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220B1 -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 Google Patents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220B1
KR101153220B1 KR1020110119069A KR20110119069A KR101153220B1 KR 101153220 B1 KR101153220 B1 KR 101153220B1 KR 1020110119069 A KR1020110119069 A KR 1020110119069A KR 20110119069 A KR20110119069 A KR 20110119069A KR 101153220 B1 KR101153220 B1 KR 10115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mber key
digital number
door
body fram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교
Original Assignee
김영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교 filed Critical 김영교
Priority to KR102011011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07Adhesiv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14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hard materials, to prevent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는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번호입력에 의해 잠금과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번호키의 번호 유출 방지커버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번호키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일측이 도어에 부착 고정되고, 사용자가 하측에서 손으로 넣을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며, 전면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의 키패드가 노출되도록 윈도우가 관통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윈도우를 분할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키패드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투과창을 형성하는 가림편을 구비한 셔터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상기 디지털 번호키의 정면에서 벗어난 그 주변에서 비밀번호를 누르는 동작을 확인할 수 없음에 따라 비밀번호의 입력시 타인에 의한 비밀번호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소하고 대량 양산에 의해 생산됨에 따라 경제적인 제조와 보급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가림편의 각도를 임의 조절하여 유출 가능성을 더욱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PASSWORD INPUT APPARATUS FOR PROTECTION PASSWORD}
본 발명은 번호 입력 방식에 의해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는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이나 금고, 현금자동입출금기를 비롯한 비밀번호 입력방식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지는 각종 디지털 번호키 방식의 기기에서 사용자가 비밀번호의 입력시 측면에서는 번호입력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비밀번호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식에 의한 보안인증을 수행하고 인증결과에 따라 잠금과 해정 동작을 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각종 출입문 뿐만 아니라 금고나 현금자동입출기 등과 같이 인증과 보안이 요구되는 곳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지문이나 홍채 등의 생체정보를 판독기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인증요소로 하는 생체정보 인식기술과, RF 및 스마트칩이 내장한 보안코드값을 무선으로 입력받아 이를 인증요소로 하는 무선정보 인식기술, 사용자로부터 기 입력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인증요소로 하는 번호키 인식기술로 구분되며, 이들 여러 인식기술 중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식기술은 구현이 복잡하고 인식률이 낮은 단점이 있고, 무선정보 인식기술은 칩이 내장된 인식카드 또는 인식태그를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번호키 인식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번호키 인식기술 방식의 도어락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4~20자리의 비밀번호를 키패드의 버튼을 눌러 입력하면, 이를 마이콤에서 입력값을 기 설정값과 비교하고 인증처리 결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상기 생체정보 인식기술과 무선정보 인식기술은 인증요소가 외부에 유출될 염려가 낮은 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번호키 인식기술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안 근처에 위치한 타인에 의한 비밀번호의 노출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비밀번호를 반복적으로 누름에 따라 해당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버튼에 흔적이 남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2848호, 2쪽, 청구항 1, 도면 2 상기 특허문헌1은 도어락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그 청구항 1에는 전후면에 전방개구부와 후방개구부가 형성된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도어에 고정설치되는 보호통체와, 상기 보호통체의 전방개구부에 힌지결합되어 전방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내부에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통체는 상호 상하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상하부패널과, 상하부패널의 양측을 연결하는 좌우측 사이드패널을 갖는 사각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기단부가 일측의 사이드패널의 전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전면패널과, 전면패널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타측의 사이드패널의 외측면을 덮는 연장패널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패널은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 커버의 전면패널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보호케이스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특허문헌1의 도어락 보호케이스는 비나 눈이 내릴 때 도어락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고장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의 도어락 보호케이스는 단순히 도어락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비나 눈에 의한 고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시 근처에 위치한 타인에 대한 비밀번호 유출차단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1의 도어락 보호케이스는 비밀번호 입력을 위해서는 보호통체에 힌지 결합된 커버를 연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도어락 주변에 사람들이 있는 경우 비밀번호 입력행위가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비밀번호의 유출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인증처리가 수행되는 디지털 번호키용 기기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시 그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이 특정 버튼의 입력상황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비밀번호 유출에 따른 폐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소하면서 경제적인 보급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한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가림편의 각도를 임의 조절하도록 하여 비밀번호 유출의 우려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는,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번호입력에 의해 잠금과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번호키의 번호 유출 방지커버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번호키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일측이 부착요소에 의해 도어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하측에서 손으로 넣을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며, 전면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의 키패드가 노출되도록 윈도우가 관통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상기 윈도우를 분할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키패드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투과창을 형성하는 가림편을 구비한 셔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그 일측단이 상기 도어에 부착 고정되는 양측벽 및 상기 양측벽의 타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으로 중심에 윈도우가 관통 형성되는 테두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프레임은 상기 윈도우를 분할하여 투과창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림편 및 이 가림편의 양 끝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부에 구비되는 셔터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를 중심으로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그 일측단이 상기 도어에 부착되고 타측단은 윈도우를 형성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 중 상부측 테두리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를 향하는 측면에 길게 홈을 형성하여 된 슬롯으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프레임은 사용자로부터 좌?우 이동 조작력을 받도록 일단이 상기 테두리단의 전면 일측으로 노출 구비되는 조절레버 및 이 조절레버의 일측에 수직하게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단의 일측에 힌지 고정되는 고정힌지축 및 상기 조절레버에 일측이 연결되어 조작력에 연동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슬롯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가동로드 및 상기 테두리단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축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림편은 상기 가동로드에 연동하여 투과창의 간격 조절이 이루도록 위치 변위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축홈에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축핀 및 이 고정축핀의 일측에 편심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로드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조작력에 연동되는 연결핀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도어에 밀착 접촉되도록 일측에 평탄면을 형성하여 된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부착요소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도어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용 테이프 또는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금속재로 된 도어에 부착력을 행하는 마그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사용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그 주변에서 비밀번호를 누르는 동작을 확인할 수 없음에 따라 비밀번호의 입력시 타인에 의한 비밀번호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소하고 대량 양산에 의해 생산됨에 따라 경제적인 제조와 보급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가림편의 각도를 임의 조절하여 유출 가능성을 더욱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가림편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면에는 각종 출입문을 비롯하여 금고 등에 설치되는 디지털 번호키(10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하측에서 사용자의 손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는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1)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는 본체 프레임(10)과 셔터 프레임(20)으로 구분되는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1)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에는 사용자가 디지털 번호키(100)의 비밀번호 입력을 위해 본체 프레임(10)의 내부에 손을 집어 넣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지털 번호키(10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다수의 투과창(25h)을 통해 키패드(110)를 구성하는 여러 버튼이 노출됨에 따라 식별이 가능하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1)는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를 감싸는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10)과, 이 본체 프레임(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에 대하여 제한된 각도에서만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셔터 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본체 프레임(10)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일측이 부착요소에 의해 도어(d)에 부착 고정되고, 사용자가 하측에서 손을 넣어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의 키패드(1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며, 전면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의 키패드(110)가 노출되도록 관통된 창인 윈도우(11h)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0)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그 일측단이 상기 도어(d)에 부착 고정되는 양측벽(12,13) 및 상기 양측벽(12,13)의 타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으로 중심에 윈도우(11h)가 관통 형성되는 테두리부(11)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 프레임(10)을 도어(d)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상기 본체 프레임(10)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양측벽(12,13)의 각 끝단이 상기 도어(d)에 대해 폭넓게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평탄면을 형성하는 플랜지(12a,13a)를 일체로 구비시키고, 상기 플랜지(12a,13a)와 상기 도어(d) 사이에 접착용 테이프(t)를 개재시켜 접착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플랜지(12a,13a)의 일측에 금속재로 된 도어(d)에 부착력을 생성하는 마그네트(m)를 매립하여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체 프레임(10)은 금속재나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를 가공하여 성형될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개폐에 의해 키패드(110)가 노출되는 디지털 번호키(100)의 사용을 위하여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셔터 프레임(2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10)과 윈도우(11h)를 복수 분할하는 부분 투과창(25h)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셔터틀(21)과 가림편(25)으로 구성되며, 금속재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다.
상기 셔터틀(21)은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전면 테두리부(11)에 구비되는 사각테두리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후술할 복수의 가림편(25)이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된다.
상기 가림편(25)은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사각 테두리 모양으로 구비되는 셔터틀(21)에 양단이 고정되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형태로 구비되며, 이들 복수개의 가림편(25)들에 의해 상기 본체 프레임(10)에 형성된 윈도우(11h)가 복수 분할되어 부분 투과창(25h)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셔터 프레임(20)은 사용자가 디지털 번호키(10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부분 투과창(25h)을 통해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한 키패드(110)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의 정면에서 벗어난 위치 즉, 번호 입력을 행하는 사용자의 옆에 위치하여 바라보게 되면 상기 윈도우(11h)에서 돌출된 복수의 가림편(25)들에 의해 부분 투과창(25h)이 가려짐에 따라 결과적으로 키패드(110)를 식별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셔터 프레임(20)에서 상기 셔터틀(21)은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테두리부(11)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림편(25)은 끼움구조나 접합구조에 의해 상기 본체 프레임(10)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5 및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가림편의 각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1)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번호키(100)를 감싸는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10)과, 이 본체 프레임(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에 대하여 제한된 각도에서만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셔터 프레임(20) 그리고 가림편(25)으로 구성된다.
본체 프레임(10)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그 일측단이 상기 도어(d)에 부착 고정되는 양측벽(12,13)과, 이 양측벽(12,13)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것으로 사각 테두리 형상을 갖는 테두리부(11)와, 상기 테두리부(11) 중 상부측 테두리단(15)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d)를 향하는 측면으로 길게 홈을 형성하여 된 슬롯(15h)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 프레임(10)은 디지털 번호키(100)가 설치되는 도어(d)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양측벽(12,13)의 각 끝단이 상기 도어(d)에 폭넓게 밀착 접촉될 수 있도록 평탄면을 형성하는 플랜지(12a,1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a,13a)와 상기 도어(d) 사이에 접착용 테이프(t)를 개재시켜 접착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플랜지(12a,13a)의 일측에 금속재로 된 도어(d)에 부착력을 생성하는 마그네트(m)를 매립하여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셔터 프레임(20)은 사용자로부터 좌?우 이동 조작력을 받도록 일단이 상기 테두리단(15)의 전면 일측으로 노출 구비되는 조절레버(31)와, 상기 조절레버(31)의 일측에 수직하게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단(15)의 일측에 힌지 고정되는 고정힌지축(32)과, 상기 조절레버(31)에 일측이 연결되어 조작력에 연동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힌지축(32)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슬롯(15h)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가동로드(35)와, 상기 테두리단(15)의 하면에 형성되어 가동로드(35)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길게 형성되는 슬롯(15h) 및 이 슬롯(15h)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핀(25p)이 삽입 지지되는 고정축홈(15a)을 구성된다.
상기 조절레버(31)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수회 굽힘되어 일단은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전면으로 노출 구비되어 손잡이 부분을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가동로드(35)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회동핀(33)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힌지축(32)은 상기 조절레버(31)의 일측 상부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단(15)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구멍(미부호)에 삽입된다.
상기 가동로드(35)는 사용자가 조절레버(3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조작력에 연동하여 좌?우로 위치 변위를 갖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일측에 상기 회동핀(33)이 연결되도록 돌출된 플랜지부(33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림편(25)의 고정축핀(25p)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안착수용홈(35h)과, 상기 서로 인접한 안착수용홈(35h) 사이에는 상기 가림편(25)의 연결핀(15p)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림편(25)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재로서, 상기 가동로드(35)에 연동하여 회동 변위를 갖는 것에 의해 투과창(25h)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가림편(25)은 그 상측 중심에 고정축핀(25p)이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고, 그 일측으로 연결핀(15p)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핀(25p)은 상기 테두리단(15)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축홈(15a)에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 5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윈도우(11h)를 완전히 차폐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로드(35)가 안착수용홈(35h)에 삽입 수용되고, 도 6과 같이 복수의 가림편(25)이 회동하여 부분 투과창(25h)을 형성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로드(35)가 안착수용홈(35h)에서 이탈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 연결핀(15p)은 상기 고정축핀(25p)의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며, 상기 가동로드(35)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미부호)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게 구비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가동로드(35)가 좌?우로 변위를 갖는 것에 연동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중 (15b)는 조절레버홈을 지칭한 것이고, (15c)는 테두리단(15)의 하측에 형성되어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연결핀(15p)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홈을 지칭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본체 프레임(10)의 전방 즉, 테두리단(15)의 전면측에 구비된 조절레버(31)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조작력을 가하면, 도 7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조절레버(31)에 연결된 가동로드(35)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변위를 갖는다.
즉, 사용자가 도 5와 같이 복수의 가림편(25)이 윈도우(11h)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레버(31)를 우측 방향으로 밀게 되면, 이 조절레버(31)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연동하여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동로드(35)가 선회 이동을 이룬다. 이때, 상기 가동로드(35)에는 복수의 가림편(25)이 연결핀(15p)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가림편(25)은 도 6과 같이 회동하여 복수의 부분 투과창(25h)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를 정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복수의 부분 투과창(25h)을 통해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한 키패드(110)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정면에서 벗어난 위치 즉, 번호입력을 행하는 입력 사용자의 옆에 서있는 사람의 경우 상기 가림편(25)들이 세워져 있으므로 부분 투과창(25h)이 가려져 결과적으로 키패드(110)를 식별할 수 없음에 따라 번호입력 내용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10 : 본체 프레임 12,13 : 양측벽
12a,13a : 플랜지 15 : 테두리단
20 : 셔터 프레임 21 : 셔터틀
25 : 가림편

Claims (4)

  1.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번호입력에 의해 잠금과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번호키의 번호 유출 방지커버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일측이 부착요소에 의해 도어(d)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하측에서 손으로 넣을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되며, 전면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의 키패드가 노출되도록 윈도우(11h)가 관통 형성된 본체 프레임(10)과;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전면에 구비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상기 윈도우(11h)를 분할하도록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키패드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투과창(25h)을 형성하는 가림편(25)을 구비한 셔터 프레임(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그 일측단이 도어(d)에 부착 고정되는 양측벽(12,13) 및 상기 양측벽(12,13)의 타측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으로 중심에 윈도우(11h)가 관통 형성되는 테두리부(11)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프레임(20)은 상기 윈도우(11h)를 분할하여 투과창(25h)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림편(25) 및 이 가림편(25)의 양 끝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부(11)에 구비되는 셔터틀(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은 상기 디지털 번호키(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그 일측단이 도어(d)에 부착되고 타측단은 윈도우(11h)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1) 및 상기 테두리부(11) 중 상부측 테두리단(15)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어(d)를 향하는 측면에 길게 홈을 형성하여 된 슬롯(15h)으로 구성되고,
    상기 셔터 프레임(20)은 사용자로부터 좌?우 이동 조작력을 받도록 일단이 상기 테두리단(15)의 전면 일측으로 노출 구비되는 조절레버(31) 및 이 조절레버(31)의 일측에 수직하게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테두리단(15)의 일측에 힌지 고정되는 고정힌지축(32) 및 상기 조절레버(31)에 일측이 연결되어 조작력에 연동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힌지축(32)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슬롯(15h)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가동로드(35) 및 상기 테두리단(15)의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축홈(15a)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림편(25)은 상기 가동로드(35)에 연동하여 투과창(25h)의 간격 조절이 이루도록 위치 변위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축홈(15a)에 삽입 지지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축핀(25p) 및 이 고정축핀(25p)의 일측에 편심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로드(35)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조작력을 전달받는 연결핀(15p)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은 도어(d)에 밀착 접촉되도록 일측에 평탄면을 형성하여 된 플랜지(12a,13a)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부착요소는 상기 플랜지(12a,13a)와 도어(d)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용 테이프(t) 또는 상기 플랜지(12a,13a)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금속재로 된 도어(d)에 부착력을 행하는 마그네트(m)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KR1020110119069A 2011-11-15 2011-11-15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KR101153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69A KR101153220B1 (ko) 2011-11-15 2011-11-15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69A KR101153220B1 (ko) 2011-11-15 2011-11-15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220B1 true KR101153220B1 (ko) 2012-06-07

Family

ID=4668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069A KR101153220B1 (ko) 2011-11-15 2011-11-15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2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43B1 (ko) * 2016-03-30 2016-09-09 김혜자 보안성이 강화된 도어락
KR102013550B1 (ko) * 2019-06-11 2019-08-22 김태준 보안용 사출성형물
KR102188012B1 (ko) * 2019-11-13 2020-12-07 염정선 도어락 노출 방지장치
KR102220641B1 (ko) * 2019-12-11 2021-02-26 주식회사 시스텍원 비밀번호의 노출방지 및 입력속도가 향상된 디지털 도어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43B1 (ko) * 2016-03-30 2016-09-09 김혜자 보안성이 강화된 도어락
KR102013550B1 (ko) * 2019-06-11 2019-08-22 김태준 보안용 사출성형물
KR102188012B1 (ko) * 2019-11-13 2020-12-07 염정선 도어락 노출 방지장치
KR102220641B1 (ko) * 2019-12-11 2021-02-26 주식회사 시스텍원 비밀번호의 노출방지 및 입력속도가 향상된 디지털 도어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153220B1 (ko) 디지털 번호키용 번호유출 방지커버
KR100873401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모티스
CN109785493B (zh) 人员通道控制设备
US20070267489A1 (en) Door with electromagnetic locking mechanism having increased level of security
US20170138092A1 (en) Modular Lock System
EP3666996B1 (en) Security device for closing two hinged elements, door opener and door comprising said device
JP3124028U (ja) スロットマシン電源ボックスの不正操作防止カバー
KR101107386B1 (ko) 정보 유출 방지 장치 및 정보 입력 장치
US20060070559A1 (en) Unitary currency/credit card unit
KR200446544Y1 (ko) 안전걸쇠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
JP6016213B2 (ja) 電気錠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101117812B1 (ko) 여닫이문 잠금 장치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127548B1 (ko) 도어록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200205791Y1 (ko) 출입문 잠금장치의 개폐기
JP5993155B2 (ja) 展示ケース
JPH09102053A (ja) 自動改札装置
KR102278310B1 (ko) 점자 버튼 장치가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 조립체
KR100948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지문 인식 장치
KR10112733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강화구조
KR0139219Y1 (ko) 전자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AU2014253559B2 (en) A Lock
GB2409233A (en) Loc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