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805B1 -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805B1
KR101155805B1 KR1020090099065A KR20090099065A KR101155805B1 KR 101155805 B1 KR101155805 B1 KR 101155805B1 KR 1020090099065 A KR1020090099065 A KR 1020090099065A KR 20090099065 A KR20090099065 A KR 20090099065A KR 101155805 B1 KR101155805 B1 KR 101155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tilt
mobile device
inclination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406A (ko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9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8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Abstract

기울기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입력키가 표시되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한글입력키에서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싱부; 상기 터치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한글입력키와 상기 기울기 센싱부에 의하여 검출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각각 자음 및 모음을 결정하여, 한글 음절을 조합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조합된 한글 음절을 터치패널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장치는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모음 입력 제스쳐 없이도, 자유로이 모음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한글 입력 시 반드시 필요한 모음의 입력을 위한 입력 동작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입력 횟수 감소와 터치패널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A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울기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를 통하여 한글 음절의 모음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하여 한글 입력을 위한 입력 횟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기울기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한글입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문자 입력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한국인은 영어를 입력하는 경우보다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가 훨씬 많게 되므로,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가 제공된 축소형 문자 입력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대하여 공지된 한국특허공개번호 1999-65826은 음소조합방식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음소를 쓰는 개념으로 문자의 타건 방법을 쉽게 익힐 수는 있으나 모음 구성상에서 많은 타건 횟수가 필요하다. 또한, 한국특허공개번호 1999- 52447은 시각적 재해석에 의하여 구성한 것으로, 자음을 재구성하여 한글을 재구성해야 하므로, 한글의 기본적인 알고리즘에서 벗어나는 시스템이며, 자음의 입력에 많은 타건 횟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문자의 타건 방법을 쉽게 익힐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59191호를 참조하면, 자음 입력시의 키의 타건 횟수를 줄이지 못하고 있으며, 겹모음의 입력시에 사용자가 필기 순서를 파악하는데 곤란한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은 타건 횟수가 너무 많아 문자 입력시 타건 횟수의 증가로 인한 오입력이 증가하고, 문자 입력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터치제스쳐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방식은 키보드나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하는 방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은 크게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판 위에 저항성분의 물질을 코팅하여 접촉 시 저항의 변화로 위치를 인식하는 압력식(Resistvie Overlay), 음파의 방해유무로 터치점을 인식하는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고주파 파형을 분석하여 터치점을 인식하는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 적외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마주보게 배치하여 터치점을 인식하는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이러한 터치 기술들이 모바일 환경에 적용되어 사용자들의 사용성(Usability)을 높이고 있는 실정으로, 수많은 터치패널 기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출시되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하지만 디바이스의 크기는 점차 작아지면서 컴퓨팅 파워의 증가로 인해 데이터는 방대해지고 있어 입력에러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작아지는 터치패널에서 작은 크기의 한글입력키가 제공되는 상황에서 복잡한 한글 입력을 정확하게 수행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울기를 이용하여 한글 입력을 위한 입력 횟수를 최소화하고, 모음 입력을 위한 별도의 모음입력키를 제거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한 새로운 개념의 기울기 기반 한글 입력 장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한글입력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입력키가 표시되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한글입력키에서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싱부; 상기 터치검출부에 의하여 입력된 한글입력키와 상기 기울기 센싱부에 따라 검출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각각 자음 및 모음을 결정하여, 한글 음절을 조합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조합된 한글 음절을 터치패널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자음이 선택되고,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에 따라 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 방향에 따라 'ㅣ' 또는 'ㅡ'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획이 추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패널 이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ㅡ' 모음이 선택되며,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왼쪽인 경우, 'ㅓ' 모음, 오른쪽인 경우 'ㅏ'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가 커질수록 획이 추가된다.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위쪽인 경우 'ㅗ' 모음, 아래쪽인 경우 'ㅜ'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가 커질수록 획이 추가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한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에 따라 모음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을 선택하고,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추가되는 획의 위치 및 수를 각각 결정한다. 또한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 이상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질 때 상기 모음 표시 및 획 추가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며, 기울어짐의 방향이 왼쪽인 경우, 'ㅓ' 모음, 오른쪽인 경우 'ㅏ'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가 커질수록 획이 추가된다.
또한,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위쪽인 경우 'ㅗ' 모음, 아래쪽인 경우 'ㅜ'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가 커질수록 획이 추가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짐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이로써, 복합 모음이 선택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패널 상의 터치입력키 중 자음을 터치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패널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자음에 조합되는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한글 입력 방법은 상기 모음 선택 후 상기 터치패널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종성 자음을 터치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임은 상기 자음의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수행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을 선택하고,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추가되는 획의 위치 및 그 수가 결정된다. 이때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 이상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질 때 상기 모음 표시 및 획 추가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짐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이로써, 복합 모음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임 각도에 대응하는 모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음에 대응하는 초성자음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과 초성 자음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이 표시되고, 기울기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획수가 추가되어 표시되며,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 이상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질 때 상기 모음 표시 및 획 추가가 순차 적으로 수행된다.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왼쪽인 경우, 'ㅓ' 모음, 오른쪽인 경우 'ㅏ'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 각도가 커질수록 획이 추가되며,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위쪽인 경우 'ㅗ' 모음, 아래쪽인 경우 'ㅜ'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 각도가 커질수록 획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짐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이로써, 복합 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초성 자음 선택 후, 상기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종성 자음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기기를 수평 상태로 기울임으로써 또 다른 한글 음절 입력 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술한 한글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장치는 터치패널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모음 입력을 위한 입력 제스쳐 없이, 자유로이 모음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한글 입력 시 반드시 필요한 모음의 입력을 위한 입력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입력 횟수 감소와 디스플레이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하지만, 하기 도면 및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장치는 자음(특히 초성 자음)과 결합하는 모음 형태를 별 도 모음 입력 키에 대한 입력 동작 없이(예를 들면, 터치패널의 경우 터치, 키패드의 경우 키패드 입력 동작) 모바일 기기, 예를 들면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만으로도 선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효과, 예를 들면 한글 음절 입력을 위한 입력 횟수 감소,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공간 활용도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즉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 대한 한글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하지만, 터치패널이 아닌 일반적인 키패드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입력키가 표시되는 터치패널(110); 상기 터치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한글입력키에서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120);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싱부(130); 상기 터치검출부에 의하여 검출된 한글입력키와 상기 기울기 센싱부(130)에 의하여 검출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각각 자음 및 모음을 결정하여, 결정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중앙처리부(140); 및 상기 조합된 한글 음절을 터치패널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자음의 선택을 터치패널의 터치 등과 같은 물리적 입력 방식으로, 모음의 선택은 기울기 방식으로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한글 입력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모음을 터치패널 상에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터치패널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10)은 저항막, 정전 방식 등의 임의의 모든 종류의 터치패널 을 포함하며, 터치패널에 한글입력키, 특히 자음 자판키가 주로 표시된다. 상기 터치검출부(120)은 상기 터치패널(110)에서의 사용자 터치를 검출하며, 상기 사용자 터치에 따라 자음이 선택된다. 상기 자음은 음절의 초성 또는 음절의 종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평 상태에서(즉, 기울기가 0도이거나, 이에 근사하는 상태)의 자음 터치는 초성으로 인식되고, 기울인 상태에서의 자음 터치는 종성으로 인식하는데, 여기에서 수평 상태는 기울기 각도가 0를 의미하기 보다는 모음이 선택되는 각도(이것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미만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음이 선택되거나, 변화되는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각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제 1 각도 미만으로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지는 경우, 모음은 선택되지 않으나, 이후 제 1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최초 모음이 선택된다. 상기 최초 모음의 선택 방식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더 기울임으로써 기설정된 또 다른 제 2 기울기 각도 이상으로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모음에는 획이 더 추가되어, 변화된 모음이 표시된다.
상기 기울기 센싱부(120)는 소위 기울기 센서(tilt sensor)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터치패널 중심부 하단에 구비되는 기울기 센서(tilt sensor)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의 기울기, 즉, 기울기 각도를 측정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기울기 센싱부는 당업계에 사용되어, 터치패널의 기울기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종류의 기울기 센서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패널의 기울기에 따라 모음을 선택하고, 상기 기울기에 따라 선택된 모음을 미리 선택된 자음과 결합, 조합하는 중앙처리부(140) 및 상기 중앙처리부(140)에 의하여 조합된 한글 자음을 터치패널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한글 입력 장치가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의 중앙처리장치이거나, 또는 별도의 중앙처리장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중앙처리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한글을 표시하는 일체의 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상기 자음과 모음 선택 방식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터치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210)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20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수평 상태는 기울기 각도가 0를 의미하기 보다는 모음이 선택되는 수준의 기울기(이것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미만의 기울기로서, 모음이 선택되지 않는 정도의 기울기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터치패널(210)은 또한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 입력키(22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한글 입력키(220) 중 자음인 'ㄱ' 키를 입력하며, 이로써 자음 'ㄱ'이 선택, 표시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210)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200)를 오른쪽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였을 때의 모습으로, 수평방향, 특히 오른쪽으로의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표시되고, 최초 선택된 자음인 'ㄱ'과 상기 모음이 결합하여 '기'라는 한글 음절이 표시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최초 기 울임 방향에 따라 'ㅣ'라는 모음이 먼저 선택되고, 후속하는 기울기 정도에 따라 그 획의 위치 및 그 수가 결정되는데, 이는 이하 설명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를 보다 오른쪽으로 기울이는 경우, 즉, 기설정된 또 다른 소정 각도 이상으로 모바일 기기를 기울이는 경우, 상기 표시된 모음 우측에 획이 하나 추가되어, 'ㅏ' 모음이 표시되고, 자음 'ㄱ'과 결합한 '가'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글 입력키를 수평 방향 중 오른쪽으로 기울이는 경우 기울기 각도 증가에 따라 '기', '가', '갸'와 같이 획이 하나씩 추가된 모음이 단계별로 표시되며, 이 중 원하는 모음을 사용자가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ㅣ' 모음이 표시되고, 다시 이에 따라 획이 추가되는 상기 단계별 모음 표시는 상기 단계별 표시 모음에 대응하며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를 기준으로 수행된다. 즉, 최초 모음 표시를 기울기 a로 설정하는 경우, a미만의 기울기 각도가 검출되는 경우, 모음은 표시되지 않는다. 하지만, a 이상의 기울기 각도가 검출되는 경우, 최초 모음, 즉, 'ㅣ' 또는 'ㅡ'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기설정된 제 2 기울기 각도(b) 이상으로 모바일 기기를 기울이는 경우, 상기 기울기 각도에 대응되는 모음, 즉, 획이 추가된 모음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를 기준으로, 모바일 기기를 기울임으로써 모음의 표시 및 획 추가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원하는 모음이 표시될 때, 이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초 선택된 자음 입력키의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모바일 기기를 기울여 다양한 형태의 모음을 디스플레이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한 후, 원하 는 모음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자음의 터치 상태를 해제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외에도 별도의 입력 키 등을 통한 모음 선택이 가능하며, 어떠한 방식이더라도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모음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면,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한글 입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수평 방향 중 오른쪽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른 'ㄱ'자음의 모음 결정 과정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수평 방향이라 함은 한글입력키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좌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하게 수평 방향 중 왼쪽으로 모바일 기기를 기울이는 경우,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먼저 'ㅣ'라는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가 증가하는 경우 'ㅣ' 모음의 왼쪽으로 획이 추가하여, 'ㅓ', 'ㅕ'가 표시된다(도 3의 (b) 참조). 이러한 단계별 모음 표시 및 획 추가는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를 기준으로 수행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각 단계별로 획이 추가되어, 표시되는 모음 각각은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 범위에 대응되며, 검출된 모바일 기기의 상기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모음이 표시된다.
즉, 'ㅣ' 모음이 최초 표시되고, 다시 이에 따라 획이 추가되는 상기 단계별 모음 표시는 상기 단계별 표시 모음에 대응하며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를 기준으로 수행된다. 즉, 최초 모음 표시를 기울기 a로 설정하는 경우, a미만의 기울기 각도가 검출되는 경우, 모음은 표시되지 않는다. 하지만, a 이상의 기울기 각도가 검출되는 경우, 최초 모음, 즉, 'ㅣ' 또는 'ㅡ'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기설정된 제 2 기울기 각도(b) 이상으로 모바일 기기를 기울이는 경우, 상기 기울기 각도에 대응되는 모음, 즉, 획이 추가된 모음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를 기준으로, 모바일 기기를 기울임으로써 모음의 표시 및 획 추가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상기 한글입력키가 표시된 모바일 기기를 수직 방향, 특히 위쪽으로 기울일 때의 모습이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이 최초 선택되고, 이후 위쪽으로 각도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커짐에 따라 위쪽 방향으로의 획이 추가되어 'ㅗ', 'ㅛ' 모음이 선택된다. 유사하게, 아래쪽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모음이 'ㅡ', 'ㅜ','ㅠ'가 차례로 선택된다(도 3의 (d) 참조). 이와 같은 단계별 모음 표시 및 획 추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를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더 나아가 복합모음을 포함하는 한글 음절, 예를 들면 '과'와 같은 한글도 본 발명에 따라 간단히 입력할 수 있는데, 이하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과'를 입력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ㄱ' 자음을 선택하고, 모바일 기기를 위쪽으로 기울인다. 즉, 모바일 기기의 위쪽이 아래쪽보다 더 낮게 위치되도록 모바일 기기를 기울이면, 모음 'ㅡ'가 표시된다(1번), 이후 각도를 위쪽으로 더 기울이면 'ㅡ' 모음의 위쪽 방향으로 획이 추가되어 'ㅗ'가 표시된다. (2번) 이후 상기 위쪽 방향으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한글입력키를 오른쪽으로 기울임으로써 'ㅏ' 모음 을 선택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별도의 모음 입력키인 'ㅣ' 모음을 선택함으로써 완성된 'ㅐ'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키는 여전히 복수의 자음 입력키와 최소 갯수의 모음입력키('ㅣ')만을 포함하므로, 디스플레이상의 한글입력키의 전체 크기가 적어지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은 또한 모바일 기기, 특히 기울기 센서가 구비되어 기울어짐을 측정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 입력 방식으로,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에로 기울어진 한글입력키를 연속하여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모음 'ㅗ'에 'ㅣ' 모음이 결합되어 'ㅚ' 모음이 선택되고(3번), 이후 오른쪽으로의 기울기 각도가 커짐에 따라 'ㅣ' 모음의 오른쪽에 획이 하나 추가되어 'ㅘ' 모음이 최종 선택된다. 이후, 상기 최종 선택된 모음과 초기 선택된 자음은 결합되어, 최종 입력 한글 음절인 '과'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가지 이상의 연속하는 제스쳐 각각으로부터 인식되는 각각의 모음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복합 모음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기울기 방향에 따른 모음 종류의 선택과 추가되는 획의 종류와 그 수를 단순한 기울기 제스쳐로 모두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속하는 기울기 제스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복합 모음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예를 들면 '개'와 같이 자음 우측의 모음으로부터 시작한 모음 'ㅏ'와 별도의 'ㅣ' 모음이 결합된 복합 모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음 입력키인 'ㅣ'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제 따라 모음을 선택하는 방식의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의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을 선택하고, 기울기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추가되는 획수 및 그 위치를 결정한다. 만약,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먼저 'ㅣ'가 선택되고, 다시 기울기가 커짐에 따라 획이 추가되어 'ㅏ' 또는 'ㅑ' 가 표시된다. 다른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른 모음 선택, 복합모음 선택방식 등은 상술한 바와 같으니, 이하 생략한다.
본 발명은 특히 모바일 기기의 입력 방식이 터치 방식인 터치패널에서의 한글 입력 방식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방법의 단계도이다.
터치패널 상의 터치입력키 중 자음, 즉, 초성 자음을 선택하는 단계(S200); 및 상기 터치패널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자음에 조합되는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자음을 선택 입력한 후 모음을 선택하기 위하여 터치패널을 기울일 때, 상기 자음의 입력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만약 터치 입력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즉, 손가락을 터치패널로부터 떨어뜨리는 경우, 이때 표시된 모음이 최종 모음으로 선택되고, 다시 상기 모바일 기기를 수평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또 다른 자음 선택 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모음 선택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의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을 선택하고, 기울기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추가되는 획의 위치 및 그 수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의 기 울어짐이 왼쪽인 경우, 'ㅓ' 모음, 오른쪽인 경우 'ㅏ'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가 커질수록 획이 추가되며, 이와 달리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위쪽인 경우 'ㅗ' 모음, 아래쪽인 경우 'ㅜ'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가 커질수록 획이 추가된다. 더 나아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짐은 연속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복합 모음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이후 기울임 상태를 유지한 채 사용자는 종성 자음을 선택하고(S220), 초성자음+모음+종성자음이 결합된 한글 음절을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다시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를 수평 상태로 회복시킴으로써 또 다른 한글음절을 입력시킬 수 있는 모드로 복귀한다.
본 발명은 이와 달리 초성 자음을 먼저 입력하지 않고 먼저 기울임만으로 모음을 선택하고 다시 초성자음을 입력하는 또 다른 방식 또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기반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임 각도에 대응하는 모음을 표시, 선택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선택된 모음에 대응하는 초성자음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과 초성 자음을 조합하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먼저 모바일 기기를 기울임으로써 원하는 모음이 표시되도록 한 후, 이에 결합되어야 하는 자음을 입력함으로써, 기울기 각도에 의하여 표시, 선택된 모음과 입력, 선택된 자음이 결합, 조합된 한글 음절을 구성한다.
아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터치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210)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20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에서 수평 상태는 기울기 각도가 0를 의미하기 보다는 모음이 선택되는 각도(이것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미만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음이 선택되거나, 변화되는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각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제 1 각도 미만으로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 지는 경우, 모음은 선택되지 않으나, 이후 제 1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최초 모음이 선택된다. 상기 최초 모음의 선택 방식은 아래 도 7b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더 기울임으로써 기설정된 또 다른 제 2 기울기 각도 이상으로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모음에는 획이 더 추가되어, 모음이 변화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210)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200)를 오른쪽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였을 때, 상기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지는 방향은 수평방향 중 오른쪽에 해당하며, 상기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선택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최초 기울임 방향에 따라 'ㅣ' 또는 'ㅡ' 두 종류의 모음이 먼저 선택되는데, 수평 방향인 경우 'ㅣ', 수직방향인 경우 'ㅡ' 모음이 결정된다. 이후 후속하는 기울기 각도의 증가 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모음에 결합하는 획수 및 그 위치가 결정되는데, 이는 이하 설명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기기(200)를 보다 오른쪽으로 기울이는 경우, 상기 모음에는 획이 하나 추가되어, 'ㅏ' 모음이 표시된다. 이후 보다 오른쪽으로 기울이는 경우, 즉, 기울기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획수는 하나 더 추가되어 'ㅑ' 모음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울기 각도 증가에 따라 'ㅣ', 'ㅏ', 'ㅑ'와 같은 순서로 모음 획수가 증가하며, 이 중 원하는 모음을 사용자가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음이 선택되거나, 획이 추가되는 소정 수준의 각도는 기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미세한 기울어짐에 따라 모음이 변화되는 오류를 피할 수 있다.
상기 모음 선택 방식을 설명하면 모바일 기기를 기울임으로써 원하는 모음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키패드 또는 터치 패널의 입력키(220)를 터치함으로써 자음을 선택한다.
도 7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에 따라 입력하고 싶은 모음인 'ㅏ' 모음이 표시되었을 때 자음인 'ㄱ'을 터치 입력한다. 이로써 초성 자음인 'ㄱ'과 모음인 'ㅏ'가 결합된 한글 음절 '가'가 선택, 표시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된 모음의 선택은 자음, 즉, 초성 자음 입력키의 입력에 따라 동시에 결정,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번의 입력 동작만으로 자음과 모음을 동시에 결정할 수 있으므로, 한글 입력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한글 입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여기에서 화살표는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8의 (a)는 도 2와 유사하게 수평 방향 중 왼쪽으로 모바일 기기를 기울이는 경우,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먼저 'ㅣ'라는 모음이 선택되고, 기울기가 증가하는 경우 'ㅣ' 모음의 왼쪽으로 획이 추가하여, 'ㅓ', 'ㅕ'가 선택된다. 기울기 변화에 따른 이러한 모음 변화 도중 원하는 모음이 표시될 때 사용자는 원하는 자음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자음과 표시된 모음이 결합된 한글 음절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ㅣ' 모음이 표시되고, 다시 이에 따라 획이 추가되는 상기 단계별 모음 표시는 상기 단계별 표시 모음에 대응하며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를 기준으로 수행된다. 즉, 최초 모음 표시를 기울기 a로 설정하는 경우, a미만의 기울기 각도가 검출되는 경우, 모음은 표시되지 않는다. 하지만, a 이상의 기울기 각도가 검출되는 경우, 최초 모음, 즉, 'ㅣ' 또는 'ㅡ'가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기설정된 제 2 기울기 각도(b) 이상으로 모바일 기기를 기울이는 경우, 상기 기울기 각도에 대응되는 모음, 즉, 획이 추가된 모음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를 기준으로, 모바일 기기를 기울임으로써 모음의 표시 및 획 추가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b)는 상기 한글 입력키를 수직 방향, 특히 위쪽으로 기울일 때의 모습이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이 최초 선택되고, 이후 위쪽으로 각도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커짐에 따라 위쪽 방향으로의 획이 추가되어 'ㅗ', 'ㅛ' 모음이 선택된다. 유사하게, 아래쪽으로의 기울어 짐에 따라 모음이 'ㅡ', 'ㅜ','ㅠ'가 차례로 선택된다(도 8의 (c) 참조). 이와 같은 단계별 획 추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를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더 나아가 복합모음을 포함하는 한글 음절, 예를 들면 '과'와 같은 한글도 본 발명에 따라 간단히 입력할 수 있는데, 이하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모음의 입력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를 위쪽으로 기울인다. 즉, 한글입력키의 위쪽이 아래쪽보다 더 낮게 위치되도록 한글입력키를 기울이며, 기설정된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최초 모음인 'ㅡ'가 표시된다(1번), 이후 각도를 위쪽으로 더 기울이면(즉, 또 다른 기설정된 기울기 각도 이상으로 기울이는 경우) 'ㅡ' 모음의 위쪽 방향으로 획이 추가되어 'ㅗ'가 표시된다(2번). 이후 상기 위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모바일 기기를 다시 수평상태로 기울이는 대신, 상기 위쪽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모바일 기기를 연속하여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상기 표시된 모음 'ㅗ'에 'ㅣ' 모음이 결합되어 'ㅚ'모음이 선택되고(3번), 이후 오른쪽으로의 기울기 각도가 커짐에 따라 소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ㅣ' 모음의 오른쪽에 획이 하나 추가되어 'ㅘ'모음이 최종 선택된다(4번). 상술한 방식과 같이 원하는 'ㅘ' 모음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음 'ㄱ' 입력키를 터치함으로써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과'가 선택된다(5번).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울기 방향에 따른 모음 종류의 선택과 추가되는 획의 종류와 그 수를 단순한 기울기 제스쳐로 모두 구현할 수 있으며, 연속하는 자음 입력에 의하여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한글 음절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시에, 연속하는 기울기 제스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복합 모음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예를 들면 '개'와 같이 자음 우측의 모음으로부터 시작한 모음 'ㅏ'와 별도의 'ㅣ' 모음이 결합된 복합 모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별도의 모음 입력키인 'ㅣ' 입력키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한글입력키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를 오른쪽으로 기울임으로써 'ㅏ' 모음을 선택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별도의 모음 입력키인 'ㅣ' 모음을 선택함으로써 완성된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자음인 'ㄱ'을 입력하여, 완성된 한글 음절 '개'를 완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키는 여전히 복수의 자음 입력키와 최소 갯수의 모음입력키('ㅣ')만을 포함하므로, 디스플레이 상의 한글입력키의 전체 크기가 작아지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후속하는 한글 음절을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기울어진 상태에서 자음과 모음이 결정된 후, 다시 기울어진 모바일 기기 각도를 수평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다시 또 다른 한글 음절 입력 모드로 되돌아가는 방식을 제공한다. 즉, 연속하는 한글 음절을 입력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의 기울임에 따른 모음 표시, 이에 후속하는 자음 입력 과정에 따라 최초 한글 음절을 완성, 입력한 후, 사용자는 다시 모바일 기기를 수평상태로 다시 기울이게 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 기기는 입력된 상기 한글 음절 다음의 또 다른 한글 음절 을 상술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모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한글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한글입력장치가 포함,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며, 특히 한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용이한 모음 입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구현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기록매체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는 특히 소형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휴대폰, PMP 등)의 한글 입력 시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가지며, 최소한의 입력횟수만으로도 복잡한 한글 입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한글 입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과'를 입력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한글 입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여기에서 화살표는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모음의 입력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9)

  1. 한글입력키가 표시되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에 구비되며, 상기 한글입력키에서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싱부;
    상기 터치검출부에 의하여 입력된 한글입력키와 상기 기울기 센싱부에 따라 검출된 기울기 방향및 기울임 각도에 따라 각각 자음 및 모음을 결정하여, 한글 음절을 조합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조합된 한글 음절을 터치패널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기울기 센싱부를 통해 최초로 검출되는 기울기 방향에 따라 'ㅣ' 또는 'ㅡ' 중 하나의 모음을 선택한 후, 후속하여 검출되는 기울임 각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모음에 결합하는 획수 및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검출부에 의한 터치 입력에 따라 자음이 선택되고,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모음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 방향에 따라 'ㅣ' 또는 'ㅡ'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되는 획수가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이 수평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ㅡ' 모음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왼쪽인 경우, 'ㅓ' 모음, 오른쪽인 경우 'ㅏ'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획수가 상기 'ㅓ' 또는 'ㅏ' 모음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위쪽인 경우 'ㅗ' 모음, 아래쪽인 경우 'ㅜ'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획수가 상기 'ㅗ' 또는 'ㅜ' 모음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8. 모바일 기기의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울기 방향에 따라 'ㅣ' 또는 'ㅡ' 중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임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울임 각도를 반영하여 상기 선택된 모음에 획수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을 선택하고,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추가되는 획의 위치 및 수를 각각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최초 기울기 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모음, 후속하는 기울임 각도 각각에 대응되는 획수를 사전에 설정한 후, 상기 모바일기기가 기울어질 때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임 각도에 따라 모음 표시 및 획 추가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왼쪽인 경우, 'ㅓ' 모음, 오른쪽인 경우 'ㅏ'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획수가 상기 'ㅓ' 또는 'ㅏ' 모음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위쪽인 경우 'ㅗ' 모음, 아래쪽인 경우 'ㅜ'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획수가 상기 'ㅗ' 또는 'ㅜ' 모음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짐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이로써, 복합 모음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4. 터치패널 상의 터치입력키 중 자음을 터치 선택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울기 방향에 따라 'ㅣ' 또는 'ㅡ' 중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여 상기 자음에 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임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울임 각도를 반영하여 상기 선택된 모음에 획수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선택 후 상기 터치패널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종성 자음을 터치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임은 상기 자음의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을 선택하고, 기울기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추가되는 획의 위치 및 그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최초 기울기 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모음, 후속하는 기울임 각도 각각에 대응되는 획수를 사전에 설정한 후, 상기 터치패널이 기울어질 때 상기 터치패널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임 각도에 따라 모음 표시 및 획 추가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짐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이로써, 복합 모음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0. 제 14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임 각도에 대응하는 모음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음에 대응하는 초성자음을 선택하여, 상기 모음과 초성 자음을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음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울기 방향에 따라 'ㅣ' 또는 'ㅡ' 중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임 각도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울임 각도를 반영하여 상기 선택된 모음에 획수를 추가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ㅣ' 모음이,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따라 'ㅡ' 모음이 표시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획수가 상기 'ㅣ' 또는 'ㅡ' 모음에 추가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최초 기울기 방향 각각에 대응되는 모음, 후속하는 기울임 각도 각각에 대응되는 획수를 사전에 설정한 후, 상기 모바일기기가 기울어질 때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임 각도에 따라 모음 표시 및 획 추가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왼쪽인 경우, 'ㅓ' 모음, 오른쪽인 경우 'ㅏ'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획수가 상기 'ㅓ' 또는 'ㅏ' 모음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위쪽인 경우 'ㅗ' 모음, 아래쪽인 경우 'ㅜ'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하는 획수가 상기 'ㅗ' 또는 'ㅜ' 모음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기울어짐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며, 이로써, 복합 모음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 자음 선택 후, 상기 모바일 기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종성 자음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를 수평 상태로 기울임으로써 또 다른 한글 음절 입력 모드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방법.
  29. 제 21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한글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90099065A 2009-10-19 2009-10-19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101155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065A KR101155805B1 (ko) 2009-10-19 2009-10-19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065A KR101155805B1 (ko) 2009-10-19 2009-10-19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406A KR20110042406A (ko) 2011-04-27
KR101155805B1 true KR101155805B1 (ko) 2012-06-12

Family

ID=4404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065A KR101155805B1 (ko) 2009-10-19 2009-10-19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092B1 (ko) * 2018-02-13 2019-11-2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어플리케이션 장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장치, 단말기 및 한글 중성의 오타 수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444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 키입력장치
JP2004287871A (ja) 2003-03-24 2004-10-14 Hitachi Ltd 携帯端末
KR100635554B1 (ko) * 2005-06-14 2006-10-17 한기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35355Y1 (ko) 2006-10-09 2007-01-17 공현식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모드 변경 장치를 가진휴대전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444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 키입력장치
JP2004287871A (ja) 2003-03-24 2004-10-14 Hitachi Ltd 携帯端末
KR100635554B1 (ko) * 2005-06-14 2006-10-17 한기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35355Y1 (ko) 2006-10-09 2007-01-17 공현식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모드 변경 장치를 가진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406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2023B1 (en) Two-thumb qwerty keyboard
KR101364837B1 (ko)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위한 적응형 버츄얼 키보드
JP4997335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とデジタル触覚ピクセルを備えた携帯型デバイス
JP6115867B2 (ja)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JP5730667B2 (ja) デュアルスクリーン上のユーザジェスチャのための方法及びデュアルスクリーンデバイス
US9411507B2 (en) Synchronized audio feedback for non-visual touch interface system and method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900666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by using touch screen
JP2012064075A (ja) 文字入力装置
JP2013527539A5 (ko)
US20110148774A1 (en) Handling Tactile Inputs
JP2011516959A (ja)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データ入力方法
JP2006127488A (ja) 入力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00127969A1 (en) Non-Contact Input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11227854A (ja) 情報表示装置
KR20100028465A (ko)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
US20170206877A1 (en) Audio system enabled by device for recognizing user operation
KR101155805B1 (ko) 한글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100904383B1 (ko) 한글문자 입력방법 및 이의 입력장치
KR101098561B1 (ko) 한글 입력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JP5671895B2 (ja) 手書き情報認識装置および手書き情報認識プログラム
US202303152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tering logograms into an electronic device
KR20090012196A (ko) 한글문자 입력방법 및 이의 입력장치
KR101117651B1 (ko) 문자입력 시스템 및 문자입력 방법
KR20110024743A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터치패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와 그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