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417B1 - 혈관 문합기 - Google Patents

혈관 문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417B1
KR101155417B1 KR1020080103598A KR20080103598A KR101155417B1 KR 101155417 B1 KR101155417 B1 KR 101155417B1 KR 1020080103598 A KR1020080103598 A KR 1020080103598A KR 20080103598 A KR20080103598 A KR 20080103598A KR 101155417 B1 KR101155417 B1 KR 10115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er
blood vessel
anastomosis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457A (ko
Inventor
이홍기
이호기
Original Assignee
이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기 filed Critical 이호기
Priority to KR102008010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4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f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혈관의 단부를 이어주는 혈관 문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는 원통형상의 외측 결합구 및 원통형상의 내측 결합구로 구성되고, 내측 결합구가 외측 결합구 내부로 삽입되어 혈관을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문합하는 혈관 문합기로서, 외측 결합구는 혈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 혈관 결속부와 원통의 지름이 넓게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내측 결합구는 혈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 혈관 결속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혈관 문합, 혈관 일치, 단차

Description

혈관 문합기{Blood vessel anastom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두 혈관의 단부를 이어주는 혈관 문합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시술이 용이하고 별도의 혈관 일치 보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혈관 문합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 수술 등에 의해 절단되는 혈관 단부를 각각 일치하는 때에는 혈관의 단부 사이를 봉합사 또는 호치키스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혈관의 일치는 문합부로부터 혈액이 새지 않도록 하면서 신속히 행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각각의 혈관 단부를 일치시키기 위한 혈관 일치구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혈관 일치구들은 하나의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이 원통 외측에 각 혈관 단부를 차례로 서로 겹치도록 끼운 후 봉합사를 이용해 원통형 일치구 외측의 겹쳐진 혈관을 서로 봉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혈관 일치구는 하나의 혈관 단부를 끼울 때에는 문제가 없으나 다른 혈관을 끼울 때에 각 혈관의 탄성을 극복하고 혈관 위에 다른 혈관을 겹쳐 끼워야 하고, 시술시 이미 끼워진 혈관이 다른 혈관의 결합에 방해되어 신속하게 각 혈관을 일치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한 쌍의 링에 혈관 각각의 단부를 끼워 관통시킨 후 일치시키는 혈관 문합기가 제안되었으나, 제안된 혈관 문합기는 각 링의 결합을 링의 각 단부에서 서로 대응되는 핀과 관통홀에 의존하도록 구성되며, 혈관에 의해 덮힌 핀과 관통홀을 서로 맞추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므로 각 핀과 관통홀을 일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혈관의 단부를 일치시킴에 있어 혈관 서로 간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시술할 수 있는 혈관 문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혈관의 단부를 일치시킴에 있어 별도의 보조 기구없이도 결합이 용이한 혈관 문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 결합구와 내측 결합구의 결속이 견고하게 되는 혈관 문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원통형상의 외측 결합구 및 원통형상의 내측 결합구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 결합구가 상기 외측 결합구 내부로 삽입되어 혈관을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문합하는 혈관 문합기로서, 상기 외측 결합구는 혈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 혈관 결속부 그리고 원통의 지름이 넓게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결합구는 혈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 혈관 결속부를 포함하는 혈관 문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에서 제1 혈관 결속부는 외측 결합구의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에서 제2 혈관 결속부는 내측 결합구의 결합 방 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에서 외측 결합구 또는 내측 결합구는 콘 형상의 원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에서 외측 결합구 또는 내측 결합구는 각각 단차부에서 원통의 지름이 달라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에서 외측 결합구 또는 상기 내측 결합구의 원통면에 각각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에서 결합부는 하나 이상의 전신주 모양의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는 각 혈관의 단부를 일치시킴에 있어 혈관 서로간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시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는 각 혈관의 단부를 일치시킴에 있어 별도의 보조 기구 없이도 결합이 용이하며, 두 결합구의 결속이 매우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를 이루는 내측 결합구(100)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를 이루는 외측 결합구(200)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는 원통형상의 외측 결합구(200)와 원통형상의 내측 결합구(100)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의 내측 결합구(100)는 도 3과 도 4의 외측 결합구(20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하는 형태이며, 내측 결합구(100)가 삽입된 이후에는 외측 결합구(200)와 결속된다. 두 혈관은 각각의 단부가 내측 결합구(100), 외측 결합구(200) 각각에 연결되며, 두 결합구를 결속하면 두 혈관의 단부 근처 영역이 맞닿아 문합된다.
외측 결합구(2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211)들로 형성된 제2 결속부(210)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속부(210)의 내부로 통과시킨 혈관 단부를 뒤집어 제2 결속부(210)의 돌출부(211)에 걸리도록 하여 외측 결합구(200)에 결속된 혈관이 뒤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돌출부(211)의 끝단은 뾰족한 형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2 결속부(210)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1) 사이에 위치하고, 원통 끝단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홈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내측 결합구(100)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혈관이 각 결합구에 결속된 상태에서는 원통의 두께가 양 결합구 모두 두꺼워지므로 내측 결합구(100)의 삽입시 홈부(212)가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외측 결합구(200) 원통의 지름을 부분적으로 넓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외측 결합구(200)의 제2 결속부(210) 반대편인 혈관 방향에는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결합부(220)는 외측 결합구(200)의 다른 영역보다 원통의 지름이 넓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다른 영역과 결합부(220)는 단차(221)에 의해 분리된다.
결합부(220)는 전체적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인 콘 형상이며, 하나 이상의 전신주 모양의 홈(22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결합구(200)의 다른 영역보다 원통의 지름이 넓은 결합부(220)는 원통형인 외측 결합구(200)의 결합부(200) 부분을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전신주 모양의 홈(225)이 없으면 결합부(220)는 한쪽으로 틀어지거나 늘어나게 되어 직진성을 갖는 원형의 단차(221)를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전신주 모양의 홈(225)은 본 발명의 결합부(220)를 제작 할 시에 직진성의 틀어짐 현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단차(221)에 의한 영역의 분리만을 고려한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부(220)에 의해 두 혈관이 서로 맞닿아 문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부(220)에서는 후술하는 내측 결합구(100)의 제1 결속부(110)를 내부에 수용하고, 제1 결속부(110)의 돌출부(111)들이 단차(221)의 내측에 지지되어 외측 결합구(200)와 내측 결합구(100)가 결속되도록 한다.
내측 결합구(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의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111)들로 구성된 제1 결속부(110)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부(110)의 내부로 통과시킨 혈관 단부를 뒤집어 제1 결속부(110)의 돌출부(111)에 걸리도록 하여 내측 결합구(100)에 결속된 혈관이 뒤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돌출부(111)의 끝단은 뾰족한 형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1 결속부(110)의 돌출부(111)는 탄성적으로 내측 결합구(100)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측 결합구(200)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삽입시 제1 결속부(110)의 돌출부(111)가 외측 결합구(200)의 내벽에 의해 들어가더라도 마찰 등에 의해 제1 결속부(110)에서 혈관이 쉽게 분리되지는 않는다. 내측 결합구(100)의 제1 결속부(110)가 외측 결합구(200)의 결합부(220) 내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제1 결속부(110)의 돌출부(111) 끝단이 다시 돌출되면서 단차(221)의 내측에 지지되어 내측 결합구(100)와 외측 결합구(200)가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혈관과의 결속도 견고해 진다.
또한, 제1 결속부(110)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1) 사 이에 위치하고, 원통 끝단에서부터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홈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측 결합구(200)로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혈관이 각 결합구에 결속된 상태에서는 원통의 두께가 양 결합구 모두 두꺼워지므로 내측 결합구(100)의 삽입시 탄성적으로 홈부(112)가 좁아지면서 외측 결합구(200) 원통의 지름을 부분적으로 좁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특히 좁아졌던 홈부(112)는 제1 결속부(110)가 결합부(220)에 완전히 삽입되면 결합부(220)의 넓어진 원통 지름에 의해 다시 원래대로 복귀된다. 다만 완전히 복귀되지는 않고, 좁아진 홈부(112)가 약간 넓어지는 것일 수 있다.
외측 결합부(220)의 홈부(212)와 내측 결합부(220)의 홈부(112)는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홈부(112, 212)가 다수인 경우 그 중 일부는 제1 결속부(110) 또는 제2 결속부(210)를 벗어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결합구(200)와 내측 결합구(100)는 결합부(220)를 제외하고는 원통의 지름이 일정하고, 내측 결합구(100)의 지름은 외측 결합구(200)의 지름보다 작다.
외측 결합구(200) 또는 내측 결합구(100)의 혈관 방향에는 각각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시적인 형태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걸림부(120)이며, 이는 외측 결합구(200) 또는 내측 결합구(100)의 원통면에 새겨져 있다. 그리고 외측 결합구(200)와 내측 결합구(100)가 작아 조작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실이나 기타 고리 등을 걸림부(120)에 걸어서 시술 중 분실되는 것을 막고 시술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에서 내측 결합구(301, 302)는 제1 결속부 이외의 영역(330, 340)이 도 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관 방향으로 좁아지는 콘 형상(330)(도 7)이거나 단차(341)를 형성(도 8)하여 지름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두 혈관의 단부 대 단부 결합은 비슷한 지름의 두 혈관을 문합할 수도 있으나, 많은 시술에서는 지름의 차이가 큰 두 혈관을 문합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는 이와 같이 지름의 차이가 큰 두 혈관을 문합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름 차이를 극복하고 서로 문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결합구(301, 302)에서 제1 결속부(110) 이외의 영역(330, 340)이 혈관 방향으로 좁아지는 콘 형상(330)이거나 단차(321)를 형성하여 지름을 좁게 형성하는 것에 대해 예시되어 있으나, 내측 결합구(301, 302)가 아닌 외측 결합구에 콘 형상 또는 단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의 재질은 탄성과 무독성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SUS316L과 같은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측 결합구(200)와 내측 결합구(100)는 각각의 구성요소가 모두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치할 두 혈관 중 하나(302)의 단부를 제2 결속부(210)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외측 결합구(200)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외측 결합 구(200)를 통과한 혈관(302)의 단부를 뒤집어 제2 결속부(210)의 외부를 감싸 돌출부(211)가 덮히도록 씌운다.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혈관(301)의 단부를 제1 결속부(110)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내측 결합구(100)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내측 결합구(100)를 통과한 혈관(301)의 단부를 뒤집어 제1 결속부(110)의 외부를 감싸 돌출부(111)가 덮히도록 씌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부(110)를 전면으로 하여 내측 결합구(100)를 외측 결합구(200)의 제2 결속부(210)에서부터 외측 결합부(220) 내부로 밀어넣어 삽입한다. 제2 결속부(210)의 돌출부(211)가 결합부(220)에 완전히 걸릴 때까지 밀어 넣으며, 제1 결속부(110)가 결합부(220)에 완전히 걸려 빠지지 않게 되면, 두 혈관(301, 302)의 결합이 완료된다. 시간이 지나면 결합부(220) 내에서 맞닿은 두 혈관(301, 302)이 서로 문합되어 하나의 혈관을 이루게 된다.
위 시술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혈관 문합기의 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시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를 이루는 내측 결합구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를 이루는 외측 결합구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를 사용한 시술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과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관 문합기를 이루는 내측 결합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301, 302: 내측 결합구 200: 외측 결합구
110: 제1 결속부 210: 제2 결속부
111, 211, 311: 돌출부 112, 113, 212, 213, 312: 홈부
120: 걸림부 220: 결합부
221: 단차 225: 전신주 모양의 홈

Claims (11)

  1. 원통형상의 외측 결합구 및 원통형상의 내측 결합구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 결합구가 상기 외측 결합구 내부로 삽입되어 혈관 단부 대 단부 방식으로 문합하는 혈관 문합기로서,
    상기 내측 결합구는 혈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 혈관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결합구는 혈관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 혈관 결속부 및 상기 외측 결합구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제1 혈관 결속부가 지지되도록 단차가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혈관 문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혈관 결속부는 상기 외측 결합구의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혈관 문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혈관 결속부는 상기 내측 결합구의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혈관 문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결합구 또는 상기 내측 결합구는 콘 형상의 원통인 혈관 문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결합구는 상기 단차에서 지름이 달라지는 형상인 혈관 문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결합구 또는 상기 내측 결합구의 원통면에 각각 걸림부가 형성된 혈관 문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하나 이상의 전신주 모양의 홈을 포함하는 혈관 문합기.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증가되도록 형성되는 혈관 문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결합구는 혈관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는 혈관 문합기.
  11. 삭제
KR1020080103598A 2008-10-22 2008-10-22 혈관 문합기 KR10115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598A KR101155417B1 (ko) 2008-10-22 2008-10-22 혈관 문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598A KR101155417B1 (ko) 2008-10-22 2008-10-22 혈관 문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457A KR20100044457A (ko) 2010-04-30
KR101155417B1 true KR101155417B1 (ko) 2012-06-14

Family

ID=4221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598A KR101155417B1 (ko) 2008-10-22 2008-10-22 혈관 문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7556A1 (en) * 2013-03-14 2016-01-20 Endo Pharmaceuticals Inc. Urethral anastomosis device
CN107088080B (zh) * 2017-06-09 2019-05-14 美茵(北京)医疗器械研发有限公司 血管吻合器及其吻合操作方法
KR102082726B1 (ko) * 2017-08-03 2020-02-28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문합용 인공도관
CN110368155B (zh) * 2019-08-30 2021-03-09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断端血管吻合支撑装置
CN110368047B (zh) * 2019-08-30 2021-05-18 江苏华夏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血管端端吻合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8496A (ja) 2001-07-27 2003-02-12 Harufumi Kato 吻合用補助具
US7018387B2 (en) 1998-10-22 2006-03-28 Innovative Interventional Technologies B.V. Mechanical anastomosis system for hollow structures
EP1797831A2 (en) 2005-12-15 2007-06-20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anastomosis device
US20070250082A1 (en) 2004-07-22 2007-10-25 Kansoul Hassan A Anastomosis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8387B2 (en) 1998-10-22 2006-03-28 Innovative Interventional Technologies B.V. Mechanical anastomosis system for hollow structures
JP2003038496A (ja) 2001-07-27 2003-02-12 Harufumi Kato 吻合用補助具
US20070250082A1 (en) 2004-07-22 2007-10-25 Kansoul Hassan A Anastomosis Device and Method
EP1797831A2 (en) 2005-12-15 2007-06-20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anastomosi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457A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417B1 (ko) 혈관 문합기
EP3461255B1 (en) Ligating clip
SU114461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ложени анастомозов
WO2017090473A1 (ja) 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US20060079904A1 (en) Multirow knotless suture anchor assembly
US11399847B2 (en) Clip device
RU2016139639A (ru) Шовный фиксатор, способ и набор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шо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относительно твердой ткани
JP7374997B2 (ja) 縫合針装置及び縫合糸の取り付け方法
CN109803592A (zh) 用于可重载止血夹紧装置的部分卵形的囊体
JPWO2020095428A1 (ja) クリップユニットおよび内視鏡クリップ
WO2005079379A3 (en) Anastomosis device and method
TW201024558A (en) Universal joint
US20170303918A1 (en) Needle for suture and sutur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113069164A (zh) 一种可拆卸重复使用的微血管吻合器及其使用方法
EP2821017B1 (en) Yarn anchor
US20120109168A1 (en) Blood vessel attachment for a vascular prosthesis
US10881415B2 (en) Surgical clip with three clamping arms
US20190038288A1 (en) Anastomotic connector
WO2003103509A1 (en) Tube and rod suture clamping system
KR20200031386A (ko) 낚시용 와이어 채비
JP6413160B2 (ja) 縫合糸係止部材及び縫合針セット
US20200029958A1 (en) Suture locking device and method of locking thread
RU2012250C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сливающий аппарат для наложения компрессионных анастомозов на полые органы
JP2004267294A (ja) 医療用結紮具
US202301255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 lig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