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882B1 - 프라이팬 - Google Patents

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882B1
KR101152882B1 KR1020110130399A KR20110130399A KR101152882B1 KR 101152882 B1 KR101152882 B1 KR 101152882B1 KR 1020110130399 A KR1020110130399 A KR 1020110130399A KR 20110130399 A KR20110130399 A KR 20110130399A KR 101152882 B1 KR101152882 B1 KR 10115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frying pan
handle
shutt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소연
Original Assignee
문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소연 filed Critical 문소연
Priority to KR102011013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팬몸체에 구비된 손잡이가 착탈구조를 가지면서 손잡이에 이중 안전장치가 구비된 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서, 둘레면 상측의 어느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프라이팬몸체와; 상기 프라이팬몸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프라이팬몸체의 둘레면 상측에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된 손잡이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 전면에 돌출되며 선단에 만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의 후방으로 단차지게 걸림턱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봉으로 구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놉과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된 이동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봉의 상기 걸림턱이 록킹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해제수단에 의해 상기 걸림턱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판상의 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프라이팬{Frying pan}
본 발명은 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라이팬몸체에 구비된 손잡이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가지면서 손잡이에 이중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결속력 강화와 함께 손잡이가 프라이팬몸체로부터 예고 없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각종 음식물의 조리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 솥, 냄비 및 프라이팬 등의 조리용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는 가열기구의 가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내부에 담겨진 음식물을 찌거나 굽게 된다.
더불어, 솥, 냄비 및 프라이팬과 같이 가열되는 조리용기는 가열기구에 의해 가열될 때 몸체 역시 가열됨으로 이동 및 파지에 따른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몸체의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잡이는 조리용기에 부착된 상태로 장시간 가열기구의 열기가 간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무의식적으로 파지하는 경우 화상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며, 그 중 프라이팬의 경우 손잡이가 소정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파지시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프라이팬 손잡이는 다른 조리용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열기구와 가장 근접되어 있다. 따라서, 프라이팬의 손잡이 역시 가열되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와 더불어, 프라이팬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보관의 용이성이 떨어진다. 즉, 손잡이가 소정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보관에 따른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프라이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손잡이는 갖는 프라이팬이 개발되어 안전사고 및 보관의 용이성을 해결하고 있으나, 반면 이러한 손잡이는 대부분 내부의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에 따른 내부 부품의 마모에 의해 유격이 발생됨으로써 프라이팬과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는다.
즉, 손잡이가 프라이팬의 판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결합력이 저하되면 음식물 조리가 완료된 프라이팬의 이동과정 중 프라이팬이 슬립되어 분리되면서 떨어지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큰 화상을 입히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라이팬에는 손잡이가 예고 없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안전이 담보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라이팬몸체에 구비된 손잡이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가지면서 장기간 사용에도 손잡이가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토록 함과 더불어 손잡이가 프라이팬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잡이에 이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프라이팬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라이팬은, 둘레면 상측의 어느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프라이팬몸체와; 상기 프라이팬몸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프라이팬몸체의 둘레면 상측에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된 손잡이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수용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 전면에 돌출되며 선단에 만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의 후방으로 단차지게 걸림턱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봉으로 구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놉과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측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된 이동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봉의 상기 걸림턱이 록킹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해제수단에 의해 상기 걸림턱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판상의 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놉과 축 결합되며, 상기 회전놉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결합되어 연동되며, 일측이 편심된 상태로 편심측이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는 편심캠;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해제수단은, 상기 셔터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상부케이스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봉 형상의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셔터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삽입봉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와 상기 결합축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된 상기 셔터를 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파지부재의 외주면에는 파지의 용이성이 제공되도록 둘레를 따라 걸이홈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심캠과 접촉된 상기 슬라이더의 표면에는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된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면서 편심캠의 이탈을 방지하는 함몰된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홈의 일측에는 상기 편심캠의 계속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손잡이의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단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수용공간 상부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기 셔터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삽입봉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셔터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삽입봉과 접촉될 때 상기 셔터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곡면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상기 프라이팬 몸체의 상측에는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이 수용되는 삽입홈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이고, 상기 제2탄성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프라이팬에 의하면, 프라이팬몸체에 구비된 손잡이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가지면서 장기간 사용에도 손잡이가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토록 함과 더불어 손잡이가 프라이팬몸체로부터 예고없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손잡이에 이중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보관의 용이성과 함께 안전이 담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에 손잡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라이팬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3은 손잡이 내부에 구비된 구성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품 중 슬라이더의 반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5d는 손잡이가 프라이팬에 결합되는 과정 및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에 손잡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라이팬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3은 손잡이 내부에 구비된 구성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품 중 슬라이더의 반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프라이팬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을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팬(10)은, 둘레면 상측의 어느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01)이 형성된 프라이팬몸체(100)와; 상기 프라이팬몸체(100)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210)와,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상기 수용공간(211)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프라이팬몸체(100)의 둘레면 상측에 삽입되는 결합홈(230)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20)로 구성된 손잡이(200)와;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상기 수용공간(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41)와, 상기 슬라이더(241)의 일측 전면에 돌출되며 선단에 만곡면(243a)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243a)의 후방으로 단차지게 걸림턱(243b)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봉(243)으로 구성된 이동부재(240)와; 상기 슬라이더(24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241)를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250)와; 상기 상부케이스(2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놉(260)과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241)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241)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수단(270)과; 상기 상부케이스(220)의 일측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된 이동부재(240)가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봉(243)의 상기 걸림턱(243b)이 록킹되는 걸림홈(281)이 형성되고 해제수단(290)에 의해 상기 걸림턱(243b)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판상의 셔터(2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라이팬몸체(100)는 조리되고자 하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조리용기로써, 원형의 형상으로 둘레면 상측 어느 일면에는 프라이팬몸체(100)의 내측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관통공(101)은 후술하게 되는 이동부재(240)의 삽입봉(243)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101)이 3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프라이팬몸체(100)는 가열기구에 의해 고온의 열로 가열되어 음식물이 조리되기 때문에 그 재질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관통공(101)이 형성된 프라이팬(10) 몸체의 상측에는 후술하게 되는 손잡이(200)에 형성된 결합홈(230)이 수용되는 삽입홈(103)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결합홈(230)이 삽입홈(103)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200)가 프라이팬몸체(10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함이다.
이 경우, 삽입홈(103)의 폭은 손잡이(20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유지하는 것은 당연하다.
손잡이(200)는 음식물조리시 프라이팬몸체(100)의 원활한 핸들링과 동시에 이동에 대한 편리성이 제공되도록 프라이팬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으로써, 하부케이스(210)와 상부케이스(220)로 구성되어있다.
하부케이스(210)는 소정의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220)는 하부케이스(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케이스(210)의 상측으로 배치됨으로써 하부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1)을 밀폐시키며, 손잡이(200)의 전방 즉 프라이팬몸체(100)와 결합되는 방향에 프라이팬몸체(100)를 이루는 둘레면 상측에 삽입되는 결합홈(230)을 형성한다.
이 결합홈(230)은 상부케이스(220)가 하부케이스(210)에 결합 될 때 손잡이(200)의 전방으로 소정의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며, 이때 결합홈(230)은 프라이팬몸체(100)의 둘레면의 곡률을 따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200)의 형상 및 길이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동부재(240)는 하부케이스(210)에 형성된 수용공간(211)에 배치되어 후술하게 되는 구동수단(270)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써, 슬라이더(241)와 삽입봉(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4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공간(211)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더(241)가 손잡이(200)의 수용공간(211)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더(241)의 상.하단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241b)이 각각 형성되고, 더불어 상부케이스(220)의 하부면과 하부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1) 상부면에는 가이드홈(241b)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L)이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241)는 가이드홈(241b)과 가이드레일(L)에 의해 수용공간(211) 내부에서 손잡이(2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삽입봉(243)은 원형의 봉 형상으로 슬라이더(241)의 일측 전면 즉 프라이팬몸체(1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삽입봉(243)의 선단에는 구 형상의 만곡면(243a)이 형성되고 만곡면(243a)과 근접한 후방에는 삽입봉(243)의 내측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턱(243b)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봉(243)의 선단에 형성된 만곡면(243a)은 슬라이더(241)가 슬라이딩 되어 삽입봉(243)이 후술하게 되는 셔터(280)의 걸림홈(281)에 록킹되는 과정에서 셔터(280) 하측 단부와 접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셔터(280)가 승강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삽입봉(243)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41)의 후면 즉 삽입봉(243)이 돌출된 반대 표면에는 이탈방지홈(24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게 되는 구동수단(270)의 설명시 함께하기로 한다.
제1탄성부재(250)는 일단이 슬라이더(241)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수용공간(211)의 측벽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된 슬라이더(2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때, 제1탄성부재(250)는 인장스프링 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00)의 상측 즉 상부케이스(220)의 상측에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원형의 회전놉(260)이 배치되며, 상기의 회전놉(260)은 슬라이더(241)의 후면 측에 구비된 구동수단(270)과 결합되어 구동수단(270)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회전놉(260)의 외주연에는 회전의 용이성을 위해 널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수단(270)은 슬라이더(241)의 후면 측에 구성되어 슬라이더(241)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더(241)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써, 구동기어(271)와 종동기어(273) 및 편심캠(275)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기어(271)는 회전놉(260)과 축(263) 결합되어 하부케이스(210)의 수용공간(211)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놉(26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273)는 구동기어(271)와 동일선상에서 치합되며, 구동기어(271)의 회전시 함께 연동하게 된다.
편심캠(275)은 종동기어(273)와 결합되어 종동기어(273)의 회전과 연동되며, 일측이 편심된 상태로 편심측이 이동부재(240)의 슬라이더(241)와 접촉되어 슬라이더(241)를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즉 편심캠(275)은 회전놉(260)의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271)가 회전력을 전달받고 이 회전력이 구동기어(271)에 치합된 종동기어(273)를 회전시킴으로써 결국 종동기어(27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이동부재(240)의 슬라이더(241)를 프라이팬몸체(100)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기어(271)와 종동기어(273)는 상호 치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 연동되도록 보스(B)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편심캠(275)의 형상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편심캠(275)과 접촉된 상기 슬라이더(241)의 표면 즉 삽입봉(243)이 돌출된 반대 표면에는 편심캠(275)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된 슬라이더(24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면서 편심캠(275)의 이탈을 방지하는 함몰된 이탈방지홈(241a)이 형성되고, 이탈방지홈(241a)의 일측에는 편심캠(275)의 계속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스톱퍼(241c)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홈(241a)은 슬라이더(241)의 중심부에 두께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편심캠(275)의 편심측이 진입되도록 함으로써 편심캠(275)과 슬라이더(241)의 안정된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더불어, 편심측이 이탈방지홈(241a)에 진입된 상태임에 따라 이탈방지홈(241a)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 슬라이더(241)를 지지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된 슬라이더(24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스톱퍼(241c)는 이탈방지홈(241a)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이탈방지홈(241a)에 진입된 편심캠(275)의 편심측이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이탈방지홈(241a)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용자가 손잡이(200)에 형성된 회전놉(260)을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하는 편심캠(275)의 편심측이 스톱퍼(241c)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결국 회전놉(260)의 회전이 종료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편심캠(275)은 더 이상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슬라이더(241)를 지지함에 따라 슬라이더(241)의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더하여, 손잡이(200)에 구비된 회전놉(260)의 주변(손잡이의 상부표면)에는 회전놉(260)의 회전방향을 문자(예를 들어 풀림.잠김 등)로 표기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270)이 기어의 치합 및 편심캠(275)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래크와 피니언과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셔터(280)는 판상의 형상으로 상부케이스(220)의 일측 전방 즉 상부케이스(220)에 의해 형성된 결합홈(230)(도 2의 도면상 좌측)의 좌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라이딩 된 이동부재(24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써, 셔터(280)의 판면에는 슬라이딩 된 이동부재(240)가 고정되도록 슬라이더(241)에 구비된 삽입봉(243)의 걸림턱(243b)이 록킹되는 걸림홈(28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셔터(280)에 걸림홈(281)을 형성함으로써 걸림홈(281)으로 진입하는 삽입봉(243)에 의해 셔터(280)가 상승하게 되며 삽입봉(243)의 진입이 완료되면 셔터(280)가 하강하면서 걸림홈(281)이 삽입봉(243)에 형성된 걸림턱(243b)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이동부재(240)의 슬라이딩 된 상태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걸림홈(281)의 위치는 이동부재(240)의 슬라이더(241)에 구비된 삽입봉(243)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때, 셔터(280)의 하측 단부에는 슬라이더(241)의 삽입봉(243)과 접촉될 때 셔터(280)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곡면(283)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라이더(241)가 슬라이딩 될 때 삽입봉(243)의 선단에 형성된 만곡면(243a)이 셔터(280)의 하측 단부의 곡면(283)을 밀도록 함으로써 셔터(280)가 무리 없이 상승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280)의 형상을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부케이스(220)에 구비된 셔터(28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더(241)의 삽입봉(243)이 수용되는 수용홈(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셔터(280)에 록킹된 삽입봉(243) 선단의 만곡면(243a)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홈(221)이 삽입봉(243)의 개수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으며 삽입봉(243)이 수용되는 일체화된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셔터(280)에는 해제수단(290)이 구비된다.
해제수단(290)은 셔터(280)의 걸림홈(281)에 록킹된 삽입봉(243)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결합축(291)과 파지부재(293) 및 제2탄성부재(295)로 구성된다.
결합축(291)은 셔터(280)의 상측으로부터 상부케이스(220)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케이스(220)를 관통하는 봉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선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재(293)는 결합축(291)의 나사산과 결합된 상태로 상부케이스(2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셔터(280)를 승강시킴으로써 삽입봉(243)의 록킹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파지부재(293)의 외주면에는 파지의 용이성이 제공되도록 둘레를 따라 걸이홈(293a)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부재(295)는 파지부재(293)와 결합축(291)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된 셔터(280)를 복귀시키게 된다. 정확하게는 파지부재(293)에 의해 셔터(280)가 승강(상승)할 때 제2탄성부재(295)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파지부재(293)의 파지 해제시 압축된 제2탄성부재(295)의 반발력에 의해 셔터(280)가 하강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2탄성부재(295)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제수단(290)은 파지부재(293)에 의해 셔터(280)가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삽입봉(243)의 록킹상태가 손쉽게 해제되도록 하는 용이성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프라이팬(10)의 구성 중 손잡이(200)가 프라이팬몸체(100)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5d는 손잡이(200)가 프라이팬(10)에 결합되는 과정 및 구동기어(271)와 종동기어(273)의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이다.
먼저, 프라이팬몸체(100)에 손잡이(20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자는 도 5a와 같이 손잡이(200)를 파지한 상태로 손잡이(200)의 결합홈(230)과 프라이팬몸체(100)의 삽입홈(103)을 일치시킨다. 이때, 구동기어(271)와 종동기어(273)는 회전하지 않은 상태이고, 편심캠(275)의 일측은 슬라이더(241)와 접촉만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도 5b와 같이 손잡이(200)를 하강하여 손잡이(200)의 결합홈(230)을 프라이팬몸체(100)의 삽입홈(103)에 삽입하면서 끼우면서 일차적인 결합을 이룬다.
결합홈(230)과 삽입홈(103)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나면 이용자는 도 5c와 같이 회전놉(260)을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회전놉(26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놉(260)의 하측에 구비된 구동기어(271)가 연동하게 되고, 구동기어(271)의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271)와 치합된 종동기어(273)도 회전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종동기어(273)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24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편심캠(275)도 역시 회전을 하게 되면서 슬라이더(241)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밀면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241)와 연결된 제1탄성부재(250)는 슬라이더(241)의 슬라이딩에 의해 신장 된다.
더불어, 슬라이더(241)가 슬라이딩 되는 과정에서 삽입봉(243) 선단의 만곡면(243a)이 프라이팬몸체(100)에 형성된 관통공(101)을 관통하면서 셔터(280) 하측의 곡면(283)과 접촉을 이루게 되고, 계속되는 슬라이더(241)의 슬라이딩에 의해 만곡면(243a)이 셔터(280)의 곡면(283)을 밀면서 진입함에 따라 셔터(280)는 자연스럽게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상승을 하게 된다.
이때, 셔터(28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파지부재(293)와 셔터(280)의 결합축(291) 사이에 개재된 제2탄성부재(295)는 셔터(280)의 상승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슬라이더(241)의 슬라이딩이 계속 이루어지면 도 5d와 같이 삽입봉(243)의 만곡면(243a)이 셔터(280)를 지나면서 수용홈(221)에 수용됨과 동시에 만곡면(243a)에 의해 밀려 상승한 셔터(280)가 만곡면(243a)과의 접촉이 해제됨으로 인해 제2탄성부재(295)의 압축력이 풀리게 되어 순간 하강하면서 셔터(280)의 걸림홈(281)이 만곡면(243a)의 후방에 형성된 걸림턱(243b)에 끼워져 삽입봉(243)을 록킹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손잡이(200)는 프라이팬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반대로, 프라이팬몸체(100)로부터 손잡이(2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이용자는 회전놉(260)을 앞서 서술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편심캠(275)을 최초위치(도 5b 상태)로 회전시킨다.
이때, 편심캠(275)은 최초위치로 복귀되었지만 슬라이더(241)는 도 5d 상태로 머물러 있게 된다. 이는, 슬라이더(241)의 삽입봉(243)이 셔터(280)에 의해 록킹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즉, 손잡이(200)가 프라이팬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상태인데, 예를 들어 이용자가 실수로 회전놉(260)을 회전시켰더라도 해제수단(290)에 의해 셔터(280)가 삽입봉(243)을 록킹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장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이용자가 해제수단(290)의 파지부재(293)를 파지한 상태로 상측방향으로 끌어올리면 파지부재(293)와 결합축(291)에 의해 결합된 셔터(280)가 상승하게되고, 계속적인 셔터(280)의 상승에 의해 삽입봉(243)의 걸림턱(243b)에 끼워진 걸림홈(281)이 이탈되는 순간 삽입봉(243)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면서 신장 되었던 제1탄성부재(25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241)가 도 5b 상태로 복귀되어 프라이팬몸체(100)로부터 손잡이(200)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팬은, 프라이팬몸체에 구비된 손잡이가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가지면서 장기간 사용에도 손잡이가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토록 함과 더불어 손잡이가 프라이팬몸체로부터 예고없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에 이중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안전이 담보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손잡이가 착탈됨에 따라 보관의 용이성과 함께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라이팬몸체의 형상, 관통공 및 삽입봉의 개수, 손잡이의 형상 및 구조, 이동부재의 슬라이딩 방법, 삽입봉의 형상 및 셔터의 형상, 구동수단의 구조, 편심캠의 형상, 해제수단의 구조, 탄성부재의 종류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프라이팬 100 : 프라이팬몸체
101 : 관통공 103 : 삽입홈
200 : 손잡이 210 : 하부케이스
211 : 수용공간 220 : 상부케이스
221 : 수용홈 230 : 결합홈
240 : 이동부재 241 : 슬라이더
241a : 이탈방지홈 241b : 가이드홈
241c : 스톱퍼 243 : 삽입봉
243a : 만곡면 243b : 걸림턱
250 : 제1탄성부재 260 : 회전놉
263 : 축 270 : 구동수단
271 : 구동기어 273 : 종동기어
275 : 편심캠 280 : 셔터
281 : 걸림홈 283 : 곡면
290 : 해제수단 291 : 결합축
293 : 파지부재 293a : 걸이홈
295 : 제2탄성부재 L : 가이드레일
B : 보스

Claims (10)

  1. 둘레면 상측의 어느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01)이 형성된 프라이팬몸체(100)와;
    상기 프라이팬몸체(100)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하부케이스(210)와,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상기 수용공간(211)을 밀폐시키면서 상기 프라이팬몸체(100)의 둘레면 상측에 삽입되는 결합홈(230)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220)로 구성된 손잡이(200)와;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상기 수용공간(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41)와, 상기 슬라이더(241)의 일측 전면에 돌출되며 선단에 만곡면(243a)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면(243a)의 후방으로 단차지게 걸림턱(243b)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봉(243)으로 구성된 이동부재(240)와;
    상기 슬라이더(24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241)를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250)와;
    상기 상부케이스(2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놉(260)과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241)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241)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수단(270)과;
    상기 상부케이스(220)의 일측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된 이동부재(240)가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봉(243)의 상기 걸림턱(243b)이 록킹되는 걸림홈(281)이 형성되고 해제수단(290)에 의해 상기 걸림턱(243b)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판상의 셔터(2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70)은,
    상기 회전놉(260)과 축(263) 결합되며, 상기 회전놉(26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271)와;
    상기 구동기어(271)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기어(271)와 연동하는 종동기어(273)와;
    상기 종동기어(273)와 결합되어 연동되며, 일측이 편심된 상태로 편심측이 상기 이동부재(240)의 상기 슬라이더(241)와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더(241)를 슬라이딩시키는 편심캠(27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290)은,
    상기 셔터(280)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상부케이스(220)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봉 형상의 결합축(291)과;
    상기 결합축(291)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상부케이스(2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셔터(280)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삽입봉(243)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파지부재(293)와;
    상기 파지부재(293)와 상기 결합축(291)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된 상기 셔터(280)를 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29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293)의 외주면에는 파지의 용이성이 제공되도록 둘레를 따라 걸이홈(293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275)과 접촉된 상기 슬라이더(241)의 표면에는 상기 편심캠(275)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된 상기 슬라이더(24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면서 편심캠(275)의 이탈을 방지하는 함몰된 이탈방지홈(241a)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홈(241a)의 일측에는 상기 편심캠(275)의 계속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스톱퍼(241c)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41)가 상기 손잡이(200)의 상기 수용공간(211)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더(241)의 상.하단에는 가이드홈(241b)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20)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상기 수용공간(211) 상부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41b)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L)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20)의 상기 셔터(28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241)의 상기 삽입봉(243)이 수용되는 수용홈(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280)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241)의 상기 삽입봉(243)과 접촉될 때 상기 셔터(280)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곡면(28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01)이 형성된 상기 프라이팬(10) 몸체의 상측에는 상기 손잡이(200)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230)이 수용되는 삽입홈(10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250)는 인장스프링이고, 상기 제2탄성부재(295)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10).
KR1020110130399A 2011-12-07 2011-12-07 프라이팬 KR10115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399A KR101152882B1 (ko) 2011-12-07 2011-12-07 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399A KR101152882B1 (ko) 2011-12-07 2011-12-07 프라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882B1 true KR101152882B1 (ko) 2012-06-08

Family

ID=4668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399A KR101152882B1 (ko) 2011-12-07 2011-12-07 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582A (ko) 2020-12-14 2022-06-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식 손잡이를 갖춘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0605U (ko) 1978-09-29 1980-04-03
KR101037656B1 (ko) 2010-04-02 2011-05-27 서정덕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0605U (ko) 1978-09-29 1980-04-03
KR101037656B1 (ko) 2010-04-02 2011-05-27 서정덕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582A (ko) 2020-12-14 2022-06-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식 손잡이를 갖춘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06356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US7849777B1 (en) Firearm with an improved breech bolt assembly
KR101248661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085764B1 (ko) 조리용기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되는 손잡이
JP2011513025A (ja) 調理容器の着脱型取手
KR20110096999A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152882B1 (ko) 프라이팬
JP6178922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両手取っ手
US8667893B2 (en) Side door switching mechanism for a toaster
KR10138889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00211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303457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241745B1 (ko)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20040043798A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268172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JP5635197B2 (ja) 着脱式ハンドル
KR101520321B1 (ko)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JP2007007372A (ja) 串刺し食品焼成装置とその串ホルダ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50014401A (ko) 탈부착형 손잡이
KR101598300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2001029246A (ja) 調理容器把持のためのハンドル
KR20100028676A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101105791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