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837B1 -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837B1
KR101151837B1 KR1020110118483A KR20110118483A KR101151837B1 KR 101151837 B1 KR101151837 B1 KR 101151837B1 KR 1020110118483 A KR1020110118483 A KR 1020110118483A KR 20110118483 A KR20110118483 A KR 20110118483A KR 101151837 B1 KR101151837 B1 KR 10115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using
nut
screw bol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Priority to KR102011011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나 기차에 설치되는 LED램프의 하우징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밑판하우징과 커버하우징으로 형성된 LED램프 하우징을 서로 겹쳐서 결합시킬 때, 스크류볼트와 체결너트를 이용하여 스크류 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체결너트에 끝단을 끼운 상태에서 스크류볼트를 회전시켜도 상기 체결너트는 회전하는 일이 없도록 별도의 회전락커버를 결합시켰으며,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체결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the connect structure of LED lamp housing in train}
본 발명은 전동차나 기차에 설치되는 LED램프의 하우징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밑판하우징과 커버하우징으로 형성된 LED램프 하우징을 서로 겹쳐서 결합시킬 때, 스크류볼트와 체결너트를 이용하여 스크류 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체결너트에 끝단을 끼운 상태에서 스크류볼트를 회전시켜도 상기 체결너트는 회전하는 일이 없도록 별도의 회전락커버를 결합시켰으며,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체결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차량이 연결된 열차의 경우 LED 램프를 사용하여 객실의 점등을 하고 있다. 이러한 LED램프는 다수의 LED램프(=전구)를 다수개 내장하고 작은 량의 전력을 통해서 큰 조도를 밝힐 수 있기에 즐겨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LED램프의 경우 종래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하여 다른 점이 있는데, 그것이 그 길이와 부피이다. LED램프의 경우, 길이는 많은 량의 LED전구를 서로 연결할 수 있기에 길이가 길수록 유리하며, 부피는 LED램프의 두께가 크지 않기에 작은 부피로도 종래 형광등에 비하여 높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과 같은 LED램프는 밑판하우징의 내측에 LED램프패널을 장착하고, 이 상부로 커버하우징을 덮어 견고하게 체결하는 방식으로 마감을 한다.
종래의 형광등이나 백열등 하우징은 형광등의 교환이나 백열등의 교환이 잦고 하나가 꺼지면 그 조도는 현저히 떨어지지만 본 발명과 같은 LED램프의 경우 그 하나의 램프가 나가게 되도 조도에 막대한 지장을 주지 않기에 내구성이 높은 편이다. 결국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과 같은 LED램프 하우징의 체결은 볼트를 통해 강하게 조여 체결을 완성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하우징 체결에는 도시된 도 1과 같은 볼트를 이용하였다. 즉, 밑판하우징(1)의 하단에서 포개어 덮게 되는 커버하우징(2)이 있는데, 이들을 회전걸림부(6)를 가진 스크류볼트(5)를 통해서 체결하는 방식이다. 외주면에 별도의 스크류가 형성된 형태가 아니고, 최 상단에 스크류의 몸체 지름에 비하여 넓은 편의 형태의 회전걸림부(6)를 형성하고, 이 회전걸림부(6)가 커버하우징(2)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들어가 밑판하우징(1)의 관통공에 끼워지고 걸리는 형태로 체결되는 것이다.
밑판하우징(1)의 관통공에는 절곡된 너트플레이트(3)가 형성되는데, 일반적인 너트와는 달리 관통공의 외곽부분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쐐기(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관통공도 상기 스크류볼트(5)의 끝단 회전걸림부(6)가 관통될 수 있는 넓은 지름과 더 좁은 지름의 구멍이 서로 연결된 형태의 구멍이다. 다시 말해서 일측으로 길이가 길어진 장형의 구멍인 것이다. 이 관통공에 삽입된 스크류볼트(5)의 회전걸림부(6)는 회전하여 일정한 각도로 돌아가게 되면 회전걸림부(6)가 관통공의 내주면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유도한다. 또한 이러게 일단 걸리면 의도치 않고는 상기 스크류볼트(5)를 빼지 못하도록 회전걸림부(6)의 회전을 차단하도록 도시된 걸림쐐기(4)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체결구조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내구성이 높아 잦은 수리를 필요치 않지만, 그래도 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류볼트(5)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스크류볼트(5)의 머리 형상을 하고 있지만, 90도 각도로 회전시켜야만 하는 이 스크류볼트(5)의 사용법을 모르고, 수리자는 일반 스크류와 같이 많은 회전을 위해서 강한 힘을 주기에 파손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작업자는 체결이 완벽하게 된 것인지 판단이 서지 않아 체결에 안심을 할 수 없다. 결국 다시 조이는 과정에서 스크류볼트(5)와 걸림쇄기(4)는 파손이 된다.
본 발명은 전동차나 기차에 설치되는 LED램프의 하우징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밑판하우징과 커버하우징으로 형성된 LED램프 하우징을 서로 겹쳐서 결합시킬 때, 스크류볼트와 체결너트를 이용하여 스크류 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체결너트에 끝단을 끼운 상태에서 스크류볼트를 회전시켜도 상기 체결너트는 회전하는 일이 없도록 별도의 회전락커버를 결합시켰으며,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스크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체결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는,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밑판하우징(70)의 일측에 형성된 4각의 체결공(71); 밑판하우징(70)에 대응하는 커버하우징(60)의 일측에 상기 체결공(71)에 대응하는 원형의 대응체결공(61)이 형성된 커버하우징(60); 상기 커버하우징(60)의 하단에서 대응체결공(61)의 상부로 관통하여 체결공(71)까지 올라선 스크류볼트(20); 스크류볼트(20)의 머리(21)와 커버하우징(60)의 대응체결공(61)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크류볼트(20)의 외주면에 끼워진 와셔(24); 상기 밑판하우징(70)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체결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크류볼트(20)가 너트(50)에 스크류 결합하여 하우징을 체결하되, 스크류(23) 회전시 너트(5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락커버(40)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에 따른, 회전락커버(40)는, 4각의 너트(50)를 감싸도록 평판을 절단하고 절곡하여 커버를 형성하되, 좌우 양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편(45)이 4각의 체결공(71) 내주면 중 2개의 면에 면접되어 스크류(23) 회전시 너트(4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 회전락커버(40)는, 밑판(42)으로 4각 너트(50)의 저면과 면접하되 관통공(41)이 형성되어 너트(50)의 스크류공(51)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하고, 밑판(42)에서 좌우 양측면으로 상승한 지지판부(43) 상단이 꺽여 너트(50)의 상면을 감싼 후 상부로 절곡된 지지편(45)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밑면(42)의 4개의 변 중 지지판부(43)의 타측 2곳의 변부에서 좌우 양쪽에 각각 꺾여져 너트(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부(44)를 가지도록 형성하며 : 지지편(45)의 높이는 4각 체결공(71)의 두께와 동일 내지 유사한 높이로 하되, 지지편(45)의 상단을 꺽어 체결공(71)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편(46)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에 따른, 지지편(45)의 높이는 4각 체결공(71)의 두께와 동일 내지 유사한 높이로 하되, 지지편(45)의 상단을 절곡하여 체결공(71)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하는 라운딩 클릭부(48)를 형성하고 : 스크류볼트(20)의 스크류(23)는 그 몸체(22)에 비하여 큰 지름을 형성하도록 하고, 몸체(22)의 지름에 유사한 크기의 연통공(31)이 형성된 일측이 개방된 비틀림와셔(30)를 스크류볼트(20) 몸체(22)에 끼워 체결공(71)과 대응체결공(6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크류볼트(20)가 중력을 통해서 커버하우징(60)의 하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며 : 스크류볼트(20)의 비틀림와셔(30) 하단과 커버하우징(60)의 대응체결공(61)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크류볼트(20)의 외주면에 끼워진 탄성스프링(80)을 형성하여 스크류볼트(20)가 항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에 따른, 너트(50)는 스텐 재질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LED램프의 하우징을 강하게 조일 수 있기에 체결의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커버하우징을 해체하고 내부의 LED램프를 점검할 때에도 스크류볼트를 용이하게 풀을 수 있으며, 조이는 과정에서도 너트를 손이나 랜치로 잡고 회전하지 않아도 되기에 해체와 체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스크류볼트와 너트를 통해서 장착한 실시예에서 발생되던 잦은 유지와 보수 과정에서 발생되는 너트의 불량을 간단히 또 다른 너트를 교체하는 형태로 수정할 수 있기에 작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LED램프의 하우징인 밑판하우징과 커버하우징의 체결을 위한 스크류볼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볼트와 너트 및 회전락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밑판하우징과 커버하우징이 스크류볼트와 너트를 통해서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과는 다른 실시예의 회전락커버로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락커버를 평면과 다른 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락커버의 저면과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락커버의 정면과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럼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가장 간단한 구조로부터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밑판하우징(70)의 일측에 형성된 4각의 체결공(71)이 있고, 밑판하우징(70)에 대응하는 커버하우징(60)의 일측에 상기 체결공(71)에 대응하는 원형의 대응체결공(61)이 형성된 커버하우징(60)이 있으며, 상기 커버하우징(60)의 하단에서 대응체결공(61)의 상부로 관통하여 체결공(71)까지 올라선 스크류볼트(20)가 있다. 또한 스크류볼트(20)의 머리(21)와 커버하우징(60)의 대응체결공(61)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크류볼트(20)의 외주면에 끼워진 와셔(24)가 있고, 상기 밑판하우징(70)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체결너트(5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스크류볼트(20)가 너트(50)에 스크류 결합하여 하우징을 체결하되, 스크류(23) 회전시 너트(5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락커버(40)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밑판하우징(70)에 형성된 4각의 체결공(71), 커버하우징(60)에 형성된 대응체결공(61), 스크류볼트(20), 와셔(24) 및 체결너트(50)이다. 본 발명을 완벽하게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은 체결공(71)이 4각형이어야 하고, 또 그 사각형의 형태가 정사각형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이 체결공(71)에 맞는 체결너트(50)를 4각형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이다. 체결너트(50)는 상기 체결공(71)에 비하여 넓은 넓이를 갖고 있기에, 도시된 도면에서 체결공(71)의 상부에 안착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71)에 대응하는 커버하우징(60)의 대응체결공(61)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체결스크류(20)가 관통하여 올라가야 하기에 그 몸체(22)의 지름에 맞는 원형의 공이어야 한다.
이러한 체결공(71)과 대응체결공(61)을 체결스크류(20)를 통해서 체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체결스크류(20)를 커버하우징(60)의 하단에서부터 대응체결공(61)을 관통하고 상승시킨다. 체결스크류(20)의 끝단이 상부로 올라가 밑판하우징(70)의 체결공(71)을 관통하고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체결스크류(20)의 머리(21)에는 도시된 와셔(24)가 끼워진 상태이다. 이 와셔(24)는 체결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진동에 의해서 체결스크류(20)가 풀리지 않도록 유도한다. 한편이 와셔(24)는 일측이 찢어진 비틀림와셔를 끼워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스크류(20)의 끝단 부분 즉, 밑판하우징(70)의 체결공(71) 상부에는 체결너트(50)가 올려지는데, 이 체결너트(50)의 스크류공(51)에 체결스크류(20)의 스크류부(23)가 끼우져 체결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체결구조에서의 특이한 점은 이러한 상기 하우징의 체결방식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체결스크류(20)는 회전을 통해서 체결너트(50)의 스크류공(51)에 스크류 결합을 한다. 이때 중요한 사항은 본 발명의 체결너트(50)는 밑판하우징(70)의 상부에서 체결스크류(20)는 커버하우징(60)의 하부에서 서로 간격을 조이며 양자 하우징을 견고히 체결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체결스크류(20)의 스크류부(23)가 체결너트(50)의 스크류공(51)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이기 위해 회전을 하면 상기 체결너트(50)는 같이 회전을 하여 체결스크류(20)를 죄기 힘들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은 LED램프 하우징의 경우 밑판하우징(70)이 벽면이나 천장에 밀착되어 손가락이 들어갈 공간이 없다. 렌치를 넣어서 체결스크류(20)를 잡고 회전시키기 어려운 것이다. 결국 체결너트(50)가 체결스크류(2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여 체결이 어려울 소지가 많은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체결스크류(20)를 감싸는 별도의 회전락커버(40)를 통해서 해결하였다. 이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뒤에서 한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락커버(40)는, 4각의 너트(50)를 감싸도록 평판을 절단하고 절곡하여 커버를 형성하되, 좌우 양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편(45)이 4각의 체결공(71) 내주면 중 2개의 면에 면접되어 스크류(23) 회전시 너트(4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주요한 요부인 상기 회전락커버(40)는 4각의 체결너트(50)를 감싸도록하고, 그 끝단을 절곡이나 다른 형태로 돌출시켜서 밑판하우징(70)의 체결공(71) 내주면에 끼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밑판하우징(70)의 체결공(71)은 4각형이고, 4각의 체결너트(50)에 비하여 넓이가 작다. 따라서 견고한 금속제의 회전락커버(40)를 절곡하여 체결너트(50)를 감싸고 그 끝단(=지지편; 45)을 체결공(71)에 끼워 넣어 회전을 방지시킨 것이다. 이 상태에서 체결스크류(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스크류(20)의 스크류부(23)가 체결너트(50)의 체결공(51)에 삽입될 때에도 체결너트(50)가 회전하지 않아 작업자는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체결공(71)의 내주면에 끼워져 체결너트(50)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편(45)이 주요한 구성인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모든 형태의 회전락커버(40)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된다.
그럼 이러한 회전락커버(40)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된 도 2 내지 7을 통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상기 회전락커버(40)는, 밑판(42)으로 4각 너트(50)의 저면과 면접하되 관통공(41)이 형성되어 너트(50)의 스크류공(51)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하고, 밑판(42)에서 좌우 양측면으로 상승한 지지판부(43) 상단이 꺽여 너트(50)의 상면을 감싼 후 상부로 절곡된 지지편(45)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밑면(42)의 4개의 변 중 지지판부(43)의 타측 2곳 변부에서 좌우 양쪽에 각각 꺾여져 너트(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부(44)를 가지도록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회전락커버(40)는 도시된 도 2 내지 5에서처럼, 사각의 체결너트(50)를 감쌀 수 있도록 하나의 플레이트를 펀칭하여 일정한 형태로 절단을 한다. 그리고 이를 절곡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절곡의 방식은 밑판(42)을 형성하여 사각의 체결너트(50)의 일측면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도, 중심부에 체결너트(50)의 스크류공(51)에 비하여 넓은 구멍의 관통공(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밑판(42)의 4개의 변 중 마주보는 대응하는 변부를 절곡하여 상부로 접어 올려, 지지판부(43)를 형성하는 것이다. 바로 이 지지판부(43)가 체결너트(5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절곡된 지지판부(43)의 끝단은 다시 절곡하여 체결너트(50)의 상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수직된 방향으로 상승하여 지지편(45)부를 형성한다. 이 지지편(45)부가 본 발명에서는 아주 중요하다. 이 지지편(45)부는 도시된 체결공(71)의 내주면에 끼일 수 있는 위치에서 절곡하여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회전락커버(40)의 또 다른 중요한 사항은 스톱퍼부(44)에 있다. 이 스톱퍼부(44)는 도시된 것처럼 밑판의 지지판부(43)가 상승한 변을 제외한 2개의 변의 상부로 상승된 부분을 칭한다. 이 부분은 크게 상승할 필요가 없이 체결너트(50)가 이 변부분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약간 돌출시키는 상태로 형성한다. 좌우 양쪽에 2개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결국 이러한 회전락커버(40)를 통해서 체결너트(50)를 감싸고, 회전락커버(40)의 지지편(45)을 체결공(71)의 내주면에 끼워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완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편(45)의 높이는 4각 체결공(71)의 두께와 동일 내지 유사한 높이로 하되, 지지편(45)의 상단을 꺽어 체결공(71)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편(46)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편(45)은 상기 체결공(71)의 내주면과 면접시키데, 체결공(71)에 끼워져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 지지편(45)이 너무 길다면 재료비가 많이 발생되고, 너무 짧다면 견고하게 체결공(71)에 밀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기술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상기 체결공(71)의 두께와 지지편(45)의 높이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맞춘 것이다.
그리고 더욱 중요하게는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체결공(71)의 내주면을 끼고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지지편(45)의 끝단에서 외부로 꺽어지는 별도의 걸림편(46)을 형성한다. 이 걸림편(46)에 의해서 상기 지지편(45)과의 절곡부위는 "ㄷ"자의 형태가 되는데, 이 걸림편(46)과 지지편(45)의 연결부위는 체결공(71)의 내주면을 감싸게 되어 일단 끼우게 되면 빠지지 않게 된다. 회전락커버(40)로 감싸진 체결너트(50)를 체결공(71)에 끼울 때, 사용하는 방법은 회전락커버(40)의 끝단인 걸림편(46) 일측을 체결공(71)의 내주면에 끼우고 타측의 걸림편(46)을 대응하는 체결공(71)의 내주면에 끼우는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만일 이렇게 끼워진 회전락커버(40)가 체결너트(50)를 수용한다면, 체결스크류(20)의 회전을 통해서 체결너트(50)가 회전하지 않기에 보다 안정된 체결을 담보할 수 있다. 지지편(45)이 체결공(71)의 내주면과 밀착되고, 꺽어진 걸림편(46)이 체결공(71)의 내주면 내측으로 깊숙이 삽입되어 움켜잡기 때문이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의 회전락커버(40)가 도시된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편(45)의 높이는 4각 체결공(71)의 두께와 동일 내지 유사한 높이로 하되, 지지편(45)의 상단을 절곡하여 체결공(71)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하는 라운딩 클릭부(48)를 형성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걸림편(46)을 없애고, 지지편(45)의 끝단을 라운드지게 말아놓은 라운딩 클릭부(48)를 형성하는 것이다. 라운딩 클릭부(48)는 체결공(71)에 끼워질 때, 클릭감을 주면서 삽입되어 체결공(71)의 내주면 끝단에 끼워져 빠지지 않는 결합구조를 달성한다. 전술된 실시예와 모든 목적과 효과가 동일하지만 물리적인 구조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스크류볼트(20)의 스크류(23)는 그 몸체(22)에 비하여 큰 지름을 형성하도록 하고, 몸체(22)의 지름에 유사한 크기의 연통공(31)이 형성된 일측이 개방된 비틀림와셔(30)를 스크류볼트(20) 몸체(22)에 끼워 체결공(71)과 대응체결공(6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크류볼트(20)가 중력을 통해서 커버하우징(60)의 하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도 2 내지 4에서처럼, 비틀림와셔(30)를 스크류볼트(20)의 몸체(22)에 끼워 체결하는 방식이다. 이 비틀림와셔(30)의 끼워지는 위치도 중요한데, 밑판하우징(70)의 체결공(71) 하단과 커버하우징(60)의 대응체결공(61)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스크류볼트(20)의 몸체(22)에 끼워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크류볼트(20)는 몸체(22)에 비하여 다소 넓은 지름을 가진 형태로 제작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일단 커버하우징(60)에 끼워지게 되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LED램프는 천장이나 벽면에 메달려 있는 상태이다. 수리나 유지 보수를 위해서 커버하우징(60)을 해체시킬 때, 상기 스크류볼트(20)가 빠져 전철이나 기차의 바닥에 떨어지게 되면, 작업자는 작업대에서 내려와 스크류볼트(20)를 찾아야 한다.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크류볼트(20)는 그 스크류부(23)의 지름을 몸체(22)에 비하여 크게 형성하였고, 그 몸체(22)에 비틀림와셔(30)를 끼운 것이다. 이 비틀림와셔(30)도 그 중심부에 연통공(31)이 형성되는데, 이 연통공(31)은 상기 스크류볼트(20)의 몸체(22)의 지름과 동일 내지 유사함이 좋다. 그래야 이 비틀림와셔(30)의 연통공(31) 내주면에 스크류부(23)가 걸려 스크류볼트(20)가 빠지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의도하여 작업자가 스크류볼트(20)를 빼려고 한다면 손쉽게 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비틀림와셔(30)는 일측을 찢어놓은 상태이기에 더욱 안전하게 스크류볼트(20)를 걸여 커버하우징(60)에 메달려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틀림와셔(30)는 금속제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지만,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스크류볼트(20)의 비틀림와셔(30) 하단과 커버하우징(60)의 대응체결공(61)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크류볼트(20)의 외주면에 끼워진 탄성스프링(80)을 형성하여 스크류볼트(20)가 항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탄성스프링(80)의 탄성력을 통해서 본 발명의 스크류볼트(20)가 대응관통공(61)을 관통하고, 밑판하우징(70)의 체결공(71)을 향해 직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직립되어 체결공(71)을 마주보는 스크류볼트(20)의 끝단은 작업자가 스크류볼트(20)의 머리(21)를 가볍게 밀어 넣는 방식으로 체결공(71)을 관통하고, 체결너트(50)의 스크류공(51)과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게 한다. 보다 정확하고 빠른 해체와 체결의 작업을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너트(50)는 스텐 재질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견고한 재질의 스텐을 이용하여 체결너트(50)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실시된 본 발명은 그 수리와 교체가 용이하다. 종래의 체결구조에서 발생되던 현상을 모두 제거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잦은 회전을 통해서 너트와 볼트의 스크류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되어, 양자를 모두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고장은 하나의 교체만으로 이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기에 사용이 편리하다.
20; 스크류볼트 21; 머리
22; 몸체 23; 스크류부
24; 와셔 30; 비틀림와셔
31; 연통공 40; 회전락커버
41; 관통공 42; 밑판
43; 지지판부 44; 스톱퍼부
45; 지지편 46; 걸림편
50; 너트 51; 스크률공
60; 커버하우징 61; 대응체결공
70; 밑판하우징 71; 체결공

Claims (8)

  1.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밑판하우징(70)의 일측에 형성된 4각의 체결공(71);
    밑판하우징(70)에 대응하는 커버하우징(60)의 일측에 상기 체결공(71)에 대응하는 원형의 대응체결공(61)이 형성된 커버하우징(60);
    상기 커버하우징(60)의 하단에서 대응체결공(61)의 상부로 관통하여 체결공(71)까지 올라선 스크류볼트(20);
    스크류볼트(20)의 머리(21)와 커버하우징(60)의 대응체결공(61)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크류볼트(20)의 외주면에 끼워진 와셔(24);
    상기 밑판하우징(70)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체결 너트(50); 및
    상기 4각의 체결 너트(50)를 감싸도록 평판을 절단하고 절곡하여 커버를 형성하되, 좌우 양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편(45)이 4각의 체결공(71) 내주면 중 2개의 면에 면접되어 스크류(23) 회전시 너트(5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 회전락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회전락커버(40)는, 밑판(42)으로 4각 너트(50)의 저면과 면접하되 관통공(41)이 형성되어 너트(50)의 스크류공(51)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하고, 밑판(42)에서 좌우 양측면으로 상승한 지지판부(43) 상단이 꺽여 너트(50)의 상면을 감싼 후 상부로 절곡된 지지편(45)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42)의 4개의 변 중 지지판부(43)의 타측 2곳의 변부에서 좌우 양쪽에 각각 꺾여져 너트(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부(4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편(45)의 높이는 4각 체결공(71)의 두께와 대응되는 높이로 하되, 지지편(45)의 상단을 꺽어 체결공(71)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편(4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스크류볼트(20)의 스크류(23)는 그 몸체(22)에 비하여 큰 지름을 형성하도록 하고, 몸체(22)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의 연통공(31)이 형성된 일측이 개방된 비틀림와셔(30)를 스크류볼트(20) 몸체(22)에 끼워 체결공(71)과 대응체결공(6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스크류볼트(20)가 중력을 통해서 커버하우징(60)의 하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스크류볼트(20)의 비틀림와셔(30) 하단과 커버하우징(60)의 대응체결공(61) 사이에 위치하도록 스크류볼트(20)의 외주면에 끼워진 탄성스프링(80)을 형성하여 스크류볼트(20)가 항상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너트(50)는 스텐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KR1020110118483A 2011-11-14 2011-11-14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KR10115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483A KR101151837B1 (ko) 2011-11-14 2011-11-14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483A KR101151837B1 (ko) 2011-11-14 2011-11-14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837B1 true KR101151837B1 (ko) 2012-06-01

Family

ID=4668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483A KR101151837B1 (ko) 2011-11-14 2011-11-14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00B1 (ko) * 2014-07-31 2015-04-08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확장 배열식 led터널등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2362A (ja) 2001-11-16 2003-05-23 Nihon Form Service Co Ltd 収納器具用棚装置
JP2009019417A (ja) * 2007-07-12 2009-01-29 Gecoss Corp 覆工板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2362A (ja) 2001-11-16 2003-05-23 Nihon Form Service Co Ltd 収納器具用棚装置
JP2009019417A (ja) * 2007-07-12 2009-01-29 Gecoss Corp 覆工板取付け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500B1 (ko) * 2014-07-31 2015-04-08 삼성유리공업 주식회사 확장 배열식 led터널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2325B2 (ja) 携帯型動力作業機における締付用ナットの落ち止め構造及び締付用ナット係留部材
US5524411A (en) Handhole cover
KR101151837B1 (ko) 열차의 led램프 하우징 체결구조
KR20160130663A (ko) 볼트와 너트의 풀림방지구조
KR101271580B1 (ko) 가구용 판넬 체결장치
KR20120051569A (ko) 천정 매립형 조명등기구
KR200458543Y1 (ko) 조명등용 고정클립
US20150198871A1 (en) Projector adapter plate
KR101285623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KR101139467B1 (ko) 전동차의 천장 매립형 led 램프 체결구조와 램프체결수단
KR200285845Y1 (ko) 천장등의 조립구조
KR101984816B1 (ko) 간판 설치용 브래킷
KR101719055B1 (ko) 천정등 커버 탈착장치
CN102829040B (zh) 一种锁紧装置
KR200394167Y1 (ko) 선박건조용 철판부재의 클램프
KR101493169B1 (ko) 교량 점검등 체결 구조
JP2020076252A (ja) 建築用金具
TWI677361B (zh) 防墜落桿
KR20090003335U (ko) 천장조명등
JP5992083B1 (ja) 照明器具用脱落防止金具および脱落防止方法
CN104633605A (zh) 壳体结构及具有该壳体结构的灯具
CN103672595A (zh) 一种led路灯结构
KR200395191Y1 (ko) 펜스구조물 조립장치
KR101583035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200482811Y1 (ko) 엘이디 천정등의 광 투과커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