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520A -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520A
KR20210043520A KR1020210043019A KR20210043019A KR20210043520A KR 20210043520 A KR20210043520 A KR 20210043520A KR 1020210043019 A KR1020210043019 A KR 1020210043019A KR 20210043019 A KR20210043019 A KR 20210043019A KR 20210043520 A KR20210043520 A KR 20210043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research
authentication
note application
research 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헌
Original Assignee
강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헌 filed Critical 강정헌
Priority to KR102021004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520A/ko
Publication of KR20210043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5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06F21/645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using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연구노트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Research note application based on cold wallet and hybrid blockchain platform}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연구노트에 관한 것임
특정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상기 연구 과정에서 얻어지는 결과를 기록으로 정리한 연구 노트를 작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연구 노트를 작성하는 것이 연구자에게 매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연구 수행에 있어서 연구 노트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기 연구 노트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은 다양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연구 내용의 망각을 방지하는 연구 효율성 제고 측면, 연구를 지원하는 지원자(예컨대, 고용주, 투자자, 정부 등)에게 연구 과정을 보고하기 위한 보고 측면, 미래의 분쟁(예컨대, 부정경쟁방지와 영업비밀의 보호, 직무발명 증명 등)에 대비하기 위한 분쟁 방지 예방 측면, 연구 결과에 대한 진실성 검증을 위한 연구 윤리 검증 측면에서 이점을 가진다.
하지만 기존의 블록체인 기반 연구노트의 블록체인 플렛폼을 보면 각 개인의 블록체인(프라이빗 블록체인)을 통해 활용되고 있다.
KR10-2084674B1
본 발명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개인화된 블록체인이다보니 신뢰성이 떨어진다.
연구노트의 내용을 증명을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신뢰성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블록체인 기반 연구노트는 개인적으로 검증하거나, 특정 집단에서만 공유되는 내용이다보니 그 내용에 대한 검증에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공신력 있는 블록체인 기반 연구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콜드 월렛 및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한 공신력있는 인증 기관과의 인증절차를 포함하는 전자 연구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이브리드 방식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공신력 있는 블록체인 기반 연구노트를 제공하므로,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검증된 신뢰성을 지닌 연구성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노트의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연구노트에 관한 것임

Claims (1)

  1.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전자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써,
    각 개인의 단말에서 개인이 생성한 저작물을 보관하는 콜드 월렛,
    인증기관CA 및 각 개인(제3자 포함)의 단말과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동작 가능한 퍼블릭 블록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콜드 월렛은 상기 개인이 생성한 저작물(생성,수정,편집 등)을 1차 개인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1차 개인인증 시 상기 개인이 생성한 저작물은 암호화 됨-
    상기 1차 개인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해 2차적으로 인증기관의 인증을 추가로 인증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및 2차 인증이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인증기관으로 부터 인증서를 교부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전자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 상기 2차 인증까지 완료된 데이터는 상기 퍼블릭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 중개등과 같은 안전한 데이터 송수신 및 거래가 가능하며, 상기 전자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은 연구 데이터 거래 사용자 UI를 포함함 -
KR1020210043019A 2021-04-01 2021-04-01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KR20210043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019A KR20210043520A (ko) 2021-04-01 2021-04-01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019A KR20210043520A (ko) 2021-04-01 2021-04-01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520A true KR20210043520A (ko) 2021-04-21

Family

ID=7574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019A KR20210043520A (ko) 2021-04-01 2021-04-01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5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375B1 (ko) 2022-01-12 2022-08-26 김용욱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525564B1 (ko) 2022-03-04 2023-04-25 김정열 인공 지능 및 블록체인을 이용한 연구 개발 관리 시스템 및 해당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639320B1 (ko) 2023-03-16 2024-02-22 주식회사 케이엠아이이지 연구소용 자동 인식, 요약 및 번역에 기초한 컨텐츠 자동 분류 및 기술 문서 분석 인공 지능을 갖춘 전자 연구 노트 플랫폼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674B1 (ko) 2018-05-30 2020-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674B1 (ko) 2018-05-30 2020-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375B1 (ko) 2022-01-12 2022-08-26 김용욱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WO2023136448A1 (ko) * 2022-01-12 2023-07-20 김용욱 블럭체인기술을 활용한 연구노트 활용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525564B1 (ko) 2022-03-04 2023-04-25 김정열 인공 지능 및 블록체인을 이용한 연구 개발 관리 시스템 및 해당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639320B1 (ko) 2023-03-16 2024-02-22 주식회사 케이엠아이이지 연구소용 자동 인식, 요약 및 번역에 기초한 컨텐츠 자동 분류 및 기술 문서 분석 인공 지능을 갖춘 전자 연구 노트 플랫폼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3520A (ko) 콜드 월렛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렛폼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노트 애플리케이션
KR102545407B1 (ko) 분산된 문서 및 엔티티 검증 엔진
US10200198B2 (en) Making cryptographic claims about stored data using an anchoring system
US20210279736A1 (en) Blockchain secure transa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biomarker authentication
US8468355B2 (en) Multi-dimensional credentialing using veiled certificates
CN102271041B (zh) 个人身份认证的根服务系统
Al-Khouri Digital identity: Transforming GCC economies
US11558201B2 (en) Self-authenticating digital identity
WO2019168792A1 (en) Cryptoasset custodial system with different rules governing access to logically separated cryptoassets
WO2004006076A3 (en) Biometric private key infrastructure
WO20000621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driven processing of digitally-signed electronic documents
CN109753817A (zh) 基于区块链的医疗信息安全存储方案
CN101739622A (zh) 一种可信支付计算机系统
US10812471B1 (en) Bank speech authentication
Xu et al. A blockchain based micro payment system for smart devices
US8688461B1 (en) Electronic registry for authenticating transferable records
CA318147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federated rights and hierarchical key management
CN101212301B (zh) 一种认证设备及认证方法
Wang et al. Blockchain-based secure sharing mechanism of online education data
US11363000B1 (en) System for virtual private network authentication sensitivity with read only sandbox integration
Goel et al. A blockchain-based Aadhar system: distributed authentication system
Gladman et al. Digital signatures, certificates and electronic commerce
CN102609842A (zh) 一种基于硬件签名设备的支付密码装置及其应用方法
Hardjono et al. Core identities for future transaction systems
Karanikolas Digital signature legality in different jurisdictions: legally binding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