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373B1 -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373B1
KR101152373B1 KR1020050006668A KR20050006668A KR101152373B1 KR 101152373 B1 KR101152373 B1 KR 101152373B1 KR 1020050006668 A KR1020050006668 A KR 1020050006668A KR 20050006668 A KR20050006668 A KR 20050006668A KR 101152373 B1 KR101152373 B1 KR 101152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pipe assembly
dry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822A (ko
Inventor
공태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373B1/ko
Priority to US11/337,795 priority patent/US7383645B2/en
Publication of KR2006008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아우터 파이프와, 상기 아우터파이프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이너파이프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그 설치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배기관 어셈블리의 방향전환이 가능토록 연결되는 엘보 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부품 공용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배기식 건조기, 배기관, 배기관 어셈블리, 아우터 파이프, 이너 파이프

Description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Air-pipe assembly for drying cloth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관 어셈블리가 장착된 배기식 건조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 어셈블 리가 장착된 배기식 건조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 파이프와 아우터 파이프의 일예가 확대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파이프와 아우터 파이프의 다른예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케이스 52 : 배기구
60 : 배기관 어셈블리 62 : 아우터 파이프
63 : 걸림돌기 64 : 이너 파이프
65 : 걸림턱부 66 : 엘보 파이프
68 : 걸림턱 69 : 연결부
70 : 주름부 72 : 알루미늄 테이프
W : 벽
본 발명은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포장이 편리한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드럼 내부로 송풍하여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고, 세탁물에서 증발된 습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구분된다.
배기식 건조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한 후 가열된 열풍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세탁물에서 발생된 습공기를 드럼에서 건조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응축식 건조기는 상기 세탁물에서 발생된 습공기를 응축기에 의해 응축시킨 후 재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순환방식을 채택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관 어셈블리가 장착된 배기식 건조기의 측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식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고, 배출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2)가 형성 된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일면에 돌출되어 배출공기가 안내되는 배기관 어셈블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20)는 상기 배기구(12)의 외주면에 클램프등으로 연결되고 배출공기가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실외로 연장되는 자바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20)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관을 테이프로 접합하거나, 길이가 긴 직관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자바라로 구성되었을 경우, 그 설치가 쉬운 반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관이나 길이가 긴 직관을 사용하였을 경우, 테이프의 접합상태에 따라 배출공기가 실내로 배출되거나, 관의 방향전환이 불가능해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기관 어셈블리의 높이 조절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한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포를 건조시킨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도록 배기식 건조기에 연결된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는 아우터 파이프와, 상기 아우터 파이프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이너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그 방향전환이 가능토록 연결되는 엘보 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에는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 및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 파이프의 끝단에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걸림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 어셈블리가 장착된 배기식 건조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 파이프와 아우터 파이프의 일예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 파이프와 아우터 파이프의 다른 예가 확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를 건조시킨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도록 배기구(52)가 일측에 형성된 캐비닛(50)과, 상기 배기구(52)에 연결되어 배출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관 어셈블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60)는 아우터 파이프(62)와, 상기 아우터 파이프(62)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이너 파이프(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60)는 그 방향전환이 가능토록 연결되는 엘보 파이프(6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엘보 파이프(66)는 양단에 연결부(69)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벤딩가능하게 형성된 주름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69)는 상기 배기구(52) 또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62) 및 이너 파이프(64)에 연결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관으로써, 상기 연결부(69)는 상기 배기구(52)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62) 및 이너 파이프(6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파이프(62) 및 이너 파이프(64)와 배기구(52)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직각으로 벤딩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50)은 하측에 상기 배기구(52)가 배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배기구(52)에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60)가 연통될 수 있도록 벽면(W)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62)는 직관으로써, 상기 이너 파이프(64)가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상기 이너 파이프(64)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파이프(6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내둘레면에 상기 이너 파이프(6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6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 파이프(64)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62)의 내측에 끼움되고, 상기 이너 파이프(64)의 타단 외둘레면에는 길이 가변시 상기 걸림돌기(63)에 걸림되는 걸림턱부(65)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의 다른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 파이프(64)의 끝단에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62)의 내경 보다 큰 걸림턱(6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68)은 상기 아우터 파이프(62)와 이너 파이프(64)의 길이 조절이 가능토록 상기 아우터 파이프(62)와 상하로 걸림된다.
한편, 상기 아우터 파이프(62) 및 이너 파이프(64)와 앨보 파이프(66)등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60)의 각 연결부위에는 배출공기의 누설을 방지토록 알루미늄 테이프(72)가 테이핑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의 체결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배기구(52)의 외둘레면에 상기 엘보 파이프(66)의 연결부(69)를 끼우고, 클램프등의 체결부재로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엘보 파이프(66)가 상기 엘보 파이프(66)의 상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아우터 파이프(62) 및 이너 파이프(64)에 끼움되도록 상기 주름부(70)를 벤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연결부(69)를 상기 아우터 파이프(62) 및 이너 파이프(64)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아우터 파이프(62)의 내측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기 이너 파이프(64)를 인출하여, 상기 걸림턱부(65)와 상기 걸림돌기(63)가 걸림될 때까지 하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또한, 상기 걸림턱(68)을 잡아 상기 아우터 파이프(62)의 상측으로 인출시켜 상기 이너 파이프(64)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62)의 상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너 파이프(64)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62)의 상,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되어 상기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60)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엘보우 파이프(66)와 상기 아우터 파이프(62) 및 이너 파이프(64)의 연결부위 각각에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72)를 테이핑시키면,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60)를 지나는 배출공기의 누설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아우터 파이프와, 상기 아우터파이프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이너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의 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점 이 있다.
또한, 상기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그 방향전환이 가능토록 연결되는 엘보 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부품 공용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에는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 및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파이프 및 이너 파이프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의 설치에 따른 작업공수가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너 파이프의 끝단에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경보다 큰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파이프 및 이너 파이프가 중첩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운반시 포장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포를 건조시킨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도록 배기식 건조기에 연결된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 어셈블리는 아우터 파이프와, 상기 아우터 파이프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이너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파이프의 끝단에는 상기 아우터 파이프의 내경보다 큰 크기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는 그 방향전환이 가능토록 연결되는 엘보 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에는 상기 이너 파이프가 상기 아우터 파이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 및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4. 삭제
KR1020050006668A 2005-01-25 2005-01-25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KR101152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668A KR101152373B1 (ko) 2005-01-25 2005-01-25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US11/337,795 US7383645B2 (en) 2005-01-25 2006-01-24 Dryer exhaust pipe with different rim siz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668A KR101152373B1 (ko) 2005-01-25 2005-01-25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822A KR20060085822A (ko) 2006-07-28
KR101152373B1 true KR101152373B1 (ko) 2012-06-05

Family

ID=3717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668A KR101152373B1 (ko) 2005-01-25 2005-01-25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82Y1 (ko) * 2013-04-16 2017-07-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환기팬 핸들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822A (ko)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645B2 (en) Dryer exhaust pipe with different rim size
US5042172A (en) Clothes dryer with flexible exhaust duct system
US5970623A (en) Dryer vent connection
JP6411817B2 (ja) 布団乾燥機
JP2008289886A (ja) 衣類乾燥装置
US6363627B1 (en) Clothes dryer
US20060272173A1 (en) Laundry dryer
US20100095548A1 (en) Heat exchanger module and ductless dryer having the same
KR101152373B1 (ko) 배기식 건조기의 배기관 어셈블리
US20130180121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drying function
EP1966428B1 (en) A dryer
CN113265861A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TWI642887B (zh) Quilt dryer and blowing unit
KR101152374B1 (ko) 배기식 건조기
US7891709B2 (en) Sealing member for exhaust pipe of dryer
JP2014087447A (ja) ふとん乾燥機
KR101100314B1 (ko) 배기식 건조기
EP0071312A1 (en) Tumble drier
US9638465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drying function
KR20080022412A (ko) 건조기 배기관의 실링 부재
JPH0131179Y2 (ko)
CN108252059B (zh) 一种干衣机排气管组件及干衣机
AU2019101359A4 (en) Intelligent home clothes hanging and drying machine
JP2008220447A (ja) 室内用物干し装置
KR20080022413A (ko) 개구부 막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