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122B1 - 경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122B1
KR101155122B1 KR1020090078763A KR20090078763A KR101155122B1 KR 101155122 B1 KR101155122 B1 KR 101155122B1 KR 1020090078763 A KR1020090078763 A KR 1020090078763A KR 20090078763 A KR20090078763 A KR 20090078763A KR 101155122 B1 KR101155122 B1 KR 101155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p
locking
groove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142A (ko
Inventor
선두훈
김용식
신병준
이종서
김환정
김무겸
김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09007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1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33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having indirect contact with screw heads, or having contact with screw heads maintained with the aid of additional components, e.g. nuts, wedges or head covers
    • A61B17/8042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having indirect contact with screw heads, or having contact with screw heads maintained with the aid of additional components, e.g. nuts, wedges or head covers the additional component being a cover over the screw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9Cortical plates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경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경추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트용 스크류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락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상부를 덮는 잠금모드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상부를 덮지 않는 풀림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락킹용 플레이트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를 직선운동시키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내부에 두 변의 길이가 상이한 장방형의 캡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캡용 홈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캡의 몸체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의 장변까지의 길이보다는 길고, 상기 캡의 몸체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의 단변까지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캡의 회전에 따라 간단하게 모드전환될 수 있으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추, 플레이트, 스크류, 백-아웃 현상

Description

경추 고정장치{An Apparatus for Fixing Cervical}
본 발명은 경추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경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경추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트용 스크류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락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상부를 덮는 잠금모드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상부를 덮지 않는 풀림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락킹용 플레이트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를 직선운동시키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내부에 두 변의 길이가 상이한 장방형의 캡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캡용 홈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캡의 몸체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의 장변까지의 길이보다는 길고, 상기 캡의 몸체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의 단변까지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캡의 회전에 따라 간단하게 모드전환될 수 있으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체는 몸통을 이루는 32~35개의 척추골(vertebra)과 척추골 사이의 추간원판(intervertebral disk) 즉, 디스크로 이루어지며, 체간의 지주를 이루면서 상단의 두개골과 하단의 골반을 연결하는 우리 몸의 중추를 이루는 부분이다. 척추골은 위로부터 7개의 경추(cervical), 12개의 흉추(thoracic), 5개의 요추(lumber), 5개의 천추(sacrum), 3~5개의 미추(coccyx)로 이루어지는데, 성인에서는 5개의 천추가 유합하여 1개의 천골이 되고, 3~5개의 미추가 유합하여 1개의 미골이 된다.
일반적으로 경추(cervical)는 상기 척추체의 맨 윗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7개의 등골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에서부터 제1경추는 환추라고도 하며 둥근모양으로 두개골을 받치고 있는 관절면이 있으나 추체와 극돌기가 없고, 제2경추는 축추라고도 하며 목의 회전을 돕는 것으로 추체에서 위로 솟아로은 추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3경추에서 제6경추까지는 작고 넓은 추체와 삼각형의 추공과 끝이 둘로 갈라진 극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7경추는 융추라고도 하며 길고 끝이 둘로 갈라지지 않은 극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경추는 사고로 인한 외부의 충격이나 비뚤어진 자세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손상을 입거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한 경추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와 스크류로 이루어진 경추플레이트(경추 고정장치)를 경추에 삽입고정하는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추플레이트(경추 고정장치)는 경추에 시술된 이후에 경추의 잦은 움직임에 따른 영향으로 경추에 삽입고정된 스크류가 풀려 뒤로 빠져나오는 백-아웃(back-out)현상(이하, '백-아웃 현상'이라 함)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백-아웃 현상을 개선하고자 시도된 종래의 다른 경추 고정장치들의 경우에도 백-아웃 현상만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인해 고정장치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진다거나, 백-아웃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크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만 주안점을 두어 실제로 스크류를 다시 풀어야 하는 경우에는 그 시술이 어렵다거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역시 나사구조를 갖는 스크류를 사용하고 있어 그 역시 경추의 잦은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스크류와 마찬가지로 풀리게 되는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락킹용 플레이트를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풀림방지와 용이한 해제 모두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크류 방식이 아닌 캠 방식의 원리를 사용하는 락킹용 플레이트와 캡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작동할 수 있고 높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모드에 위치한 락킹용 플레이트가 수용홈과 돌출턱의 고정을 위한 이중 구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높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되더라도 고정장치의 전체 두께는 증가하지 않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용 홈의 장변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된 절개홈에 의한 탄성에 의해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 수용 홈에 수용된 회전돌기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락킹부를 덮으면서 헤드부에 밀착되어 백-아웃 현상을 더욱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는 경추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경추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트용 스크류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락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상부를 덮는 잠금모드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상부를 덮지 않는 풀림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락킹용 플레이트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를 직선운동시키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내부에 두 변의 길이가 상이한 장방형의 캡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캡용 홈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캡의 몸체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의 장 변까지의 길이보다는 길고, 상기 캡의 몸체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의 단변까지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캡용 홈의 장변을 밀어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를 직선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부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가 직선운동하는 범위에 맞게 함입되어 형성되는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 내에서 직선운동하면서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상기 캡용 홈의 장변에 상기 회전돌기의 말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잠금모드와 풀림모드에서 상기 회전돌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턱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회전돌기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상기 캡용 홈의 장변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된 절개홈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탄성에 의해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음은 물론 수용홈에 수용된 회전돌기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는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의 일측에 덮힐 수 있도록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부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헤드부와 맞닿는 일측에 상기 헤드부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스크류홈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단에 상기 몸체와 회전돌기를 모두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상기 캡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비원형으로 함입된 회전용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락킹용 플레이트를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풀림방지와 용이한 해제 모두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크류 방식이 아닌 캠 방식의 원리를 사용하는 락킹용 플레이트와 캡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작동할 수 있고 높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모드에 위치한 락킹용 플레이트가 수용홈과 돌출턱의 고정을 위한 이중 구성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높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되더라도 고정장치의 전체 두께는 증가하지 않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캡용 홈의 장변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된 절개홈에 의한 탄성에 의해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음은 물론 수용홈에 수용된 회전돌기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락킹부를 덮으면서 헤드부에 밀착되어 백-아웃 현상을 더욱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경추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가 경추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락킹용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사시도와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서 캡의 회전운동과 락킹용 플레이트의 직선운동에 따라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는 경추(c)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를 경추(c)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트용 스크류(30)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락킹장치(50)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장치(50)는 상기 플레이트(10) 상부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상부를 덮는 잠금모드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상부를 덮지 않는 풀림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락킹용 플레이트(510)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직선운동시키는 캡(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한 경추(c)를 고정하기 위해 경추(c)의 뼈와 뼈 사이를 연결,고정함으로써 경추(c)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플레이트(10)는 플레이트용 스크류(30)에 의해 경추(c)에 고정되는바, 상기 플레이트(10)의 양단에는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공(150)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공(150)의 개수는 상기 플레이트(1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개수에 맞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플레이트(10)는 그 상부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직선운동하는 범위에 맞게 함입되어 형성되는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110)과,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110) 중앙에서 상기 캡(530)의 몸체(5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캡 관통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110)은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10) 상부에서 직선운동(ⓐ,ⓑ방향)을 하며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의 전환을 일으키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정확한 방향(ⓐ,ⓑ방향)으로 정확한 범위만큼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10) 상부에서 함입되어 형성되는 홈으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110)의 전체적인 윤곽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외부 윤곽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으며, 그 함입 깊이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 정도로 형성되어야 상기 플레이트(10) 상부에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 가 위치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 전체의 두께에는 별차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전환되기 위해 직선운동(ⓐ,ⓑ방향)하는 방향(이하, '전후방향'이라 함)에 위치하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110)의 두 면 사이의 폭(W1)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전후방향의 폭에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를 더한 것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로 인해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헤드부(310)에 밀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력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하, '좌우방향'이라 함)에 위치하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110)의 두 면 사이의 폭(W2)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좌우방향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로 인해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직선운동하는 전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는 이탈되거나 이동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정확한 범위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 관통공(130)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110) 중앙에서 상기 캡(530)의 몸체(5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통상적으로 회전하는 부재인 상기 캡(530)의 몸체(53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캡 관통공(130) 역시 그에 상응하게 원통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는 상기 플레이트(10)를 경추(c)에 고정하기 위해 직접 상기 경추(c) 내에 삽입고정되는 구성으로, 경추(c) 내로의 삽입을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과 나사골이 형성되는 몸체부(350)와 상기 몸체부(350)의 상부에 관처럼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10)의 스크류공(150)에 안착되는 헤드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310)는 특히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일측에 덮일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락킹부(3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락킹부(330)는 상기 헤드부(310)의 측면에서 상기 헤드부(310)의 상단보다 일정 길이 낮은 위치(바람직하게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두께만큼 낮은 위치)에서 상기 헤드부(31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잠금모드에서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일측이 상기 락킹부(330)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헤드부(310)의 측면과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락킹부(330)를 형성함으로 인해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상기 락킹부(3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부(310)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이중으로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 작동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락킹장치(50)는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 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플레이트(10) 상부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락킹용 플레이트(510)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직선운동시키는 캡(530)을; 포함한다.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는 상기 플레이트(10) 상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110)의 상부)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두 변(장변(5111), 단변(5112))의 길이가 상이한 장방형의 캡용 홈(511)과,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에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 말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512)과, 상기 수용홈(512)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턱(513)과,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된 절개홈(514)과,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부(330)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헤드부(350)와 맞닿는 일측에 상기 헤드부(350)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스크류홈(5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용 홈(511)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내부에서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가 회전하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전후방향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캡용 홈(511)은 전후방향에 위치하는 장변(5111)의 길이가 좌우방향에 위치하는 단변(51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회전돌기(532)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할 바와 같이,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의 돌출길이(L3, 캡의 몸체 중심(5311)에서 회전돌기 말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캡(530)의 몸체 중심(5311)에서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까지의 길이(L2)보다는 길고, 상기 캡(530)의 몸체 중심(5311)에서 상기 캡용 홈(511)의 단변(5112)까지의 길이(L1)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상기 캡(5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을 밀어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직선운동(ⓐ,ⓑ방향)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 작동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수용홈(512)은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에서(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변(5111)의 중앙 부위에서)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 말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돌기(532) 말단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캡(530)의 몸체(531)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까지의 길이(L2)보다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의 돌출길이(L3)가 길기 때문에 상기 수용홈(512)는 상기 'L3'에서 'L2'의 길이를 제외한 부분에 해당하는 회전돌기(532) 말단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돌기(532)가 회전하면서 상기 수용홈(512)에 안착되기 전까지는 상기 장변(5111)을 밀어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직선운동(ⓐ,ⓑ방향)시키지만, 상기 회전홈(512)에 상기 회전돌기(532)가 안착된 이후에는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회전홈(512)에서 고정되게 되어 잠금모드 내지 풀림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 작동관계에 대 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턱(513)은 상기 수용홈(512)의 양측에서 일정부분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수용홈(512) 내에 수용된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가 상기 수용홈(512)에서 쉽게 이탈될 수 없도록 하여 상기 회전돌기(532)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잠금모드 내지는 풀림모드에 위치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절개홈(514)은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을 따라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과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말단 사이가 일정 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캡(530)의 몸체(531)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까지의 길이(L2)보다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의 돌출길이(L3)가 길기 때문에, 상기 회전돌기(532)가 회전하면서 상기 장변(5111)을 밀다가 상기 수용홈(512)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재료 자체의 탄성만으로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절개홈(51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수용홈(512)에 안착되는 순간에 상기 장변(5111)이 상기 절개홈(514)쪽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수용홈(512)에 보다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수용홈(512)에 안착된 이후에는 상기 장변(5111)이 상기 회전돌기(532)의 말단을 탄성에 의해 압박할 수 있어 상기 회전돌기(532)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잠금모드 내지는 풀림모드에 위치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절개홈(514)의 형 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자형이나 점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홈(515)은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헤드부(310)의 측면과 맞닿는 측에 상기 헤드부(310)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잠금모드에서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락킹부(330)의 상부만을 가압하여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더해 상기 스크류홈(5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잠금모드에서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헤드부(310)의 측면에 밀착하여 이중으로 가압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백-아웃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530)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플레이트(10)에 삽입되는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의 상단 일측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5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캡용 홈(511)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돌기(532)와, 상기 몸체(531)의 상단에서 상기 몸체(531)와 회전돌기(532)를 모두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부(533)와, 상기 커버부(533)의 상단에 상기 캡(53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회전용 홈(5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531)는 상기 캡(530)의 중심뼈대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몸체(531)의 중심(5311)이 상기 캡(530)의 회전중심을 이루게 된다. 상기 몸체(531)는 앞서 설명한 상기 플레이트(10)의 캡 관통공(130)에 삽입되어 회전하 게 되므로 상기 몸체(531)는 통상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 캡 관통공(130)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10)의 하면보다 돌출되는 상기 몸체(531)의 하단부에는 상기 캡(530)이 상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예로, 너트 등과 같은 구성)이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532)는 상기 몸체(531)의 상단 일측에서 외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5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캡용 홈(511)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는 부분으로, 상기 회전돌기(532)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직선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돌기(532)의 돌출길이(L3, 캡의 몸체 중심(5311)에서 회전돌기 말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캡(530)의 몸체 중심(5311)에서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까지의 길이(L2)보다는 길고, 상기 캡(530)의 몸체 중심(5311)에서 상기 캡용 홈(511)의 단변(5112)까지의 길이(L1)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상기 캡(530)이 반시계방향(㉮방향) 내지 시계방향(㉯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을 밀어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전후방향(ⓐ,ⓑ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수용홈(512)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잠금모드 내지 풀림모드에서 고정되도록 가압하게 되며, 상기 돌출턱(513)에 의해 상기 회전돌기(532)는 상기 수용홈(51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533)는 상기 몸체(531)의 상단에서 상기 몸체(531)와 회전돌기(532)를 모두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캡(530)이 회전운 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상기 커버부(533)도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33)는 상기 몸체(531)와 회전돌기(532)를 모두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의 시술이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회전돌기(532) 주변 특히, 상기 몸체(531)과 캡 관통공(130) 주변에 골조직이나 피부조직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여 상기 캡(530)의 회전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533)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상부까지도 커버하기 때문에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상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 본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용 홈(534)은 상기 커버부(533)의 상단에서 상기 캡(53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 상기 커버부(533)가 넓은 면적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533)를 직접 회전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상기 커버부(533)의 상부에 상기 회전용 홈(53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용 홈(53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캡(53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용 홈(534)의 형상은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각형 등과 같이 비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위주로 본원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서의 캡(530)과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운동에 따른 잠금모드와 풀림모드의 전환과정에 대해 구체 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도 7에서는 캡(530)의 회전돌기(532)와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캡용 홈(511) 간의 운동관계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상기 캡(530)에서 커버부(533)가 삭제된 상태에서의 평면작동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의 (1)은 상기 캡(530)의 회전돌기(532)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의 캡용 홈(511)의 단변(5112)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로, 이러한 상태는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자유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통상 잠금모드와 풀림모드 간의 전환과정의 중간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상기와 같은 상태에 놓여지게 된다.
도 7의 (2)는 도 7의 (1)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잠금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1)의 상태에 있던 상기 회전돌기(532)를 반시계방향(㉮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돌기(532)의 말단은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을 밀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전방(ⓐ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종국에는 상기 절개홈(51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장변(5111)을 일정 부분 밀어올리면서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수용홈(512)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수용홈(512)에 안착되게 되면 상기 회전돌기(532)는 상기 장변(511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장변(5111) 역시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돌기(532)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는 잠금모드에서 고정되게 되고, 이때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의 일측(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크류홈(515)측)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락킹부(330)의 상단을 덮으면서 상기 헤드부(310)의 측면을 상기 스크류홈(515)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백-아 웃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3)은 도 7의 (1)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가 풀림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1)의 상태에 있던 상기 회전돌기(532)를 시계방향(㉯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돌기(532)의 말단은 상기 캡용 홈(511)의 장변(5111)을 밀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를 후방(ⓑ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종국에는 상기 절개홈(51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장변(5111)을 일정 부분 밀어내리면서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수용홈(512)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회전돌기(532)가 상기 수용홈(512)에 안착되게 되면 상기 회전돌기(532)는 상기 장변(511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장변(5111) 역시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돌기(532)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510)는 풀림모드에서 고정되게 되고, 이때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의 상기 스크류홈(515)측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의 락킹부(330)의 상단에서도 완전히 벗어나 있게 되므로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30)를 자유롭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는 캡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동에 의해 락킹용 플레이트를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풀림방지와 용이한 해제 모두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수용홈과 돌출턱, 절개홈 등의 고정을 위한 이중, 삼중 구성에 의해 수용홈에 수용된 회전돌기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고정장치 전체의 두께는 증가시키지 않고 일정하 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가 경추에 시술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락킹용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 사용되는 캡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고정장치에서 캡의 회전운동과 락킹용 플레이트의 직선운동에 따라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플레이트 30: 플레이트용 스크류 50: 락킹장치
110: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 130: 캡 관통공 150: 스크류공
310: 헤드부 330: 락킹부 350: 몸체부
510: 락킹용 플레이트 511: 캡용 홈 5111: 장변 5112: 단변
512: 수용홈 513: 돌출턱 514: 절개홈 515: 스크류홈
530: 캡 531: 몸체 532: 회전돌기 533: 커버부 534: 회전용홈
5311: 몸체 중심 c: 경추

Claims (9)

  1. 삭제
  2. 경추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경추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트용 스크류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락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상부에서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상부를 덮는 잠금모드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상부를 덮지 않는 풀림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락킹용 플레이트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를 직선운동시키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내부에 두 변의 길이가 상이한 장방형의 캡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일측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캡용 홈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돌기의 돌출길이는 상기 캡의 몸체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의 장변까지의 길이보다는 길고, 상기 캡의 몸체 중심에서 상기 캡용 홈의 단변까지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캡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캡용 홈의 장변을 밀어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를 직선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부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가 직선운동하는 범위에 맞게 함입되어 형성되는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가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 안착홈 내에서 직선운동하면서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상기 캡용 홈의 장변에 상기 회전돌기의 말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홈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잠금모드와 풀림모드에서 상기 회전돌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홈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턱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회전돌기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고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상기 캡용 홈의 장변을 따라 일정 부분 절개된 절개홈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탄성에 의해 잠금모드와 풀림모드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음은 물론 수용홈에 수용된 회전돌기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는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의 일측에 덮힐 수 있도록 헤드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는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부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헤드부와 맞닿는 일측에 상기 헤드부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스크류홈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잠금모드에서 상기 락킹용 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용 스크류의 백-아웃 현상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고정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단에 상기 몸체와 회전돌기를 모두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되는 커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고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상기 캡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비원형으로 함입된 회전용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고정장치.
KR1020090078763A 2009-08-25 2009-08-25 경추 고정장치 KR10115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63A KR101155122B1 (ko) 2009-08-25 2009-08-25 경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63A KR101155122B1 (ko) 2009-08-25 2009-08-25 경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42A KR20110021142A (ko) 2011-03-04
KR101155122B1 true KR101155122B1 (ko) 2012-06-12

Family

ID=4393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763A KR101155122B1 (ko) 2009-08-25 2009-08-25 경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68B1 (ko) 2015-11-17 2016-12-02 김윤기 경추고정장치 및 그 설치 방법
WO2017123713A1 (en) * 2016-01-12 2017-07-20 Globus Medical, Inc. Spinal plate assembly having locking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62B1 (ko) * 2014-08-11 2015-07-16 주식회사 코렌텍 척추고정장치
KR101722116B1 (ko) * 2015-07-27 2017-04-03 (주)시지바이오 경추 고정 장치
CN108135639A (zh) * 2015-07-27 2018-06-08 株式会社Cg生物 颈椎固定装置
US10130402B2 (en) 2015-09-25 2018-11-20 Globus Medical, Inc. Bone fixation devices having a locking feature
WO2018237322A1 (en) * 2017-06-22 2018-12-27 Alliance Partners Llc MEDICAL IMPLANT HAVING A MULTI-MODE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USE
CN109674522A (zh) * 2019-02-22 2019-04-26 苏州吉美瑞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颈椎前路固定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731A (ko) * 2003-10-02 2005-04-08 유앤아이 주식회사 경추고정장치
US20080021470A1 (en) 2003-10-02 2008-01-24 Zimmer Spine, Inc. Anterior cervical plate
KR20080028917A (ko) * 2005-06-10 2008-04-02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뼈 스크류 잠금 메커니즘 및 사용방법
US20090131988A1 (en) * 2007-11-09 2009-05-21 Stryker Spine Cervical plate with a feedback device for selective association with bone screw block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731A (ko) * 2003-10-02 2005-04-08 유앤아이 주식회사 경추고정장치
US20080021470A1 (en) 2003-10-02 2008-01-24 Zimmer Spine, Inc. Anterior cervical plate
KR20080028917A (ko) * 2005-06-10 2008-04-02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뼈 스크류 잠금 메커니즘 및 사용방법
US20090131988A1 (en) * 2007-11-09 2009-05-21 Stryker Spine Cervical plate with a feedback device for selective association with bone screw blocking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68B1 (ko) 2015-11-17 2016-12-02 김윤기 경추고정장치 및 그 설치 방법
WO2017123713A1 (en) * 2016-01-12 2017-07-20 Globus Medical, Inc. Spinal plate assembly having loc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42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122B1 (ko) 경추 고정장치
JP4468184B2 (ja) 脊柱支持用の前部板を含む装置
EP1638472B1 (en) Vertebral osteosynthesis equipment
KR101537062B1 (ko) 척추고정장치
JP4227020B2 (ja) 多軸頭部を備える骨固定用インプラント
US8740914B2 (en) Surgical positioning assembly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A2109907C (en) Osteosynthesis plate system
TWI225125B (en) A device for fixing a rod and a spherically symmetrical screwhead
EP2135573B1 (en) Bone anchoring device
EP0672388A1 (en)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spinal column having a damaged vertebrae
US20070118123A1 (en) Polyaxial bone anchors with increased angulation
US20070049933A1 (en) Multi-axial spinal pedicle screw
US7909855B2 (en) Orthopedic implant assembly
US20100042160A1 (en) Cervical plate assembly
KR101504260B1 (ko) 자체 텐션부를 가지는 경추고정장치
JP2007500049A (ja) 脊椎の骨接合のための連結装置
KR20130046369A (ko) 높은 축전위 다축 뼈 고정 장치
US8858603B1 (en) Cervical plate with screw retention clip
KR20110011049A (ko) 척추체간 융합 케이지 및 그 세트
US20050080417A1 (en) Occipital fixation device
KR20130034604A (ko) 뼈 고정 조립체
KR200443999Y1 (ko) 다축성 척추경고정장치
KR20080027272A (ko) 척추 임플란트 기구
KR101563415B1 (ko) 척추 고정 장치
KR100634703B1 (ko) 척추고정나사 시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