보와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내 전문성 정도 및 최종 목표를 이용하여 상기 세부 분야별 연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세부 분야별 연구 정보에 대한 연구 순서를 정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클라이언트부에게 특정 분야를 구성하는 세부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부로 하여금 현재 지식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구조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연구정보 수요자가 인과 관계에 있는 세부 분야에 대한 절차적인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RESEARCH INFORMATION}
본 발명은 연구정보 수요자의 현재 지식 수준과 목표 수준을 기반으로 해당 분야에 대해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 문헌 발간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인터넷을 통해 입수할 수 있는 정보가 과잉 상태에 도달함에 따라, 그 정보를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기업간 경쟁력을 확보하고, 연구 개발 방향을 대세에 맞추어 설정하고, 미래의 도전에 대비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과잉 정보가 오히려 정확한 판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보 이용자가 모든 정보 출처에서 개인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정보를 입수하고 분석하는 전통적인 정보 분석 방법은 전문가의 시간 과다 소요, 전문가의 관점에 따라 편향된 정보 수집과 분석 진행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사람이 수행하는 일의 일부를 컴퓨터가 수행해주는 정보 분석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특정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려는 많은 신진 연구정보 제공자들은 그들의 첫 출발점을 찾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만일 당사자가 운이 좋다면, 그들을 돕고 지원하는데 적극적이고 헌신적인 선배들이나 교수들이 있어서 그 출발점 상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이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본인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신규 분야에서의 연구 활동을 위한 시작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기고한 개괄적 논문 및 설명문, 특정 분야에서 독보적인 연구 성과를 내거나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전문가들에 대한 기본 인적 사항,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전문분야 교과서 정보가 있을 수 있다.
연구의 본격적인 수행을 위한 준비 작업인 이러한 정보의 수집은 인터넷이 발달한 현재에도 매우 힘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 반하여, 이미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에게는 이러한 정보는 지극히 당연한 공리(axiom)에 가깝다.
따라서, 분야 전문가들 사이에서 이러한 기초적인 수준의 정보를 깊게 다룬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시간 낭비에 가까울 수 있다.
그러나 어떻게 하면 초보 연구정보 제공자들이 위와 같은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인공지능 분야에서 지식표현 및 지식데이터베이스 구축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그 해결의 실마리를 얻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또한, 정교하게 정의된 지식 표현 기법에 의해서 구축된 지식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분야별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 개발도 많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전문가 시스템의 주된 목표는 특정 분야의 전문 지식에 대해 신속한 해답을 원하는 의사결정자들이나 기술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게 변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변환된 전문지식은 항상 부족하며, 적절한 전문 지식에 대한 변환이 항상 가능한 것도 아니다.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갖춘 이동형 컴퓨터가 있다면 이는 결국 그 분야에 대한 수 세기에 걸친 지식을 총 망라한 하나의 전문 분야 지식을 탑재한 시스템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현황평가(situation assessment)나 장기 계획(long-range planning)을 수행해야만 하는 관리자에게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전문가 시스템의 정의에 대한 또 다른 견해는 전산학 입장에서 이를 하나의 커다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 혹은 지식 기반 시스템(knowledge-based system)이란 다수의 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세부 분야별 지식(subject-specific knowledge)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컴퓨터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시스템들은 대상 분야가 너무 넓으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지식표현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는 필연적으로 표현력(representative power) 부족 현상을 수반하여 연구정보 수요자의 만족도와 활용도를 높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문가 시스템은 특정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를 시작하려는 신진 연구정보 제공자들이 연구의 첫 출발점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5200호(2010년02월12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분야에서 이미 일정 수준에 올라와 있는 전문가를 활용하여 연구 시작 초기에 발생하는 신진 연구정보 제공자들의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고, 연구정보 수요자의 현재 지식 수준과 목표 수준을 기반으로 해당 분야에 대해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분야 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특정 자원에 대한 난이도 정보 및 현재 분야의 세부 분야들에 대한 연구 순서에 대한 지식 등을 지식 베이스에 표현하고 이를 연구정보 수요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연구정보 수요자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 수요자 맞춤형 연구정보 제공장치는
연구 관심 분야 및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는 클라이언트부(100)와, 상기 클라이언트부(100)로부터 전송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연구정보 수요자에게 맞는 연구 순서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로 이루어진 연구 정보 제공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는
클라이언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10)와;
연구정보관리부(220a)와 링크되어 연결되고, 저장된 연구정보에 대하여 연구 정보의 내용에 따라 세부 분야가 맵핑되어 저장된 지식데이터베이스(220)와;
통신부를 통해 관심 분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분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세부 분야 정보 중에서 세부 분야 목록을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부에 제공하는 세부 분야 검색부(230)와;
상기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에서 해당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정보를 제시함과 동시에 세부 분야 중심 연구 순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하는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와;
연구정보 제공자가 인터넷에서 자신의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로 연구정보관리부에 접속되면, 연구정보관리부내에 연구정보 제공자 본인의 연구노트 폴더를 생성시킨 후, 연구노트 폴더에 연구정보 제공자의 연구내용을 작성할 수 있는 연구노트 작성부(250)와,
거래 완료 후, 해당 거래의 고유번호, 클라이언트부에 제공된 연구정보를 검색하여 연구정보 수요자의 이메일을 찾고, 그 이메일로 연구정보 비용 청구 안내문을 송신하고, 연구정보 수요자로 하여금 페이팔(Paypal)을 통해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로 연구정보 비용을 입금시키도록 안내하는 연구정보 비용체크부(260)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 제공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100)와,
지식데이터베이스(220)가 연구정보관리부(220a)와 링크되어 연결되고, 연구 정보의 내용에 따라 세부 분야를 맵핑시켜 저장시키는 단계(S200)와,
세부 분야 검색부(230)에서 통신부를 통해 관심 분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지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분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300)와,
추출된 세부 분야 정보 중에서 세부 분야 목록을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부에 제공하는 단계(S400)와,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에서 클라이언트부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에서 해당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정보를 제시함과 동시에 세부 분야 중심 연구 순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하는 단계(S500)와,
연구노트 작성부(250)에서 연구정보 제공자가 인터넷에서 자신의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로 연구정보관리부에 접속되면, 연구정보관리부내에 연구정보 제공자 본인의 연구노트 폴더를 생성시킨 후, 연구노트 폴더에 연구정보 제공자의 연구내용을 작성시키는 단계(S600)와,
연구정보 비용체크부(260)에서 거래 완료 후, 해당 거래의 고유번호, 클라이언트부에 제공된 연구정보를 검색하여 연구정보 수요자의 이메일을 찾고, 그 이메일로 연구정보 비용 청구 안내문을 송신하고, 연구정보 수요자로 하여금 페이팔(Paypal)을 통해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로 연구정보 비용을 입금시키도록 안내하는 단계(S700)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구정보 수요자의 현재 지식 수준과 목표 수준을 기반으로 해당 분야에 대해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정보 수요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야 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특정 자원에 대한 난이도 정보 및 현재 분야의 세부 분야들에 대한 연구 순서에 대한 지식 등을 지식 베이스에 표현하고 이를 연구정보 수요자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연구정보 수요자 맞춤형 연구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세부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기반 기술에 대해 순서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정보 수요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 수요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관리부(220a)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23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당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 분야 정보(310a)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관리부(220a)의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 수요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연구정보 수요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시스템은 연구 관심 분야 및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는 클라이언트부(100)와, 상기 클라이언트부(100)로부터 전송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연구정보 수요자에게 맞는 연구 순서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부(100)는 유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부(100)는 연구정보 수요자에 의해 연구 관심 분야에 대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는 상기 클라이언트부(100)로부터 관심 분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 분야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세부 분야를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상기 클라이언트부(100)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는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부(100)로부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구비된 지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순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는 각 세부 분야에 대한 연구정보 수요자의 현재 전문성 정도 및 최종 목표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부(100)는 상기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연구 순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이 살펴봐야 할 자원을 선택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이는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는 통신부(210), 지식데이터베이스(220), 세부 분야 검색부(230),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 연구노트 작성부(250), 연구정보 비용체크부(2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부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는 WiFi통신망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WiFi 통신망은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LAN)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식데이터베이스(Knowledge Base)(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Knowledge Base)(220)에는 연구정보관리부(220a)와 링크되어 연결되고, 저장된 연구정보에 대하여 연구 정보의 내용에 따라 세부 분야가 맵핑되어 저장된다. 즉,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는 각 분야에 대하여 난이도에 따라 세부 분야가 맵핑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분야에 대한 난이도는 지식 전문가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는 신규 연구정보 제공자가 특정 분야에서 연구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필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는 RDF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다.
여기서,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는 XML을 기반으로 웹상의 분산된 다양한 자원들을 기술하기 위한 구조로서, 웹상의 자원을 대상으로 메타데이타의 표준화 작업과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W3C에서 제안한 것을 말한다. RDF는 웹 자원 검색을 위한 상이한 메타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는 상호운영을 목적으로 한다. RDF는 W3C에서 제정한 것으로서 기술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부가정보, 데이타간의 상하 및 연관 관계 등을 기술하는 능력을 가진다. 즉 데이타를 정의하고 그 데이타에 대한 설명이나 관계를 기술함으로써 온톨로지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연구정보관리부(220a)는 인터넷상에서 연구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업데이트시키는 것으로, 이는 공인 인증 설정부(200a-1), 연구노트 ID 설정부(200a-2), 요약발췌링크부(200a-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인 인증 설정부(200a-1)는 외부의 공인 인증기관과 링크되어 연구정보 제공자가 업로딩한 연구노트 폴더 중 특정 연구정보를 인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구노트 ID 설정부(200a-2)는 연구정보 제공자가 업로딩한 연구노트를 작성한 순서대로 식별 ID를 설정한 후, 일련번호와 날짜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요약발췌링크부(200a-3)는 책으로 이루어진 연구노트를 일괄적으로 스캔하여 일련번호가 순서대로 일치하도록 저장시킨 후, 연구정보 사이트의 요약프레임란에 연구정보의 간략내용만을 발췌하여 링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구정보관리부(220a)는 연구정보 제공장치에서 연구정보 수요자가 작성하는 연구정보는 종이로 된 노트에 작성된 연구노트를 스캔하여 그 정보를 올릴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종이로 이루어진 연구노트를 저장할 때는 연구노트를 일괄적으로 스캔하여 일련번호가 순서대로 일치하도록 저장시킨 후, 연구정보 제공자는 연구정보 사이트의 요약프레임란에 연구정보의 간략내용만을 작성하고, 스캔된 연구노트와 요약발췌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일련번호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부 분야 검색부(2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세부 분야 검색부(230)는 통신부를 통해 관심 분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분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세부 분야 정보 중에서 세부 분야 목록을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부에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통신부(200)를 통해 클라이언트부로부터 관심 분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상기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 분야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관심 분야가 '시맨틱 웹'이면, 상기 세부 분야 검색부(230)는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상기 시맨틱 웹과 맵핑되어 있는 '유알아이(URI), 언코드(Uncode), 엑스엠엘(XML), 엑스엠엘(XML) 스키마, 알디에프(RDF), 알디에프(RDF) 스키마, 올(OWL), 시맨틱 웹(Semantic Web)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총 8개의 세부 분야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세부 분야 검색부(230)는 상기 추출된 세부 분야를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부에 전송한다.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231)에는 각 세부 분야에 대한 연구정보 제공자의 현재 수준, 자신의 최종 목표를 입력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클라이언트부는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각 세부 분야에 대한 현재 전문성 정도와 최종 목표를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가 입력받아 연구 지원 포탈 서버에 전송한다.
즉,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231)은 연구정보 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관심 분야 제공 프레임(231a), 세부 분야 제공 프레임(231b), 최종 목표 선택 프레임(231c)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관심 분야 제공 프레임(231a)에는 연구정보 제공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가 표시되고, 상기 세부 분야 제공 프레임(231b)에는 상기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 분야 목록과 세부 분야별 연구정보 제공자의 현재 전문성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존재한다.
상기 전문성 정도는 연구정보 제공자의 현재 지식 수준을 표현하는 것으로서, 각 세부 분야에 대한 수준(level) 지정은'상(high)', '중(medium)', '하(low)'로 표현된다. 여기서, 상기 '하'는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이 전무한 상태거나 구축된 지식데이터베이스에서 어떤 자원에 대해서도 연구를 수행한 적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중'은 기본적인 분야 지식을 보유하고 있고, 구축된 지식데이터베이스의 자원 난이도(D)로써 'easy'로 구분되는 자원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상'은 중급의 분야 지식을 보유하고 있고, 구축된 지식데이터베이스의 자원난이도(D)로써 'easy', 'medium'로 구분되는 자원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는 상기 세부 분야 제공 프레임(231b)에 있는 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각 세부 분야에 대하여 현재 자신의 전문성 정도를 입력한다.
상기 최종 목표 선택 프레임(231c)에는 '스킨 딥 연구정보(Skin-deep knowledge)', '베이직 연구정보(Basic knowledge)', '어드밴스드 연구정보(Advanced knowledge)'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존재한다.
상기 '스킨 딥 연구정보(Skin-deep knowledge)'는 선택한 관심 분야에서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나 원리에 대해서만 알기를 원하는 연구정보 수요자가 선택하는 목표이고, '베이직 연구정보(Basic knowledge)'는 현재 분야를 자신의 전공이나 주요 연구 분야로 삼기를 원하는 연구정보 수요자가 연구의 출발점이나 방법 등을 찾기 위한 목표, '어드밴스드 연구정보(Advanced knowledge)'는 현재 분야에서의 전문성 정도가 일정 수준에 오른 연구정보 수요자가 더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선택하는 목표를 말한다.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는 상기 최종 목표 선택 프레임(231c)에서 자신이 원하는 최종 목표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는 상기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에서 해당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정보를 제시함과 동시에 세부 분야 중심 연구 순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한다.
즉, 상기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는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내 세부 분야별 전문성 정도와 최종 목표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수행하여 해당 관심 분야에 대한 연구 순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한다.
상기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가 해당 관심 분야에 대한 연구 순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가 상기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전송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분석한 것으로서, 해당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 분야 정보(310a)와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320a)가 존재한다.
상기 해당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 분야 정보(310a)는 기계에 관한 Category_01, 전기에 관한 category 02, 화학에 관한 Category_03, 바이오에 고관한 category_04, 컴퓨터에 관한 Category_05의 총 5가지의 분야가 존재한다. 이는 지식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형태로서, 각 분야별로 지식데이터베이스는 난이도에 따라 정렬되어 있다.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320a)에는 각 세부 분야마다 연구정보 수요자의 현재 전문성 정도(322a)가 로우(low), 미들(middle), 하이(high) 중 하나로 표현되어 있고, 연구정보 수요자 최종 목표(324a)가 표시되어 있다. 즉, 연구정보 수요자의 전문성 정도(322a)가 'category 01'은 낮음, 'category 02'는 높음, 'category 03'는 낮음, 'category 04'는 낮음, 'category 05'는 중간으로 표시되어 있고, 연구정보 수요자의 현재 전문성 정도(322a)는 중간(middle)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는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320b)를 이용하여 'category 02'라는 전기분야에서 연구정보 수요자의 현재 수준이 '높고(high)', 연구정보 수요자의 최종 목표는 '중간(middle)'임을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는 'category 02'에 속하는 모든 자원은 연구정보 수요자의 전문성 수준 판정 기준에서 볼 때 이미 구축된 지식데이터베이스 내에서는 연구정보 수요자가 참고할 만한 자원이 없기 때문에 현재 연구정보 수요자에게는 불필요한 자원이라고 판단하여 'category 02'분야는 제거한다.
즉, 'Category_01', 'Category_03', 'Category_04'에서의 연구정보 수요자의 현 수준은 '낮음(low)'이고 연구정보 수요자의 최종 목표(324c)는 '중간(middle)'이므로, 현재 연구정보 수요자의 전문성 수준 판정 기준에서 볼때 '어려움(difficult)' 수준의 자원은 필요가 없다. 따라서 'Category_01', 'Category_03', 'Category_04에서 '어려움(difficult)' 수준에 해당하는 자원은 제거된다.
그리고, 'Category_05'에서의 연구정보 수요자의 현 수준은 '중간(low)'이고 연구정보 수요자의 최종 목표(324d)는 '중간(middle)'이므로, 현재 연구정보 수요자의 전문성 수준 판정 기준에서 볼때 '낮음(low)' 수준의 자원은 필요가 없다.
따라서 'Category_05에서 '낮음(low)'수준에 해당하는 자원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가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한 연구 정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Category_01', 'Category_03', 'Category_04에서 '어려움(difficult)' 수준에 해당하는 자원은 제거되고, 'category 02'분야는 제거, 'Category_05에서 '낮음(low)'수준에 해당하는 자원은 제거된 연구 정보가 추출된다.
상기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는 상기 추출된 세부 분야별 연구 정보를 난이도에 따라 순서를 지정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구노트 작성부(2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연구노트 작성부(250)는 연구정보 제공자가 인터넷에서 자신의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로 연구정보관리부에 접속되면, 연구정보관리부내에 연구정보 제공자 본인의 연구노트 폴더를 생성시킨 후, 연구노트 폴더에 연구정보 제공자의 연구내용을 작성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구노트 작성부는 시간정보 암호부를 통해 연구노트작성 완료시의 시간정보를 암호화하여 연구정보 제공자의 연구노트에 암호화된 시간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연구노트 작성이 완료되어 암호화된 시간정보를 기록한 연구노트를 연구정보 수요자가 수정할 경우 수정된 내용이 추가로 암호화된 시간정보를 갖는 연구노트로 저장되어 수정 이력이 기록되고, 수정 이전의 연구노트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보존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 비용체크부(2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연구정보 비용체크부(260)는 거래 완료 후, 해당 거래의 고유번호, 클라이언트부에 제공된 연구정보를 검색하여 연구정보 수요자의 이메일을 찾고, 그 이메일로 연구정보 비용 청구 안내문을 송신하고, 연구정보 수요자로 하여금 페이팔(Paypal)을 통해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로 연구정보 비용을 입금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연구정보 수요자에게 일정한 금액의 요금을 청구할 수 있도록 1차로 이메일을 통한 연구정보 비용 청구 안내문을 보내고, 2차로 페이팔(Paypal)을 통해 연구 지원 포탈 서버로 연구정보 비용을 입금시키도록 안내하는 후불제입금방식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페이팔(Paypal)은 인터넷에서의 결제서비스로 신용카드나 계좌번호를 서로 알릴 필요도 없이 자신이 만든 페이팔 계좌로 입금, 송금할 수 있고, 연구 지원 포탈 서버에서 연구정보를 배송하면, 곧바로 연구정보 수요자에게 배송번호가 메일로 전달되기 때문에 문제 발생시 추적이 가능하며, 보험 없이도 미배송, 오배송 등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 보장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구정보제공방법의 구체적인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부와의 통신을 수행한다(S100).
다음으로, 지식데이터베이스(220)가 연구정보관리부(220a)와 링크되어 연결되고, 연구 정보의 내용에 따라 세부 분야를 맵핑시켜 저장시킨다(S200).
여기서, 연구정보관리부(220a)는 인터넷상에서 연구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업데이트시키는 것으로, 이는 공인 인증 설정부(200a-1)를 통해 외부의 공인 인증기관과 링크되어 연구정보 제공자가 업로딩한 연구노트 폴더 중 특정 연구정보를 인증한다(S210).
이어서, 연구노트 ID 설정부(200a-2)에서 연구정보 제공자가 업로딩한 연구노트를 작성한 순서대로 식별 ID를 설정한 후, 일련번호와 날짜를 생성시킨다(S220).
이어서, 요약발췌링크부(200a-3)에서 책으로 이루어진 연구노트를 일괄적으로 스캔하여 일련번호가 순서대로 일치하도록 저장시킨 후, 연구정보 사이트의 요약프레임란에 연구정보의 간략내용만을 발췌하여 링크시킨다(S230).
이어서, 요약발췌링크부(200a-3)에서 연구정보 제공자가 작성한 연구정보 중 종이로 이루어진 연구노트를 저장할 때는 연구노트를 일괄적으로 스캔하여 일련번호가 순서대로 일치하도록 저장시킨 후, 연구정보 사이트의 요약프레임란에 연구정보의 간략내용만을 작성하고, 스캔된 연구노트와 요약발췌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일련번호를 생성시킨다(S240).
다음으로, 세부 분야 검색부(230)에서 통신부를 통해 관심 분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지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분야 정보를 추출한다(S300).
다음으로, 추출된 세부 분야 정보 중에서 세부 분야 목록을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부에 제공한다(S400).
여기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231)에는 각 세부 분야에 대한 연구정보 제공자의 현재 수준, 자신의 최종 목표를 입력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즉,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231)은 연구정보 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관심 분야 제공 프레임(231a), 세부 분야 제공 프레임(231b), 최종 목표 선택 프레임(231c)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관심 분야 제공 프레임(231a)에는 연구정보 제공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가 표시되고, 상기 세부 분야 제공 프레임(231b)에는 상기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 분야 목록과 세부 분야별 연구정보 제공자의 현재 전문성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존재한다. 세부 분야 제공 프레임(231b)에 있는 선택 버튼을 이용하여 각 세부 분야에 대하여 현재 자신의 전문성 정도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에서 클라이언트부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에서 해당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정보를 제시함과 동시에 세부 분야 중심 연구 순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한다(S500).
다음으로, 연구노트 작성부(250)에서 연구정보 제공자가 인터넷에서 자신의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로 연구정보관리부에 접속되면, 연구정보관리부내에 연구정보 제공자 본인의 연구노트 폴더를 생성시킨 후, 연구노트 폴더에 연구정보 제공자의 연구내용을 작성시킨다(S600).
여기서, 연구노트 작성부(250)는 시간정보 암호부를 통해 연구노트작성 완료시의 시간정보를 암호화하여 연구정보 제공자의 연구노트에 암호화된 시간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연구노트 작성이 완료되어 암호화된 시간정보를 기록한 연구노트를 연구정보 수요자가 수정할 경우 수정된 내용이 추가로 암호화된 시간정보를 갖는 연구노트로 저장되어 수정 이력이 기록되는 단계와,
수정 이전의 연구노트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보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끝으로, 연구정보 비용체크부(260)에서 거래 완료 후, 해당 거래의 고유번호, 클라이언트부에 제공된 연구정보를 검색하여 연구정보 수요자의 이메일을 찾고, 그 이메일로 연구정보 비용 청구 안내문을 송신하고, 연구정보 수요자로 하여금 페이팔(Paypal)을 통해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로 연구정보 비용을 입금시키도록 안내한다(S700).
100 : 클라이언트부 200 : 연구지원포탈서버
210 : 통신부 220 : 지식데이터베이스
230 : 세부분야검색부 240 :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
250 : 연구노트작성부 260 : 연구정보 비용체크부

Claims (6)

  1. 연구 관심 분야 및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받는 클라이언트부(100)와, 상기 클라이언트부(100)로부터 전송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연구정보 수요자에게 맞는 연구 순서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로 이루어진 연구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는
    클라이언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10)와;
    연구정보관리부(220a)와 링크되어 연결되고, 저장된 연구정보에 대하여 연구 정보의 내용에 따라 세부 분야가 맵핑되어 저장된 지식데이터베이스(220)와;
    통신부를 통해 관심 분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분야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세부 분야 정보 중에서 세부 분야 목록을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부에 제공하는 세부 분야 검색부(230)와;
    상기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에서 해당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정보를 제시함과 동시에 세부 분야 중심 연구 순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하는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와;
    연구정보 제공자가 인터넷에서 자신의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로 연구정보관리부에 접속되면, 연구정보관리부내에 연구정보 제공자 본인의 연구노트 폴더를 생성시킨 후, 연구노트 폴더에 연구정보 제공자의 연구내용을 작성할 수 있는 연구노트 작성부(250)와,
    거래 완료 후, 해당 거래의 고유번호, 클라이언트부에 제공된 연구정보를 검색하여 연구정보 수요자의 이메일을 찾고, 그 이메일로 연구정보 비용 청구 안내문을 송신하고, 연구정보 수요자로 하여금 페이팔(Paypal)을 통해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로 연구정보 비용을 입금시키도록 안내하는 연구정보 비용체크부(26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정보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노트 작성부는 시간정보 암호부를 통해 연구노트작성 완료시의 시간정보를 암호화하여 연구정보 제공자의 연구노트에 암호화된 시간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연구노트 작성이 완료되어 암호화된 시간정보를 기록한 연구노트를 연구정보 수요자가 수정할 경우 수정된 내용이 추가로 암호화된 시간정보를 갖는 연구노트로 저장되어 수정 이력이 기록되고, 수정 이전의 연구노트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보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정보 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연구정보관리부는
    외부의 공인 인증기관과 링크되어 연구정보 제공자가 업로딩한 연구노트 폴더 중 특정 연구정보를 인증하는 공인 인증 설정부(200a-1)와,
    연구정보 제공자가 업로딩한 연구노트를 작성한 순서대로 식별 ID를 설정한 후, 일련번호와 날짜를 생성시키는 연구노트 ID 설정부(200a-2)와,
    책으로 이루어진 연구노트를 일괄적으로 스캔하여 일련번호가 순서대로 일치하도록 저장시킨 후, 연구정보 사이트의 요약프레임란에 연구정보의 간략내용만을 발췌하여 링크시키는 요약발췌링크부(200a-3)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정보 제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연구정보 관리부는
    연구정보 제공장치에서 연구정보 수요자가 작성하는 연구정보는 종이로 된 노트에 작성된 연구노트를 스캔하여 그 정보를 올릴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종이로 이루어진 연구노트를 저장할 때는 연구노트를 일괄적으로 스캔하여 일련번호가 순서대로 일치하도록 저장시킨 후, 연구정보 제공자는 연구정보 사이트의 요약프레임란에 연구정보의 간략내용만을 작성하고, 스캔된 연구노트와 요약발췌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일련번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정보 제공장치.
  5. 통신부(210)의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S100)와,
    지식데이터베이스(220)가 인터넷상에서 연구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업데이트시키는 연구정보관리부(220a)와 링크되도록 연결되어 연구 정보의 내용에 따라 세부 분야를 맵핑시켜 저장시키는 단계(S200)와,
    세부 분야 검색부(230)에서 통신부를 통해 관심 분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지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관심 분야에 대한 세부분야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300)와,
    연구 순서 정보생성?분류부(240)에서 추출된 세부 분야 정보 중에서 세부 분야 목록을 포함하는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부에 제공하는 단계(S400)와,
    연구 순서 정보 생성?분류부(240)에서 클라이언트부로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구정보 제공자 프로파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지식데이터베이스(220)에서 해당 연구정보 수요자가 요구하는 연구 정보를 제시함과 동시에 세부 분야 중심 연구 순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부에게 제공하는 단계(S500)와,
    연구노트 작성부(250)에서 연구정보 제공자가 인터넷에서 자신의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로 연구정보관리부에 접속되면, 연구정보관리부내에 연구정보 제공자 본인의 연구노트 폴더를 생성시킨 후, 연구노트 폴더에 연구정보 제공자의 연구내용을 작성시키는 단계(S600)와,
    연구정보 비용체크부(260)에서 거래 완료 후, 해당 거래의 고유번호, 클라이언트부에 제공된 연구정보를 검색하여 연구정보 수요자의 이메일을 찾고, 그 이메일로 연구정보 비용 청구 안내문을 송신하고, 연구정보 수요자로 하여금 페이팔(Paypal)을 통해 연구 지원 포탈 서버(200)로 연구정보 비용을 입금시키도록 안내하는 단계(S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연구정보관리부(220a)는 인터넷상에서 공인 인증 설정부(200a-1)를 통해 외부의 공인 인증기관과 링크되어 연구정보 제공자가 업로딩한 연구노트 폴더 중 특정 연구정보를 인증하는 단계(S210)와,
    연구노트 ID 설정부(200a-2)에서 연구정보 제공자가 업로딩한 연구노트를 작성한 순서대로 식별 ID를 설정한 후, 일련번호와 날짜를 생성시키는 단계(S220)와,
    요약발췌링크부(200a-3)에서 책으로 이루어진 연구노트를 일괄적으로 스캔하여 일련번호가 순서대로 일치하도록 저장시킨 후, 연구정보 사이트의 요약프레임란에 연구정보의 간략내용만을 발췌하여 링크시키는 단계(S230)와,
    요약발췌링크부(200a-3)에서 연구정보 제공자가 작성한 연구정보 중 종이로 이루어진 연구노트를 저장할 때는 연구노트를 일괄적으로 스캔하여 일련번호가 순서대로 일치하도록 저장시킨 후, 연구정보 사이트의 요약프레임란에 연구정보의 간략내용만을 작성하고, 스캔된 연구노트와 요약발췌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일련번호를 생성시키는 단계(S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 정보 제공 방법.
KR1020100088126A 2010-09-08 2010-09-08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15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26A KR101156718B1 (ko) 2010-09-08 2010-09-08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26A KR101156718B1 (ko) 2010-09-08 2010-09-08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927A KR20120025927A (ko) 2012-03-16
KR101156718B1 true KR101156718B1 (ko) 2012-06-14

Family

ID=46132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126A KR101156718B1 (ko) 2010-09-08 2010-09-08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228B1 (ko) * 2021-06-29 2023-01-27 주식회사 레드윗 블록체인 기반의 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KR102437375B1 (ko) * 2022-01-12 2022-08-26 김용욱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496620B1 (ko) * 2022-10-26 2023-02-06 김정열 Ai 기반 검색 기능을 가지는 ocr 전자연구노트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739A (ko) * 2000-06-13 2001-12-20 정명식 연구 자원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65626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20796A (ko) * 2008-08-13 2010-02-23 (주)기술과가치 국책 연구 정보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739A (ko) * 2000-06-13 2001-12-20 정명식 연구 자원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65626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20796A (ko) * 2008-08-13 2010-02-23 (주)기술과가치 국책 연구 정보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927A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tta et al. Smart urban freight planning process: integrating desk, living lab and modelling approaches in decision-making
Acosta et al. Facilitating energy transition through energy commons: An application of socio-ecological systems framework for integrated community energy systems
Orenga-Roglá et al. Methodology for the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2.0: A case study in an oil and gas company
Hicks et al. The five‐tier knowledge management hierarchy
Oral et al. A methodology for collectiv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industrial R&D projects
CN102122373A (zh) 基于网络的实施门户网站的自动化系统和方法
CN102708431A (zh) 用于咨询服务网络的游戏档案
Fricker et al. Release planning with feature trees: Industrial case
Celino Human computation VGI provenance: semantic web-based representation and publishing
KR101156718B1 (ko)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Behne et al. A framework for cross-industry innovation: Transferring technologies between industries
Muthalagu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in engineering industries
Figenbaum et al. Empirical analysis of the user needs and the business models in the Norwegian charging infrastructure ecosystem
Hasan et al. Understanding data products: Motivations, definition, and categories
Lane et al. Science metrics and science policy
Fridgen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blockchain-based platformization of digital identities in the public sector
Yew et al. A framework for designing postgraduate research supervision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KR100976722B1 (ko) 사용자 맞춤형 연구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lia et al. The genome of digital entrepreneurship: A descriptive framework
Kalina et al.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for business processes at an enterprise in/under conditions of economic uncertainty: monograph
Gupta et al. Using peer-to-peer technology for collaborative knowledge management: concepts, frameworks and research issues
Ma et al. Framework of Interaction Design Method Based on Blockchain System
Almehrzi Cloud Computing Based in Knowledge Management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Benefit and Risks
Hasan et al. Data Product Canvas: A visual inquiry tool supporting data product design
Amissah et al. Data-centric development of architecture models with the DM2 and MS-SD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