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083B1 -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ip 서비스 구성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ip 서비스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083B1
KR101150083B1 KR1020107002931A KR20107002931A KR101150083B1 KR 101150083 B1 KR101150083 B1 KR 101150083B1 KR 1020107002931 A KR1020107002931 A KR 1020107002931A KR 20107002931 A KR20107002931 A KR 20107002931A KR 101150083 B1 KR101150083 B1 KR 101150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protocols
domain
communication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759A (ko
Inventor
준 왕
마사카즈 시로타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3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04W80/045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nvolving different protocol versions, e.g. MIPv4 and MIPv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7Adaptation for transition between two IP versions, e.g. between IPv4 and IPv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7Selecting a data network PoA [Point of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모바일 장치들에 대한 지정된 도메인들과 호환할 수 있는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어드레스 할당을 돕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기술된다. 상기 장치들은 인증/허가 요청을 인증 서버에 포워드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성공적인 인증과 동시에, 인증 서버는 상기 장치 또는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도메인 식별자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메인 식별자를 사용하여,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은 추후 도메인 통신을 위하여 상기 소자를 구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IP 서비스 구성{IP SERVICE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본 출원은 2007년 7월 9일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AUTHORIZATIONS OF IP SERVICES BASED ON DOMAIN FOR DUAL IP STACK"인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번호 60/948,658의 이익을 청구한다. 상기된 출원 전체는 여기에서 참조로써 통합된다.
다음 상세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프로토콜 서비스 허가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폭넓게 전개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중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상기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들은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3GPP LTE(long term evolution), UMB(ultra mobile broadband), 등 같은 사양들에 부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들은 다중 모바일 장치들에 대해 동시에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모바일 장치는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의 전송들을 통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모바일 장치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모바일 장치들로부터 기지국들로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게다가, 모바일 장치들과 기지국들 사이의 통신들은 단일-입력 단일-출력(S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시스템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들 등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게다가, 모바일 장치들은 피어-투-피어(peer-to-peer) 무선 네트워크 구성들에서 다른 모바일 장치들(및/또는 다른 기지국들을 가진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은 인증, 허가 및 어카운팅(accounting)(AAA) 서버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게이트웨이들, 또는 임의의 서비스 제공 컴포넌트들 같은 코어(core)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들과 모바일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은 무선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들 또는 컴포넌트들과 통신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들을 인증 및/또는 허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AAA 서버는 저장된 프로파일로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를 검증할 수 있고, 성공적인 인증/허가와 동시에, 게이트웨이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 다음 게이트웨이는 추후 통신들을 돕기 위하여 모바일 장치에 액세스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 및 프로토콜들의 상이한 결합들을 사용한 상이한 도메인들의 개발은 다중 도메인들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 지원을 방해할 수 있다.
다음은 실시예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런 요약은 모든 예상되는 실시예들의 광범위한 개관이 아니고, 모든 실시예들의 핵심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실시예들의 범위를 묘사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공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의 서론으로서 간략화된 형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 및 상기 실시예들의 대응 명세에 따라, 다양한 양상들은 프로토콜 할당을 수신한 장치에 대해 사용자 프로파일에 지정된 도메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인증/허가에 뒤이어 액세스 프로토콜 할당을 돕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예를 들어, 인증, 허가, 및 어카운팅(AAA) 서버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GW) 또는 다른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통해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AAA 서버는 모바일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도메인들에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식별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AGW 또는 다른 컴포넌트는 모바일 장치 및/또는 도메인과 호환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메인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추후, AGW는 모바일 장치와 호환할 수 있는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가진 세션을 구축할 수 있다.
관련된 양상들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 대해 목적하는 도메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관련된 도메인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메인 식별자에 따라 도메인과 호환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부가적으로 상기 도메인에서 추후 통신을 돕기 위하여 모바일 장치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수신된 도메인 식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모바일 장치에 대한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을 결정할 뿐 아니라 호환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모바일 장치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무선 네트워크 모바일 장치와 프로토콜 통신을 구축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모바일 장치에 관련된 수신된 도메인 식별자에 따라 호환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부가적으로 호환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추후 통신시 사용될 모바일 장치에 대한 프로토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다른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관련된 도메인 식별자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가질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도메인 식별자에 따라 도메인과 호환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상기 도메인에서 추후 통신을 돕기 위해 모바일 장치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및 관련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은 이후에 충분히 기술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지적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의 특정 도시된 양상들을 상세히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 양상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들이 모든 양상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를 가리킨다.
도 1은 여기에 나타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인증/허가에 뒤이어 장치에 대한 도메인 식별자를 수신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도메인 식별에 뒤이어 프로토콜 어드레스들을 할당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무선 통신 환경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는 모바일 장치 및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에 대한 도메인 결정을 수행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성공적인 인증에 뒤이어 도메인 식별자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지정된 도메인과 호환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치와 접속 구축을 돕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 및 방법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9는 무선 통신들의 인증에 뒤이어 모바일 장치에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지금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되고,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 다수의 특정 상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들)이 이들 특정 상세 없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잘 공지된 구조들 및 장치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 출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소프트웨어를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운용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오브젝트, 실행 가능부, 실행 스레드(thread),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에 의해, 컴퓨팅 장치상에서 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양쪽은 하나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잔류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상에 국한될 수 있고 및/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컴포넌트들은 그 위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가진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가진 신호(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 내 다른 컴포넌트와, 분산 시스템과, 및/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 인터넷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로컬 프로세스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실시예들은 여기에서 모바일 장치와 관련하여 기술된다. 모바일 장치는 시스템, 가입자 유니트,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리모트 스테이션(remote station), 리모트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 사용자 터미널, 터미널,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agent),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E)라 지칭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cordless telephone),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관련하여 여기에 기술된다. 기지국은 모바일 장치(들)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이벌브드(evolved) 노드 B(eNode B 또는 eNB), 기지국 트랜스시버(BTS) 또는 몇몇 다른 전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게다가,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 물건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 "제조 물건"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들, 등), 광학 디스크들(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등), 스마트 카드들,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들(예를 들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 및/또는 다른 머신-판독 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무선 채널들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에 기술된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도메인 멀티플렉싱(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들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상호 교환하여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다운링크 상에서 OFDMA를 이용하고 업링크 상에서 SC-FDMA를 이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출시되는 배포물(upcoming release)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 불리는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된다. CDMA2000 및 UMB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2")라 불리는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된다.
도 1을 지금 참조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여기에 제공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시된다. 시스템(100)은 다중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및 106)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108 및 110)을 포함할 수 있고, 부가적인 그룹은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두 개의 안테나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보다 많거나 적은 안테나들은 각각의 그룹에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부가적으로 전송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체인의 각각은 차례로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신호 전송 및 수신과 연관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모바일 장치(116) 및 모바일 장치(122)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102)이 모바일 장치들(116 및 122)과 유사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수의 모바일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모바일 장치들(116 및 122)은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들, 스마트 폰들, 랩톱들, 핸드헬드 통신 장치들,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들, 위성 라디오들, 글로벌 위치결정 시스템들,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장치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116)는 안테나들(112 및 114)과 통신 중이고, 여기서 안테나들(112 및 114)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모바일 장치(116)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모바일 장치(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게다가, 모바일 장치(122)는 안테나들(104 및 106)과 통신하고, 여기서 안테나들(104 및 106)은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모바일 장치(122)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모바일 장치(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는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사용된 것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하도록 설계된 각각의 안테나들의 그룹 및/또는 영역은 기지국(102)의 섹터라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1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에서 모바일 장치들에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을 통한 통신시, 기지국(102)의 전송 안테나들은 모바일 장치들(116 및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118 및 124)의 신호-대-잡음 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빔형성(beamforming)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2)이 연관된 커버리지 도처로 랜덤하게 산란되는 빔형성을 모바일 장치들(116 및 122)에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동안, 이웃 셀들 내 모바일 장치들은 기지국이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모든 모바일 장치들에 전송하는 것과 비교하여 덜 간섭을 받을 수 있다. 게다가, 모바일 장치들(116 및 122)은 서술된 바와 같이 피어-투-피어 또는 애드 혹(ad hoc) 기술을 사용하여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시스템(100)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게다가, 시스템(100)은 FDD, TDD 등과 같은 통신 채널들(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역방향 링크, ...)을 분할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임의의 타입의 듀플렉싱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기지국(102)은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을 통해 모바일 장치들(116 및/또는 122)에게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은 인증 및/또는 허가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바일 장치들(116 및/또는 122)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들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은 게이트웨이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들에 접속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허가, 인증, 및 어카운팅(AAA) 서버(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요청을 수신함과 동시에 모바일 장치들(116 및/또는 122)을 인증할 수 있다. 성공적인 인증 및/또는 허가와 동시에, AAA 서버는 모바일 장치(116 및/또는 122)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메인 식별자들을 게이트웨이에 제공할 수 있다. 도메인 식별자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게이트웨이는 호환 가능한 액세스 프로토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102)을 통하여 모바일 장치(116 및/또는 122)와 호환 가능한 액세스 프로토콜을 사용한 세션을 구축할 수 있다. 추후, 모바일 장치(116 및/또는 122)는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102)을 통하여 코어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장치 인증/허가 및 추후 프로토콜 구축을 돕는 무선 통신 시스템(200)이 도시된다. 모바일 장치 같은 장치(202)는 기술된 바와 같이 RNC(204)를 통하여 액세스 게이트웨이(AGW)(206)와 통신할 수 있다. AGW(206)는 장치(202)가 무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들과 통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GW(206)는 기본(underlying)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장치(202)를 인증/허가하기 위하여 장치(202)에 AAA 서버(208)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장치(202)는 시간에 따라 다른 RNC들에 액세스할 수 있고; 몇몇 경우들에서, 소스 및 목표 RNC는 동일한 액세스 게이트웨이(206)를 사용할 수 있다. 이전 프로토콜 사용이 각각의 RNC에서 장치(202)에 할당될 새로운 프로토콜 어드레스(예를 들어, 간단한 인터넷 프로토콜(IP))를 요구했지만, 새로운 RNC로의 변경이 반드시 새로운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요구할 필요가 없도록 프로토콜 어드레스가 AGW(206)(예를 들어, 모바일 IP)에서 고정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2)는 RNC(204)를 통하여 AGW(206)로부터 하위 계층 접속 구축 및 인증/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RNC(204)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들(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장치(202)에 접속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하위 계층 구축 후, 장치(202)는 무선 네트워크의 AAA 서버(208)를 가진 상위-계층에서 장치(202) 및/또는 상기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 및/또는 허가하기 위하여 AGW(206)를 통하여 AAA 서버(208)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AAA 서버(208)는 인증/허가 요청과 동시에 장치(202)에 의해 제공된 파라미터와 비교될 수 있는 장치(202) 및/또는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AAA 서버(208)가 장치(202)를 성공적으로 인증/허가하는 경우, 상기 AAA 서버(208)는 장치(202), 또는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메인 식별자들과 함께 AGW(206)로 성공(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인증 파라미터)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메인 식별자는 성공적인 인증 및/또는 허가시에 AAA 서버(208)에 의해 AGW(206)에 전송된 프로파일의 일부일 수 있다. 도메인 식별자는 도메인에서 통신하기 위하여 장치(20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AGW(2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과 상기 도메인을 연관시킬 수 있고 상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장치(202)와 호환 가능한 액세스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가진 세션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도메인과 호환할 수 있는 프로토콜들은 간단한 IPv4 및 IPv6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간단한 IP 프로토콜들, 모바일 IPv4 및 IPv6 같은 모바일 프로토콜들, 및/또는 다른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AAA 서버(208)로부터 도메인의 표시를 수신함과 동시에, AGW(2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결정할 수 있고 장치(202)에 대한 프로토콜을 구성할 수 있고 및/또는 장치(202)와 프로토콜 세션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기반으로 세션을 구축하기 위하여 장치(202)로부터 요청들을 수신하고 만약 요청된 프로토콜이 도메인과 호환할 수 없다면 구축을 거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거나, AGW(206)는 일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용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장치(202)에 지정할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장치(202)와 통신을 구축하기 위하여 사용된 프로토콜 타입은 장치(202)와 추후 통신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IP 프로토콜이 AAA 서버(208)에 의해 AGW(206)에 지정된 도메인과 호환할 수 있는 경우, 장치(202)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 사이에서 통신을 전송하면, 동일한 통신 세션은 예를 들어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가 동일한 AGW(206)를 사용하는 경우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장치(202) 또는 사용자에 관련된 도메인과 호환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RNC(204)에서 고정된 간단한 IP일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장치(202)가 새로운 RNC로 이동하면, 다른 프로토콜 세션은 구축될 수 있다.
지금 도 3을 참조하여, 다중 레벨 장치 허가/인증 및 추후 프로토콜 서비스들 구축을 돕는 무선 통신 시스템(300)이 도시된다. 기술된 바와 같이, 장치(302)는 기술된 바와 같이 RNC(304)를 통하여 AGW(306)와 통신할 수 있다. AGW(306)는 장치(302)가 기본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302)를 인증/허가하기 위하여 AAA 서버(308) 같은 무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들과 통신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단 AAA 서버(308) 인증/허가가 성공하면, 도메인 표시자는 AGW(306)에 전송될 수 있다(예를 들어, 자동으로 또는 액세스 요청에 응답하여). 게다가, 다른 AAA 서버(310)를 통한 장치(302)의 사용자를 위해 인증/허가의 다른 계층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토콜은 다른 AAA 서버(310)의 도메인과 호환되도록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 인증 및/또는 허가는 이와 관련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적절히 요청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하위 계층 접속 구축 및 인증/허가는 장치(302)와 AGW(306) 사이에서 (RNC 304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접속 구축 후, 장치(306)는 기술된 바와 같이 AAA 서버(308)에 의해 인증 및/또는 허가될 수 있다. 게다가, AAA 서버(308)는 성공적인 인증/허가에 대한 도메인 식별자를 AGW(306)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도메인 식별자는 도메인과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적당한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이 사용자 프로파일 전송식별인의 명확한 식별 및/또는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 등의 일부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그러나, 인증/허가의 다른 계층은 장치(302)의 사용자를 위해 요청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302)는 AGW(306)를 통하여 다른 AAA 서버(310)에게 사용자 인증/허가를 요청할 수 있고, AGW(306)는 적당한 프로토콜이 상기 결정된 바와 같은 통신들 동안 사용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AGW(306)는 하나의 프로토콜을 구성할 수 있고 AAA 서버(308)에 의해 제공된 프로토콜 허가 정보에 따라 프로토콜 어드레스를 장치(302)에 할당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 허가 정보는 도메인 식별자를 포함하고, AGW(306)는 상기 도메인 식별자로부터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결정할 수 있다. AAA 서버(308)가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결정하여 정보를 AGW(306)에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은 인식되어야 한다. 게다가, 프로토콜 허가 정보는 일 예에서 목표된 도메인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및/또는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AGW(306)가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결정하면, 상기 AGW(306)는 장치(302)로부터 프로토콜 어드레스 할당을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장치(302)는 프로토콜 타입을 요청할 수 있고, AGW(306)는 요청된 프로토콜이 결정된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 중 하나인지를 기반으로 상기 요청을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 또는 부가적인 예에서, AGW(3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장치(302)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지금 참조하여, 무선 통신 환경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통신 장치(400)가 도시된다. 통신 장치(400)는 AGW, AAA, 다른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 기지국, 모바일 장치, 및/또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일부, 또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소스들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대한 도메인 식별을 얻을 수 있는 도메인 식별자 수신기(402), 도메인 식별에서 식별된 도메인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할 수 있는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 지정기(404),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용 가능한 프로토콜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구축(모바일 장치,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구성 등에 사용하기 위한 IP 어드레스 같은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구성기(40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메인 식별자 수신기(402)는 모바일 장치에 의해 이용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메인들의 식별을 수신할 수 있다. 식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모바일 장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련된 기지국들 등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도메인 식별은 모바일 장치에 의해 요청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들 또는 모바일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상기 서비스들에 관련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 및/또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의 인증에 뒤이어 AAA 서버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 지정기(404)는 식별된 도메인과 호환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들은 간단한 IP 또는 모바일 IP, 또는 상기 IP의 다른 버젼들, 및/또는 등등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들일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주어진 도메인들에 이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에 대한 질문, 다른 도메인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로부터 이루어지는 추론, 및/또는 등등을 가리키는 저장된 룩업 테이블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구성기(406)는 도메인에 대해 결정된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모바일 장치에 대한 프로토콜을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모바일 장치에 프로토콜 어드레스 할당, DNS 서버 파라미터들 세팅, 및/또는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 장치(400)는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고 및/또는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 지정기(404)에 의해 지정된 모바일 장치 이용 가능 프로토콜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프로토콜 구성을 사용하는 모바일 장치와 접속을 구축할 수 있다. 이전 예에서, 모바일 장치가 관련된 도메인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프로토콜을 요청하는 경우, 통신 장치는 모바일 장치가 다른 프로토콜을 지정하고 및/또는 이용 가능한 프로토콜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관련하여, 기본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은 모바일 장치 인증이 완료될 때 실질적으로 모든 가능한 서비스 허가 정보를 AGW에 제공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통신 장치(400)는 간단히 식별된 도메인에 대해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를 지금 참조하여, 도메인 식별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호환 가능한 IP 서비스 사용을 돕는 무선 통신 시스템(500)이 도시된다. 시스템(500)은 AAA 서버(504)(및/또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들에 액세스하기 위한 임의의 수의 모바일 장치들(도시되지 않음) 또는 RNC들(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하는 AGW(502)를 포함한다. AGW(50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에 코어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고, AAA 서버(504)는 일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장치들을 인증 및/또는 허가할 수 있다. 또한, AGW(502)에서 아래에 도시 및 기술된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일 실시예에서 AAA 서버(504)에 존재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AGW(502)는 인증된 모바일 장치에 관련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수신기(506), 사용자 프로파일에 관련된 도메인을 결정할 수 있는 도메인 식별자(508), 및 관련된 도메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결정할 수 있고 장치 어드레스(예를 들어, IP 어드레스), DNS 서버 세팅들, 및/또는 등등 같은 프로토콜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구성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된 바와 같이, 도메인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토콜들 타입과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도메인이 결정되면, AGW(502)는 관련된 모바일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들을 수신할 수 있고 호환 가능한 도메인 프로토콜들 및/또는 장치에 의해 지정된 프로토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프로토콜을 구성할 수 있다.
AAA 서버(504)는 기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하여, 모바일 장치, 또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 및/또는 허가할 수 있는 인증/허가 기능부(512)뿐 아니라 성공적인 인증/허가와 동시에 사용자 프로파일을 AGW(502)에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 전송기(5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AGW(502)는 AAA 서버(504)로부터 모바일 장치에 대한 인증/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인증/허가 기능부(512)는 인증/허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기본 네트워크 및/또는 등등에 저장된 파라미터들에 대해 모바일 장치에 의해 지정된 파라미터들을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인증 및/또는 허가가 AAA 서버(504)에서 성공적이면, 사용자 프로파일 전송기(514)는 모바일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관련된 프로파일을 AGW(502)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은 또한 AGW(502)로의 액세스 요청에 응답하여 AAA 서버(504)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수신기(506)는 모바일 장치 및/또는 사용자와 호환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메인들을 지정할 수 있는, AAA 서버(504)로부터 전송된 프로파일 및/또는 도메인 표시자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메인 식별자(508)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메인들 및 상기 도메인(들)에 대한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AGW(502)는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모든 프로토콜들을 노출시키지 않고 목적하는 통신에 대한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결정한다. 통신 프로토콜 구성기(510)는 지정된 도메인에서 유효 프로토콜 서비스 액세스를 돕기 위하여, 프로토콜 어드레스 등과 같은 추후 통신들에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에 대한 프로토콜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추후, AGW(502)는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모바일 장치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적당한 도메인 통신을 도울 수 있다. 인증이 예를 들어 AAA 서버(504)가 모바일 장치와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들이 아닌 경우 다중 위상들(phase)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이와 관련하여, AGW(502)는 일 실시예에서 장치가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부가적인 사용자 인증 및/또는 허가를 수신하도록 다른 AAA 서버와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6-7을 참조하여, 장치 및/또는 사용자 인증 및/또는 허가에 뒤이어 모바일 장치 통신들을 위한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선택하는 것에 관련된 방법들은 도시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상기 방법들이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 및 기술되는 반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라 몇몇 동작들이 여기에 도시 및 기술된 것과 다른 순서들로 및/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들이 상기 동작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 것이 이해 및 인식된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태도 같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방법이 선택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 및 인식할 것이다. 게다가, 모든 도시된 동작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장치 및/또는 사용자 인증/허가에 뒤이어 도메인 식별자들을 전송하는 것을 돕는 방법(600)은 디스플레이된다. 602에서, 모바일 장치 또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허가 요청은 수신될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청은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가 부가적인 무선 네트워크 자원들에 액세스하게 할 수 있다. 604에서, 사용자는 무선 네트워크에 인증/허가될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이것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모바일 장치에 관련될 수 있다. 606에서, 도메인 식별자는 성공적인 인증/허가와 동시에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전송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도메인 식별자는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의 일부로서 전송될 수 있고, 사용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메인들을 식별할 수 있다. 이것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및/또는 장치와 통신들을 구축하기 위한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도메인 식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으로 모바일 장치와 프로토콜 통신들을 구축하는 것을 돕는 방법(700)이 도시된다. 702에서,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도메인 식별자는 네트워크 인증과 함께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는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인증될 수 있다. 이것은 일 실시예에서 AAA 서버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인증/허가되면, 사용자 또는 장치에 대한 프로파일은 수신될 수 있다. 704에서,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은 도메인 식별자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들은 간단한 IP, 모바일 IP, 이들 IP의 변형들 등 같은 IP 프로토콜들일 수 있고, 다른 도메인들은 다른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장치에 대한 도메인을 결정함으로써,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은 결정될 수 있고, 706에서 통신은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모바일 장치와 구축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양상들에 따라, 기술된 바와 같이 도메인 액세스에 대한 프로토콜들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추론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추론함" 또는 "추론"은 일반적으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를 통하여 캡쳐된 바와 같은 한 세트의 관찰들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들에 관한 추리 또는 추론 과정을 지칭한다. 추론은 특정 상황 또는 동작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상태들에 걸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전망 ―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려를 바탕으로 관심 상태들의 확률 분포의 계산 ― 일 수 있다. 추론은 또한 한 세트의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상위-레벨 이벤트들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술들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추론은 이벤트들이 밀접한 시간 근접도로 상관되든 되지 않든, 그리고 이벤트들 및 데이터가 하나 또는 몇몇의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발생하든, 한 세트의 관찰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작용들의 구성을 유발한다.
도 8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800)을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800)은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기지국(810) 및 하나의 모바일 장치(850)를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800)이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또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고, 여기서 부가적인 기지국들 및/또는 모바일 장치들은 하기에 기술된 예시적인 기지국(810) 및 모바일 장치(8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다를 수 있다. 게다가, 기지국(810) 및/또는 모바일 장치(850)가 그 사이의 무선 통신을 돕기 위하여 여기에 기술된 시스템들(도 1-5) 및/또는 방법들(도 6-7)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기지국(8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8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814)로 제공된다.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8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을 기반으로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기술들을 사용하여 파일롯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파일롯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또는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 될 수 있다. 파일롯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되고 채널 응답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바일 장치(850)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롯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BPSK), 쿼드러쳐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쿼드러쳐 진폭 변조(M-QAM), 등)을 기반으로 변조(예를 들어, 심볼 맵핑)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830)에 의해 수행되거나 제공된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820)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TX MIMO 프로세서는 추가로 변조 심볼들(예를 들어, OFDM 동안)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그 다음 TX MIMO 프로세서(820)는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전송기들(TMTR)(822a 내지 822t)로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820)는 빔형성 웨이트들을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 및 상기 심볼이 전송되는 안테나에 적용한다.
각각의 전송기(82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고, 추가로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당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들을 컨디셔닝(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터)한다. 추가로, 전송기들(822a 내지 822t)로부터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개의 안테나들(824a 내지 824t)로부터 전송된다.
모바일 장치(850)에서, 전송된 변조된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852a 내지 8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8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854a 내지 8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854)는 각각의 신호를 컨디셔닝(에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팅)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860)는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을 기반으로 NR개의 수신기들(854)로부터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8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하여 각각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860)에 의한 프로세싱은 기지국(810)에서 TX MIMO 프로세서(8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814)에 의해 수행된 것과 상보적이다.
프로세서(870)는 상기된 바와 같이 어느 프리코딩(precoding) 매트릭스를 사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프로세서(8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rank)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포뮬레이트(formulate)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또한 데이터 소스(8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83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880)에 의해 변조되고 전송기들(854a 내지 854r)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기지국(810)으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810)에서, 모바일 장치(850)로부터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8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822)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복조기(840)에 의해 복조되고, 모바일 장치(8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RX 데이터 프로세서(842)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추가로, 프로세서(830)는 빔형성 웨이트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한다.
프로세서들(830 및 870)은 각각 기지국(810) 및 모바일 장치(850)에서의 동작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830 및 8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832 및 872)와 연관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830 및 870)은 또한 각각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및 임펄스 응답 평가 값들을 유도하기 위하여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된다. 하드웨어 구현을 위하여, 프로세싱 유니트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장치들(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들(PLD), 전계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니트들, 또는 이들의 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될 때, 상기 실시예들은 저장 컴포넌트 같은 머신-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저, 기능,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등급, 또는 명령들의 임의의 조합,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세그먼트들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들, 파라미터들, 또는 메모리 콘텐트들을 통과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결합될 수 있다. 정보, 인수들, 파라미터들,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통과, 토큰 통과,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을 사용하여 통과, 포워딩,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해, 여기에 기술된 기술들은 여기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에를 들어, 프로시저들, 기능들, 및 등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니트들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니트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경우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무선 네트워크들 내에서 모바일 장치들과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 접속들을 구축하는 시스템(90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900)은 AGW, AAA 서버, 기지국, 모바일 장치 등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잔류할 수 있다. 시스템(900)이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되는 것이 인식된다. 시스템(900)은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9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논리 그룹(902)은 모바일 장치(904)에 관련된 수신된 도메인 식별자에 따라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술된 바와 같이, 도메인 식별자는 장치의 성공적인 인증/허가에 뒤이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도메인 식별자는 일 예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에 수신될 수 있고, 모바일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메인들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은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들이 무선 네트워크의 도메인에서 추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메인들과 연관되어 결정될 수 있다. 추가로, 논리 그룹(902)은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906)을 기반으로 추후 통신에 사용될 모바일 장치에 대한 프로토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하여 전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IP 어드레스는 할당될 수 있고, DNS 서버 세팅들은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로부터 통신 요청에 응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요청시 지정된 프로토콜은 상기 도메인과 호환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검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들의 리스트는 호환 가능한 프로토콜 요청을 돕기 위하여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900)은 전기 컴포넌트들(904 및 906)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908)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08)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904 및 906)이 메모리(908) 내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상기된 바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된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생각할 수 있는 결합을 모두 기술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지만, 당업자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많은 추가 결합들 및 변경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상기 변질들, 변형들 및 변동들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용어 "포함"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 사용되는 범위에서, 상기 용어는, "포함"이 청구항에서 전이어로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이 해석되는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내포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0)

  1. 모바일 장치에 대해 목적하는 도메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관련된 도메인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도메인 식별자에 따라 복수의 프로토콜들 중에서 상기 도메인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과 호환 가능한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은 IPv4 및 IPv6 프로토콜들, 및 모바일 IPv4 및 IPv6 프로토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상기 도메인에서 추후 통신을 돕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한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및 구성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도메인 사이에 통신 세션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식별자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인증/허가에 뒤이어 인증, 허가, 및 어카운팅(accounting)(AAA)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AAA 서버에 대한 통신 액세스를 상기 모바일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방문된 AAA 서버에 관련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상기 구성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인증 및/또는 허가하고 상기 도메인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AAA 서버에 액세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식별자는 상기 AAA 서버로부터의 액세스 허용 메시지에서 수신되는,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식별자는 전송된 사용자 프로파일의 일부에서 수신되는,
    프로토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삭제
  9. 무선 통신 장치로서,
    수신된 도메인 식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모바일 장치에 대한 복수의 프로토콜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고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은 상기 수신된 도메인 식별에 대응하는 도메인과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고, 상기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은 IPv4 및 IPv6 프로토콜들, 및 모바일 IPv4 및 IPv6 프로토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상기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및 구성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도메인 사이에 통신 세션을 구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결합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인증에 뒤이어 인증, 허가, 및 어카운팅(AAA) 서버로부터 상기 도메인 식별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도메인 식별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AAA 서버에 액세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식별은 상기 액세스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액세스 허용 메시지에서 수신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구축된 통신을 통하여 방문된 인증, 허가, 및 어카운팅(AAA)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의 인증/허가를 요청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도메인 식별을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식별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목적하는 도메인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무선 네트워크 모바일 장치와 프로토콜 통신들을 구축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모바일 장치에 관련된 수신된 도메인 식별자에 따라 복수의 프로토콜들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은 상기 수신된 도메인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과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고, 상기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들은 IPv4 및 IPv6 프로토콜들, 및 모바일 IPv4 및 IPv6 프로토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상기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추후 통신시 사용될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한 프로토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및 구성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도메인 사이에 통신 세션을 구축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인증, 허가, 및 어카운팅(AAA) 서버에 의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인증에 뒤이어 상기 AAA 서버로부터 상기 도메인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AAA 서버 사이의 통신을 돕기 위하여 하위 통신 계층 상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인증은 상기 AAA 서버에서의 인증 및 다른 AAA 서버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부가적인 인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AAA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은 상기 구성된 프로토콜 통신 파리미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다른 AAA 서버와 상기 모바일 장치 사이의 통신을 도움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은 간단한 또는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IP)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구성된 프로토콜 통신 파라미터들은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삭제
  24.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 관련된 도메인 식별자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상기 도메인 식별자에 따라 복수의 프로토콜들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게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은 상기 도메인 식별자에 대응하는 도메인과 호환 가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은 IPv4 및 IPv6 프로토콜들, 및 모바일 IPv4 및 IPv6 프로토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상기 도메인에서 추후 통신을 돕기 위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에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구성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들 및 구성된 상기 통신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도메인 사이에 통신 세션을 구축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식별자는 상기 모바일 장치 및/또는 사용자의 인증/허가에 뒤이어 인증, 허가, 및 어카운팅(AAA)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상기 모바일 장치에 상기 AAA 서버에 대한 통신 액세스를 제공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상기 구성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방문된 AAA 서버에 관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가 상기 모바일 장치를 인증 및/또는 허가하고 상기 도메인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AAA 서버에 액세스 요청을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식별자는 상기 AAA 서버로부터의 액세스 허용 메시지에서 수신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30. 삭제
KR1020107002931A 2007-07-09 2008-07-09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ip 서비스 구성 KR101150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865807P 2007-07-09 2007-07-09
US60/948,658 2007-07-09
US12/167,084 US8265281B2 (en) 2007-07-09 2008-07-02 IP service author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US12/167,084 2008-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759A KR20100034759A (ko) 2010-04-01
KR101150083B1 true KR101150083B1 (ko) 2012-06-01

Family

ID=4022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931A KR101150083B1 (ko) 2007-07-09 2008-07-09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ip 서비스 구성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265281B2 (ko)
EP (1) EP2171965B1 (ko)
JP (1) JP5174163B2 (ko)
KR (1) KR101150083B1 (ko)
CN (1) CN101690111B (ko)
BR (1) BRPI0814051B1 (ko)
CA (1) CA2692735C (ko)
ES (1) ES2780024T3 (ko)
HU (1) HUE048816T2 (ko)
RU (1) RU2451415C2 (ko)
TW (1) TWI370648B (ko)
WO (1) WO200900962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899A (ko) * 2013-09-13 2015-03-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8514A1 (en) 2006-09-14 2009-12-03 Shah Ullah Real world behavior measurement using identifiers specific to mobile devices
US9445353B2 (en) 2006-09-14 2016-09-13 Omnitrail Technologies Inc. Presence platform for passive radio access network-to-radio access network device transition
US8566926B1 (en) * 2010-03-18 2013-10-2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bility protocol selection by an authorization system
US8538405B2 (en) * 2010-04-29 2013-09-17 T-Mobile Usa, Inc. Communication protocol preferences
KR101587003B1 (ko) * 2010-09-07 201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와이 파이 연결 확인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194314B2 (en) * 2010-10-22 2019-01-2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 entity in a mobile device ecosystem
US9185169B2 (en) 2011-07-29 2015-11-10 Avaya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self-learning interactive communications privileges for governing interactive communications with entities outside a domain
US8966589B2 (en) * 2011-08-24 2015-02-24 Avaya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exception handling of interactive communications privileges governing interactive communications with entities outside a domain
WO2013056143A1 (en) * 2011-10-12 2013-04-18 Shah Ullah Presence platform for passive radio access network-to-radio access network device transition
US9264534B2 (en) 2011-10-18 2016-02-16 Avaya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self-maintaining interactive communications privileges governing interactive communications with entities outside a domain
US9894599B2 (en) 2012-06-13 2018-0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LAN initial link setup
US9019987B1 (en) 2013-03-12 2015-04-28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the transmission of unsupported messages
US9439068B2 (en) * 2014-12-05 2016-09-06 Technical Consumer Products, Inc. Dynamic configuration for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US10820176B2 (en) * 2017-12-22 2020-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mote user equipment assessment for network connection provisioning
US10911300B2 (en) * 2018-11-23 2021-02-02 Mediatek Singapore Pte. Ltd. Optimization for device provisioning protocol onboarding in wireless networks
US11412375B2 (en) * 2019-10-16 2022-08-09 Cisco Technology, Inc. Establishing untrusted non-3GPP sessions without compromising secur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5590A1 (en) * 2004-06-22 2006-01-19 Nokia Corporation Discovering a network el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762B (fi) 2001-03-09 2003-12-31 Nokia Corp Solukkoradioverkko
DE60222875T2 (de) 2001-04-06 2008-02-14 Nortel Networks Ltd., St. Laurent Verfahren und system zur erkennung einer namenserveradresse
US20030235305A1 (en) 2002-06-20 2003-12-25 Hsu Raymond T. Key gen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426195B2 (en) * 2002-10-24 2008-09-1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dentity based rou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7774828B2 (en) * 2003-03-31 2010-08-10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for commo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across independent networks
US20050041808A1 (en) 2003-08-22 2005-02-2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oaming between wireless domains
DE602004009596T2 (de) * 2003-09-12 2008-07-24 Ntt Docomo Inc. Sicherer handover innerhalb eines gebietes und gebietsüberschreitend
US7324474B2 (en) 2003-10-21 2008-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Initiated Data Services
ES2297634T3 (es) 2005-04-28 2008-05-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squema de seleccion de redes que utiliza un mediador de itinerancia (rb).
CN1859614B (zh) * 2005-12-28 2010-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传输的方法、装置和系统
US8588742B2 (en) * 2007-03-16 2013-11-19 Ericsso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services to mobile subscribers using existing broadband infra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5590A1 (en) * 2004-06-22 2006-01-19 Nokia Corporation Discovering a network ele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899A (ko) * 2013-09-13 2015-03-2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09605B1 (ko) * 2013-09-13 2020-05-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3582A (en) 2009-03-16
JP2010533462A (ja) 2010-10-21
KR20100034759A (ko) 2010-04-01
US8265281B2 (en) 2012-09-11
CA2692735C (en) 2014-04-29
BRPI0814051B1 (pt) 2020-09-29
ES2780024T3 (es) 2020-08-21
CN101690111B (zh) 2013-04-24
US20090025059A1 (en) 2009-01-22
CN101690111A (zh) 2010-03-31
WO2009009624A2 (en) 2009-01-15
RU2451415C2 (ru) 2012-05-20
EP2171965B1 (en) 2019-12-25
TWI370648B (en) 2012-08-11
CA2692735A1 (en) 2009-01-15
RU2010104256A (ru) 2011-08-20
JP5174163B2 (ja) 2013-04-03
BRPI0814051A2 (pt) 2015-01-06
EP2171965A2 (en) 2010-04-07
WO2009009624A3 (en) 2009-07-16
HUE048816T2 (hu)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083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ip 서비스 구성
CN111417092B (zh) 支持单个一对一侧链路通信链路车联网服务的方法和设备
US10897507B2 (en) Mechanism to enable connectivity sessions and IP session establishment
JP5345634B2 (ja) 無線通信におけるユーザ機器機能更新
TWI555430B (zh) 在一無線通訊系統中支援裝置間通訊的方法及裝置
EP2140719B1 (en) Establishing connection using additional parameters
US8619668B2 (en) Mobility management mode selection in multiple access wireless networks
JP202108308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イドリンク伝送リソースを要求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90199268A1 (en) Policy control for encapsulated data flows
KR20150090123A (ko) 관리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핸드오프를 위한 신속한 연관 및 어드레스 계속성
US8898323B2 (en) Mobility protocol selection in a multi-internet protocol mobility environment
JP2013523026A (ja) プリフィクスの割当て及び通知又は委任を容易に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700573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イドリンク識別子変更のための方法及び機器
US20120059918A1 (en) Location based service data connection support across multiple profiles
JP4927990B2 (ja) 選択式フェーズ接続確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