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415B1 -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415B1
KR101154415B1 KR1020090103746A KR20090103746A KR101154415B1 KR 101154415 B1 KR101154415 B1 KR 101154415B1 KR 1020090103746 A KR1020090103746 A KR 1020090103746A KR 20090103746 A KR20090103746 A KR 20090103746A KR 101154415 B1 KR101154415 B1 KR 10115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cage
fixed
side frame
exchan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998A (ko
Inventor
김태호
양경욱
황규석
Original Assignee
성신조선(주)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조선(주),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신조선(주)
Priority to KR102009010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4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 교체 중 어류를 이송하거나 한쪽으로 모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교환 중에 가두리 그물의 용적 손실에 따른 어류의 탈출 등이 일어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가두리의 위치 높이 조절 등 어떠한 사전 작업이 필요 없다. 또한, 수중 작업이 필요 없어 매우 간편하게 그물을 교환할 수 있다.
대형 가두리, 그물, 무한궤도

Description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Net change device for big cage and net change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에 의한 양식은 크게 육상 수조 양식과 해상 가두리 양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육상 수조양식은 육상의 수조에 대상 생물을 옮겨 서식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양식하는 방식이고, 해상 가두리 양식은 바다의 넓은 공간에 그물 등으로 대상 생물을 가두어 기르는 방식이다. 이중 상기 해상 가두리 양식은 육상 수조 양식과 달리 해수를 교환할 필요가 없으며 어류를 대량으로 양식할 수 있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기 해상 가두리 양식에서 양식 또는 축양장으로 사용되는 가두리 장치의 운용에는 사료 급이, 그물 교체, 어류선별 등 여러 가지 작업이 있으나 그중에서 인력의 소요가 가장 많은 것 중의 하나는 그물교체 작업이다.
특히 우리나라 연안의 경우 파래, 진주 담치 등 해중 부착 생물이 가두리 그물에 다량 부착하게 되어 자주 그물을 청소하거나 교환하지 않으면 가두리 내부로 의 해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고 조류에 의한 가두리 시설에 작용하는 유수저항이 커진다.
그런데 외해 가두리의 그물은 일반 가두리 시설에 설치된 그물보다 수 십 배나 크고 무겁기 때문에 외해에서 그물을 교환하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그물교체 작업을 위해서는 어류를 이동시키거나 수중작업 등이 필요하여 그물을 교환하는데 시간, 인력, 경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어류 등을 포함하여 양식하는 수상생물의 스트레스가 매우 커지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대형 가두리 장치에서 그물 교체 중 양식하는 수상생물을 이송하거나 한쪽으로 모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그물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는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대형 가두리의 측면을 일체가 아니라 분리된 다수개의 그물이 설치되도록 하고 각각의 설치된 그물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두리의 위치, 높이 조절 등 어떠한 사전 작업 없이 간단하게 그물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은 구동력을 들여 교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물 교환 작업 시간 또한 매우 단축된 구조의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물 교체 중 어류를 이송하거나 한쪽으로 모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교환 중에 가두리 그물의 용적 손실에 따른 어류의 탈출 등이 일어날 수 없는 구조의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그물 중 일부분만 교환할 수 있는 구조의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소모품이 극히 적게 들고 이로 인한 부산물의 발생이 거의 없어 환경 친화적인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전체 구성이 간단하고 쉽게 분해가 되며 그 중량이 가벼워 이송 탈착이 용이 하고, 또한 분해 조립 및 구동하기가 쉬워 사전 교육 숙련 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교환시 그물을 들거나 잡거나 옮기는 작업이 불필요한 구조의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그물을 교체하기 위하여 수중에 내려가거나 수중으로 도구를 넣을 필요가 없는 구조의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칭된 좌우변을 이루는 두 개의 측면프레임부재와 상기 좌변 및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횡간 바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기 횡간 바와 평행을 이루고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네트드럼; 상기 지지프레임을 덮도록 그물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그물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프레임부재의 전면과 후면이 연결된 궤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벨트부; 상기 상부 네트드럼의 양단에 설치되 어 상기 이송벨트부를 무한궤도방식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벨트구동부를 포함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부는 상기 측면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 전면과 후면이 연결되는 궤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좌변 및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에 각각 무한궤도로 형성되는 벨트부재; 상기 벨트부재와 일체로 또는 그 표면상에 부착되어 상기 좌변에 형성된 벨트부재와 우변에 형성된 벨트부재 사이에 그물의 좌우가장자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그물고정부재; 및 상기 좌변에 형성된 벨트부재와 우변에 형성된 벨트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의 상하가장자리 및 그물 내부가 횡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송 연결바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그물 교환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형 가두리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플렌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부재는 동일한 구조의 내측판과 외측판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서로 이격된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이 상기 다수개의 횡간 바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상기 측면프레임부재의 전면과 후면에 슬롯 형태의 공간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중판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부재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슬롯 형태의 공간부를 따라 상기 이송벨트부가 이송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네트드럼은 내부가 수밀되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드럼튜브부재; 상기 드럼튜브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 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을 고정 보호하고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재를 체결하는 베어링하우징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럼튜브부재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마찰저항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항부재는 코팅된 고무층이고, 상기 베어링은 비금속 재질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구동부는 상기 상부 네트드럼 좌우에 각각 형성된 회전축부재에 설치되는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가 설치된 회전축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동일한 구조의 내측판과 외측판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서로 이격된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이 다수개의 횡간 바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그 전면과 후면에 슬롯 형태의 공간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중판구조를 갖는 측면프레임의 상기 공간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핸들, 전동모터 또는 공압모터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물로 패쇄된 다면체형 공간이 형성된 대형 가두리를 포함하는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에서, 그물이 고정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그물 교환장치가 상기 대형 가두리의 프레임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패쇄된 다면체형 공간의 각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를 제공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물 교환장치에 고정된 그물은 상기 그물의 시작면과 끝면을 이루는 상하 가장자리가 이송벨트부의 이송 연결바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그물의 좌우 가장자리는 이송벨트부의 그물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직사각형 형태의 그물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물 교환장치에 고정된 그물은 상기 대형 가두리에 설치된 다른 그물과 독립적으로 교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2 항의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의 프레임에 설치된 그물 교환장치에 고정된 그물을 교환하는 그물 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물 교환장치의 이송벨트부에 기 설치된 헌 그물의 끝단에 인접하게 위치된 이송 연결바에 새그물의 하부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그물하부가장자리 고정단계; 상기 이송벨트부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새 그물의 좌우 가장자리를 이송벨트부의 그물고정부재에 고정하여, 상기 헌 그물이 상기 새그물의 뒷면에 위치하게 되는 그물좌우가장자리 고정단계; 상기 새그물의 상부 가장자리를 인접한 상기 이송벨트부의 다른 이송 연결바에 고정하는 그물상부가장자리 고정단계; 및 상기 그물 교환장치에 기 설치된 헌 그물을 제거하는 헌 그물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대형 가두리 그물교환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헌 그물 제거단계는 수중 작업 없이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헌 그물 제거단계는 상기 새 그물에 연장부를 두어 상기 헌 그물의 끝단이 밀려 올라와 작업자가 수중에 들어가지 않고 제거 할 수 있을 때까지 이송벨트부를 더 가동한 후 상기 연장부의 끝단을 상기 이송벨트부의 이송 연결바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헌 그물의 끝단을 상기 이송벨트부로부터 완전 분리한 다음, 상기 이송벨트부를 상기 가동방향과 반대로 동작시켜 상기 새 그물의 연장부 위치를 처음으로 되돌리는 단계; 및 상기 연장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가두리의 위치, 높이 조절 등 어떠한 사전 작업 없이 간단하게 그물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은 구동력을 들여 교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물 교환 작업 시간 또한 매우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 교체 중 어류를 이송하거나 한쪽으로 모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교환 중에 가두리 그물의 용적 손실에 따른 어류의 탈출 등이 일어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그물 중 일부분만 교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모품이 극히 적게 들고 이로 인한 부산물의 발생이 거의 없어 환경 친화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구성이 간단하고 쉽게 분해가 되며 그 중량이 가벼워 이송 탈착이 용이 하고, 또한 분해 조립 및 구동하기가 쉬워 사전 교육 숙련 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교환시 그물을 들거나 잡거나 옮기는 작업이 불필 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을 교체하기 위하여 수중에 내려가거나 수중으로 도구를 넣을 필요가 없어 매우 간편하게 그물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교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물교환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의 상부네트드럼에 연결되는 이송벨트구동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가 가두리의 측면프레임에 고정된 대형 가두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의 이송벨트부에 고정되는 그물의 고정관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에 고정된 헌그물을 그물로 교환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교환장치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가 도시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100)가 지지프레임(110), 네트드럼(120), 이송벨트부(130), 이송벨트구동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지지프레임(110)은 두 개의 측면프레임부재(111), 다수개의 횡간 바(112) 및 다수개의 연결플렌지(113)를 포함하는데, 두 개의 측면프레임부재(111)는 서로 대칭된 좌우변을 이루고, 다수개의 횡간 바(112)는 그 좌변 및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111)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상과 유사한 지지프레임(110)이 형성된다.
이 때 다수개의 횡간 바(112)는 두 개의 측면프레임부재(111)를 연결하고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벨트부(130)에 고정된 그물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그물교환장치(100)가 대형 가두리(10)의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면 대형 가두리(10)의 프레임의 일부를 이루게 대형 가두리(10) 전체 프레임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횡간 바(112)로 강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측면프레임부재(111)는 경량이면서도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성이 강화된 구조를 갖도록 이중판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중판구조는 동일한 구조의 내측판(111a)과 외측판(111b)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서로 이격된 내측판(111a)과 외측판(111b)이 다수개의 횡간 바(112)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측면프레임부재(111)의 전면과 후면에 슬롯 형태의 공간부(111c)가 길이방향으로 형성 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횡간바(112)는 내측판(111a)을 관통하여 외측판(111b)에 고정되는데 고정은 용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측판(111a) 및 외측판(111b)은 특수하게 고안된 형강판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측면프레임부재(111)는 전면 및 후면에 슬롯 형태의 공간부(111c)가 형성된 이중판구조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으므로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고 기 제작된 H형 형강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인데, 측면프레임부재(111)의 상, 하 양단부는 측면프레임부재(111)의 전면 및 후면에 얹혀지는 벨트부재(131)가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무한궤도를 이룰 수 있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플렌지(113)는 그물 교환장치(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형 가두리(1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볼트 홀이 가공되어 있는 설치 연결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프레임부재(111)의 바깥쪽 즉 외측판(111b)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대형 가두리(10)의 측면프레임에 설치된 그물 교환장치(100)가 대형 가두리(10)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을 만큼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적절한 개수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형 가두리(10)의 측면프레임과 그물교환장치(100)는 연결플렌지(113)를 통해 볼트 결합된다.
다음으로, 네트드럼(120)은 지지프레임(1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횡간 바(112)와 평행을 이루고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동일한 구조의 상부 및 하부 네트드럼(120a, 120b) 2개로 이루어지는데, 그물 교환장치(100)에 고정된 그 물(200)을 지지하고 그물(200) 교환시 그물(200)을 감아올리기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이송벨트부(130)를 이루는 좌변의 벨트부재(131)와 우변의 벨트부재(131)가 동조하여 회전 이송되는데도 도움을 준다.
네트드럼(120)의 세부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드럼튜브부재(121), 회전축부재(123), 베어링(124), 베어링하우징(125)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마찰저항부재(1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드럼튜브부재(121)는 내부가 수밀되는 원통형상을 이루는데 구조용 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그물에 마찰 저항을 주어 그물이 쉽게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찰저항부재(122)를 드럼튜브부재(121)의 표면에 더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코팅된 고무층일 수 있고, 마찰저항부재(122)가 드럼튜브부재(121)의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회전축부재(123)는 드럼튜브부재(121)의 좌우 양단에 각각 기어부재(141)를 설치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회전축부재(123)로는 일반적으로 샤프트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부재(123)의 단부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재(142)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124)은 각 회전축부재(123)를 회전구동 시킬 수 있도록 특수하게 설계된 구성요소로서 베어링하우징(125)에 의해 보호되며, 베어링하우징(125)은 베어링(124)을 보호하는 역할 외에 회전축부재(123)와 측면프레임부재(111)를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게 된다. 이 때 베어링(124)은 회전축부재(123)가 수중에서 윤활유 없이 구동 할 수 있도록 수지와 같은 비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부 및 하부 네트드럼(120a, 120b)은 드럼튜브부재(121) 양단에 설치된 회전축부재(123)가 각각 지지프레임(110) 즉 좌변 및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111) 사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다음으로, 이송벨트부(130)는 그물(200)을 지지프레임(110)만 또는 네트드럼(120)까지 덮도록 고정하고, 고정된 그물(200)이 지지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측면프레임부재(111)의 전면과 후면이 연결된 궤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송벨트부(130)는 벨트부재(131), 그물고정부재(132), 이송 연결바(133)를 포함한다.
벨트부재(131)는 측면프레임부재(111)의 길이방향 전면과 후면이 연결되는 궤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좌변 및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111)에 각각 무한궤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벨트부재(131)는 공지된 보통의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이중판구조로 형성된 측면프레임부재(111)의 공간부(111c)를 덮도록 측면프레임부재(111)의 전면 및 후면을 따라 벨트부재(131)가 얹혀진 형상을 갖는데, 그 재질은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벨트부재(131)의 후면 즉 측면프레임부재(111)와 접하는 면에 기어부재(141)와 맞물리는 치합부가 형성된 센터리브(Center Lib)가 더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센터리브가 더 설치되면 벨트부재(131)의 측면프레임부재(111) 이탈방지 기능이 보다 강화되고 벨트부재(131)의 기어부재(141)를 통한 회전기능 또한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물고정부재(132)는 벨트부재(131)와 일체로 또는 그 표면상에 부착되어 좌변의 측면프레임부재(111)에 형성된 벨트부재(131)와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111)에 형성된 벨트부재(131) 사이에 그물(200)의 좌우가장자리가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 때 그물고정부재(132)가 벨트부재(13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물고정부재(132)는 좌, 우 측면프레임부재(111) 사이의 공간에 접하는 측으로 벨트부재(131)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연장시킨 후 연장부분에 다수개의 통공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고, 그물고정부재(132)가 벨트부재(131) 표면상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경우에는 조립리벳 등과 같은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벨트부재(131)의 표면에 통공 또는 걸림부가 형성된 고정판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 연결바(133)는 좌변의 측면프레임부재(111)에 형성된 벨트부재(131)와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111)에 형성된 벨트부재(131)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200)의 상하가장자리 및 그물(200) 내부가 측면프레임부재(111)와 수직하게 횡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측면프레임부재(111)에 수직하게 다수개 형성되는데, 고정되는 그물(200)의 길이 및 고정 위치를 고려하여 이격간격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수개의 이송 연결바(133)는 좌우 벨트부재(131)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중 일부는 그물(200)의 시작점과 끝점 즉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가장자리가 고정되는 이송 연결바(133)에 해당하기도 하고, 중심부를 포함하여 그물(200)의 가장자리가 아닌 부분에 위치하기도 하는데, 이송 연결바(133)에는 그물(200)의 고정 위치를 고려하여 그물(200)을 고정할 수 있는 링과 같은 고정용부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송 연결바(133)의 위치에 따라 필요한 그물(200)의 고정 강도를 고려하여 각각의 이송 연결바(133)에 구비되는 고정용부속의 존부 및 다소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이송 연결바(133)는 그물(200) 교환시 그물(200)이 잠시라도 벗겨 지지 않도록 하며 그물(200)이 조류에 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이송벨트구동부(140)는 상부 네트드럼(120a)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송벨트부(130)를 무한궤도방식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인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송벨트구동부(140)는 기어부재(141)와 구동부재(142)를 포함한다.
기어부재(141)는 상부 네트드럼(120a)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된 회전축부재(123)에 설치되어 벨트부재(131)를 회전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만 하면 종류 및 형상의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톱니가 있는 치차인 스프라켓이 사용될 수 있고, 이물질이 치차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어부재(141)를 감싸는 커버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어부재(14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 및 우변에 형성된 측면프레임부재(111)의 내측판(111a) 및 외측판(111b)을 관통하여 특수하게 설계된 베어링 및 베어링하우징에 의해 측면프레임부재(111)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부재(123)를 감싸서 형성되는데 특히 내측판(111a)과 외측판(111b) 사이의 공간부(111c)에 위치한 회전축부재(123)를 감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재(142)는 기어부재(141)가 설치된 회전축부재를 통해 기어부재(141)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벨트부재(131)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구동부재(142)는 좌변 및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11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좌측 및 우측 회전축부재(123)의 단부 중 어느 하나이상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회전축부재(123)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핸들, 전동모터 또는 공압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구동핸들은 사람이 손으로 잡고 돌리기에 적합한 구조로서 그물교환장치(10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부품을 의미하고, 공압 모터는 압축 공기, 압축 질소(액체 질소 포함)로 구동하는 모터이며, 전동 모터는 이동식 소형 발전기로 구동 할 수 있는 소형 모터(약1마력 이하)를 의미한다. 그 결과 회전축부재(123)의 단부는 구동부재(142)가 연결되기에 적합하도록 변형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송벨트구동부(140)의 구성을 통해 좌측 및 우측 회전축부재(123)의 단부 중 하나에만 구동부재(142)가 연결되어도 좌변 및 우변에 형성된 벨트부재(131)는 동조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100)는 상술된 구성을 포함하여 그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그 밖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다른 구성요소로는 예를 들어, 모터를 고정할 수 있는 모터 고정대, 베어링 하우징을 상하로 이동하여 벨트부재에 적절한 장력이 걸리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는 장력조정장치, 네트 드럼이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는 스토퍼(Stopper)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100)를 포함하는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를 살펴본다.
즉,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그물교환장치(100)는 그물이 고정된 후 대형 가두리(10)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는데,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에 설치되어 대형 가두리(10)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가 가두리의 측면프레임에 고정된 대형 가두리의 사시도인데, 대형 가두리(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형 가두리(10)의 상부 및 하부에 대한 구성은 생략하였다.
즉, 그물로 패쇄된 다면체형 공간이 형성된 대형 가두리를 포함하는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에 포함된 대형 가두리(10)의 측면프레임에 그물이 고정된 그물 교환장치가 다수개 설치되어 패쇄된 다면체형 공간의 측면을 이루는 것이다.
이 때, 그물 교환장치(10)에 고정된 그물(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200)의 시작면과 끝면을 이루는 상하 가장자리가 이송벨트부(130)의 이송 연결바(133)에 의해 고정되고 그물의 좌우 가장자리는 이송벨트부(130)의 그물고정부재(132)에 의해 고정되어 직사각형 형태의 그물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그물(200)은 그물교환장치(100)에 맞도록 특별히 고안된 직사각형의 그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그물 교환장치(100)가 측면을 형성하는 대형 가두리(10)는 종래의 가두리와는 달리 그물 전체가 아니라 그물 교환장치(100)에 고정된 그물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대형 가두리(10)에 설치된 다른 그물과 독립적으로 교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에 고정된 헌그물을 그물로 교환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도인 도 6을 참조하여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의 대형가두리(10) 측면프레임에 설치된 그물 교환장치(100)에 고정된 그물(200)을 교환하는 그물 교환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물하부가장자리 고정단계가 수행되는데 상기 단계는 그물 교환장치(100)의 이송벨트부(130)에 기 설치된 헌 그물(210)의 끝단에 인접하게 위치된 이송 연결바(133)에 새그물(220)의 하부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것이다. 즉 헌 그물(210)의 끝단 가까이에 있는 새 그물(220)의 시작부분의 이송 연결바(133)에 새그물의 시작부(하단)를 연결한다.
그 후 이송벨트부(130)를 이송시키면서 새 그물(220)의 좌우 가장자리를 이송벨트부(130)의 그물고정부재(132)에 고정하게 되는데, 새 그물(220)의 좌우면은 이송벨트부(130)의 회전에 따라 벨트부재(131)에 형성된 그물고정부재(132)에 조금씩 연결되며 연결된 만큼 새 그물(220)은 수중으로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헌 그물(210)이 새그물(220)의 뒷면에 위치하게 될 때까지 즉 준비된 새 그물(220)의 좌우 가장자리가 전부 고정될 때까지 고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 결과 새그물(220)은 헌 그물(210)을 밀어 내고 헌 그물(210)의 위치에 자리 잡게 되고 밀려진 헌 그물(210)은 새그물(220)의 뒷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그물교환장치(100)의 좌변 및 우변의 측면프레임(111)에 각각 두 명의 작업자가 서서 작업하게 되면 보다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새그물(220)의 좌우 가장자리가 모두 고정되면 새그물(220)의 상 부 가장자리를 인접한 이송벨트부(130)의 다른 이송 연결바(133)에 고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새그물(220)을 완전히 그물교환장치(100)에 고정한다.
그 후 그물 교환장치(100)에 기 설치된 헌 그물(210)을 제거하는 헌 그물 제거단계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헌 그물(210)의 하부 가장자리는 작업자의 가슴 부분까지 노출되어 쉽게 분리할 수 있지만 수면 위에 있던 헌 그물(210)의 상단 가장자리는 이송벨트부(130)를 타고 수중으로 내려간 상태이므로 헌 그물을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헌 그물(210)의 상부 가장자리를 분리하기 위해 수중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수중에 손을 넣지도 않고 헌 그물(210)을 밖으로 꺼낼 수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하기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먼저, 새 그물(220)에 연장부를 두어 헌 그물(210)의 끝단 즉 상부 가장자리가 밀려 올라와 작업자가 수중에 들어가지 않고 제거할 수 있을 때까지 이송벨트부(130)를 더 가동한 후 연장부의 끝단을 이송벨트부(130)의 이송 연결바(133)에 고정한 후, 헌 그물(210)의 끝단을 이송벨트부(130)로부터 완전 분리한 다음, 이송벨트부(130)를 가동방향과 반대로 동작시켜 새 그물(210)의 연장부 위치를 처음으로 되돌린 다음, 연장부를 분리하면 된다. 그리고 연장부를 분리하여 다시 사용한다. 이 때 연장부의 좌우 가장자리는 고정하지 않아도 무방하므로 작업이 간단하다.
다른 안으로는 장대나 추를 매달은 임시 그물을 장치의 앞 또는 뒷면에 설치하여 그물을 교환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헌 그물을 분리하는 잠시 동안 임시 그 물에 의존해야 한다.
또 다른 안으로는 헌 그물은 새그물에 밀리어 상하가 뒤집혀진 상태임을 이용하여 그물의 연결 부분이 특정 부분을 지나가거나 뒤집혀 질 때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안으로는 이송벨트부(130)의 그물고정부재(132)를 지퍼, 원터치 고리, 레버핀 등을 응용하여 수면 위에서 핀 고리 등을 당겨 분리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교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물교환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
도 3은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의 상부네트드럼에 연결되는 이송벨트구동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가 가두리의 측면프레임에 고정된 대형 가두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의 이송벨트부에 고정되는 그물의 고정관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그물교환장치에 고정된 헌그물을 그물로 교환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대형 가두리
100 : 그물 교환장치 110 : 지지프레임
111 : 측면프레임부재 111a : 내측판
111b : 외측판 111c : 공간부
112 : 횡간 바 113 : 연결 플렌지
120 : 네트드럼 120a : 상부네트드럼
120b :하부네트드럼 121 : 드럼튜브부재
122 : 마찰저항부재 123 : 회전축부재
124 : 베어링 125 : 베어링하우징
130 : 이송벨트부 131 : 벨트부재
132 : 그물고정부재 133 : 이송 연결바
140 : 이송벨트구동부 141 : 기어부재
142 : 구동부재 200 : 그물
210 : 헌그물 220 :새그물

Claims (17)

  1. 대칭된 좌우변을 이루는 두 개의 측면프레임부재와 상기 좌변 및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횡간 바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기 횡간 바와 평행을 이루고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네트드럼;
    상기 지지프레임을 덮도록 그물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된 그물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측면프레임부재의 전면과 후면이 연결된 궤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벨트부;
    상기 상부 네트드럼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부를 무한궤도방식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벨트구동부를 포함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부는
    상기 측면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 전면과 후면이 연결되는 궤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좌변 및 우변의 측면프레임부재에 각각 무한궤도로 형성되는 벨트부재;
    상기 벨트부재와 일체로 또는 그 표면상에 부착되어 상기 좌변에 형성된 벨트부재와 우변에 형성된 벨트부재 사이에 그물의 좌우가장자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그물고정부재; 및
    상기 좌변에 형성된 벨트부재와 우변에 형성된 벨트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그물의 상하가장자리 및 그물 내부가 횡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송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그물 교환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형 가두리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플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부재는 동일한 구조의 내측판과 외측판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서로 이격된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이 상기 다수개의 횡간 바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상기 측면프레임부재의 전면과 후면에 슬롯 형태의 공간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중판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부재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슬롯 형태의 공간부를 따라 상기 이송벨트부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네트드럼은
    내부가 수밀되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드럼튜브부재;
    상기 드럼튜브부재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을 고정 보호하고 상기 회전축부재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재를 체결하는 베어링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튜브부재의 외부표면에 형성되는 마찰저항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항부재는 코팅된 고무층이고, 상기 베어링은 비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구동부는
    상기 상부 네트드럼 좌우에 각각 형성된 회전축부재에 설치되는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가 설치된 회전축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동일한 구조의 내측판과 외측판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서로 이격된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이 다수개의 횡간 바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그 전면과 후면에 슬롯 형태의 공간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이중판구조를 갖는 측면프레임의 상기 공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핸들, 전동모터 또는 공압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12. 그물로 패쇄된 다면체형 공간이 형성된 대형 가두리를 포함하는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에서,
    그물이 고정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그물 교환장치가 상기 대형 가두리의 프레임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패쇄된 다면체형 공간의 각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 교환장치에 고정된 그물은 상기 그물의 시작면과 끝면을 이루는 상하 가장자리가 이송벨트부의 이송 연결바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그물의 좌우 가장자리는 이송벨트부의 그물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직사각형 형태의 그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 교환장치에 고정된 그물은 상기 대형 가두리에 설치된 다른 그물과 독립적으로 교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
  15. 제 12 항의 대형 가두리 양식장치의 프레임에 설치된 그물 교환장치에 고정된 그물을 교환하는 그물 교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물 교환장치의 이송벨트부에 기 설치된 헌 그물의 끝단에 인접하게 위치된 이송 연결바에 새그물의 하부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그물하부가장자리 고정단계;
    상기 이송벨트부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새 그물의 좌우 가장자리를 이송벨트부의 그물고정부재에 고정하여, 상기 헌 그물이 상기 새그물의 뒷면에 위치하게 되는 그물좌우가장자리 고정단계;
    상기 새그물의 상부 가장자리를 인접한 상기 이송벨트부의 다른 이송 연결바에 고정하는 그물상부가장자리 고정단계; 및
    상기 그물 교환장치에 기 설치된 헌 그물을 제거하는 헌 그물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대형 가두리 그물교환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헌 그물 제거단계는 수중 작업 없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 그물교환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헌 그물 제거단계는 상기 새 그물에 연장부를 두어 상기 헌 그물의 끝단이 밀려 올라와 작업자가 수중에 들어가지 않고 제거할 수 있을 때까지 이송벨트부를 더 가동한 후 상기 연장부의 끝단을 상기 이송벨트부의 이송 연결바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헌 그물의 끝단을 상기 이송벨트부로부터 완전 분리한 다음, 상기 이송벨트부를 더 가동한 방향과 반대로 동작시켜 상기 새 그물의 연장부 위치를 처음으로 되돌리는 단계; 및
    상기 연장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가두리 그물교환방법.
KR1020090103746A 2009-10-29 2009-10-29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 KR10115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746A KR101154415B1 (ko) 2009-10-29 2009-10-29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746A KR101154415B1 (ko) 2009-10-29 2009-10-29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98A KR20110046998A (ko) 2011-05-06
KR101154415B1 true KR101154415B1 (ko) 2012-06-15

Family

ID=4423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746A KR101154415B1 (ko) 2009-10-29 2009-10-29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630B (zh) * 2018-06-06 2023-09-19 岭南师范学院 一种海产品物种鉴定装置
CN111053056A (zh) * 2020-01-19 2020-04-24 集美大学 一种海水池塘循环水网箱养殖的链式换网装置及方法
CN113557993B (zh) * 2021-07-16 2022-11-04 山东新希望六和集团有限公司 一种海参养殖船
CN113647352A (zh) * 2021-08-12 2021-11-16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可自动替换网衣系统网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2059A (en) 1987-04-08 1990-01-09 Nippon Koka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exchanging a net of fish cage for farming fish
JP2002138446A (ja) 2000-11-06 2002-05-14 Ryoyo Sangyo Kk クラゲの捕集と再利用方法
JP2005013039A (ja) 2003-06-24 2005-01-20 Matsuo Construction Co Ltd 人工漁場構築法
KR20090047948A (ko) * 2007-11-09 2009-05-13 손기만 개펄 가두리 양식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2059A (en) 1987-04-08 1990-01-09 Nippon Koka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exchanging a net of fish cage for farming fish
JP2002138446A (ja) 2000-11-06 2002-05-14 Ryoyo Sangyo Kk クラゲの捕集と再利用方法
JP2005013039A (ja) 2003-06-24 2005-01-20 Matsuo Construction Co Ltd 人工漁場構築法
KR20090047948A (ko) * 2007-11-09 2009-05-13 손기만 개펄 가두리 양식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98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415B1 (ko) 대형 가두리용 그물 교환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그물 교환방법
JP4988125B2 (ja) 二枚貝の養殖関連作業のためのシステム
ES2358916T3 (es) Máquina de empanado.
DK181114B1 (ko)
US20190159434A1 (en) Device for Rearing Aquaculture Animals At Sea
EP3225421A1 (en) Magnetic wheel
CN109757448B (zh) 一种渔业养殖平台
JP2015142551A (ja) 貝類回収船
CN111757669B (zh) 贝类生长设备、系统和使用其的方法
WO2018201191A1 (en) Oyster farming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JP2008029229A (ja) 水中ロープの付着物除去装置
JP2007014231A (ja) 魚貝類の飼育装置
JP5554959B2 (ja) 漁業用回転ドラム及びその回転ドラムを備えた洗浄装置
CN113165025B (zh) 用于水下网的原位清洁的网清洁装置,与网清洁装置一起使用的螺旋桨,方法和系统
CN213523487U (zh) 一种可快速更换网具的深水网箱
JP4635646B2 (ja) 作物洗浄装置
CN209788226U (zh) 一种渔业养殖平台
Tiwari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project on water bodies cleaning robot
CN211656887U (zh) 水植物收割装置
CN112167136A (zh) 一种可快速更换网具的深水网箱
CN211592871U (zh) 一种小型水面垃圾收集船
KR101172492B1 (ko)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US20020095852A1 (en) Harvesting boom with screen having replaceable sections
CN219050598U (zh) 水下格栅清理装置
KR100533314B1 (ko) 해양수질 개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