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375B1 -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375B1
KR102437375B1 KR1020220004906A KR20220004906A KR102437375B1 KR 102437375 B1 KR102437375 B1 KR 102437375B1 KR 1020220004906 A KR1020220004906 A KR 1020220004906A KR 20220004906 A KR20220004906 A KR 20220004906A KR 102437375 B1 KR102437375 B1 KR 10243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arch
researcher
request message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김용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욱 filed Critical 김용욱
Priority to KR102022000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375B1/ko
Priority to PCT/KR2022/018042 priority patent/WO20231364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원 단말,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 및 블록체인 서버를 포함하는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은 연구 노트를 스캔하여 상기 연구 노트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를 처리하는 연구원 단말,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여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연구원 단말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는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RESEARCH NOTE SYSTEM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국가 지원 R&D 데이터를 융합하여 새로운 특허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을 말한다. 거래 정보가 담긴 원장(原帳)을 거래 주체나 특정 기관에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나누어 가지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분산 원장 기술(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또는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한다. 블록체인은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Block)을 사슬처럼 연결(chain)한 것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블록체인은 금융기관에서 모든 거래를 담보하고 관리하는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서 벗어나 P2P(Peer to Peer;개인 대 개인) 거래를 지향하는, 탈(脫)중앙화를 핵심 개념으로 한다. P2P란 서버나 클라이언트 없이 개인 컴퓨터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말하며, 연결된 각각의 컴퓨터가 서버이자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는 금융회사들이 중앙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해 온 반면, P2P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에서는 거래 정보를 블록에 담아 차례대로 연결하고 이를 모든 참여자가 공유한다.
가상화폐(Virtual Currency)는 전자화폐 또는 암호화폐라고도 하며, 지폐나 동전 등의 실물이 없고 온라인에서 거래되는 화폐를 말한다. 가상화폐는 각국 정부나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일반 화폐와 달리 처음 고안한 사람이 정한 규칙에 따라 가치가 매겨진다. 또한, 탈 중앙화 특징에 의해 정부나 중앙은행에서 거래 내역을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유통되기 때문에 정부 등 특정 기관이 가치나 지급을 보장하지 않는다.
MICE는 기업 회의(Meeting), 포상 관광(Incentive trip), 컨벤션(Convention), 전시 박람회와 이벤트(Exhibition&Event) 등의 영문 앞 글자를 딴 용어로, 좁은 의미에서는 국제 회의와 전시회를 주축으로 한 유망 산업을 뜻하며, 광의적 개념으로는 참여자 중심의 보상관광과 메가 이벤트 등을 포함하는 융복합 산업을 뜻한다.
현재, 연구원들이 국가 과제 또는 기업 과제 등을 수행하는 경우, 연구 과정/결과 등을 보고/기록하기 위해 연구한 내용을 전자 문서로 작성하여 보고/제출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원들은 연구 내용을 수기로 작성하므로, 이를 별도로 전자 문서화 작업하는 일은 매우 번거롭고 불필요하게 시간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나아가, 연구원들이 연구 내용을 전자 문서화하는 과정에서 일부 연구 내용이 누락될 위험성 역시 존재한다.
또한, 전자 문서의 경우, 문서 자체에 연구원 개개인의 독특한 수기 습관, 패턴 등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누구든지 작성 가능하여 해당 연구 내용이 구체적으로 어느 연구원에 의해 도출된 것인지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져 연구 실적을 어느 연구원에게 인정해 줄 것인지에 대한 다툼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또한, 연구노트의 내용을 증명을 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신뢰성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블록체인 기반 연구노트는 개인적으로 검증하거나, 특정 집단에서만 공유되는 내용이다 보니 그 내용에 대한 검증에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18637호는 블록 체인 기반의 연구 노트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연구 노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연구 노트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연구 노트 이미지 및 현재 시점을 저장하고, 제1 블록으로 블록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을 블록 체인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43520호는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콜드 월렛 및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한 공신력있는 인증 기관과의 인증절차를 포함하는 전자 연구노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9030호는 블록체인 기반 연구중심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라우드펀딩을 펀딩서버에서 제공하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서 수행하되 법인이나 개인이 개발하거나 개발 예정인 기술이나 연구 프로젝트를 펀딩하고,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에서는 암호화폐거래 확인서버와 암호화폐거래 처리서버가 링크되도록 하여 펀딩자금이 블록체인 방식의 암호화폐로 환전하여 편딩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투자 가능토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연구중심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9465호는 연구노트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구노트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연구노트들을 입력받고, 각 연구노트의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각 연구노트의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 그리고 학습된 머신러닝 모델로 상기 검색 키워드와 상기 각 연구노트의 메타정보와 유사도를 계산하고, 유사도가 높은 연구노트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1863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4352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5903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29465호
본 발명은 국가 지원 R&D 데이터를 융합하여 새로운 특허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연구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함으로써 연구원이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 정보가 종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중복 연구 지원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구 노트에 연구원에 인증 정보를 미리 삽입함으로써 악의적인 사용자가 연구원의 연구 노트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원 단말,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 및 블록체인 서버를 포함하는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은 연구 노트를 스캔하여 상기 연구 노트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를 처리하는 연구원 단말,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여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연구원 단말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는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방법은 연구원 단말이 연구 노트를 스캔하여 상기 연구 노트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가 상기 연구원 단말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서버가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여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구원 단말이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국가 지원 R&D 데이터를 융합하여 새로운 특허를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연구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함으로써 연구원이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 정보가 종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중복 연구 지원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중복 지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구 노트에 연구원에 인증 정보를 미리 삽입함으로써 악의적인 사용자가 연구원의 연구 노트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의 실행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은 연구원 단말(100_1~100_N),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 및 블록체인 서버(300)를 포함한다.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노트 상에 연구 정보를 기록한 후 연구 정보가 기록된 연구노트를 스캔한 후 연구노트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의 중개하여 과제 지원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 노트를 스캔하여 상기 연구 노트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한다.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블록체인 서버(300)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블록체인 서버(300)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면, 블록체인 노드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연구 정보 및 연구원 단말(100_1~100_N)로부터 수신된 연구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연구 정보 및 연구원 단말(100_1~100_N)로부터 수신된 연구 정보가 매칭되면 동일한 연구가 종래에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종래 기술 유사 안내 메시지를 연구원 단말(100_1~100_N) 및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 각각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블록체인 서버(300)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연구가 종래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종래 기술 상이 안내 메시지를 연구원 단말(100_1~100_N) 및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 각각에 제공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310_1~310_N)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록체인 노드(310_1~310_N)는 블록화된 연구 노트에 관한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들(310_1~310_N)끼리 공유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서버(300)에는 국과 과제 관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미리 진행된 연구 정보가 블록체인 노드로 생성된 후 블록체인 노드들(310_1~310_N)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먼저, 블록체인 서버(300)는 국과 과제 관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미리 진행된 연구 정보를 수신하면, 연구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복수의 키워드 각각에 해당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미리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복수의 키워드는 연구원 정보, 연구 노트 작성자, 연구 노트 작성 시점, 연구 관련 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서버(300)는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310_1~310_N)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거나 새로운 블록체인 노드를 생성하여 미리 생성된 블록체인에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서버(300)는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를 생성한 후, 블록체인 노드의 데이터 영역에 연구 정보를 기록하여 미리 생성된 블록체인에 연결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서버(300)는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면 해당 블록체인 노드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연구 정보 및 새롭게 저장되어야 하는 연구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연구 정보 및 새롭게 저장되어야 하는 연구 정보가 매칭되면 어느 하나의 키워드를 블록체인 노드의 헤더의 해시값으로 추가한다.
상기와 같이, 블록체인 서버(300)에는 국과 과제 관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미리 진행된 연구 정보가 블록체인 노드로 생성된 후 블록체인 노드들(310_1~310_N)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 후, 블록체인 서버(300)는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여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은 연구원 단말(100_1~100_N),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 블록체인 서버(300) 및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를 포함한다.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노트 상에 연구 정보를 기록한 후 연구 정보가 기록된 연구노트를 스캔한 후 연구노트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의 중개하여 과제 지원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 노트 관리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메라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연구자가 해당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연구노트를 스캔할 수 있다.
먼저,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에 의해 생성된 전자 연구노트를 프린트하며, 프린트된 전자연구노트에 연구 정보가 기록되면 연구 정보가 기록된 연구노트를 스캔하게 된다. 상기의 연구 정보는 연구 키워드, 연구 노트 작성자, 연구 노트 작성 시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연구노트에는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망점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원에 의해 프린트되더라도 연구노트에는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망점이 삽입되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원은 프린트된 연구노트 상에 연구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프린트된 전자연구노트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전자연구노트에서 망점을 추출한 후 망점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을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이진수 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망점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을 추출하고, 이진수 값을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즉,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이진수 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망점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이 0 또는 1인지 판단할 수 있고, 이진수 값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식별 코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 1개와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 6개를 추출한 경우,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을 1로 인식하고,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을 0으로 인식하여 식별 코드 "1000000"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하고,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정보를 수신하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연구원이 악의적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연구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스캔된 연구노트의 연구 정보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하여 종래 기술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연구원 정보가 일치하면 연구노트의 연구 정보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하여 종래 기술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지만,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연구원 정보가 상이하면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연구노트가 사용되었다고 판단하여 악의적 사용 메시지를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제공한다.
이와 반대로,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식별 코드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하고,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에 따라 과제 지원 요청을 진행한다.
즉,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긍정 응답 메시지인 경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하고,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부정 응답 메시지인 경우 과제 지원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 노트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하고,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를 처리할 수 있다.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연구원에 의해 지원된 과제가 종래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연구원에 의해 과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서버이다.
먼저,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연구노트를 스캔한 연구원에 대한 인증을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연구원 단말(100_1~100_N)로부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제공한다. 따라서, 연구원 단말(100_1~100_N)은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정보를 수신하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연구원이 악의적인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연구원 단말(100_1~100_N)로부터 식별 코드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제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긍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제공하고,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가 상이하면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부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제공한다.
그 후,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연구원 단말(100_1~100_N)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300)에 제공한다.
만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블록체인 서버(300)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블록체인 서버(300)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면, 블록체인 노드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연구 정보 및 연구원 단말(100_1~100_N)로부터 수신된 연구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연구 정보 및 연구원 단말(100_1~100_N)로부터 수신된 연구 정보가 매칭되면 동일한 연구가 종래에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종래 기술 유사 안내 메시지를 연구원 단말(100_1~100_N) 및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 각각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블록체인 서버(300)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연구가 종래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종래 기술 상이 안내 메시지를 연구원 단말(100_1~100_N) 및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 각각에 제공한다.
블록체인 서버(300)는 블록체인 노드(310_1~310_N)를 포함한다. 이러한블록체인 노드(310_1~310_N)는 블록화된 연구 노트에 관한 정보를 블록체인 노드들(310_1~310_N)끼리 공유 및 저장할 수 있다. 연구 노트에 관한 연구 정보는 연구 키워드, 연구 노트 작성자, 연구 노트 이미지, 이미지 분석 결과 및/또는 연구 노트 작성 시점 등과 같은 연구 노트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원이 제1 연구원 단말(100_1~100_N)을 통해 자신이 작성한 연구 노트의 이미지를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해당 연구 노트에 대한 정보는 제1 블록으로 블록화되어 제2 노드 내지 제N 노드(220-1~220-N)로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제1 블록은 제2 내지 제N 단말(220-1~220-N)에 미리 생성 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블록 체인에 새로운 블록으로서 추가되어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블록체인 서버(300)는 연구원 단말(100_1~100_N)로부터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 노트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연구 정보를 분석하여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복수의 키워드 각각에 해당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미리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복수의 키워드는 연구원 정보, 연구 노트 작성자, 연구 노트 작성 시점, 연구 관련 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서버(300)는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310_1~310_N)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거나 새로운 블록체인 노드를 생성하여 미리 생성된 블록체인에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서버(300)는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면 해당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여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블록체인 노드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연구 정보 및 연구원 단말(100_1~100_N)로부터 수신된 연구 정보가 매칭되면 동일한 연구가 종래에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서버(300)는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별도의 블록체인 노드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블록체인 서버(300)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복수의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해시값이 헤더에 기록된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연구가 종래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는 연구원에 의해 진행되는 연구가 종래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연구원의 인증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 코드가 삽입된 전자연구노트를 생성하여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제공한다.
즉,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는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망점을 삽입하여 전자연구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에 의해 생성된 전자연구노트에는 전자연구노트의 배경화면의 픽셀 값을 기준으로 특정 값 이상 또는 특정 값 이하의 픽셀 값으로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망점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에는 보이지 않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는 식별 코드에 따라 다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망점을 생성하고, 복수의 망점을 전자연구노트 상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이 1011 이고, 1에 해당하는 망점은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고 정의되어 있고 0에 해당하는 망점은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고 정의되어 있으면,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는 4 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 8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 4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을 생성하여 전자연구노트 상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는 식별 코드를 구성하는 문자 각각을 이진수화하여 이진수 값을 생성하거나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구노트 생성 장치(400)는 이진수 값이 1 또는 0인지를 판별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개수의 점으로 이루어진 망점을 생성하여 전자연구노트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연구노트에는 연구원에 의해 프린트된 후 연구원이 작성한 연구내용이 적히게 된다.
이때, 전자연구노트에는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망점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연구원에 의해 프린트되더라도 연구노트에는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망점이 삽입되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원은 프린트된 연구노트 상에 연구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원에 의해 연구내용이 기록된 연구노트는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의해 스캔되어 블록체인 서버(300)에 등록될 수 있으나,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의해 스캔되는 과정에서 연구노트 이미지에서 망점을 추출한 후 망점에 해당하는 식별 코드 중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100_1~100_N)에 해당하는 연구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연구노트가 악의적인 연구원에 의해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의 실행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구원 단말(100)은 연구 노트를 스캔하여 상기 연구 노트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단계 S301)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한다(단계 S302).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상기 연구원 단말(100)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300)에 제공한다(단계 S303).
상기 블록체인 서버(300)는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여(단계 S304),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에 제공한다(단계 S305).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는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단계 S306) 상기 연구원 단말(100)에 제공한다(단계 S307).
상기 연구원 단말(100)은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200)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를 처리한다(단계 S307).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_1~100_N: 연구원 단말,
200: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
300: 블록체인 서버,
400: 연구노트 생성 장치

Claims (2)

  1. 연구원 단말,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 및 블록체인 서버를 포함하는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연구노트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망점이 삽입되어 있는 전자연구노트를 프린트하여 획득된 연구노트에 연구 정보 기록된 후 상기 연구노트의 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연구노트를 스캔하여 상기 연구노트에서 망점을 추출하고, 이진수 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망점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을 추출하고, 이진수 값을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한 후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고,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연구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연구원 정보가 상이하면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연구노트가 사용되었다고 판단하여 식별 코드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가 긍정 응답 메시지인 경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고,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부정 응답 메시지인 경우 과제 지원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원 단말;
    복수의 블록체인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여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연구원 단말로부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연구원 단말로부터 식별 코드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긍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고,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가 상이하면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부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연구원 단말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는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2. 연구원 단말이 연구노트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망점이 삽입되어 있는 전자연구노트를 프린트하여 획득된 연구노트에 연구 정보 기록된 후 상기 연구노트의 촬영이 요청되면 상기 연구노트를 스캔하여 상기 연구노트에서 망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연구원 단말이 이진수 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망점에 해당하는 이진수 값을 추출하고, 이진수 값을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한 후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가 상기 연구원 단말로부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구원 단말이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연구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연구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연구원 단말이 상기 판단 결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연구원 정보가 상이하면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연구노트가 사용되었다고 판단하여 식별 코드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가 연구원 단말로부터 식별 코드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긍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고, 식별 코드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 및 연구원 단말 식별 정보가 상이하면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부정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구원 단말이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가 긍정 응답 메시지인 경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고, 연구원 인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부정 응답 메시지인 경우 과제 지원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가 상기 연구원 단말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서버가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지원 요청 메시지에서 연구 정보를 추출한 후 연구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노드를 추출하여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가 상기 블록체인 노드 확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블록체인 노드를 수신하면, 상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연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연구원 단말이 상기 연구노트 활용 중개 서버로부터 과제 지원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연구 정보에 대한 과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방법.
KR1020220004906A 2022-01-12 2022-01-12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437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906A KR102437375B1 (ko) 2022-01-12 2022-01-12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CT/KR2022/018042 WO2023136448A1 (ko) 2022-01-12 2022-11-16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906A KR102437375B1 (ko) 2022-01-12 2022-01-12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375B1 true KR102437375B1 (ko) 2022-08-26

Family

ID=8311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906A KR102437375B1 (ko) 2022-01-12 2022-01-12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7375B1 (ko)
WO (1) WO20231364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48A1 (ko) * 2022-01-12 2023-07-20 김용욱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927A (ko) * 2010-09-08 2012-03-16 (주)기술과가치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00059030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에어콕 드론을 이용한 유해물질 배출시설물 예측장치
KR20210043520A (ko) 2021-04-01 2021-04-21 강정헌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KR20210118637A (ko)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레드윗 블록 체인 기반의 연구 노트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29465A (ko) 2020-04-20 2021-10-28 (주)사이버라인 연구노트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구노트 검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989B1 (ko) * 2017-07-06 2018-01-05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블록 체인을 이용한 이상 금융 거래 탐지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N109981750B (zh) * 2019-03-06 2021-09-17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业务流程系统、业务数据处理方法和装置
KR102437375B1 (ko) * 2022-01-12 2022-08-26 김용욱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927A (ko) * 2010-09-08 2012-03-16 (주)기술과가치 연구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200059030A (ko)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에어콕 드론을 이용한 유해물질 배출시설물 예측장치
KR20210118637A (ko) 2020-03-23 2021-10-01 주식회사 레드윗 블록 체인 기반의 연구 노트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29465A (ko) 2020-04-20 2021-10-28 (주)사이버라인 연구노트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구노트 검색 방법
KR20210043520A (ko) 2021-04-01 2021-04-21 강정헌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48A1 (ko) * 2022-01-12 2023-07-20 김용욱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448A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694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and delivering electronic documents
US11570006B2 (en) Transaction data processing method, compu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851284A (zh) 用于分散式所有权记录和鉴定的系统和方法
Kotka et al. Estonian e-Residency: Redefining the nation-state in the digital era
US20060010487A1 (en) System and method of verifying personal identities
US20230134651A1 (en) Synchronized Identity, Document, and Transaction Management
Hsu et al. Design of an e-diploma system based on consortium blockchain and facial recognition
CN113111330B (zh) 一种基于企业链码的企业法人身份认证管理方法及系统
US20220398573A1 (en) Machine learning classifier based on category modeling
KR102437375B1 (ko)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Bradić et al. Creating own NFT token using erc721 standard and solidity programming language
KR102154602B1 (ko) 온라인 대면확인 방법
US20230259901A1 (en) Issuing entity and 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coin data sets, and payment system
Dhyani et al. A blockchain-based document verification system for employers
KR20210001915A (ko) 블록체인 기반 연구중심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운영방법
Sharma Blockchain: A Hype Or a Hoax?
Negasa et al. A Blockchain-Enabled Digital Document Locker and Verification Model for Ethiopia.
KR20200012688A (ko)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등록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US202303162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Identity, Documents, and Transactions
LABBADI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pplication in the UAE Banking Industry.
US11741535B2 (en) Digital cash register: a comprehensive layout for cyber banking and digital coins
US20220399997A1 (en) Process for allowing a user to access a block chain of an organization
US20040260629A1 (en) Disbursement processing system with integrated Office of Foreign Asset Control compliance
CN118251693A (zh) 一种支持金融服务的装置及其集成系统
Weerasinghe Automated near real-time Cheque Clearing System with Digital Che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