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303B1 -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303B1
KR101150303B1 KR1020110074244A KR20110074244A KR101150303B1 KR 101150303 B1 KR101150303 B1 KR 101150303B1 KR 1020110074244 A KR1020110074244 A KR 1020110074244A KR 20110074244 A KR20110074244 A KR 20110074244A KR 101150303 B1 KR101150303 B1 KR 101150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air supply
supply duc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원
연준재
이찬진
Original Assignee
이승원
(주)클래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주)클래스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riority to KR1020110074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는, 버섯 농작물이 재배되는 실내 공간을 형성하며, 양쪽 측벽 하부에 형성되어 조화된 공기를 상기 양쪽 측벽 하부에서 상기 실내 공간의 중앙 쪽으로 취출하는 다수의 취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조화된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취출구와 연통하는 급기 덕트와, 상기 실내 공간의 상부 구비되어 상기 실내 공간을 순환한 공기를 상부 쪽으로 흡입하는 다수의 흡입구를 갖는 환기 덕트를 포함하는 덕트 설비 및 상기 급기 덕트를 거쳐 상기 다수의 취출구를 통해 상기 조화된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급하고, 상기 다수의 흡입구를 거쳐 상기 환기 덕트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을 순환한 공기를 되돌려받는 에어 핸들링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APPARATUS FOR GROWING MUSHROOM}
본 발명은 버섯과 같은 농작물이 요구하는 온도, 습도 및 청정도 등의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작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온의 자동화 공조기술을 통하여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조건으로 자동 유지함으로써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농작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도, 습도, CO₂ 농도, 오염방지, 광조사량 등은 버섯과 같은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 중요한 관리 요인이다.
종래의 농작물 재배 방법에서는, 비닐하우스로 이루어진 재배사의 외부에 보온 덮개 등을 씌워 보온을 유지하고 있으나, 많은 열손실이 발생하여 효율적인 열관리가 어렵다. 또한, 내부온도를 해당 농작물이 요구하는 최적의 온도로써 재배룸 내부 어느 곳이나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나, 공조시설 등의 미비로 인하여 적정한 관리가 어렵다.
이에 최근에는 공조기와 이 공조기에 의해 조화된 공기를 재배사 내부로 취출하여, 재배사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각종 덕트 설비를 설치함으로써, 재배룸의 실내 어느 곳이나 일정한 최적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농작물 재배 장치에서의 공조 설비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룸(1) 실내 일측 상부에서 설치된 급기 덕트(2)로부터 조화된 공기가 취출되고, 상기 재배룸 실내 타측 상부에 설치된 환기 또는 배기 덕트(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순환 구조로 설계된다. 이러한 공기 순환 구조는 재배룸의 전체 면적이 작은 경에는 재배룸 내부 전체를 균일한 최적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지만, 전체 면적이 큰 경우, 재배룸 내부 전체를 균일한 최적 온도로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급기 덕트에서 환기 또는 배기 덕트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 그만큼 조화된 공기의 이동 경로가 늘어나 전체 면적으로 균일하게 최적 온도로 유지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급기 덕트 및 배기 덕트가 모두 상부쪽에 설치된 관계로, 재배룸의 바닥까지 공기가 충분하게 순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농작물 재배자가 요구하는 최적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종래에는 양호한 공조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작물이 요구하는 최적의 온도, 습도 및 청정도로써 재배룸 내부 어느 곳이나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는, 버섯이 재배되는 실내 공간을 형성하며, 양쪽 측벽 하부에 형성되어 조화된 공기를 상기 양쪽 측벽 하부에서 상기 실내 공간의 중앙 쪽으로 취출하는 다수의 취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조화된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취출구와 연통하는 급기 덕트와, 상기 실내 공간의 상부 구비되어 상기 실내 공간을 순환한 공기를 상부 쪽으로 흡입하는 다수의 흡입구를 갖는 환기 덕트를 포함하는 덕트 설비 및 상기 급기 덕트를 거쳐 상기 다수의 취출구를 통해 상기 조화된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급하고, 상기 다수의 흡입구를 거쳐 상기 환기 덕트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을 순환한 공기를 되돌려받는 에어 핸들링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취출 및 상부 흡입 방식의 공기 순환 구조에 의해 재배룸 내부 어느 곳이나 일정한 최적 온도, 습도 및 청정도를 유지시킴으로써,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재배룸에서 형성되는 공기 순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농작물 재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핸들링 유닛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 핸들링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에 덕트 설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에 덕트 설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재배룸에서 형성되는 공기 순환 구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농작물 재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500)는, 농작물로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 예가 한정되어 기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500)가 버섯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배하는 데 있어서 버섯과 같이 온도 습도 및 청정도 등의 환경 조건을 중요한 요인으로 하는 다른 농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500)는, 농작물 재배자가 재배하고자 하는 해당 농작물이 요구하는 온도, 습도 및 청정도 등의 환경 조건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상기 해당 농작물을 재배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 장치(500)는 재배 룸 내부의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취출하고, 상부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순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재배 룸 내부 어느 곳이나 일정한 최적 온도를 유지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500)는 버섯이 재배되는 재배 룸을 구성하는 하우징(100)과, 조화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하부 방향에서 취출시키고, 상부 방향에서 흡입하는 덕트 설비(150: 도 6 및 도 7에 도시됨), 상기 조화된 공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화된 공기를 상기 덕트 설비(15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제공하는 에어 핸들링 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5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설비 및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 및 관리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유/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전달하는 제어 관리부(3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5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상하, 좌우의 내 외벽을 갖는 중공형의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버섯 농작물 트레이(12, 13, 14, 15)를 배치되어, 버섯이 생육 된다. 상기 내 외벽들은 외부와의 단열효과가 우수한 보온재를 내장한 샌드위치 판넬(sandwitch pane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각 버섯 농작물 트레이(12, 13, 14, 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좌우방향의 공기 유통이 자유로운 다단 프레임의 구조를 가지며, 각 프레임 상에 버섯 농작물이 재배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전체 외관 구조는 전체적으로 창이 형성되지 않는 무창구조이며, 출입문들(17, 18)이 그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 하부에는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에 의해 생성된 조화된 공기를 취출하는 다수의 취출구(Diffuser: DIF 1 ~ DIF 10)가 형성된다. 각 취출구들(DIF 1 ~ DIF 10)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 내벽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급기 덕트(supply duct)와 연통하여 상기 조화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하부방향으로 취출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하우징(100) 내부의 중앙 상부에는 환기 덕트(Return duct)와 연통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의 양측 내벽 하부에 구비된 취출구를 통해 취출된 조화된 공기가 중앙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흡입구를 통해 다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으로 이동하는 공기 순환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기 순환 구조는 하우징(100) 실내 일측 상부에서 설치된 급기 덕트로부터 취출된 공기가 하우징 실내 타측 상부에 설치된 환기 또는 배기 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종래와는 달리, 양측 하부에서 동시에 공기가 취출되어 중앙 상부 쪽으로 환기되기 때문에, 재배 룸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 전체를 버섯 농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최적 온도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하우징(100) 내부 전체가 짧은 시간 내에 상기 최적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는 CO2 농도를 측정하는 CO2 농도 검출 센서(102)가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CO2 농도 검출 센서(102)는 이후에 설명되는 제어 관리부(300)와 연동하여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된 환기 덕트 부분에 설치된 배기 팬(도 6의 159)의 배기 댐퍼(MVD 1: Motor Volume Damper 1)와 에어 핸들링 유닛(200)의 유입 댐퍼(MVD 2: Motor Volume Damper 2)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킨다. 이러한 배기 댐퍼와 유입 댐퍼의 개폐 동작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CO2 가스를 외부로 자동 배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외부에 설치된 배기 팬(도 6의 159) 외에도 상기 하우징(100) 일측벽에는 벽부형 보조 배기 팬(106)이 추가 설치되어, 상기 CO2 농도 검출 센서(102)의 오동작 시, CO2 가스의 수동 배출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각 버섯 농작물 트레이(12, 13, 14, 15) 상의 버섯 농작물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104)가 설치되며, 상기 조명부(104)로는 식물 재배용 램프로서 기능성 LED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버섯 농작물 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380nm, 430nm, 450nm, 630nm, 660nm 의 파장을 갖는 LED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LED 램프의 배열 위치 및 개수가 한 개의 LED 램프가 실내 중앙 상부에 배치된 예가 나타나지만, 하우징(100) 내부의 버섯 농작물 트레이(12, 13, 14, 15)의 위치 및 하우징(100) 내부 전체 면적 등에 따라 그 배열 위치 및 개수는 가변 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벽 하부에는 형성된 다수의 취출구(DIF 1 ~ DIF 10)를 통해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고 무균상태의 조화된 공기를 생성하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부 취출 및 상부 흡입 구조의 덕트 설비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에 조화된 공기를 급기 및 환기시키는 에어 핸들링 유닛(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핸들링 유닛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 핸들링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에어 핸들링 유닛(200)은 공기 흡입구(201)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서플라이 모터(210) 및 이 서플라이 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서플라이 팬(210)이 마련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203)를 갖는다. 상기 공기 유입구(201)와 상기 공기 배출구(203)는 이후에 설명되는 하우징(100)내의 덕트 설비(150)에 연통 된다.
또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은 그 내측에 탈착 가능한 프리 필터(pre-filter: 214A)와 미디움 필터(medium filter: 214B)로 구성된 필터 부재(214)를 구비하며, 이러한 필터 부재(214)를 통해 외기와 하우징(100) 실내에서 다시 되돌아온 공기 흡입시, 유입되는 먼지와 일반세균과 같은 미립자를 필터링 한다.
상기 필터 부재(214)의 후방에는 쿨링 코일(216)및 가열 코일(218)들이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가열 코일(218)의 후방 측으로는 가습기(220)가 배치된다. 이러한 가습기(220)가 에어 핸들링 유닛(200) 내부에 위치하므로, 취출 공기에 수분이 충분히 흡수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공급된다.
한편, 에어 핸들링 유닛(200) 내부에 위치한 상기 가습기(220)의 고장을 대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가습기(112)가 추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관리부(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설비 및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 및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제어 관리부(300)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CO2 농도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결과를 제공받고, 만일 CO2기준치 이상으로 CO2 농도가 높다고 판단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외부에 노출된 환기 덕트 부분에 설치된 배기 팬(도 6의 159)의 배기 댐퍼(MVD 1: Motor Volume Damper 1)와 에어 핸들링 유닛(200)의 유입 댐퍼(MVD 2: Motor Volume Damper 2)를 자동으로 개폐시킨다. 즉, 상기 배기 팬(도 6의 159)의 배기 댐퍼(MVD 1)를 자동으로 열어서 CO2 농도가 높은 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며, 그 방출된 공기를 보충하기 위하여 즉시 상기 유입 댐퍼(MVD 2)를 열어서 외부 공기를 보충한다. 따라서, CO2 농도는 신속하게 낮아져서 기준치 이내로 유지된다.
그 밖에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버섯 농작물 생육에 도움이되는 각종 전자 장치들이 하우징(100) 내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최근 식물 성장에 해로운 것으로 각종 연구보고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전자파 차단 장치가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진드기와 같은 각종 해충의 수를 줄이는데 도움이되는 음이온 발생 장치를 하우징(100) 내부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에 의해 조화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하부 방향에서 취출시키고, 상부 방향에서 흡입하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덕트 설비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에 덕트 설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에 덕트 설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설비(150)는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에 의해 조화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 덕트(152: supply duct)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를 다시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으로 되돌리는 환기 덕트(154: return duct)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 덕트(152)는 제1 급기 덕트(152A), 제2 급기 덕트(152B), 제3 급기 덕트(152C) 및 제4 급기 덕트(152D)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급기 덕트(152A)는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의 공기 배출구(203: 도 4에 되시됨)와 연통 되어,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으로부터 조화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제2 급기 덕트(152B)는 하우징(100) 내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급기 덕트(152A)와 연통하여 상기 조화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제3 급기 덕트(152C)는 하우징(100) 내부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양쪽 측벽을 따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급기 덕트(152C)는 제3-1 급기 덕트(152C-1)와 제3-2 급기 덕트(152C-2)로 구성된다. 상기 제3-1 급기 덕트(152C-1)는 상기 제2 급기 덕트(152B)의 한쪽 단부와 연통하여, 상기 제2 급기 덕트(152B)로부터 조화된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하우징(100)의 한쪽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3-2 급기 덕트(152C-2)는 상기 제2 급기 덕트(152B)의 다른 쪽 단부와 연통하여, 상기 제2 급기 덕트(152B)로부터 조화된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하우징(100)의 다른 쪽 측벽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4 급기 덕트(152D)는 상기 제3 급기 덕트(152C)와 연통 되어, 하우징(100) 내부의 양측 측벽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연장되는 제4-1 급기 덕트(152D-1) 내지 제4-10 급기 덕트(152D-1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급기 덕트(152D)의 상기 제4-1 급기 덕트(152D-1) 내지 제4-5 급기 덕트(152D-5)는 하우징(100) 내부의 한쪽 측벽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한쪽 측벽 하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5 취출구(DIF 1 ~ DIF 5)와 각각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제4 급기 덕트(152D)의 상기 제4-6 급기 덕트(152D-6) 내지 제4-10 급기 덕트(152D-10)는 하우징(100) 내부의 다른 쪽 측벽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다른 쪽 측벽 하부에 형성된 제6 내지 제10 취출구(DIF 6 ~ DIF 10)와 연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급기 덕트(152)의 설치 구조에 따라 에어 핸들링 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조화된 공기는 하우징(100)의 양쪽 측벽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중앙 쪽으로 취출된다.
한편, 상기 환기 덕트(154)는 그 일단부가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의 공기 유입구(201: 도 4에 도시된)와 연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실내 공기를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 쪽으로 되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기 덕트(154)는 상기 제3 급기 덕트(152C)의 제3-1 급기 덕트(152C-1)와 제3-2 급기 덕트(152C-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급기 덕트(152C)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하우징(100) 내부의 상부 중앙을 가로지른다. 이러한 환기 덕트(154)의 양측에는 다수의 흡입구(154-1 ~ 154-10)가 구비되며, 이로 인해 하우징(100) 내부를 순환한 실내 공기는 중앙 상부 쪽으로 흡입되어,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으로 환기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 양쪽 측벽 하부에 형성된 취출구와 하우징 상부 중앙에 구비된 흡입구가 형성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취출 및 상부 흡입 방식의 공기 순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기 순환 구조에 따라 재배룸 내부 어느 곳이나 일정한 최적 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버섯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버섯 농작물이 재배되는 실내 공간을 형성하며, 양쪽 측벽 하부에 형성되어 조화된 공기를 상기 양쪽 측벽 하부에서 상기 실내 공간의 중앙 쪽으로 취출하는 다수의 취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조화된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취출구와 연통하는 급기 덕트와, 상기 실내 공간의 상부 구비되어 상기 실내 공간을 순환한 공기를 상부 쪽으로 흡입하는 다수의 흡입구를 갖는 환기 덕트를 포함하는 덕트 설비; 및
    상기 급기 덕트를 거쳐 상기 다수의 취출구를 통해 상기 조화된 공기를 상기 실내 공간에 공급하고, 상기 다수의 흡입구를 거쳐 상기 환기 덕트를 통해 상기 실내 공간을 순환한 공기를 되돌려 받는 에어 핸들링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급기 덕트는,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의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에어 핸들링 유닛(200)으로부터 조화된 공기를 공급받는 제1 급기 덕트;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급기 덕트(152A)와 연통하는 제2 급기 덕트;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고, 양쪽 측벽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 급기 덕트의 양쪽 단부와 연통하는 제3-1 및 제3-2 급기 덕트를 포함하는 제3 급기 덕트; 및
    상기 제3 급기 덕트와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양측 측벽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취출구와 각각 연통하는 다수의 제4 급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덕트는,
    상기 제3-1 급기 덕트와 상기 제3-2 급기 덕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하우징 상부 중앙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CO2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상기 환기 덕트에 설치된 배기 팬와 배기 댐퍼를 통해 CO2 농도가 상기 기준치 이상인 하우징(10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농작물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식물 재배용 램프로서 기능성 LED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 장치.


KR1020110074244A 2011-07-26 2011-07-26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 KR101150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44A KR101150303B1 (ko) 2011-07-26 2011-07-26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44A KR101150303B1 (ko) 2011-07-26 2011-07-26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303B1 true KR101150303B1 (ko) 2012-05-29

Family

ID=4627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244A KR101150303B1 (ko) 2011-07-26 2011-07-26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3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59B1 (ko) * 2013-09-05 2015-01-20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엘이디를 이용한 식물재배공장
KR20160093213A (ko) 2015-01-29 2016-08-08 안인규 다품종 버섯작물 재배용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KR101690113B1 (ko) * 2016-01-08 2017-01-09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버섯 재배 장치
KR101889217B1 (ko) * 2017-03-07 2018-08-16 이규도 식물재배용 공조장치
US20230345885A1 (en) * 2020-05-12 2023-11-02 Lala Corporation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and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343Y1 (ko) * 1998-05-14 2000-11-01 김강권 버섯재배사의 환기 및 온습도·탄산가스 환경조절장치
KR100275673B1 (ko) 1998-03-05 2000-12-15 강흥묵 버섯재배 환경조절법 및 장치
KR20060118035A (ko) * 2005-05-16 2006-11-23 이정인 버섯재배사 환기 장치
KR100751864B1 (ko) 2006-01-27 2007-08-23 영농조합법인 착한농부들 버섯 재배사의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673B1 (ko) 1998-03-05 2000-12-15 강흥묵 버섯재배 환경조절법 및 장치
KR200201343Y1 (ko) * 1998-05-14 2000-11-01 김강권 버섯재배사의 환기 및 온습도·탄산가스 환경조절장치
KR20060118035A (ko) * 2005-05-16 2006-11-23 이정인 버섯재배사 환기 장치
KR100751864B1 (ko) 2006-01-27 2007-08-23 영농조합법인 착한농부들 버섯 재배사의 환기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59B1 (ko) * 2013-09-05 2015-01-20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엘이디를 이용한 식물재배공장
KR20160093213A (ko) 2015-01-29 2016-08-08 안인규 다품종 버섯작물 재배용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KR101690113B1 (ko) * 2016-01-08 2017-01-09 주식회사 디아이티이엔지 컨테이너를 구비하는 버섯 재배 장치
KR101889217B1 (ko) * 2017-03-07 2018-08-16 이규도 식물재배용 공조장치
US20230345885A1 (en) * 2020-05-12 2023-11-02 Lala Corporation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and indoor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303B1 (ko) 버섯 농작물 재배 장치
CN102483253B (zh) 空调
US20030005626A1 (en) Plant cultivator and control system therefor
KR100366000B1 (ko) 무균 자동화 버섯재배장치
KR101889217B1 (ko) 식물재배용 공조장치
JP5989413B2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CN105638427A (zh) 一种自然光利用型植物栽培箱
EP4165985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2006814B1 (ko) 버섯재배사
KR20160143384A (ko) 접목묘 활착실
KR20120110493A (ko)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KR20140102822A (ko) 식물 공장 컨테이너
CN114364252B (zh) 温室
KR102187599B1 (ko) 버섯재배 비닐하우스용 냉난방 공기순환장치
TWM471134U (zh) 水耕栽培裝置
JP2004016232A (ja) 茸等の施設栽培装置
KR102141718B1 (ko)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
KR20200027208A (ko) 버섯 재배용 수분 공급 장치
KR100939591B1 (ko) 냉난방겸용이 가능한 농업시설용 열회수형 환기장치
JP3202443U (ja) 実験動物飼育装置
KR20180031334A (ko)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식 버섯 재배 시스템
KR20220084457A (ko) 무균 자동화 버섯 재배장치
JP2004242660A (ja) 茸等の施設栽培装置
KR20170079558A (ko) 환풍 장치
KR102209112B1 (ko) 버섯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