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506B1 -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506B1
KR101151506B1 KR1020107023452A KR20107023452A KR101151506B1 KR 101151506 B1 KR101151506 B1 KR 101151506B1 KR 1020107023452 A KR1020107023452 A KR 1020107023452A KR 20107023452 A KR20107023452 A KR 20107023452A KR 101151506 B1 KR101151506 B1 KR 101151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tle
recorded
content server
medium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836A (ko
Inventor
도모아키 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디스크등의 기록 매체에, 콘텐츠 서버에 의해서 공급되는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록 방법은, 복수의 파일에 의해 구성되는 타이틀이 기록된 매체에, 콘텐츠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추가 기록할 때, 콘텐츠 서버에 대해, 추가 기록하는 콘텐츠를 지정하고, 매체에 기록된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 및 타이틀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고, 디스크 패키지 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되는, 추가 기록하는 콘텐츠를 포함한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의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 중, 매체에 기록된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에 대해 갱신된 파일을 수신하고, 갱신된 파일을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콘텐츠 서버에 의해서 공급되는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텐츠를 제공하는 환경은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라는 물리 미디어의 제공으로부터 인터넷 등에 의한 데이터 분배로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종래의 스탬프된(stamped) 영화 패키지를 재생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경유하여 콘텐츠를 다운로드해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이미 디스크에 존재하는 콘텐츠와,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한 콘텐츠를 결합하여, 하나의 콘텐츠로서 재생을 행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9154호 공보
이와 같이, 영화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크에 기록할 때의 포맷은 인터액티브 기능이나, 자막이나 음성의 전환, 메뉴 화면의 표시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ROM 패키지용의 포맷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ROM 패키지용의 포맷은, 스탬프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에, 일단 기록한 디스크에 대해 이후에 다른 콘텐츠를 추가 기록(추기)하는 것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한편, 추기하는 것을 전제로 준비되어 있는 포맷에서는, 예컨대, BD(Blu-ray Disc)의 팝업 메뉴(pop-up menu) 등의 인터액티브 기능(interactive functions)이나, 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메뉴 화면의 표시 기능이 없기 때문에, 영화 등의 콘텐츠를 기록하는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기록계 포맷으로 기록된 디스크는 재생 전용기에서 재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제약으로 인해, 한번 콘텐츠를 다운로드 기록한 디스크는, 가령 나머지의 기록 용량이 충분히 있더라도, 새로운 콘텐츠를 추기할 수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불편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록 장치는, 하나 이상의 파일에 의해 구성되는 타이틀(title)이 기록된 매체에, 콘텐츠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대해,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매체에 기록된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포함하는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디스크 패키지 정보에 근거하여, 이미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에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이 정의된,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수신하여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수단과, 상기 디스크 패키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수신하여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수단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과,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기 전에 상기 매체에 기록된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기록된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록 장치는, 매체에 기록된 타이틀과 당해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기 때문에, 당해 디스크 패키지 정보에 근거하여 콘텐츠 서버에서, 추가 기록하는 콘텐츠를 포함한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콘텐츠 서버에 의해 생성된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수신하여 기록하는 것에 의해, 추가 타이틀의 선택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메뉴 표시를 포함한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타이틀의 추가 기록은 ROM에 준거한 데이터 포맷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의 여유 용량이 있는 한, 콘텐츠의 추가가 가능하여, 기록 매체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 따른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 따른 광디스크의 파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서의 프리젠테이션 파일(presentation file)의 구성을 나타내는 스트림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서의 스트림 정보 파일의 구문(syntax),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서의 타이틀 파일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서의 타이틀 파일의 구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서의 프로그램 파일의 구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광디스크 내의 파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서의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시스템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하는 타이틀을 선택하는 선택 화면의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콘텐츠 서버에서 구축된 디스크 패키지의 파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콘텐츠 서버에서 구축된 디스크 패키지에서 표시되는 메뉴 화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의 구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타이틀이 추가된 디스크 패키지에서 표시되는 메뉴 화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타이틀이 추가된 디스크 패키지의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의 구문,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사용자가 다운로드하는 음성과 자막을 선택하는 선택 화면의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광디스크에 기록된 디스크 패키지의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콘텐츠 서버에서 구축된 디스크 패키지의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서의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소정의 데이터(예컨대, 당해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의 제어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 영상 또는 음성의 데이터 등)을 기록·재생 가능한 광디스크, 2는 광디스크(1)의 데이터의 재생, 및 광디스크(1)로의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드라이브이다. 또한, 3은 드라이브(2)에 의해서 판독된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로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4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조(이하, 디코드라 함)하는 오디오 디코더부, 5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비디오 디코더부, 6은 그래픽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그래픽 디코더부, 7은 인터액티브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인터액티브 디코더부, 8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영상과,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화상과, CPU(9)로 구성된 영상을 중첩하는 비디오 중첩부이다. 9는 상기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CPU이며, 각 구성에 제어 커맨드를 보냄과 아울러, 각 구성의 상태(status)의 모니터링 등도 행하고 있다. 10은 외부 인터넷과 접속하여 정보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인터넷 접속부이다. 또, 도 1에서는, CPU(9)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 등은 생략하였다.
다음으로 재생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드라이브(2)는 광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멀티플렉서(3)에 출력한다. 여기서, 드라이브(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광디스크(1)에 기록된 영상(이하, 비디오라 함)을 나타내는 비디오 데이터, 당해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을 나타내는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영상에 중첩되는 화상(이하, 그래픽이라 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 및 사용자가 화면에서 버튼 선택을 하기 위한 화상(이하, 버튼이라 함)을 나타내는 버튼 데이터와, 버튼을 선택했을 때에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되는 인터액티브 데이터가 패킷화되어 다중화된 것이다.
디멀티플렉서(3)는 입력된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및 인터액티브 데이터로 분리한다. 그리고,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더부(4)에,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부(5)에, 그래픽 데이터를 그래픽 디코더부(6), 인터액티브 데이터를 인터액티브 디코더부(7)에 각각 출력한다. 또, 디멀티플렉서(3)는 패킷화된 각 데이터의 선두에 기술된 식별자에 따라 이 분리 동작을 행한다.
오디오 디코더부(4)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도시하지 않은 음성 출력 수단에 출력한다. 또한, 비디오 디코더부(5)는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비디오 중첩부(8)에 출력한다. 그래픽 디코더부(6)은 입력된 그래픽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비디오 중첩부(8)에 출력한다. 또한, 인터액티브 디코더부(7)는 입력된 인터액티브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버튼의 그래픽을 비디오 중첩부(8)에 출력하고, 제어 프로그램을 CPU(9)에 출력한다.
비디오 중첩부(8)는 비디오 디코더부(5)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비디오와, 그래픽 디코더부(6)에서 그래픽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그래픽과, 인터액티브 디코더부(7)에서 인터액티브 데이터의 버튼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그래픽들을 중첩하여 도시하지 않은 표시 수단에 출력한다.
도 2는 광디스크(1)에 기록된 콘텐츠의 디스크 패키지의 파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1은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가 다중화된 프리젠테이션 파일(presentation files)이며, "STREAM"은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의 명칭이다. 12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데이터 구조가 기술된 스트림 정보 파일이며, "STREAM_IFO"는 스트림 정보 파일(12)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의 명칭이다. 여기서, 프리젠테이션 파일(11)과 스트림 정보 파일(12)은 1대1로 대응하고 있다. 13은 타이틀의 구성이 기술된 타이틀 파일이며, "TITLE"은 타이틀 파일(13)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의 명칭이다. 14는 타이틀 파일(13)의 재생에 필요한, 커맨드가 기술된 프로그램 파일이다.
도 3은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구조를 나타내는 스트림 구성도이다. 스트림은 패킷이라고 불리는 고정 길이의 데이터 단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는 이 패킷 단위로 분할된 후, 다중화되어 스트림을 구성한다. 각각의 패킷의 선두에는 헤더 영역이 있으며, 헤더 정보에 기술된 ID(Identification)에 의해, 패킷 내의 데이터 식별을 행한다. 디멀티플렉서(3)는 이 ID를 식별하여,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로 분리한다.
도 4는 스트림 정보 파일(12)의 구문(syntax)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Start_PTS"는 대상으로 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최초의 비디오 프레임의 PTS(Presentation_Time Stamp)를 나타내고, "End_PTS"는 최종의 비디오 프레임의 PTS를 나타낸다. "num_of_audio", "num_of_graphics", "num_of_interactive"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에 다중화된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의 수를 나타낸다. 다음 3개의 루프문(for 이하)은 "num_of_audio", "num_of_graphics", "num_of_interactive"의 수만큼 반복되고, "packet_ID"는 각각의 스트림에 할당되는 패킷의 ID가 기술된다. "entry_map()"에는, 랜덤 액세스 재생(random access reproduction)에 필요로 되는 정보가 기술된다. 예컨대 비디오 데이터가 MPEG2로 인코드되어 있는 경우, GOP(Group of Picture)의 선두가 엔트리 포인트(entry point)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어떤 패킷에, GOP의 선두가 존재하는지가 기술되어 있다. "num_of_entry"는 엔트리 포인트의 총수, "entry_packet_num"은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선두로부터 GOP의 선두까지의 상대 패킷수, "entry_PTS"는 GOP 선두의 PTS이다. 패킷은 고정 길이인 것이므로, 파일의 선두로부터 GOP 선두까지의 상대 바이트수는 "entry_packet_num"의 값과 패킷당 바이트수를 곱한 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재생 장치(100)는 엔트리 시간(entry time)을 "entry_PTS"부터 찾기 시작하고, 그것에 대응한 "entry_packet_num"으로부터 디스크 상의 엔트리 포인트의 위치를 산출하여, 엔트리 재생을 행한다.
도 5는 타이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타이틀이란,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소정의 구간이 복수개 모인 것으로, 하나의 프리젠테이션 파일(11) 내의 복수 구간으로 구성되는 경우나, 복수의 프리젠테이션 파일(11) 각각에 포함되는 소정의 구간으로 구성되는 경우 등, 다양한 집합으로 구성된다.
도 6은 타이틀 파일(13)의 구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num_of_stream"은 타이틀을 구성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총수, 다음 루프문은 "num_of_stream"의 수만큼 반복된다. 타이틀은 하나 이상의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소정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stream_name"은 재생의 대상으로 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파일명을 나타내고, "In_time" 및 "Out_time"은 타이틀로 재생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소정 구간의 재생 개시 시간과 재생 종료 시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의 PTS(프리젠테이션 Time Stamp)를 "In_time", "Out_time"으로 하고 있다. "Start_packet_num", "End_packet_num"은 "In_time", "Out_time"으로 지시되는 비디오 프레임의,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선두로부터의 상대적인 패킷수를 나타낸다. 이들 정보로부터,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어떤 부분을 재생하면 좋을지를 판단할 수 있다. "num_of_audio", "num_of_graphics", "num_of_interactive"는 재생에 이용하는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의 수를 나타낸다. 스트림 정보 파일(12) 중에도 동일한 파라미터가 존재하지만, 이 스트림 정보 파일(12) 중의 파라미터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 중에 존재하는,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의 총수를 지시하는 데 반하여, 타이틀 파일(13) 중의 그것은 프리젠테이션 파일(11) 중의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 중에서 재생에 이용하는 총수를 지시하는 점이 상이하다. 계속해서, 3개의 루프문은 도 4에서 설명한 루프문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num_of_sub_stream"는 비디오가 포함되는 스트림과 함께 재생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총수이다. "sub_stream_name"은 메인의 스트림과 함께 재생되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의 총수이다. "Sync_PTS"는 메인의 스트림과 동기 재생을 시작하는 시간이다. 이하는 메인의 스트림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프로그램 파일(14)의 구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menu_title_file_name"은 사용자가 메뉴 키를 눌렀을 때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타이틀 파일명을 나타낸다. "num_of_title"은 프로그램의 총수를 나타내고, 다음 루프문은 "num_of_title"의 수만큼 반복된다. "num_of_command"는 프로그램(명령)의 총수를 나타내고, 다음 루프문은 "num_of_command"의 수만큼 반복된다. "Command()"는 디스크의 재생에 필요한 명령의 집합체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광디스크(1) 내의 콘텐츠가 재생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광디스크(1) 내의 파일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나타낸 구문에 있어서, "00001.title", "00002.title", "00003.title"의 "num_of_stream"은 각각 "1"로 설정되어 있고, 각각의 "stream_name"에는 "00001.strm", "00002.strm", "00003.strm"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program.cmd"의 "menu_title_file_name"에는 "00001.title"이 할당되어 있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파일이 기록된 광디스크(1)의 재생시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15)이다. 메뉴 화면(15)의 표시용의 파일로서, "00001.title" 및 "00001.strm"이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버튼 A(16)에는 "00002.title"을 재생하는 커맨드가 관련지어져 있고, 버튼 B(17)에는, "00003.title"을 재생하는 커맨드가 관련지어져 있다. 버튼 A(16) 및 버튼 B(17)는 인터액티브 데이터에 포함되는 버튼 데이터로부터 만들어지고 있으며, 배경의 영상은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만들어지고 있다.
이 광디스크(1)를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에서 재생하면, 우선 메뉴 화면(15)의 표시용으로 관련지어진 "00001.title" 및 "00001.strm"의 판독이 개시된다. 판독된 데이터는 디멀티플렉서(3)에서, "00001.title"로 지정된 패킷 ID에 따라 분리되고, 필요한 데이터만이 비디오 디코더부(4), 오디오 디코더부(5), 그래픽 디코더부(6), 인터액티브 디코더부(7)에 보내어진다. 비디오 디코더부(4)에서 디코드된 영상과, 그래픽 디코더부(6)에서 디코드된 영상과, 인터액티브 디코더부(7)에서 디코드된 영상은 중첩부(8)에서 합성되어 출력된다.
사용자가 버튼 A(16)를 선택하면, "00002.title"이 선택되고, 대응하는 "00002.strm"이 광디스크(1)로부터 판독되어, 재생이 행하여진다. 버튼 B(17)가 선택되면, "00003.title"가 선택되고, 대응하는 "00003.strm"이 광디스크(1)로부터 판독되어, 재생이 행하여진다. 사용자가 타이틀을 선택하고, 선택된 타이틀의 재생이 완료되면, CPU(9)는 재생한 타이틀에 대응한 커맨드를 "program.cmd"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한다. 예컨대, 메뉴로 되돌아가는 명령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 메뉴 화면 표시용으로 관련지어진 파일을 판독하여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다른 타이틀의 재생 명령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 그 타이틀에 관련지어진 파일을 판독하여 타이틀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상기의 포맷에 따라, 광디스크(1)에 대해 인터넷 회선으로부터 다운로드한 콘텐츠를 기록하는 순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은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시스템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19는 인터넷 회선을 나타내고, 18은 인터넷 회선에 접속된 콘텐츠 서버이며, 100은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인터넷 접속부(10)는 인터넷 회선(19)에 접속된다. CPU(9)는 인터넷 접속부(10)를 경유하여, 콘텐츠 서버로부터 WEB 브라우저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수취하여, 데이터에 따른 그래픽을 구성해서 중첩부(8)에 출력하거나, 광디스크(1)에 기록된 데이터를 인터넷 회선에 접속된 콘텐츠 서버(18)로 업로드하거나, 콘텐츠 서버(18) 내의 데이터를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로 다운로드하는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도 11은 인터넷 회선(19)에 접속된 콘텐츠 서버(18)로부터 송신되는 WEB 브라우저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CPU(9) 및 중첩부(8)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안내 화면(guidance scree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안내 화면에 따라 사용자가, 추가로 기록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면, 대응하는 데이터가 다운로드되어, 광디스크(1)에 새로운 콘텐츠가 추기된다. 버튼(19~22)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타이틀의 일람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4개의 타이틀을 선택할 수 있다. 영화 A 및 영화 C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버튼(19, 21)을 지정한다. 버튼(19, 21)이 지정되면, 콘텐츠 서버(18)는 영화 A 및 영화 C의 타이틀을 구비한 디스크 패키지를 구축한다.
도 12는 콘텐츠 서버(18)에서 구축된 디스크 패키지의 파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이틀 파일(13)은 메뉴용의 타이틀인 "00001.title", 영화 A에 대응하는 "00002.title", 영화 C에 대응하는 "00003.title"에 의해 구성된다. 프리젠테이션 파일(11)은 "00001.title"에 대응하는 "00001.strm"과, "00002.title"에 대응하는 "00002.strm"과, "00003.title"에 대응하는 "00003.strm"에 의해 구성된다. 스트림 정보 파일(12)은 "00001.strm", "00002.strm", "00003.strm"에 대응한 "00001.ifo", "00002.ifo", "00003.ifo"의 3개의 파일에 의해 구성된다. 프로그램 파일(14)은, "program.cmd"에 부가하여, 후술하는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 "Package.info"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은 콘텐츠 서버(18)에서 구축된, 영화 A 및 영화 C를 구비한 디스크 패키지의 메뉴 화면이다. 버튼(23)을 선택하면 영화 A가 재생되고, 버튼(24)을 선택하면 영화 C가 재생된다. 콘텐츠 서버(18)에서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의 구축이 완료되면,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는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광디스크(1)에 기입을 행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영화 A와 영화 C가 기록된 광디스크(1)에 대해, 새로운 타이틀(영화 D)을 추기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 패키지는 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타이틀을 포함하고 있고, 영화 D를 추기한 경우는, 추가된 영화 D를 포함하는 새로운 메뉴 화면용의 타이틀을 구축해야 한다. 그것을 위해서는, 콘텐츠 서버(18)측에서, 광디스크(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의 정보를 아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파일(14)의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 "Package.ifo"의 구문이다. "number_of_title"은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의 총수이다. 다음의 for 루프에서는, "number_of_title"의 수만큼 루프하고 있다. "title_name"은 타이틀의 파일명을 나타내고, "title_identifier"는 각각의 타이틀의 고유 ID이다. 이 고유 ID는 서버측에 있는 타이틀 리스트로부터, 타이틀을 특정하는 수열 또는, 타이틀의 이름을 직접 기술한 텍스트 정보이더라도 좋다. "num_of_stream"은 타이틀을 구성하고 있는 스트림의 파일수를 나타내고, 계속되는 for 루프는 "num_of_stream"의 수만큼 반복된다. "stream_name"은 스트림의 파일명을 나타낸다.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을 콘텐츠 서버(18)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 서버(18)는 이제부터 추기를 하고자 하는 광디스크(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의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의 안내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영화 D를 선택하면, 콘텐츠 서버(18)로부터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에 대해,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의 업로드가 요구된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는 이 요구에 따라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을 업로드한다. 콘텐츠 서버(18)는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 중의 "title_identifier"로부터, 광디스크(1)에 이미 영화 A와 영화 C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여, 도 15에서와 같이, 영화 A와 영화 C와, 추가 타이틀(영화 D)을 구비한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의 타이틀을 구축한다.
도 16은 영화 A 및 영화 C가 이미 기록된 광디스크(1)에 추기하는 콘텐츠로서 영화 D를 선택한 경우에 콘텐츠 서버(18)에서 구축되는 디스크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 "package.ifo"의 "title_identifier", "title_name", "stream_name"으로부터, 광디스크(1)의 메뉴 화면용의 타이틀은 "00001.strm", "00001.ifo", "00001.title"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인식된다. 이것에 의해, 새로운 메뉴 화면용의 타이틀은 "00001.strm", "00001.ifo", "00001.title"의 파일을 갱신함으로써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로부터, 광디스크(1)에서는, "00001"번부터 "0003"번까지의 파일이 이미 사용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영화 D에는,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은 파일명, "00004.strm", "00004.ifo", "00004.title"이 할당된다. 이미 광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영화 A를 구성하는 파일과, 영화 C를 구성하는 파일에 대해서는, 동일한 파일명이 할당된다. 또한, "program.cmd", "Package_ifo"의 두 파일은 새로운 타이틀이 추가되기 때문에 새롭게 갱신된다. 이상과 같이, 콘텐츠 서버(18)측에서의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가 구축되면,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로 다운로드가 시작된다. 단, 여기서 다운로드되는 파일은 영화 D를 구성하는 파일,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 "program.cmd", "Package_ifo"이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에서는,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 "00001.strm", "00001.ifo", "00001.title"을 오버라이트하고, 영화 D를 구성하는 파일 "00004.strm", "00004.ifo", "00004.title"를 새롭게 추기한다. 또한, 새롭게 구성된 "program.cmd", "Package_ifo"를 오버라이트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광디스크(1)에, 영화 A, 영화 C에 부가하여, 영화 D를 구비한 디스크 패키지가 기록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파일(14)에, 광디스크(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 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설치하고, 이 정보를 콘텐츠 서버(18)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콘텐츠 서버(18)에서, 광디스크(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 정보를 인식하고, 새로운 타이틀을 추가하는 경우, 추가 타이틀을 포함하는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의 타이틀을 구비한 디스크 패키지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콘텐츠 서버(18)로부터,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의 타이틀과 추가 타이틀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광디스크(1)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영화 A, 영화 C, 영화 D의 모든 타이틀을 메뉴 화면으로부터 선택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크 패키지를 얻을 수 있다. 타이틀의 추가 기록은 ROM에 준거한 데이터 포맷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재생 전용 장치와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의 여유 용량이 있는 한, 콘텐츠의 추가가 가능하여, 기록 매체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새롭게 타이틀을 추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하나의 타이틀 전체를 추기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타이틀의 일부분을 추기하는 경우도 상정된다. 예컨대, 하나의 타이틀에, 새롭게 오디오나 자막 콘텐츠를 이후에 추가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타이틀의 일부를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타이틀의 일부를 갱신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의 구문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과의 차이는 "num_of_sub_stream" 이하에, 프리젠테이션 파일(11)에 존재하는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루프문이 추가되어 있는 것이다. "num_of_sub_stream"은 이 타이틀에 포함되는 서브스트림의 총수이며, 다음의 루프문은 "num_of_sub_stream"의 수만큼 반복된다. "num_of_sub_audio", "num_of_sub_graphics", "num_of_sub_interactive"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에 존재하는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의 총수를 나타낸다. 다음의 3개의 루프는 각각 "num_of_sub_audio", "num_of_sub_graphics", "num_of_sub_interactive"의 수만큼 반복된다. "sub_audio_identifier", "sub_graphics_identifier", "sub_interactive_identifier"는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 각각의 내용을 나타내는 고유의 ID를 나타낸다.
도 18은 인터넷 회선에 접속된 콘텐츠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CPU(9) 및 중첩부(8)에서 처리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안내 화면이다. 이 화면의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자기의 추가하고자 하는 음성이나 자막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해서, 광디스크(1)에 추기하는 조작을 행한다. 도 18에 있어서, 사용자는 버튼(28, 29)에 의해 일본어 또는 한국어의 자막의 그래픽 데이터를 선택하고, 버튼(30, 31)에 의해 영어 또는 한국어의 음성의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디스크(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패키지의 파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디스크 패키지는 2개의 영화 타이틀(영화 A 및 영화 B)을 구비하며, 영화 A는 자막 표시용 그래픽 데이터의 서브스트림을 구비하고 있다. 영화 A의 메인스트림에는, 일본어의 오디오가 중첩되고, 자막은 중첩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영화 A에 중첩되는 자막은 영어 자막이라고 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프리젠테이션 파일(11)에 있어서, "00001.strm"은 메뉴 화면용 타이틀의 파일이고, "00002.strm"는 영화 A의 파일이고, "00003.strm"은 영화 B의 파일이며, "00004.strm"은 영화 A에 중첩되는 자막 표시용 그래픽들의 파일이다. 스트림 정보 파일(12)에 있어서, "00004.ifo"는 "00004.strm"에 대응하는 파일이다. 타이틀 파일(13)에 있어서, "00001.title"은 메뉴 화면용 타이틀, "00002.title"은 영화 A의 타이틀, "00003.title"은 영화 C의 타이틀에 각각 대응한다. "00004.strm", "00004.ifo"를 제외하면, 타이틀과 파일의 관계는 실시 형태 1(도 12)과 동일하다. 프로그램 파일(14)의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 "Package.info"에, 영화 A의 메인스트림의 파일 "00002.strm"에는 일본어의 오디오가 존재하고, sub 스트림의 파일 "00004.strm"에는 영어의 자막이 존재하는 것이, "sub_audio_identifier", "sub_graphics_identifier"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도 18의 안내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영화 A에 대해 한국어의 자막과, 영어의 음성을 선택한 경우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사용자가 버튼(29)에 의해 한국어의 자막, 버튼(30)에 의해 영어의 음성을 선택하면, 콘텐츠 서버(18)로부터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에 대해,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의 업로드가 요구된다.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는 그 요구에 따라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을 업로드한다. 콘텐츠 서버(18)는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로부터, 타이틀 1에는 이미 서브스트림이 하나 존재하고, "00002.strm"에는 일본어의 오디오가 존재하며, "00004.strm"에는 영어의 자막이 존재하는 것을 인식한다. 사용자가 다운로드를 하려고 하고 있는 음성 또는 자막이 이미 광디스크(1)에 존재하는 경우, 다운로드를 할 필요가 없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 다운로드는 실행되지 않는다. 추가되는 서브스트림이 신규인 것이 확인된 후, 콘텐츠 서버(18)에서는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를 구축한다. 우선, 영화 A의 서브스트림으로서 이미 존재하는 영어 자막의 그래픽 데이터와, 새롭게 추가되는 한국어 자막의 그래픽 데이터와, 영어 음성의 오디오 데이터의 3개를 중첩한 서브스트림을 구축한다. 여기서 새롭게 구축된 서브스트림은 이미 광디스크(1)에 존재하는 서브스트림의 프리젠테이션 파일 "00004.strm", 및 스트림 정보 파일 "00004.ifo"를 갱신하는 것에 의해 기록된다. 다음으로, 새로운 그래픽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추가되었기 때문에, 영화 A의 타이틀 파일 "00002.title"가 갱신된다. 마찬가지로,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 "Package_ifo"도 갱신된다. 도 20은 콘텐츠 서버(18)에 구축된 디스크 패키지의 구성도이다.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가 콘텐츠 서버(18)에서 구축되면, 정보 기록 재생 장치(100)로 파일의 다운로드가 시작된다. 여기서 다운로드되는 파일은 새롭게 갱신된 "00004.strm", "00004.ifo", "00002.title", "Package_ifo"의 4개의 파일이다. 이 경우, 영화 A에 대해 음성과 자막이 추가되었을 뿐이기 때문에, 메뉴 화면과 영화 B에 대한 업데이트는 행해지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디스크 패키지 정보 파일에, 타이틀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인터액티브 데이터를 식별하는 정보인 "sub_audio_identifier", "sub_graphics_identifier", "sub_interactive_identifier"를 추가함으로써, 음성만이나 자막만을 타이틀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광디스크 2: 드라이브
8: 비디오 중첩부 9: CPU

Claims (4)

  1. 하나 이상의 파일에 의해 구성되는 타이틀이 기록된 매체에, 콘텐츠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대해,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title)을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매체에 기록된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포함하는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디스크 패키지 정보에 근거하여, 이미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에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이 정의된,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수신하여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수단과,
    상기 디스크 패키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수신하여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수단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과,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기 전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2. 하나 이상의 파일에 의해 구성되는 타이틀이 기록된 매체에, 콘텐츠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대해, 상기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에 대하여, 추가 기록하는 자막 서브스트림 또는 음성 서브스트림을 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매체에 기록된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포함하는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과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에 포함되는 자막 서브스트림 및 음성 서브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과,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기 전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과 상기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에 포함되는 자막 서브스트림 및 음성 서브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장치.
  3. 하나 이상의 파일에 의해 구성되는 타이틀이 기록된 매체에, 콘텐츠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는 추가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대해,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지정하고,
    상기 매체에 기록된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포함하는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디스크 패키지 정보에 근거하여, 이미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에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이 정의된,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수신하고,
    상기 디스크 패키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과,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기 전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
  4. 하나 이상의 파일에 의해 구성되는 타이틀이 기록된 매체에, 콘텐츠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 서버에 대해, 상기 매체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타이틀에 대하여, 추가 기록하는 자막 서브스트림 또는 음성 서브스트림을 지정하고,
    상기 매체에 기록된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포함하는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과 상기 매체에 기록된 모든 타이틀에 포함되는 자막 서브스트림 및 음성 서브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추가 기록하는 타이틀과, 상기 콘텐츠 서버에서 생성된 새로운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과,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 기록하기 전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을 구성하는 파일의 파일명 정보와, 상기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과 상기 기록되어 있던 메뉴 화면 표시용 타이틀을 제외한 타이틀에 포함되는 자막 서브스트림 및 음성 서브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서버측에서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가 기술된 새로운 디스크 패키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매체에 추가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
KR1020107023452A 2008-04-21 2009-04-15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KR101151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0108 2008-04-21
JPJP-P-2008-110108 2008-04-21
PCT/JP2009/001736 WO2009130862A1 (ja) 2008-04-21 2009-04-15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836A KR20100127836A (ko) 2010-12-06
KR101151506B1 true KR101151506B1 (ko) 2012-05-30

Family

ID=4121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452A KR101151506B1 (ko) 2008-04-21 2009-04-15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139451B2 (ko)
EP (1) EP2270788A4 (ko)
JP (2) JP5031892B2 (ko)
KR (1) KR101151506B1 (ko)
WO (1) WO2009130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1892B2 (ja) * 2008-04-21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US8601526B2 (en) 2008-06-13 2013-12-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media content and media guidance information
US9014546B2 (en) 2009-09-23 2015-04-2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ers within detection regions of media devices
US20110164175A1 (en) * 2010-01-05 2011-07-0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ubtitl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9201627B2 (en) 2010-01-05 2015-12-0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10303357B2 (en) 2010-11-19 2019-05-28 TIVO SOLUTIONS lNC. Flick to send or display content
KR20130037547A (ko) * 2011-10-06 201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 매체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기록 매체 재생 장치
US9674563B2 (en) 2013-11-04 2017-06-0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n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0652A1 (en) * 2003-11-12 2005-06-0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composing a menu
KR20050072222A (ko) * 2004-01-06 2005-07-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의 컨텐츠 교환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JP2005267577A (ja) * 2004-03-22 2005-09-29 Nec Access Technica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20060128207A (ko) * 2005-06-0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파일을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0437A1 (en) * 1999-01-27 2006-12-14 Gotuit Media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vending and delivering the content of disk recordings
JP2001093226A (ja)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4503016A (ja) * 2000-07-11 2004-01-29 ウィリー,マーク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提供
AU2001286629A1 (en) * 2000-08-23 2002-03-04 Imagicast, Inc. Distributed publishing network
KR20020072453A (ko) * 2001-03-10 2002-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재생장치 및 부가정보 서비스 서버 시스템
JP2002369154A (ja) 2001-04-02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映像コンテンツの映像再生装置、映像再生方法、映像再生プログラム、パッケージメディア
JP2003069933A (ja) * 2001-08-27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4200686B2 (ja) * 2002-05-08 2008-12-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受信方法、情報配信方法
KR100614331B1 (ko) * 2002-08-31 200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112488B1 (ko) * 2003-03-06 2012-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화형 매체 및 부가 데이터 관리 방법
JP2006527515A (ja) * 2003-04-24 2006-11-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ビデオ/オーディオ信号にメニュー情報を補充するメニュー生成装置およびメニュー生成方法
KR20060017808A (ko) * 2003-06-04 2006-02-2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관리장치, 및 단말장치
JP4281437B2 (ja) * 2003-07-10 2009-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3888348B2 (ja) * 2003-11-25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再生装置および方法、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1551030A1 (en) * 2004-01-05 2005-07-0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menu
US20050234858A1 (en) * 2004-03-30 2005-10-20 Yasuyuki Torii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reproduc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626799B2 (ja) * 2004-07-12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方法、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196145A (ja) * 2004-12-14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EP1842197A4 (en) * 2005-01-21 2009-11-1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TW200707417A (en) * 2005-03-18 2007-02-16 Sony Corp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program, program storage medium, data delivery system, data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cording medium
JP2007257047A (ja) * 2006-03-20 2007-10-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プログラム、データ構造、並びに、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4702621B2 (ja) * 2006-03-20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プログラム格納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781176B2 (ja) * 2006-06-26 2011-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5087903B2 (ja) * 2006-06-30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757179B2 (ja) * 2006-11-30 2011-08-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31892B2 (ja) * 2008-04-21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0652A1 (en) * 2003-11-12 2005-06-0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composing a menu
KR20050072222A (ko) * 2004-01-06 2005-07-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의 컨텐츠 교환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JP2005267577A (ja) * 2004-03-22 2005-09-29 Nec Access Technica Ltd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20060128207A (ko) * 2005-06-0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파일을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55754B2 (ja) 2013-11-27
KR20100127836A (ko) 2010-12-06
JP2012230756A (ja) 2012-11-22
EP2270788A4 (en) 2011-04-13
US20120147719A1 (en) 2012-06-14
US20110026384A1 (en) 2011-02-03
US8139451B2 (en) 2012-03-20
JP5031892B2 (ja) 2012-09-26
WO2009130862A1 (ja) 2009-10-29
US8310904B2 (en) 2012-11-13
EP2270788A1 (en) 2011-01-05
JPWO2009130862A1 (ja)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038B2 (en)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and playback method
KR100890095B1 (ko) 정보 기록 매체 및 데이터 재생 장치
JP4288613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構造
JP5355754B2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
US8254754B2 (en) Reproducing device
CN106104689B (zh) 记录介质、再现装置以及再现方法
KR20070029822A (ko) 정보 기록 매체, 데이터 분별 장치, 및 데이터 재생 장치
JP3929351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記録媒体、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WO2006059482A9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データ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構造
TWI320174B (ko)
CN111933189B (zh) 再现装置以及再现方法
AU2003269521B2 (en)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graphics stream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20070032030A (ko) 정보 기록 매체, 및 다중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