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465A -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465A
KR20100028465A KR1020090014164A KR20090014164A KR20100028465A KR 20100028465 A KR20100028465 A KR 20100028465A KR 1020090014164 A KR1020090014164 A KR 1020090014164A KR 20090014164 A KR20090014164 A KR 20090014164A KR 20100028465 A KR20100028465 A KR 20100028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screen
character
menu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주
Original Assignee
백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주 filed Critical 백상주
Publication of KR20100028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마우스등 입력장치의 신호를 포인터의 이동으로 화면에 보여주는 단말기에서의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 또는 메뉴입력 모드 실행 시, 문자 또는 메뉴를 수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입력장치의 신호 즉 터치 발생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포인터를 드래그할 때 경로를 분석하여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포인터의 위치와 표시된 문자 중에서 서로 간격이 가까운 문자를 선택하여 그 문자 중심으로 폰트크기를 확대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축소하여 보여주는 단계,
포인터의 위치와 표시된 문자가 서로 밀접할 때 해당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장치 신호의 해제 여부를 판단하여 해제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또는 메뉴입력시 터치의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작은 크기의 화면상에 문자키 영역을 표시함으로 인한 입력 오류를 최소화하고, 입력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휴대전화, PDA, 입력장치, 터치

Description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The letter or menu input method which follows in drag direction of the pointer}
본 발명은 터치식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전화나 휴대정보단말(PDA), 소형 PC 등에서 터치센서에 펜이나 손끝 등으로 직접 터치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메뉴를 찾아서 입력하는 포인터 경로를 이용한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마우스등 입력장치의 신호를 포인터의 이동으로 화면에 보여주는 단말기에서 포인터의 경로를 이용하여 문자 또는 메뉴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마우스와 유사한 포인터 입력 장치이지만 터치스크린은 LCD와 같은 화면표시 장치와 연동돼서 움직인다. 입력 방식은 손으로 직접 위치를 지정하거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전용 입력 도구로 지정한다. 화면 크기가 작은 PDA 시스템은 손가락으로 입력이 가능하지만 접촉 범위가 커지므로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여 입력 위치를 세밀하게 처리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에 의해서 입력된 내용은 내부 장치에 의해서 좌표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좌표는 LCD상에 포인터로 표시 하여 사용자가 입력된 위치를 인식하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PDA의 경우에는 입력 위치가 곧 표출 위치이기 때문에 입력된 위치를 포인터 형태로 굳이 표현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PDA, 휴대폰, 리모컨등 다양한 제품이 있는데 문자 또는 메뉴입력을 위한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을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나, 문자 입력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품 크기가 작아서 화면이 작거나 키패드가 부족한 것이다.
고급사양 제품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어 문자 또는 메뉴입력 모드 실행 시, 제품의 터치스크린 상에 다수개의 문자키들이 배열되는 키패드를 표시하며, 제품의 사용자는 터치를 통하여 문자키를 입력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단말기에 표시되는 키패드의 문자키들 각각 에는 다수개의 문자들이 할당되어 있거나 모든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개별 문자키가 작게 설정되어 있어서 터치 입력시 오류를 피하기 위해 매우 주의해야 한다. 물론 몇몇 형태의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해서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텍스트를 입력할 수는 있으나 세밀한 작업이 요구된다.
현재 시중의 제품이나 기 출원된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들에서는 화면상에 키패드 영역을 표시한 후,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해당 키 영역을 터치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일부 새로운 기술은 터치 횟수를 줄이기 위해 터치하고 드래그하는 방향에 따라 중성글자인 모음을 선택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포인터의 경로를 이용하여 문자 또는 메뉴입력시 발생될 수 있는 입력 오류를 최소화하고 빠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스타일러스등 펜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자 또는 메뉴입력시 키 입력 횟수와 터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를 가진 단말기나 마우스기능의 리모컨의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은, 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형의 문자를 포인터의 경로를 추적하여 이동방향을 계산하고 그 방향에 있는 문자를 선택함으로서 입력 조작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포인터를 드래그 중에 문자를 단계적으로 확대함으로 작은 화면에서도 많은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조작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입력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문자 또는 메뉴입력시 발생 될 수 있는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드래그(drag)"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즉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행위를 의미하고, 또는 단말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기능키를 누른채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문자 또는 메뉴입력이 결정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제어부(100), 표시부(101), 저장부(102), 입력장치(103), 포인터의 이동방향과 량을 계산모듈(104)를 포함한다.
표시부(101)은 제어부(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01)은 보통 LCD로 구현되며, LCD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입력장치(103)은 노트북에 많이 적용되어 있는 터치패드나 휴대폰 등에서의 터치스크린, 리모컨에서의 3차원 움직임 센서마우스, MP3 기기에서의 사용되는 정전형 터치센서를 의미하는데, 현재 문자 또는 메뉴입력 수단으로서는 터치스크린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입력장치(103)은 터치스크린일 때는 표시부(101)의 상부에 장착되고, 터치패드나 정전형 터치센서일 경우는 표시부(101) 주변에 배치된다. 입력장치(103)은 감지부와 신호 변환부를 구비한다. 감지부는 터치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물리량, 예컨대 저항,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의 발생을 감지한다. 또한 신호 변환부는 터치에 따른 물리량의 변화를 터치 신호로 변환한다.
저장부(102)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포인터의 이동방향과 량을 계산모듈(104)는 입력장치(103)부터의 발생하는 포인터의 변화를 추적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100)에 제공하는 부분이다.
제어부(10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자 또는 메뉴입력 모드 실행 시, 설정된 문자를 표시부(101)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신호 변환부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입력장치(103)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드래그 등을 검출한다. 또한 이러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어부(100)는 입력장치(103)을 통한 문자의 선택을 판단하며, 포인터의 드래그 진행방향에 있는 문자를 중심으로 폰트크기를 확대하여 표시부(101)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00)는 문자 입력 모드를 실행한다(S201). 그리고 제어부(100)는 표시부(101) 상에 설정 가능한 문자표와 구성을 도 4와 같이 표시한다(S202).
이어서, 표시부(101)의 화면상에서 입력장치(103)으로부터 발생하는 포인터의 위치 를 추적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나중에 설명할 도 4의 문자입력 시작위치에서 터치했는지를 판단한다(S203). 터치가 안되어 있으면 단계 S202 로 가서 표시부(101)에 문자와 구성을 표시하고 터치 유무를 계속 판단한다. 만약 터치가 있으면 재차 계속 터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04). 터치가 안되어 있으면 단계 S202 로 가서 표시부(101)에 문자와 구성을 표시하고 터치 유무를 계속 판단한다.
만약 터치가 있으면 포인터의 이동 즉 드래그 발생을 추적한다(S205). 드래그의 변화가 없으면 단계(S204)로 가서 계속 터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드래그의 발생이 있으면 포인터의 이동방향과 량을 계산모듈(104)에서 처리하여 드래그의 이동방향과 크기를 구한다(S206). 이어서 포인터의 진행방향과 가까운 문자를 중심으로 폰트를 확대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축소하여 표시한다(S207). 그리고 포인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의 문자와 매우 가까운지를 판단하여(S208) 그렇지 않으면 단계(S204)에 되돌아가고 단계(S207) 사이를 반복한다.
만약 포인터가 화면상의 하나의 문자와 밀접하거나 한다면 해당 문자를 선택한다(S209). 그리고 도 4의 입력문자 표시공간에 선택한 문자를 표시부(101)을 통해서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의 입력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 요구 발생 시, 제어부(100)는 문자 입력 모드를 실행한다(S301). 그리고 제어부(100)는 표시부(101) 상에 설정 가능한 문자 중에서 자모음과 구성을 도 4와 같이 표시한다(S302).
이어서, 표시부(101)의 화면상에서 입력장치(103)으로부터 발생하는 포인터의 위치를 추적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나중에 설명할 도 4의 문자입력`시작위치에서 터치했는지를 판단한다(S303). 터치가 안되어 있으면 단계 S302 로 가서 표시부(101)에 문자와 구성을 표시하고 터치 유무를 계속 판단한다. 만약 터치가 있으면 재차 계속 터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04). 터치가 안되어 있으면 단계 S302 로 가서 표시부(101)에 문자와 구성을 표시하고 터치 유무를 계속 판단한다.
만약 터치가 있으면 포인터의 이동 즉 드래그 발생을 추적한다(S305). 드래그의 변화가 없으면 단계(S304)로 가서 계속 터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드래그의 발생이 있으면 포인터의 이동방향과 량을 계산모듈(104)에서 처리하여 드래그의 이동방향과 크기를 구한다(S306). 이어서 포인터의 진행방향과 가까운 자음을 중심으로 폰트를 확대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축소하여 표시한다(S307). 그리고 포인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의 문자와 매우 가까운지를 판단하여(S308) 그렇지 않으면 단계(S304)에 되돌아가고 단계(S307) 사이를 반복한다.
만약 포인터가 화면상의 하나의 문자와 밀접하거나 한다면 해당 자음을 선택한다(S309). 그리고 도 4의 입력문자 표시공간에 선택한 자음을 표시부(101)을 통해서 표시한다.
그리고 모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101)상에 모음을 표시한다(S310). 그리고 계속해서 터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11). 터치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 문자 입력까지만 처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302 로 가서 표시부(101)에 문자와 구성을 표시하고 터치 유무를 계속 판단하면서 새로운 문자입력의 시작을 기다린다.
만약 터치가 있으면 포인터의 이동 즉 드래그 발생을 추적한다(S312). 드래그의 변화가 없으면 단계(S311)로 가서 터치 유무를 계속 판단한다. 드래그의 발생이 있으면 포인터의 이동방향과 량을 계산모듈(104)에서 처리하여 드래그의 이동방향과 크기를 구한다(S313). 이어서 포인터의 진행방향과 가까운 모음을 중심으로 폰트를 확대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축소하여 표시한다(S314). 그리고 포인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의 문자와 매우 가까운지를 판단하여(S315) 그렇지 않으면 단계(S311)에 되돌아가고 단계(S314) 사이를 반복한다.
만약 포인터가 화면상의 하나의 문자와 밀접하거나 한다면 해당 모음을 선택한다(S316). 그리고 도 4의 입력문자 표시공간에 선택한 모음을 표시부(101)을 통해서 표시한다. 이전 초성인 자음이 있으면 이번 모음을 중성으로 하여 합친다.
그리고 받침글자인 자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101)상에 모음을 표시한다(S317).
그리고 계속해서 터치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318). 터치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 문자 입력까지만 처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302 로 가서 표시부(101)에 문자와 구성을 표시하고 터치 유무를 계속 판단하면서 새로운 문자입력의 시작을 기다린다.
만약 터치가 있으면 포인터의 이동 즉 드래그 발생을 추적한다(S319). 드래그의 변화가 없으면 단계(S318)로 가서 터치 유무를 계속 판단한다. 드래그의 발생이 있으면 포인터의 이동방향과 량을 계산모듈(104)에서 처리하여 드래그의 이동방향과 크 기를 구한다(S320). 이어서 포인터의 진행방향과 가까운 자음을 중심으로 폰트를 확대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축소하여 표시한다(S321). 그리고 포인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하나의 문자와 매우 가까운지를 판단하여(S322) 그렇지 않으면 단계(S318)에 되돌아가고 단계(S321) 사이를 반복한다.
만약 포인터가 화면상의 하나의 문자와 밀접하거나 한다면 해당 자음을 선택한다(S323). 그리고 도 4의 입력문자 표시공간에 선택한 자음을 표시부(101)을 통해서 표시한다. 이전 초성과 중성이 있으면 이번 모음을 종성으로 하여 합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내용을 나타내는 예이다. 표시부(101)의 화면상 내용을 보여주는 것으로 다양한 구성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4의 디자인을 보면 상단을 작게 하고 하단은 크게 하여 2부분으로 나누어 상단에는 현재 작업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하단에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문자를 선택이 용이하도록 좌측 위쪽 모서리에서 하측 오른쪽 모서리로 포물선처럼 점선의 원호를 기준으로 배치되어 있다. 물론 화면의 디자인과 그 배치는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도 4의 좌측 하단부분에는 동심원이 2개 있는데 문자 입력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위치를 보여준다. 또한 재시작을 즉 현재 입력을 취소하고 재입력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문자 또는 메뉴입력시작위치 부분에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시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특”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이다. 그리고 문자입력 기능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글의 표현 가능한 자모음은 다음과 같다.
자음(19개)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21개)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도 5의 좌측 맨 위쪽의 시작화면을 시작으로 입력장치(103)의 포인터를 문자입력 시작위치인 동심원에 위치하여 마우스 키를 누르면 문자입력을 시작한다. 입력 작업 중간에 마우스 키가 눌러진 것을 떼면 작업이 종료 내지 복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청색의 경로는 포인터의 이동을 보여주고 상단 외곽의 청색 설명은 사용자의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자음“ㅌ” 방향으로 포인터를 이동하면 단말기가 판단하여 ”ㅌ“그룹의 대표글자인 ”ㅊ“를 중심으로 폰트를 확대 표시한다. 다시 자음“ㅌ” 방향으로 포인터를 이동하면 단말기가 판단하여 ”ㅌ“그룹의 대표글자인 ”ㅊ“를 중심으로 폰트를 확대 표시한다. 다시 자음“ㅌ” 방향으로 포인터를 이동하면 단말기가 판단하여 ”ㅌ“를 중심으로 폰트를 확대 표시한다. 그리고 ”ㅌ“를 선택하여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중성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모음을 표시하는데 포인터가 화면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모음은 원으로 배치하여 보여준다.
모음“ㅡ” 방향으로 이동하면 단말기가 판단하여 모음“ㅡ”문자를 중심으로 폰트 를 확대 표시한다.
계속 포인터를 이동하여 모음“ㅡ”를 선택하고 입력하면 화면 상단의 입력문자 표시공간에는 앞서 입력한 초성자음 “ㅌ” 와 결합하여 글자 “트”를 보여준다.
그리고 종성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 자음을 표시하는데 포인터의 반대쪽으로 비어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배치하여 보여준다. 자음“ㄱ” 방향으로 이동하면 단말기가 판단하여 자음“ㄱ” 중심으로 폰트를 확대 표시한다.
계속 포인터를 이동하여 자음“ㄱ”를 선택하고 입력하면 화면 상단의 입력문자 표시공간에는 앞서 입력한 글자 “트” 와 결합하여 글자 “특”을 보여준다.
그리고 입력 작업의 종료 내지 복귀를 위해 눌러진 마우스 키를 떼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강”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이다. 그리고 문자입력 기능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설명한 내용과 대부분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는데 글자 자모음의 화면상 배치에 차이가 있다. 즉 포인터의 이동 경로에 따라 문자표시의 위치가 달라질 수 밖에 없고 대체적으로 공간이 넓은 쪽으로 문자를 배치한다. 또한 문자의 배치를 원이나 부채꼴 내지 원호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가”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이다. 그리고 문자입력 기능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설명한 내용과 기본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고 포인터의 이동 경 로에 따라 문자표시의 위치가 달라질 수 밖에 없고 대체적으로 공간이 넓은 쪽으로 문자를 배치한다. 또한 문자의 배치를 원이나 부채꼴 내지 원호로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은 초성과 중성으로 이루어진 글자를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로서 입력장치(103)의 마우스 키를 누르고 있을 때만 문자 또는 메뉴입력이 가능한 것을 보여준다. 만약 초성글자인 자음 또는 모음만 입력하고 키를 뗀다면 전까지의 입력만 유효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a”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이다. 그리고 문자입력 기능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 설명한 내용과 기본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지만 입력장치(103)에서 마우스 키를 누르지 않고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일 경우의 예를 보인 것이다. 즉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은 마우스와 달리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에 직접 터치함으로서 사용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터치 여부를 마우스 키의 눌림을 대신하므로 조작이 용이 해진다. 입력 작업 중간에 터치를 떼면 작업이 종료 내지 복귀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문자의 배치를 원이나 부채꼴 내지 원호로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은 영어 같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로서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고서 드래그 함으로서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것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선택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이다. 그리고 메뉴 선택 기능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에 설명한 내용과 기본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지만 문자가 아닌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즉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메뉴의 배치를 원이나 부채꼴 내지 원호로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동작할려는 메뉴를 선택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로서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에 접촉하고서 드래그 함으로서 메뉴의 선택이 가능한 것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영어 “a”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이다. 그리고 문자입력 기능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에 설명한 내용과 기본적으로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는데 시작 단계의 일부를 생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인 방법이다.
입력장치(103)이 터치스크린일 경우 터치스크린에 직접 터치함으로서 사용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용이한데 화면상의 문자 또는 메뉴입력시작위치에서 항상 시작해야 하는 불편을 생략하여 필요한 문자 주변에 직접 터치함으로서 보다 빠른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문자입력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 10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10은 상기 설명한 도 8의 동작과 유사함으로서, 도 11의 작용은 도 2의 포인터가 문자입력 시작위치에서 터치했나?(S203) 단계를 도 11에서는 입력장치의 터치신호 발생?(S1003)으로 교체되었다.
즉, 입력장치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여부만 판단함으로 항상 문자 또는 메뉴입력시작위치에서 시작해야 하는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포인터의 경로를 추적 계산하여 포인터의 현재 위치에서 해당 문자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으로 화면상의 구성이나 배치가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문자가 선택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할 수 있는 각종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특정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설명에 문자 중에 한글과 영어소문자만 설명하였지만 영어 대문자, 영어 소문자, 기타 외국어, 숫자, 특수기호를 포함한다.
또한, 특정 프로그램에서 메뉴를 표시하고 특정 기능의 선택을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터의 드래그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이 결정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의 입력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내용을 나타내는 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특”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강”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가”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어 “a”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선택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영어 “a”의 입력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문자입력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Claims (7)

  1.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포인터를 드래그할 때 그 경로를 추적하여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위치와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문자 중에 서로 거리가 가까운 문자 중심으로 폰트 크기를 확대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축소하여 보여주는 단계,
    상기 포인터와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문자 중에 하나가 서로 밀접할 때 해당 문자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입력 방법.
  2. 단말기에서의 메뉴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포인터를 드래그할 때 그 경로를 추적하여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위치와 상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에 서로 거리가 가까운 메뉴 중심으로 폰트 크기를 확대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축소하여 보여주는 단계,
    상기 포인터와 상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중에 하나가 서로 밀접할 때 해당 메뉴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메뉴입력 방법.
  3. 단말기에서의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 또는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입력장치의 신호 즉 터치 발생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터치한 상태를 유지하고 드래그할 때 그 경로를 추적하여 이동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터치한 위치와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문자 또는 메뉴 중에 서로 거리가 가까운 문자 또는 메뉴 중심으로 폰트 크기를 확대하거나 거리가 멀어지면 축소하여 보여주는 단계,
    터치한 위치와 상기 화면에 표시된 문자 또는 메뉴 중에 하나가 서로 밀접할 때 해당 문자 또는 메뉴를 선택하고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장치 신호를 판단하여 터치가 없을 때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또는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문자 또는 메뉴를 수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대표 문자나 메뉴를 나머지 문자나 메뉴보다 폰트 크기를 확대하여 눈에 띄기 좋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또는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포인터의 위치를 감안하여, 포인터의 반대쪽 비어있는 공간에 포인터를 중심으로 원이나 원호로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어와 달리 한글처럼 하나의 글자가 수개의 자소로 이루어질 때 입력장치 신호의 해제 여부를 판단하여 해제 신호로 복귀하기 전까지 다른 자소의 입력을 계속 이어서 몇 차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신호 즉 터치 발생시, 포인터가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14164A 2008-09-04 2009-02-20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 KR201000284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490 2008-09-04
KR20080087490 2008-09-04
KR1020080099917 2008-10-13
KR20080099917 2008-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465A true KR20100028465A (ko) 2010-03-12

Family

ID=4217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164A KR20100028465A (ko) 2008-09-04 2009-02-20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8465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6638A (zh) * 2010-07-30 2012-02-08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KR20140064298A (ko) * 2012-11-20 2014-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스플레이 유닛의 문자 입력 시스템
KR20150139236A (ko) * 2014-06-03 2015-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185416B2 (en) 2012-11-20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movement of device
US10194060B2 (en) 2012-11-20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423214B2 (en) 2012-11-20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Delegating processing from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51928B2 (en) 2012-11-20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GUI transitions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691332B2 (en) 2014-02-2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ext input on an interactive display
US11157436B2 (en) 2012-11-20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ervices associated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237719B2 (en) 2012-11-20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Controlling remote electronic device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372536B2 (en)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7417B2 (en) 2010-07-30 2020-08-18 Line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using a cursor
EP2413229A3 (en) * 2010-07-30 2016-03-02 Line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2346638A (zh) * 2010-07-30 2012-02-08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KR20140064298A (ko) * 2012-11-20 2014-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스플레이 유닛의 문자 입력 시스템
US10185416B2 (en) 2012-11-20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movement of device
US10194060B2 (en) 2012-11-20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423214B2 (en) 2012-11-20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Delegating processing from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51928B2 (en) 2012-11-20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GUI transitions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157436B2 (en) 2012-11-20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ervices associated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237719B2 (en) 2012-11-20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Controlling remote electronic device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372536B2 (en)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691332B2 (en) 2014-02-2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ext input on an interactive display
KR20150139236A (ko) * 2014-06-03 2015-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9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00028465A (ko) 포인터의 드래그 방향에 따른 문자 또는 메뉴입력 방법
JP6115867B2 (ja)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US20220317874A1 (en) Radial based user interface on touch sensitive screen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10936086B2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US10061510B2 (en)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JP2013527539A5 (ko)
US20130002562A1 (en) Virtual keyboard layouts
US20100295806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40062875A1 (en) Mobile device wit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to adjust state of graphical user interface or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nit, and including a hover sensing function
EP33551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20100259482A1 (en) Keyboard gesturing
US20110169760A1 (en) Device for control of electronic apparatus by manipulation of graphical objects on a multicontact touch screen
US845643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panel
JP2006524955A (ja)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縮小型キーボードのための曖昧でないテキスト入力方法
WO2009002787A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CN101822032A (zh) 用于通信终端的输入字符/数字的设备和方法
US20090262072A1 (en) Cursor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40317564A1 (en) Navigation and language input using multi-function key
US20120274567A1 (en) Touch-enabled input device
US20130154928A1 (en) Multilanguage Stroke Input System
JP2007287015A (ja) 階層構造として記述された項目を選択する入力装置、文字入力装置および入力プログラム
US9436304B1 (en) Computer with unified touch surface for input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