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262B1 -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 Google Patents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262B1
KR101155262B1 KR1020090081357A KR20090081357A KR101155262B1 KR 101155262 B1 KR101155262 B1 KR 101155262B1 KR 1020090081357 A KR1020090081357 A KR 1020090081357A KR 20090081357 A KR20090081357 A KR 20090081357A KR 101155262 B1 KR101155262 B1 KR 101155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wires
truss
porous materi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453A (ko
Inventor
강기주
변준형
이병곤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1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262B1/ko
Priority to PCT/KR2010/005704 priority patent/WO2011025263A2/ko
Publication of KR2011002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평면상에서 굴곡된 다수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그물 형태의 평면으로 직조하고, 상기 직조된 그물 형태의 평면을 상하로 평행하게 다수로 배열한 다음, 상기 상하로 배열된 그물 형태의 평면 내(면내)에 면외 방향에서 다수의 직선 와이어를 삽입하되, 하나의 직선 와이어가 한 평면당 하나의 교차점과 교차되도록 각각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카고메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 또는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로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트러스 구조체의 압축 및 전단하중의 강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대량생산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트러스 구조, 주기적 다공질 재료, 초경량재료, 와이어

Description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TRUSS TYPE PERIODIC CELLULAR MATERIALS COMPOSED OF WOVEN WIRES AND STRAIGHT WIRES}
본 발명은 경량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면내 방향의 직조(굴곡)된 와이어와 면외 방향의 직선 와이어로 구성된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공질 재료는 내부에 수 많은 작은 방(cell)을 가짐으로서 가벼우면서도 상대적으로 강도는 높은 재료이다. 그 중에서도 내부 방의 크기와 형태, 배치가 균일한 재료를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Periodic Cellular Materials)라고 한다.
최근 새로운 중간재 소재로서 트러스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가 소개되고 있다(H. N. G. Wadley, N. A. Fleck, A. G. Evans, 2003,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Vol.63, pp.2331~2343). 정밀한 계산을 통해 최적의 강도를 갖도 록 설계된 트러스 구조는 허니컴(honeycomb) 격자에 버금가는 기계적 물성을 가지면서 내부가 개방되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트러스 형태는 피라미드(pyramid) 트러스이다. 피라미드 트러스는, 4개의 정삼각형 격자가 경사면을 이루고 정사각형 격자가 아랫(또는 윗)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각형 형태의 판구조물을 만들기 유리하다. 다른 트러스 구조로서 정사면체와 정팔면체가 조합된 형태의 옥테트(Octet) 트러스(R. Buckminster Fuller, 1961, US Patent 2,986,241)를 들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각 요소가 서로 정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 옥테트 트러스를 변형한 카고메(Kagome) 트러스가 발표되었다(S. Hyun, A.M. Karlsson, S. Torquato, A.G. Evans, 2003, Int J. of Solids and structures, Vol.40, pp.6989-6998).
도 1은 피라미드, 옥테트 및 카고메 트러스의 단층 구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카고메 트러스는 피라미드 트러스와 옥테트 트러스에 비하여 방향에 따른 구조의 강성의 변화가 적고 좌굴에 대한 저항성, 좌굴 후 변형의 안정성, 에너지 흡수능력 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와이어는 대량생산, 가공 및 고강도의 실현이 용이하다. 피아노선이 좋은 예이다. 최근에 이에 착안하여 와이어를 소재로 하여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6729, 10-0633657, 10-0700212, 10-0767186와 특허출원 10-2006-0119233, 10-2009-0080085는 모두 와이어를 소재로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 이다. 도 2내지 7은 각각 위 특허에 의한 주기적 다공질 재료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6729에 게시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다층 구조의 유사 옥테트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33657에 게시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1층 구조의 유사 옥테트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10-0700212에 게시된 코일 스프링 형태로 성형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1층 구조의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중간재로 갖는 샌드위치 판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7186에 게시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하부 면재 위에 배치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119233에 게시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다층 구조의 유사 카고메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참고문헌, Buckminster Fuller, Synergetics: explorations in the geometry of thinking, Macmillan Publishing Co., 1975, pp.669)와 유사한 형태의 와이어로 구성된 다공질 구조재(출원번호 10-2009-0080085)의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트러스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에 압축이나 전단(shear)과 같은 하중이 작용할 경우 이를 구성하는 트러스 요소의 좌굴에 의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트러스 요소의 세장비가 높거나 와이어의 소재가 피아노선과 같이 고강도 금속이나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고강도 섬유 또는 섬유강화 수지일 경우에는 탄성좌굴이 일어나기 쉬운데 이 경우 좌굴 발생 후 급격히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구조재로서 필요한 안정성이 나쁘고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량도 적어진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8483와 출원번호 10-2006-0119233, 10-2009-0080085에서와 같이 나선형으로 성형된 와이어로 조립되는 다공질 재료는 트러스 요소가 굴곡되어 있으므로 좌굴에 더욱 취약할 가능성이 크다.
굴곡된 와이어로 직조된 트러스 형태의 다공질 구조재의 좌굴에 대한 저항을 높이는 한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8-0072930은 다공질 구조재 내부의 많은 셀(cell) 중의 일부를 고체로 채우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도 8 참조). 단,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액체상태의 물질로 셀을 채운 다음 응고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와이어와 액체 상태의 물질이 친화성이 좋아야하고 고체로 채워질 셀의 크기가 충분히 작아야 한다.
반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6729은 굴곡되지 않은 직선 와이어 만으로 트러스 형태의 다공질 재료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도 2 참조). 도 9는 도 2의 트러스 형태의 다공질 재료의 단위셀을 나타낸 것이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사면체의 꼭지점에 위치한, 와이어들끼리의 교차점에서 와이어들이 서로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접합점의 강도가 낮아지기 쉬우며 교차점의 크기가 지나치게 커져 이상적인 트러스 구조와는 다르게 되어 강도 약화로 이어진다. 트러스 요소의 길에 비해 단면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이 문제점은 더욱 심화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직조된 와이어와 직선 와이어로 구성된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로 직조되어 와이어가 나선형태로 서로 얽혀지는 구조를 갖는 면내 방향의 와이어 군들과 직선 형태인 구조를 갖는 면외 방향의 와이어 군들로 구성된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4방향 이상의 와이어 군들로 구성되고 3차원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면서 면내 방향의 와이어 군들은 서로 직조되어 와이어가 나선형태로 서로 얽혀지는 구조를 갖는 반면에 면외 방향의 와이어 군들은 직선 형태의 구조를 갖는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카고메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 또는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로 형성한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면내 방향의 직조된 와이어에 면외 방향에서 직선 와이어를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쉽고 단 순한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든 교차점에서 와이어들이 서로 완전 밀착된 형태를 갖게 하여 교차점의 접합강도를 높임으로써, 전체 다공질 재료의 강도를 향상시킨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좌굴에 대한 저항이 강화되고 대량 생산성이 개선된 새로운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와이어로 구성된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에 있어서, 한 평면상에서 굴곡된 다수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그물 형태의 평면으로 직조하고, 상기 직조된 그물 형태의 평면을 상하로 평행하게 다수로 배열한 다음, 상기 상하로 배열된 그물 형태의 평면 내(면내)에 면외 방향에서 다수의 직선 와이어를 삽입하되, 하나의 직선 와이어가 한 평면당 하나의 교차점과 교차되도록 각각 삽입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제공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재료는: 면내의 세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형태로 서로 직조되면서 삼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상기 와이어의 각 교차점에 면내 방향의 두 축 나선형 와이어와 면외 방향의 한 축 직선 와이어가 교차되어, 카고메 트러스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제공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재료는: 면내의 두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형태로 서로 직조되면서 사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상기 와이어의 각 교차점에 면내 방향의 두 축 와이어와 면외 방향의 두 축 와이어가 교차되어,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제공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는: 각 와이어의 교차점을 용접이나 브레이징, 접착제 또는 기계적 결합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에 대한 것으로, 종래의 와이어로 직조된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재와는 달리 와이어 중 일부는 면내에서 서로 직조되어 굴곡된 형태를 가지지만 나머지 면외방향 와이어는 직선 형태를 가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또한, 트러스 구조체에 압축 및 전단하중이 가해질 때 면외 방향의 트러스 요소에 보다 많은 힘이 걸리기 때문에 직선 형태의 트러스 요소가 좌굴을 억제하여 기존의 트러스 보다 높은 강도를 갖게 한다.
또한, 곡선으로 가공 시 강도 감소가 큰 복합재료 와이어나 초고장력 금속와이어로 이 구조체를 제조하면 강도의 희생을 최소화 하면서도 대량생산에 유리하다.
또한, 와이어의 소재가 고강도 금속이나 복합재료인 경우 와이어가 굴곡된 형태이면 탄성좌굴이 조기에 나타나기 쉬운데 직선 형태의 와이어로 되어 있어 이러한 조기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나선형 와이어로 조립된 3차원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 다공질 재료의 제조 시에는 와이어를 회전하면서 삽입하여야 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면외 방향 와이어가 직선형태이므로 단순히 삽입하는 방법으로 와이어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하다.
또한, 기존의 직선 와이어 만으로 조립하여 제조된 3차원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 다공질 재료는 와이어의 교차점에서 와어어들끼리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빈틈이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와이어 교차점의 접합 강도가 저하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든 교차점에서 와이어들이 서로 완전 밀착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교차점의 접합강도가 높아 결과적으로 전체 다공질 재료의 강도가 높아진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공질 구조재의 제1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로서, 카고메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와이어로 구성된 다공질 구조재의 사시도와 투영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공질 구조재의 단위셀(unit cell)의 사시도와 투영도이다.
상기 제1 실시예의 다공질 구조재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형태로 서로 직조되면서 삼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있고, 이 그물 형태의 평면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로 다수개 배치된 그물 형태의 평면 내(면내)에 면외 방향에서 다수의 직선 와이어를 삽입하되, 하나의 와이어가 한 평면당 하나의 교차점과 교차되게 각각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트러스 구조의 각 교차점에는 면내의 두축 방향의 나선형 와이어와 면외의 한 축 방향의 직선 와이어가 교차되어 카고메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각 교차점에서 교차되는 와이어들은 용접이나 브레이징, 접착제 또는 기계적 결합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예의 다공질 구조재는 도 11에 도시한 단위셀에서 볼 수 있듯이, 면내의 세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형태로 서로 직조되면서 삼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있고, 면외 세 방향의 와이어들은 굴곡 되지 않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실시예의 다공질 구조내는 카고메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다공질 구조재의 제2 실시예
도 12는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참고문헌, Buckminster Fuller, Synergetics: explorations in the geometry of thinking, Macmillan Publishing Co., 1975, pp.669)와 유사한 형태의 와이어로 구성된 다공질 구조재의 사시도와 투영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상기 다공질 구조재의 그 단위셀(unit cell)의 사시도와 투영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다공질 구조재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 형태로 서로 직조되면서 사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있고, 이 그물 형태의 평면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로 다수개 배치된 그물 형태의 평면 내(면내)에 기 배치된 사각형 구조의 각 교차점에는 면외 방향의 두 축 와이어가 각각 교차되게 삽입되어 있다. 즉, 한 평면당 하나의 교차점마다 면외 방향의 두 축 와이어가 각각 교차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질 구조재는 상기 와이어의 각 교차점에 면내 방향의 두 축 와이어와 면외 방향의 두 축 와이어가 교차되어,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각 교차점에서 교차되는 와이어들은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용접이나 브레이징, 접착제 또는 기계적 결합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시예의 다공질 구조재는 도 13에 도시한 단위셀에서 볼 수 있듯이, 면내의 두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형태로 서로 직조되면서 사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있고, 각 교차점마다 면외의 두 방향의 와이어들은 굴곡 되지 않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단위셀은 정팔면체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다공질 구조재의 제3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직조된 와이어와 직선 와이어로 구성된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굴곡된 와이어를 한 평면상에서 직조하여 그물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그물 형태의 평면을 상하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열한 다음, 상기 상하로 배열된 그물 형태의 평면 내(면내)에 면외 방향에서 다수의 직선 와이어를 삽입하되 하나의 와이어가 한 평면당 하나의 교차점과 교차되도록 삽입하여, 카고메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 또는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로 형성한다.
다공질 구조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한 다공질 구조재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굴곡된 와이어(또는, 나선형 와이어)를 한 평면상에서 직조하여 그물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그물 형태의 평면은 도 11과 같이 세 축 방향의 나선형 와이어를 이용하여 직조된 삼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형태의 평면 구조이거나 또는 도 13과 같이 두 축 방향의 나선형 와이어를 이용하여 직조된 사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모양의 평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그물 형태의 평면을 상하로 평행하게 다수로 배열한다.
그 다음, 상기 상하로 배열된 그물 형태의 평면(면내)에 면외 방향으로 다수 의 직선 와이어를 삽입하되 하나의 직선 와이어가 한 평면당 하나의 교차점과 교차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기 다공질 구조재의 면내의 트러스 구조가 도 10과 같이 세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형태로 서로 직조된 삼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면, 상기 와이어의 각 교차점에 면내 방향의 두 축 나선형 와이어와 면외 방향의 한 축 직선 와이어가 교차되도록 면외 방향에서 직선 와이어를 각각 삽입하여 카고메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다공질 구조재의 면내의 트러스 구조가 도 13과 같이 두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형태로 서로 직조된 사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면, 상기 와이어의 각 교차점에 면내 방향의 두 축 와이어와 면외 방향의 두 축 와이어가 교차되도록 면외 방향에서 직선 와이어를 각각 삽입하여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구조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트러스 구조의 각 교차점에서 교차되는 와이어들은 용접이나 브레이징, 접착제 또는 기계적 결합 방법으로 고정한다.
효능 실험
도 14a 및 도 14b는 정사면체 트러스와 피라미드 트러스에 수직하중(P)이 작용할 경우 면외방향 트러스 요소와 면내방향 트러스 요소에 걸리는 힘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4c 및 도 14d는 정사면체 트러스와 피라미드 트러스에 전단력(R)이 작용할 경우 면외방향 트러스 요소와 면내방향 트러스 요소에 걸리는 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압축하중이 작용하거나 도 14c 및 도 14d와 같이 면내 방향과 평행하게 전단력이 작용하는 경우 면내 방향의 와이어들에 비해서 면외 방향의 와이어들에 큰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굴곡 없는 직선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와이어의 주 파손 모드인 좌굴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진다. 특히 와이어의 소재가 고강도 금속이나 복합재료인 경우 와이어가 굴곡된 형태이면 탄성좌굴이 조기에 나타나기 쉬운데 직선 형태의 와이어가 이러한 조기 파손을 억제하게 된다.
여기서, 도 14a 및 도 14b에서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하중은 아래 수학식1과 수학식2와 같다.
Figure 112009053495852-pat00001
Figure 112009053495852-pat00002
그리고, 도 14c 및 도 14d에서 면내 방향과 평행하게 작용하는 전단력은 아래 수학식3과 수학식4와 같다.
Figure 112009053495852-pat00003
Figure 112009053495852-pat0000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은 서로 직조되어 와이어가 나선형태로 서로 얽혀지는 구조를 갖는 면내 방향의 와이어 군들과 직선 형태인 구조를 갖는 면외 방향의 와이어 군들로 구성된 트러스 타입을 구현함으 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은 기계 구조물, 건축자재, 섬유, 복합재료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의 (a) 내지 (c)는 각각 피라미드, 옥테트 및 카고메 트러스의 일층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6729에 게시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다층 구조의 유사 옥테트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33657에 게시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1층 구조의 유사 옥테트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0212에 게시된 코일 스프링 형태로 성형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1층 구조의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중간재로 갖는 샌드위치 판재의 사시도
도 5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67186에 게시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하부 면재 위에 배치한 사시도
도 6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119233에 게시된 와이어를 소재로 제작된 다층 구조의 유사 카고메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와이어로 구성된 다공질 구조재(특허출원 10-2009-0080085)의 사시도
도 8은 특허출원 10-2008-0072930에 게시된 카고메 트러스를 구성하는 팔면체와 정사면체 방들 중에서 정사면체 방에만 고체로 채워진 구조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2(등록특허 10-0566729)의 트러스 형태의 다공질 재료의 단위셀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로서, 카고메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와이어로 구성된 다공질 구조재의 사시도와 투영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공질 구조재의 단위셀의 사시도와 투영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로서,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와 유사한 형태의 와이어로 구성된 다공질 구조재의 사시도와 투영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다공질 구조재의 단위셀의 사시도와 투영도
도 14a 및 도 14b는 정사면체 트러스와 피라미드 트러스에 수직하중(P)이 작용할 경우 면외방향 트러스 요소와 면내방향 트러스 요소에 걸리는 힘을 나타낸 개략도
도 14c 및 도 14d는 정사면체 트러스와 피라미드 트러스에 전단력(R)이 작용할 경우 면외방향 트러스 요소와 면내방향 트러스 요소에 걸리는 힘을 나타낸 개략도

Claims (5)

  1. 와이어로 구성된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에 있어서,
    한 평면상에서 굴곡된 다수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그물 형태의 평면으로 직조하고, 상기 직조된 그물 형태의 평면을 상하로 평행하게 다수로 배열한 다음, 상기 상하로 배열된 그물 형태의 평면 내(면내)에 면외 방향에서 다수의 직선 와이어를 삽입하되, 하나의 직선 와이어가 한 평면당 하나의 교차점과 교차되도록 각각 삽입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재료는:
    면내의 세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형태로 서로 직조되면서 삼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상기 와이어의 각 교차점에 면내 방향의 두 축 나선형 와이어와 면외 방향의 한 축 직선 와이어가 교차되어, 카고메 트러스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재료는:
    면내의 두 방향의 와이어들이 나선형태로 서로 직조되면서 사각형 구멍을 갖는 그물 형태의 평면을 이루고, 상기 와이어의 각 교차점에 면내 방향의 두 축 와이어와 면외 방향의 두 축 와이어가 교차되어, 복수의 정8면체와 14면체(cuboctahedron 또는 vector equilibrium)로 이루어진 다층 트러스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는:
    각 와이어의 교차점을 용접이나 브레이징, 접착제 또는 기계적 결합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5. 삭제
KR1020090081357A 2009-08-31 2009-08-31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KR101155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357A KR101155262B1 (ko) 2009-08-31 2009-08-31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PCT/KR2010/005704 WO2011025263A2 (ko) 2009-08-31 2010-08-25 직조된 와이어와 직선 와이어로 구성된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와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357A KR101155262B1 (ko) 2009-08-31 2009-08-31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453A KR20110023453A (ko) 2011-03-08
KR101155262B1 true KR101155262B1 (ko) 2012-06-13

Family

ID=4362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357A KR101155262B1 (ko) 2009-08-31 2009-08-31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5262B1 (ko)
WO (1) WO20110252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474B1 (ko) * 2014-03-07 2015-02-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연성 선상체를 이용한 3차원 격자 트러스 구조체의 제조방법
CN115377589B (zh) * 2022-08-31 2023-09-08 福州大学 一种基于编织金属丝网夹芯结构的动力电池底部防护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175A (ko) * 2004-06-18 2005-12-22 강기주 와이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질 경량 구조재의 구성방법과 그 연속적인 생산방법
KR20060130539A (ko) * 2006-11-29 2006-12-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와이어로 직조된 3차원의 다공질 경량 구조체 및 그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1920B (en) * 2003-11-07 2007-12-27 Ki Ju Kang Three-dimensional cellular light structures directly woven by continuous wir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175A (ko) * 2004-06-18 2005-12-22 강기주 와이어를 이용한 3차원 다공질 경량 구조재의 구성방법과 그 연속적인 생산방법
KR20060130539A (ko) * 2006-11-29 2006-12-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선형 와이어로 직조된 3차원의 다공질 경량 구조체 및 그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453A (ko) 2011-03-08
WO2011025263A3 (ko) 2011-06-30
WO2011025263A2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483B1 (ko) 연속 와이어로 직조된 3차원의 다공질 경량 구조체 및 그제조 방법
KR101155267B1 (ko) 3차원 다공질 경량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101029183B1 (ko) 나선형 와이어로 직조된 3차원의 다공질 경량 구조체 및 그제조 방법
US20110117315A1 (en) Truss type periodic cellular materials having internal cells, some of which are filled with solid materials
CN103429832B (zh) 用于制造具有桁架结构的芯部的夹芯板的方法
US8474764B2 (en) Lightweight three-dimensional wire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4108101B2 (ja) 立体チューブ建築構造体
WO2008078883A9 (en) A light weight sandwich panel with a core constructed of wir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EP2824251A2 (en) Pyramidal kagome structure and its fabricating method
KR101199606B1 (ko) 3차원 격자 트러스 구조체와 그 제조 방법
KR100700211B1 (ko) 금속판을 이용한 3차원 트러스 중간층을 가진 샌드위치 판재의 제조방법
KR101155262B1 (ko)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KR100633657B1 (ko) 초경량 샌드위치 판재의 제조방법
KR100700212B1 (ko) 코일 스프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판재
JPH11166290A (ja) 立体トラス複合板
KR101072686B1 (ko) 내부에 격벽을 가진 3차원 트러스 타입의 주기적인 다공질 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Lim et al. Wire formed cellular metals
CN101432491A (zh) 建筑结构体
KR101029170B1 (ko) 내부 공간이 다면체 또는 구형의 재료로 충진된 트러스 형태의 주기적인 다공질의 제조 방법
KR100976008B1 (ko) 규칙적인 요철 배열을 갖는 박판으로 구성된 경량 샌드위치판재와 그 제조 방법
JPH07292774A (ja) ラチスシェル構造物および節点部材
WO2013192497A2 (en) Tetrahedral tube reinforcement of concrete
JP3147732U (ja) 複数の螺旋状箍結合鉄筋網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