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450B1 -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450B1
KR101150450B1 KR1020100140221A KR20100140221A KR101150450B1 KR 101150450 B1 KR101150450 B1 KR 101150450B1 KR 1020100140221 A KR1020100140221 A KR 1020100140221A KR 20100140221 A KR20100140221 A KR 20100140221A KR 101150450 B1 KR101150450 B1 KR 10115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electronic tag
type electronic
ser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대화
양은주
김홍록
이우영
정민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4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5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being used to indicate that the record carrier is active, e.g. a blinking light to indicate that the record carrier is busy communicating with a secondary device or busy comp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는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를 구비하는 집게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제2 집게부와 맞닿는 제1 집게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는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가 맞닿는 일면에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물품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집게를 벌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서버에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A clip type electronic tag and a product control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 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집게형 전자태그 사이에 집게의 열림닫힘 상태를 감지할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편리하게 전자태그를 등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을 통해 충격이나 충돌로 인해 전자태그가 물품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탁은 때를 제거하여 의복의 아름다움과 위생적 기능을 회복시키고 섬유의 피로를 풀어주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는바, 세탁물의 내구성을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세탁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세탁소에 세탁물을 맡기고 있다.
세탁소에서는 다수의 사람들이 다수 개의 세탁물을 맡기고 있기 때문에, 하루에도 많은 물량의 세탁물을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세탁소 운영자는 다량의 세탁물이 헷갈리지 않도록 세탁물에 고객 이름, 고객 주소 또는 고객 번호를 적은 태그를 일일이 세탁물에 스템플러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여 분류 및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세탁물 관리 방법은 다량의 세탁물 중에서 원하는 세탁물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하며, 간혹 고객의 세탁물이 다른 고객에게 전달되거나 분실하게 하기도 한다. 또한, 세탁물에 스템플러를 이용하여 태그를 부착하는 것은 세탁물을 상하게 하거나, 부주의하였을 때 철심으로 인한 부상을 야기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집게형 전자태그 사이에 집게의 열림닫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편리하게 전자태그를 등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을 통해 충격이나 충돌로 인해 전자태그가 물품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를 구비하는 집게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제2 집게부와 맞닿는 제1 집게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는 상기 제1 집게부와 맞닿는 제2 집게부의 일면에 마그네틱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 강도에 따라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의 사이가 벌어지면, 열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에 장착되는 발광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가 서버로부터 검색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광모듈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제어장치;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실행모듈을 구비하는 서버;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를 구비하는 집게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제2 집게부와 맞닿는 제1 집게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집게형 전자태그; 및 상기 서버와 집게형 전자태그의 무선통신모듈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 웨이;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의 서비스실행모듈은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사전에 입력받고 대기하면,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의 서비스 실행모듈은 상기 입력된 고객정보 및 물품정보와 상기 전송된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는 상기 제1 집게부와 맞닿는 제2 집게부의 일면에 마그네틱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 강도에 따라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센서부는 상기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의 사이가 벌어지면, 열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모듈는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센서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는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에 장착되는 발광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서버의 서비스 실행모듈은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물품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고객정보 및 물품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상기 파악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서버로부터 검색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광모듈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집게 형태의 본체, 무선통신모듈, 센서부, 발광모듈 및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센서부로부터 열림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서버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로부터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검색신호를 수신하면, 발광모듈을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는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가 맞닿는 일면에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물품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집게를 벌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서버에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는 마그네틱 센서 및 마그네틱으로 센서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센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물품 고정 후 충격이나 충돌로 인한 탈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은 물품에 대한 고객정보 및 물품정보와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식별정보를 대응시킴에 있어,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를 벌리는 간단한 동작만이 필요하므로 등록 시간이 줄어들어 물품 관리가 편리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10)는 집게 형태의 본체(100), 무선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 센서부(120) 및 제어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발광모듈(1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100)는 제1 집게부(105) 및 제2 집게부(106)을 구비한다. 집게 형태이므로 상기 제1 집게부(105) 및 제2 집게부(106)는 탄성력에 의해 일측이 서로 맞닿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100)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어떠한 집게 형태 등 가능하되, 물품을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물품은, 세탁물, 의류, 가방, 신발 등 집게가 고정될 수 있는 어떤 물품이든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하 세탁물을 물품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서버와 통신하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무선랜모듈, RF 통신모듈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로서, 사용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제2 집게부와 맞닿는 제1 집게부의 일면에 장착된다. 즉, 상기 집게가 다물어져서 상기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의 일면이 서로 맞닿은 닫힘 상태 또는 상기 집게가 벌어져서 상기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의 일면이 서로 닿지 않는 열림 상태를 센서부가 감지하도록 상기 제2 집게부와 맞닿는 제1 집게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의 일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어떤 종류든 사용이 가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가 맞물리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가 벌어졌을 때만 빛을 수광하여 감지하는 수광센서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틱 센서를 예로 든다.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제2 집게부와 맞닿는 제1 집게부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집게부와 맞닿는 제2 집게부의 일면에는 마그네틱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 강도에 따라 집게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마그네틱 및 마그네틱 센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을 통해 집게의 맞물리는 힘을 강하게 해주어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가 세탁물에 고정된 후 충격 또는 충돌로 인한 탈착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즉,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의 사이가 벌어지면, 열림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10)는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에 장착되는 발광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은 LED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멀리서도 감지할 수 있도록 넓은 면적을 통해 발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서버로부터 검색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점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게 형태의 본체, 무선통신모듈, 센서부, 발광모듈 및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먼저,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감지한다(S200).
다음, 상기 센서부로부터 열림신호가 감지되면(S210),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220).
다음, 서버의 신호를 감지한다(S230).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검색신호에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한다(S240).
다음, 상기 검색신호에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발광모듈을 제어하여 점등시킨다(S250).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는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가 맞닿는 일면에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물품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집게를 벌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서버에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는 마그네틱 센서 및 마그네틱으로 센서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센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물품 고정 후 충격이나 충돌로 인한 탈착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세탁물관리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품관리시스템은 제어장치(300), 서버(310), 집게형 전자태그(320) 및 게이트웨이(330)를 구비한다.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320)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게이트웨이(330)는 상기 서버와 집게형 전자태그의 무선통신모듈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상기 서버(310)는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 실행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서버는 제어장치를 통해 사전에 고객정보 및 물품 정보를 입력받고 대기한다. 다음, 사용자가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를 벌리면,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집게형태의 본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다음, 상기 서버의 서비스 실행모듈은 사전에 입력된 고객정보 및 물품정보와 상기 전송된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버의 서비스 실행모듈은 제어장치를 통해 물품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고객정보 및 물품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이때, 상기 파악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서버로부터 검색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광모듈을 점등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물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은 물품에 대한 고객정보 및 물품정보와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식별정보를 대응시킴에 있어,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를 벌리는 간단한 동작만이 필요하므로 등록 시간이 줄어들어 물품 관리가 편리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은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물품을 관리하는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다량의 세탁물을 관리하는 세탁소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100 : 집게형태의 본체
105 : 제1 집게부
106 : 제2 집게부
120 : 센서부
130 : 발광모듈
300 : 제어장치
310 : 서버
320 : 집게형 전자태그
330 : 게이트웨이

Claims (10)

  1.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를 구비하는 집게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제2 집게부와 맞닿는 제1 집게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의 사이가 벌어지면, 열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태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는 상기 제1 집게부와 맞닿는 제2 집게부의 일면에 마그네틱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 강도에 따라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태그.
  3. 삭제
  4. 제 1항 및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는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에 장착되는 발광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가 서버로부터 검색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광모듈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태그.
  5. 제어장치;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실행모듈을 구비하는 서버;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를 구비하는 집게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 제2 집게부와 맞닿는 제1 집게부의 일면에 장착되는 센서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집게형 전자태그; 및
    상기 서버와 집게형 전자태그의 무선통신모듈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 웨이;
    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센서부는 상기 제1 집게부와 제2 집게부의 사이가 벌어지면, 열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의 서비스실행모듈이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사전에 고객 정보 및 물품정보를 입력받고 대기하면,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모듈은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의 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열림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의 서비스 실행모듈은 상기 입력된 고객정보 및 물품정보와 상기 전송된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는 상기 제1 집게부와 맞닿는 제2 집게부의 일면에 마그네틱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상기 마그네틱의 자력 강도에 따라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의 열림 및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
  7. 삭제
  8.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형 전자태그는 상기 집게 형태의 본체에 장착되는 발광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서버의 서비스 실행모듈은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물품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고객정보 및 물품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상기 파악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서버로부터 검색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광모듈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하는 물품관리시스템.
  9.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정보는
    세탁물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태그를 이용한 물품관리시스템.
  10. 집게 형태의 본체, 무선통신모듈, 센서부, 발광모듈 및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센서부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센서부로부터 열림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서버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로부터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검색신호를 수신하면, 발광모듈을 점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전자태그의 제어방법.
KR1020100140221A 2010-12-31 2010-12-31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 KR10115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221A KR101150450B1 (ko) 2010-12-31 2010-12-31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221A KR101150450B1 (ko) 2010-12-31 2010-12-31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450B1 true KR101150450B1 (ko) 2012-06-01

Family

ID=4668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221A KR101150450B1 (ko) 2010-12-31 2010-12-31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4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922A (ko) * 2015-11-16 2017-05-24 지예진 냉장고용 무선 태그
KR20190102134A (ko) * 2018-02-24 2019-09-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 판독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463A (ja) 2005-11-07 2007-05-24 Shima Seiki Mfg Ltd Rfidハンガーとそのシステム並びにハンガー付きの衣類
KR100934008B1 (ko) 2009-03-31 2009-12-2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탁물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463A (ja) 2005-11-07 2007-05-24 Shima Seiki Mfg Ltd Rfidハンガーとそのシステム並びにハンガー付きの衣類
KR100934008B1 (ko) 2009-03-31 2009-12-2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탁물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탁물 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922A (ko) * 2015-11-16 2017-05-24 지예진 냉장고용 무선 태그
KR102000736B1 (ko) * 2015-11-16 2019-07-16 지예진 냉장고용 무선 태그
KR20190102134A (ko) * 2018-02-24 2019-09-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 판독 모듈
KR102138588B1 (ko) 2018-02-24 2020-07-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 판독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6220B2 (en) Garment tracking and processing system
US7034685B2 (en) Garment incorporating antenna for identifying articles to be sorted
JP3372168B2 (ja) 売場管理システム
US7805214B2 (en) Grasp state judging system and method
KR101150450B1 (ko) 집게형 전자태그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관리 시스템
US10108895B2 (en) Operator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080115541A1 (en) Garment Processing Personnel Safety Apparatus
US86809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items of a set
CN106560134A (zh) 悬挂衣物的系统
JP2022536619A (ja) 物品識別及び位置特定デバイス並びに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使用する方法
KR100999573B1 (ko) Rfid를 이용한 세탁물 분류 시스템
CN201275755Y (zh) 一种工具存放装置及工具存放系统
KR20180025608A (ko) Rfid 태그와 이를 이용한 보안 관리 시스템
KR20110090416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물품 이송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11922246B2 (en) Article-identification-and-loc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2008269201A (ja) Icタグ
JP4943196B2 (ja) 可搬型監視装置及び物品監視システム
WO2022215684A1 (ja) 商品管理システム、器具通信装置、及び商品管理方法
JP7492592B2 (ja) 商品管理システム及び電子タグ
KR20200056727A (ko) 도난 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자 라벨
JP2001026308A (ja) レンタル品回収検出装置
JP2008299377A (ja) 無線式データキャリアシステムの質問器および中継器
CN110469145B (zh) 智能试衣间及智能服装门店系统
KR102265921B1 (ko) 전자 가격 표시기, 그의 정보 제공 방법 및 그를 갖는 시스템
US20220151361A1 (en) Article-identification-and-loc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