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556B1 -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 Google Patents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556B1
KR101156556B1 KR1020110110524A KR20110110524A KR101156556B1 KR 101156556 B1 KR101156556 B1 KR 101156556B1 KR 1020110110524 A KR1020110110524 A KR 1020110110524A KR 20110110524 A KR20110110524 A KR 20110110524A KR 101156556 B1 KR101156556 B1 KR 101156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film type
type light
led substrate
diffus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인규
이슬기
Original Assignee
이슬기
안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슬기, 안인규 filed Critical 이슬기
Priority to KR102011011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10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형광등의 기본 형태 유지기능과 방열기능 및 LED 기판 고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와;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LED 기판 설치홈에 고정 설치한 LED 기판과; 투명 시트재 필름에 형성시킨 마이크로 렌즈들의 엠보싱 크기와 형태 및 밀도에 대응하여 빛의 방사각과 투명도 및 확산도가 결정되는 특성을 갖고 일정 길이와 폭을 갖게 재단되어 종단면이 반원 형태를 갖도록 말려진 형태에서 전,후 단부가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투광 창 고정홈에 끼워진 다음 접착제를 통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LED에서 발산되는 빛을 정해진 각도로 고르게 분산 및 투광시켜 주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과; LED 기판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한 쌍의 소켓;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엘이디 형광등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LED 기판 자체의 열은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히 방열할 수 있으며, LED들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통하여 외부에 균일하게 확산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엘이디 형광등 자체가 휘거나 처지지 않고 곧은 형태를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를 이용하여 엘이디 형광등 자체를 광고판 내부 등에 직접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제품 자체의 사용성과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The diffuse film the way a window-equipped LED tube lamp}
본 발명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적인 원형 직관의 형광등 형태 유지기능과 방열기능,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와 병행하여 명기함) 기판에 대한 고정 기능 등을 일체로 수행하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 자체를 중량이 가볍고 방열 특성은 강화되도록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수지재 즉,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바 형태로 압출 성형하되,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전,후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전,후면이 끼워져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도록 하는 투광 창 고정홈을 형성하고, 확산재가 함침된 합성수지제로 사출 성형되던 종래 광 확산재 함유 튜브 대신 광 투과율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광 투과율 자체가 광 확산재 함유 튜브보다 매우 높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저면 개구부에 길이방향으로 반원 형태를 갖도록 부착 설치하여 LED 기판 자체의 열은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히 방열할 수 있고, LED들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통하여 외부에 균일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명등용 등기구는 대부분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형광등은 주파수가 60Hz를 사용하여 구동하므로 형광등의 빛이 1초에 60회의 깜빡거림으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가 눈의 피로감을 많이 느끼고, 장시간 사용시 자체의 발열로 인해 주변온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높은 전력손실을 초래하며, 과열시에는 형광램프의 열전자 방출 부분인 필라멘트 근처가 쉽게 파손되거나 바스러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결국, 종래의 형광등과 같은 등기구는 온도상승 및 높은 전력손실로 인해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사용되는 부품이 많아 교체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근래에 들어 일반 형광등에 비해 길이가 1/2 ~ 1/3인 콤팩트형 램프가 사용되는데, 콤팩트 형광램프는 형광등과 밝기가 동일하면서도 전력소모가 절감되고, 삼파장 형광물질의 사용으로 물체의 색 재현 특성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은 형광등이나 형광램프의 대체용으로 사용되는 LED는 전력을 빛으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뛰어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 조명기구인 백열등이나 형광등, 콤팩트 형광램프에 비해 단위 전력대비 빛의 효율이 월등히 높아 경제성이 뛰어나며, 또한 저전압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광량을 얻을 수 있어 안정성이 뛰어나므로 조명용으로서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LED는 전력을 빛으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좋은 반면에 그 발광부위가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백열등이나 음극선을 이용한 형광등 또는 형광램프 등의 발광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LED는 장시간 사용시 그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자체 열에 의한 열적스트레스로 인하여 반도체 소자가 쉽게 열화(degradation)되어 그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LED에 대용량의 전류를 흘려 보내주기 위해서는 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엘이디 형광등(실제로는 엘이디 튜브 램프, LED 직관 램프, LED 형광등, LED 형광 램프 등으로 다양하게 호칭되고 있지만, 이하에서는 "엘이디 형광등"으로 통칭하여 명기함)은 통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도록 알루미늄으로 반원 또는 타원 형상을 갖게 압출 성형한 히트 싱크(9)와; 상기 히트 싱크(9)와 결합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제 판재가 열 가압을 통해 일정 곡률을 갖는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후 가공 처리된 광 확산재 함유 튜브(10)와; 일정길이를 갖고 복수의 LED(21)가 실장되며 상기 히트 싱크(9)에 고정 설치되는 LED 기판(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히트 싱크(9)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방열 돌기(91)들이 돌출 성형되어 있고, 단부 내면에는 LED 기판 고정홈(92)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의 외측에는 광 확산재 함유 튜브 결합홈(9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 확산재 함유 튜브(10)의 단부 내면에는 상기 히트 싱크(9)의 광 확산재 함유 튜브 결합홈(93)에 후크 형태로 끼워져 걸려지는 걸림 돌기(101)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있어, 히트 싱크에 광 확산재 함유 튜브를 결합하였을 때 종단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 엘이디 형광등에서는 히트 싱크(9)가 대부분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된 형태를 갖고 있어 금속 물질의 한계성 특히 열 확산성능 부촉으로 인해 요구되는 방열 효율을 만족시키고, 또한 압출 성형에 따른 기구적 강도의 확보를 위한 기술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방열돌기의 두께 및 부피가 커진 결과를 낳게 되어 엘이디 형광등의 히트 싱크 크기와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알루미늄재로 된 히트 싱크의 발열성능 확보를 위하여 열확산성(열을 대기 중으로 방출시키는 능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표 면적을 늘리다 보니 다수의 돌기들이 일체로 돌출되는 압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열 확산 계수는 0.6-0.84[㎠/sec]이고, 열 전도도는 220-240[W/m.K]이며, 밀도는 2.7[g/㎤]이고, 용융온도가 600-660[℃]이며, 비열은 0.9[J/g.K]을 나타내고 있어 히트 싱크 자체는 물론 방열핀들의 두께와 부피 및 체적이 두껍고 커지게 되므로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경량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의 경우 열팽창계수가 높고 재질이 연질이어서 장기간 사용시 열과 자체 중량에 의해 수축 팽창되어 엘이디 형광등 자체의 처짐이 발생되어 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광 확산재 함유 튜브의 경우 반투명의 합성수지제에 확산재를 적정량 배합하여 성형한 판재를 적용하고, 열 가압 가공을 통해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있어, 판재의 성형 가공 시 확산재의 배합 비율 및 희석상태가 일부의 로트들은 균일하지 못하여 결국 광 투과율이 균일하지 못해 제품별 광 투과율 차가 넓은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LED 특성이 비교적 고 휘도인 특징 때문에 직접적으로 발광 면을 눈으로 보면, 빛의 잔상이 오래 남아 있는 이른바 글레어(글레어란, 영문으로는 Glare로 표기되며, 채광의 질에 관한 평가지표로서 눈부심을 말하는 것으로, 반사 글레어와 휘도 글레어가 있으며, 반사 글레어는 칠판, TV, 액자의 유리가 반사되어 잘 보이지 않는 경우를 말하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휘도대비 글레어이며, 휘도대비 글레어는 시야 중에서 특히 휘도가 높은 면이나 주위의 면과 큰 차이가 있어 시각적 불쾌감을 주는 것을 말한다.)라는 것이 나타나며, 빛에 대한 느낌 차이도 크게 일어나고, 또 광 확산재 함유 튜브 자체를 반경 또는 곡률에 따라 빛의 반사각이 결정되므로 빛을 조사하고자 하는 각도별 기구물의 구조가 바뀌게 되므로 금형을 다양하게 준비해야 되어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 가압 금형을 이용하여 판재를 반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가공할 때 열 가압 금형에 구비된 수개의 가열 펀치들이 닿는 부분이 확산재 함유 사출 판면의 표면이 번들거리는 형태 등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나타나게 되어 그 부분에서 엘이디 발산 빛이 난반사 및 역반사 및 굴절을 일으키게 되므로 광 투과 효율이 감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존 형광등과 같은 기본적인 형태 유지기능과 방열기능, LED 기판에 대한 고정 기능 등을 수행하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 자체의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 방열 효율이 향상되도록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수지재인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바 형태로 압출 성형하되,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전,후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전,후면이 각각 끼워져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도록 하는 투광 창 고정홈을 형성하고, 종래 확산재가 함침된 합성수지제로 사출 성형되던 광 확산재 함유 튜브 대신 광 투과율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광 투과율 자체가 광 확산재 함유 튜브보다 매우 높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저면 개구부에 길이방향으로 반원 형태를 갖도록 부착 설치함으로써 엘이디 형광등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LED 기판 자체의 열은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히 방열할 수 있으며, LED들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통하여 외부에 균일하게 확산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를 압출 성형할 때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상면에는 필요에 따라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으로 절곡 성형한 휨 방지용 바 또는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를 설치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엘이디 형광등 자체가 휘거나 처지지 않고 곧은 형태를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를 이용하여 엘이디 형광등 자체를 광고판 내부 등에 직접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사용성과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면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LED 기판 설치홈을 형성하고, 전,후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한 쌍의 투광 창 고정홈을 형성하며, LED 기판 설치홈과 투광 창 고정홈 사이의 내면에는 각각 소켓 고정용 스크류가 결합되는 스크류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형광등의 기본 원형 형태 유지기능과 방열기능 및 LED 기판 고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와;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복수의 LED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LED 기판 설치홈에 고정 설치한 LED 기판과; 투명 시트재 필름에 형성시킨 마이크로 렌즈들의 엠보싱 크기와 형태 및 밀도에 대응하여 빛의 방사각과 투명도 및 확산도가 결정되는 특성을 갖고 일정 길이와 폭을 갖게 재단되어 종단면이 반원 형태를 갖도록 말려진 형태에서 전,후 단부가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투광 창 고정홈에 끼워진 다음 접착제를 통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LED에서 발산되는 빛을 정해진 각도로 고르게 분산 및 투광시켜 주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과;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이 일체로 부착 설치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양측면에 스크류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LED 기판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한 쌍의 소켓;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정해진 온도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 열가소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외측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종단면이 "T"자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 전체 또는 일부에는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4407357-pat00001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으로 절곡 성형한 휨 방지용 바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 중 일부에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4407357-pat00002
" 형상을 갖는 돌기 결합겸 휨방지부와 스크류 고정판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 등과 같은 강철 금속판으로 절곡 성형한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를 선택적으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에는 정해진 구간을 두고 상기 휨 방지용 바와, 복수 개의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를 병행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두께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의해 결정되는 형광등의 지름을 포함하여 휘도 글레어 감소 정도와 상관 관계에 있는 투명도의 정도에 대응하여 0.2-0.6㎜ 사이에서 어느 한 값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에 의하면, 형광등으로써의 기본적인 원형 직관의 형광등 형태 유지기능과 방열기능, LED 기판에 대한 고정 기능 등을 수행하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 자체를 중량을 가볍게 하면서 방열 효율이 향상되도록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수지재인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바 형태로 압출 성형하되,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전,후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전,후면이 각각 끼워져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도록 하는 투광 창 고정홈을 형성하고, 종래 확산재가 함침된 합성수지제로 사출 성형되던 광 확산재 함유 튜브 대신 광 투과율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광 투과율 자체가 광 확산재 함유 튜브보다 매우 높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저면 개구부에 길이방향으로 반원 형태를 갖도록 부착 설치함으로써 엘이디 형광등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LED 기판 자체의 열은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히 방열할 수 있으며, LED들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통하여 외부에 정해진 각도로 균일하고 눈부시지 않게 발산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와 품질 및 인체의 무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를 압출 성형할 때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상면에는 종단면이 "T"자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를 더 돌출 성형하여 필요에 따라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으로 절곡 성형한 휨 방지용 바 또는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를 선택적 또는 병행 설치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엘이디 형광등 자체가 휘거나 처지지 않고 곧은 형태를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를 이용하여 엘이디 형광등 자체를 광고판 내부 등에 직접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제품 자체의 사용성과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의 (a)(b)는 종래 엘이디 형광등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엘이디 형광등의 종 단면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엘이디 형광등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엘이디 형광등의 종 단면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엘이디 형광등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엘이디 형광등의 종 단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휨 방지용 바 및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의 사시도.
도 8의 (a)-(c)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휨 방지용 바 및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의 설치상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휨 방지용 바 및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의 설치상태 예시 종 단면도.
도 10의 (a)-(c)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대한 일 실시 예의 단층 사시도와 마이크로 렌즈들의 형상 및 투명 시트재 필름에 비드(beads)를 바인더와 코팅한 렌즈가 형성된 확산 필름의 현미경 촬영 이미지.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수직 및 수평 앵글 대비 상대적 휘도 변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엘이디 형광등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엘이디 형광등의 종 단면도이며,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엘이디 형광등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엘이디 형광등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7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휨 방지용 바 및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의 (a)-(c)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휨 방지용 바 및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의 설치상태 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의 (a)(b)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휨 방지용 바 및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의 설치상태 예시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0의 (a)-(c)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대한 일 실시 예의 단층 사시도와 마이크로 렌즈들의 형상 및 투명 시트재 필름에 비드(beads)를 바인더와 코팅한 렌즈가 형성된 확산 필름의 현미경 촬영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수직 및 수평 앵글 대비 상대적 휘도 변화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면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LED 기판 설치홈(11)을 형성하고, 전,후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한 쌍의 투광 창 고정홈(12)을 형성하며, LED 기판 설치홈(11)과 투광 창 고정홈(12) 사이의 내면에는 각각 소켓 고정용 스크류(6)가 결합되는 스크류 결합홈(13)이 형성되도록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형광등의 기본 형태 유지기능과 방열기능 및 LED 기판 고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와;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복수의 LED(21)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LED 기판 설치홈(11)에 고정 설치한 LED 기판(2)과;
투명 시트재 필름에 형성시킨 마이크로 렌즈들의 엠보싱 크기와 형태 및 밀도에 대응하여 빛의 방사각과 투명도 및 확산도가 결정되는 특성을 갖고 일정 길이와 폭을 갖게 재단되어 종단면이 반원 형태를 갖도록 말려진 형태에서 전,후 단부가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투광 창 고정홈(12)에 끼워진 다음 접착제(4)를 통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LED(21)에서 발산되는 빛을 정해진 각도로 고르게 분산 및 투광시켜 주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3)과;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이 일체로 부착 설치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양측면에 스크류(6)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LED 기판(2)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한 쌍의 소켓(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4)는 정해진 온도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 열가소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외측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종단면이 "T"자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14)를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14) 전체 또는 일부에는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4407357-pat00003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으로 절곡 성형한 휨 방지용 바(7)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14) 중 일부에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4407357-pat00004
" 형상을 갖는 돌기 결합겸 휨방지부(81)와 스크류 고정판(82)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 등과 같은 강철 금속판으로 절곡 성형한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8)를 선택적으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14)에는 정해진 구간을 두고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4407357-pat00005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휨 방지용 바(7)와,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4407357-pat00006
" 형상을 갖는 돌기 결합겸 휨방지부(81)와 스크류 고정판(82)을 일체로 구비한 복수 개의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8)를 병행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의 두께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와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에 의해 결정되는 형광등의 지름을 포함하여 휘도 글레어 감소 정도와 상관 관계에 있는 투명도의 정도에 대응하여 0.2-0.6㎜ 사이에서 어느 한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엘이디 형광등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은, 기본적으로 도 3의 (a)(b) 및 도 4와 같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와 LED 기판(2), 확산 필름형 투광 창(3) 및 한 쌍의 소켓(5)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 기술구성 요소로 한다.
상기한 구성 요소 중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는 형광등의 기본 형태 유지기능과 방열기능 및 LED 기판 고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종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을 갖도록 압출 성형한 다음 제조하고자 하는 엔이디 형광등의 길이에 대응하여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저면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LED 기판 설치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전,후 저면(즉, 저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한 쌍의 투광 창 고정홈(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LED 기판 설치홈(11)과 투광 창 고정홈(12) 사이의 내면에는 각각 소켓 고정용 스크류(6)가 결합되는 스크류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는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 수지재로, 그의 열 확산 계수는 0.7-1.4[㎠/sec]이고, 열 전도도는 90-150 [W/mK]이며, 밀도는 1.4± 0.3[g/㎤]이고, 용융온도가 106-160[℃]이며, 비열은 1.1± 0.4[J/gK]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를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압출 성형하게 되면, 밀도와 비열이 각각 1.4± 0.2[g/㎤]와 1.1± 0.4[J/gK]을 갖게 되므로 밀도와 비열이 각각 2.7[g/㎤]와 0.9[J/gK]를 갖는 알루미늄보다 작고, 또 열 확산 계수는 0.6-0.84[㎠/sec]인 알루미늄과 달리 0.7-1.4[㎠/sec]로 비슷하거나 높은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를 압출 성형함에 있어서 종래 알루미늄으로 성형하는 것보다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하게 되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를 알루미늄으로 성형하는 것보다 적은 표면적과 체적으로도 열전자의 대기 방출 성능이 높아지게 되므로,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하는 것보다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하게 되면 경량화 및 소형화와 가공 제조 원가 절감면에서 더 유리하게 된다.
즉, 일반 형광등은 직경에 따라 T8(약 29mm) T5(약 26mm) T7, T6...등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알루미늄 T8 직경에 1200mm 길이의 규격을 기준한 LED 형광등은 알루미늄 압출로 구성 시 약 400~600그램 정도이지만,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로 성형하면 약 200~300그램, 마그네슘으로 성형하면 약 150~250그램으로 무게가 줄고 처짐 및 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량화 및 소형화에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상기 LED 기판(2)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복수의 LED(21)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LED 기판 설치홈(11)에 도 4와 같이 스크류(6)나, 도 6과 같이 열전도성 접착제 또는 방열형 양면 테이프(22)를 통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LED 기판(2)을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LED 기판 설치홈(11)에 고정시켜 주는데 사용되는 열전도성 접착제 또는 방열형 양면 테이프의 열전도도는 마그네슘이나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보다는 높고 알루미늄 보다는 약 20% 정도 낮으므로 LED(21)에서 발생되어 LED 기판(2)을 통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으로 전달되어 오는 열을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에 빠르게 전달하게 되므로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에서 열을 대기중으로 빨리 방산시켜 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방열 효율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LED 기판(2)을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은 제조상 투명 시트재 필름에 형성시킨 마이크로 렌즈들의 엠보싱 크기와 형태 및 밀도에 대응하여 빛의 방사각과 투명도 및 확산도가 결정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폭과 제조하고자 하는 엘이디 형광등의 길이에 대응하여 일정 길이와 폭을 갖게 재단된 다음 종단면이 반원 형태를 갖도록 말려진 형태에서 전,후 단부가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투광 창 고정홈(12)에 끼워진 다음 열가소성 접착제(4)를 통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LED(21)에서 발산되는 빛을 눈부심이 적게하면서 정해진 각도로 고르게 분산 및 투광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가소성 접착제(4)는 정해진 온도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의 전,후 단부 일부에 열가소성 접착제(4)를 도포하거나 또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투광 창 고정홈(12)에 일부 충진시킨 다음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투광 창 고정홈(12)에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의 전,후 단부 일부를 끼운 다음 열을 가하여 경화시키게 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엘이디 형광등을 장기간 사용하여도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은 LCD 또는 LED TV나 모니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투명 수지재 필름(PET, PC, PMMA 등의 수지재로 가공된 약 0.6㎜ 두께 이하의 필름)에 비드(beads)를 바인더와 코팅한 렌즈 형성의 가공 방법 또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마이크로 렌즈를 엠보싱 가공 방법으로 형성한 필름과, 하드 코팅과 나노 코팅, 대전 방지 코팅, 오염 방지 코팅, 등의 부수 기능이 부여되어 가공된 필름들과 한 장으로 적층 구성되어지는 광학 필름을 기본으로, 그 광학 필름에 형성된 그 렌즈들의 엠보싱 크기와 형태 및 밀도 등에 대응하여, 빛의 방사각과 투명도 및 확산도가 결정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하드 코팅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에 흠집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대전 방지 코팅층은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오염 방지 코팅층은 거미줄이나 먼지가 들러붙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으로 사용될 확산형 필름의 제조시 조명 색상 변화를 위한 칼라 필름이 추가 적층할 수도 있고, 또 장식을 위하여 도안 및 문자를 인쇄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음이온 발생 코팅층을 더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확산형 필름은 롤 단위로 가공된 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되어지는 것으로서, 그 광학 필름의 종류는 광 특성 조절 목적에 따라 광 확산 필름 또는 안티 글레어 또는 프리즘 필름 또는 편광 필름 또는 도광판 필름 등으로 분류되어지며, 투광 특성 처리의 설계 목적에 따라 그들 중에서 선택 적용되고, 그들 중에서 약 150도 정도의 각도로 빛이 퍼지면서 휘도 글레어(눈부심)를 낮춰주는 마이크로 렌즈 구조가 형성된 적층 필름인 광 확산 필름을 일정 길이와 폭을 갖게 절단하여 종단면이 반원 형태를 갖도록 말려진 형태에서 전,후 단부가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투광 창 고정홈(12)에 끼워진 다음 열가소성 접착제(4)를 통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의 두께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와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에 의해 결정되는 형광등의 지름을 포함하여 휘도 글레어 감소 정도와 상관 관계에 있는 투명도의 정도에 대응하여 0.2-0.6㎜ 사이에서 어느 한 두께를 갖는 것을 선택하여 설치하면 되는데, 그 두께가 얇을수록 광 투과율은 좋으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우그러질 우려가 있으므로 너무 얇은 것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 않으며, 실험에 따르면 0.3-0.5㎜ 사이 중 어느 한 두께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 엘이디 형광등에서 주로 사용하던 광 확산재 함유 튜브 대신 광 투과율이 균일할 뿐만 아니라 광 투과율 자체가 광 확산재 함유 튜브보다 매우 높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을 사용하되,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저면 개구부에 길이방향으로 반원 형태를 갖도록 부착 설치함으로써 엘이디 형광등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LED 기판(2) 자체의 열은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히 방열할 수 있으며, LED(21)들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을 통하여 외부에 정해진 각도로 균일하고 눈부시지 않게 발산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와 품질 및 인체의 무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한 쌍의 소켓(5)은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이 일체로 부착 설치된 형태를 갖는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양측 면에서 스크류 결합홈(13)에 체결되는 스크류(6)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LED 기판(2)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를 탄소나노튜브(CNT)가 함유된 전도성/고분자 방열 수지재인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때에 따라서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 자체의 휨 강도가 그다지 높지 않아(즉, 형광등 자체의 지름이 크거나,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 자체의 두께를 얇게 성형한 경우 등) 장기간 사용시 처짐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a)(b) 내지 도 9의 (a)(b)와 같이,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외측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종단면이 "T"자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14)를 더 돌출 성형하고, 상기 결합돌기(14)에 소정 형상을 갖는 휨 방지용 바(7)와 복수 개의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8)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엘이디 형광등 자체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엘이디 형광등 자체를 광고판의 백라이트 등과 같이 형광등용 반사갓이 구비되지 않은 등기구의 패넬 등에 도 9의 (b)와 같이 직접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의 (a)(b)는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14) 전체 또는 일부에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4407357-pat00007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으로 절곡 성형한 휨 방지용 바(7)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의 (c)는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14)에는 정해진 구간을 두고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4407357-pat00008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휨 방지용 바(7)와,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4407357-pat00009
" 형상을 갖는 돌기 결합겸 휨방지부(81)와 스크류 고정판(82)을 일체로 구비한 복수 개의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8)를 병행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를 압출 성형할 때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의 상면에는 종단면이 "T"자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14)를 더 돌출 성형하고, 필요에 따라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으로 절곡 성형한 휨 방지용 바(7) 또는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8)를 선택적 또는 병행 설치하여 주게 되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엘이디 형광등 자체가 휘거나 처지지 않고 곧은 형태를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8)를 이용하여 엘이디 형광등 자체를 광고판 내부 등에 직접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제품 자체의 사용성과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휨 방지용 바(7) 또는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을 이용하여 절곡 성형하여 줌으로써 자체의 기능(즉, 휨 방지 기능과 형광등 고정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1)를 통해 전달되어 오는 LED(21)의 열을 방열시키는 기능도 수행하게 되어 본 발명의 엘이디 형광등에 대한 방열효율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의 (a)-(c)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대한 일 실시 예의 단층 사시도와 마이크로 렌즈들의 형상 및 투명 시트재 필름에 비드(beads)를 바인더와 코팅한 렌즈가 형성된 확산 필름의 현미경 촬영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마이크로 렌즈들의 높이가 30㎛일 경우 지름은 60-120㎛ 범주 내에서 원하는 크기로 형성이 가능하다.
또,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서 적용한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수직 및 수평 앵글 대비 상대적 휘도 변화 그래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한 마이크로 렌즈들의 지름에 따라 수직 및 수평 앵글 대비 상대적 휘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LED 형광등에서 통상적으로는 150도 각도로 빛이 확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용 확산 필름을 제조할 때, 마이크로 렌즈 지름을 조정하여 편광 렌즈를 형성시킨 확산 필름형 투광 창(3)을 적용하게 되면, 창문 쪽의 형광등의 경우 빛이 창가 쪽으로는 적게 조사되고 실내 측으로는 많이 조사되게 하는 창가 전용 편광 출력 광 확산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 엘이디 형광등도 만들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의 밀도 또는 적층되는 필름들의 두께 또는 필름 원단 제조 시 투명도 조절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휘도 글레어(LED 불빛의 높은 휘도로 인한 눈부심 잔상 등의 인체적 거부감)를 감소 및 조절할 수 있다.
단, 글레어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광 투과도가 낮아져서 광 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조명에서는 TI(눈부심 정도의 지수)를 배광 측정기로 측정하여 그 눈부심 정도(수치 값)에 따라 풀 컷 오프(Full Cut Off)형, 컷 오프(Cut Off)형, 세미 컷 오프(Semi Cut Off)형, 난 컷오프(Non Cut Off)형으로 조명 표준 규격으로 정하여 분류하고 규제하므로 이를 감안하여 설정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
11 : LED 기판 설치홈 12 : 투광 창 고정홈
13 : 스크류 결합홈 14 : 결합돌기
2 : LED 기판 21 : LED
22 : 열전도성 접착제 또는 방열형 양면 테이프
3 : 확산 필름형 투광 창
4 : 접착제
5 : 소켓
6 : 스크류
7 : 휨 방지용 바
8 :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
81 : 돌기 결합겸 휨방지부 82 : 스크류 고정판

Claims (14)

  1. 저면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LED 기판 설치홈을 형성하고, 전,후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한 쌍의 투광 창 고정홈을 형성하며, LED 기판 설치홈과 투광 창 고정홈 사이의 내면에는 각각 소켓 고정용 스크류가 결합되는 스크류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탄소 나노튜브 메탈 폴리머(CMP)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형광등의 기본 형태 유지기능과 방열기능 및 LED 기판 고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와;
    일정 폭과 길이를 갖고 복수의 LED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실장된 형태에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LED 기판 설치홈에 고정 설치한 LED 기판과;
    투명 시트재 필름에 형성시킨 마이크로 렌즈들의 엠보싱 크기와 형태 및 밀도에 대응하여 빛의 방사각과 투명도 및 확산도가 결정되는 특성을 갖고 일정 길이와 폭을 갖게 재단되어 종단면이 반원 형태를 갖도록 말려진 형태에서 전,후 단부가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투광 창 고정홈에 끼워진 다음 접착제를 통해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LED에서 발산되는 빛을 정해진 각도로 고르게 분산 및 투광시켜 주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과;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이 일체로 부착 설치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양측면에 스크류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LED 기판에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는 한 쌍의 소켓;으로 구성하되,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외측 상면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종단면이 "T"자 형상을 갖는 결합돌기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투광 창 고정홈이 부착시켜 주는 접착제는 정해진 온도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 열가소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 전체 또는 일부에는 종단면이 "
    Figure 112012013204614-pat00010
    " 형상을 갖도록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으로 절곡 성형한 휨 방지용 바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외측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 중 일부에 종단면이 "
    Figure 112012013204614-pat00011
    " 형상을 갖는 돌기 결합겸 휨방지부와 스크류 고정판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철판이나 알루미늄 판 또는 마그네슘 판으로 성형한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를 선택적으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의 외측 상면에 종단면이 "T"자 형상을 갖도록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에는,
    정해진 구간을 두고 종단면이 "
    Figure 112012013204614-pat00012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휨 방지용 바와, 종단면이 "
    Figure 112012013204614-pat00013
    " 형상을 갖는 돌기 결합겸 휨방지부 및 스크류 고정판을 일체로 구비한 복수 개의 휨 방지겸 형광등 고정구를 병행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두께는 방열겸 LED 기판 고정구와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의해 결정되는 형광등의 지름을 포함하여 휘도 글레어 감소 정도와 상관 관계에 있는 투명도의 정도에 대응하여 0.2-0.6㎜ 사이에서 어느 한 값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광 투과 각도 조절 및 글레어 저감을 위하여 마이크로 렌즈의 엠보싱 크기와 형태 및 밀도를 조정하고, 복수의 필름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형태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대전 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거미줄이나 먼지가 들러붙지 않도록 한 오염 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흠집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표면 손상 방지용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조명 색상 변화를 위한 칼라 필름이 추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의 표면에는 장식을 위하여 도안 및 문자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필름형 투광 창에 음이온 발생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KR1020110110524A 2011-10-27 2011-10-27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KR10115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24A KR101156556B1 (ko) 2011-10-27 2011-10-27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24A KR101156556B1 (ko) 2011-10-27 2011-10-27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556B1 true KR101156556B1 (ko) 2012-06-20

Family

ID=4668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524A KR101156556B1 (ko) 2011-10-27 2011-10-27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5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071A (ko) * 2009-04-02 2010-10-12 홍순황 전등의 조도를 향상시키는 확산캡
KR101008848B1 (ko) * 2008-10-21 2011-01-19 최병헌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49162B1 (ko) * 2010-12-09 2011-07-14 (주)솔라루체 직관형 led 램프 조립체
KR20110089613A (ko) * 2010-02-01 2011-08-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Led조명등용 투광성 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48B1 (ko) * 2008-10-21 2011-01-19 최병헌 엘이디 조명장치
KR20100110071A (ko) * 2009-04-02 2010-10-12 홍순황 전등의 조도를 향상시키는 확산캡
KR20110089613A (ko) * 2010-02-01 2011-08-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Led조명등용 투광성 부재
KR101049162B1 (ko) * 2010-12-09 2011-07-14 (주)솔라루체 직관형 led 램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8316B2 (en) Lenticular LED light source replacement for fluorescent in troffer
US9494293B2 (en) Troffer-style optical assembly
US8905575B2 (en) Troffer-style lighting fixture with specular reflector
JP5734204B2 (ja) 光学要素及び当該光学要素を有する光源
US8602604B2 (en) Extruded wide angle lens for use with a LED light source
US20160334066A1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US8789993B2 (en) Light-emitting device
JP2011029051A (ja) 蛍光灯互換性のled照明灯
WO2011088190A2 (en) Lightweight solid state lighting panel
RU2633924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теплопроводного листа со светорассеивающими частицами
KR101156555B1 (ko) 렌즈 일체형 엘이디 형광등
KR101212743B1 (ko) 발광 빛이 간접적으로 조사되는 구조의 엘이디 형광등
JP2012043558A (ja) Led照明灯
JP2012114081A (ja) グレア低減照明装置
KR101156557B1 (ko)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KR101156556B1 (ko)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KR100970856B1 (ko) 넓고 균일한 배광을 가지는 led 램프
KR101224422B1 (ko) 확산 필름형 투광 창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KR20110054680A (ko) Led 조명용 확산 부재 및 이를 구비한 led 조명등
KR101552629B1 (ko) 초슬림 엣지 타입 구조를 갖는 led 등기구의 제조공정
EP3087305A1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KR101327917B1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기구
CN107850272B (zh) 具有光导的照明设备
CN211083690U (zh) 灯具以及灯具组件
KR101433365B1 (ko) 렌즈 커버를 갖는 led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