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971B1 -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 - Google Patents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971B1
KR101149971B1 KR1020090121850A KR20090121850A KR101149971B1 KR 101149971 B1 KR101149971 B1 KR 101149971B1 KR 1020090121850 A KR1020090121850 A KR 1020090121850A KR 20090121850 A KR20090121850 A KR 20090121850A KR 101149971 B1 KR101149971 B1 KR 10114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material
liquid raw
pulp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025A (ko
Inventor
김성근
Original Assignee
김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근 filed Critical 김성근
Priority to KR102009012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9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성 및 단열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인 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한지원료를 표면에 도포하고, 색상을 부여하기 위하여 황토, 백토 및 질석 분말을 혼합 도포하여 건조시킨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과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불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하고,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가벼우며 친환경적인 천정마감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천정마감제의 크기와 두께로 기포콘크리트(ACL)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한지원료가 되는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하여 물과 혼합하여 풀처럼 일정 점도를 가진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액체원료에 기포콘크리트를 표면을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거치며,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물과 백토 및/또는 황토를 100 메쉬 이하의 분말입자크기로 만들어서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로 만드는 단계를 거치고, 제조된 액체원료를 한지의 액체원료가 도포 건조된 위에 도포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지원료, 기포콘크리트, 친환경 천정마감재, 단열, 습도조절

Description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The Manufacturing Method of Ceiling Finishing Material with the Environment-friendly and the Environment-friendly Ceiling Finishing Material}
본 발명은 불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하고,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가벼우며 친환경적인 천정마감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천정마감제의 크기와 두께로 기포콘크리트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한지원료가 되는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하여 물과 혼합하여 풀처럼 일정 점도를 유지하는 액체원료를 단계를 거쳐서, 천연펄프의 액체원료에 상기 제조된 기포콘크리트의 표면을 도포하는 단계를 거쳐서, 도포된 액체원료를 건조하는 단계를 거치며,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하고, 액체와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및/또는 황토를 중량%로 1대 1정도로 혼합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로 제조하는 단계를 거치고, 제조된 액체원료를 하나이상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기포콘크리트(ALC, autoclaved lightweight concerate)는 기포콘크리트의 일종으로 밀도가 350㎏/㎥내지 1,100㎏/㎥ 이며, 고온, 고압증기로 양생한 기포콘크리트이 며, 학술용어로는 AAC(autoclaved aerated concerate)로 가볍고, 일반 콘크리트보다 10배 정도의 단열효과가 뛰어나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불에 타지 않는 불연재이고, 세월이 경과해도 변화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며, 기포콘크리트 분말은 규산질 비료로 인정되어 재활용할 수 있으나, 본질적으로 증기 양생된 시멘트를 얇게 톱으로 자르거나 양생 전에 가는 줄을 이용하여 필요한 두께로 자른 후에 양생하여 만든 것이므로 표면에 부스러짐이 발생하거나 먼지가 발생하며, 결속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포콘크리트(autoclaved lightweight concerate)는 본질이 콘크리트이므로 천정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얇게 자를 경우에 그 강도가 떨어지고, 표면에 먼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천정마감재에는 불연재를 구현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한 석면을 사용하거나 불연을 구현하기 위하여 별도의 불연재를 사용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포콘크리트를 천정마감재로 사용하므로 화재에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실내 습도 조절이 가능하면서 표면 강도를 높이고, 색상을 부여하여 우수한 미감을 유지할 수 있는 친환경 천정마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기포콘크리트를 천정마감재로 사용하되, 표면을 친환경 재료인 한지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펄프 액체원료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므로 불연성, 단열성 및 습도조절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포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면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고 미감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한 액체와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및/또는 황토를 중량%로 1대 1정도로 혼합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를 기포콘크리트의 표면에 도포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고 색상을 부여하여 미감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기포콘크리트를 일정두께로 자른 후에 표면을 친환경 재료인 한지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펄프 액체원료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고,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한 액체와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및/또는 황토를 중량%로 1대 1정도로 혼합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를 도포하거나 순서를 바꾸어서 수행하거나 반복 수행하여 필요한 두께, 강도 및 미감을 얻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해결수단은 불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하고,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가벼우며 친환경적인 천정마감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천정마감제의 크기와 두께로 기포콘크리트(ACL)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한지원료가 되는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만든 후 물과 혼합하여 12,000cps내지 20,000cps 사이의 점도를 유지하는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상기 점도로 제조된 천연펄프의 액체원료로 상기 제조된 기포콘크리트의 육면에 0.03㎜내지 0.10㎜를 도포하는 단계를 거치고, 상온 또는 45℃내지 60℃에서 40분내지 80분 정도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 과제의 해결수단은 불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하고,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가벼우며 친환경 천정 마감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천정마감제의 크기와 두께로 ACL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메셀로스)를 1.2중량%내지 1.8중량%로 하고, 펄프를 1.4중량%내지 2.0중량%로 하며, 물을 97.4중량%내지 96.2중량%로 혼합하여 액체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만든 액체를 40중량%내지 60중량%로 주입하고,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 혼합하여 60중량%내지 40중량%로 주입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로 만드는 단계를 거치고, 제조된 액체를 하나이상의 표면에 0.5㎜내지 1.4㎜로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거 쳐서 제조된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수단은 천정마감제의 크기와 두께로 기포콘크리트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한지원료가 되는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펄프를 분말상태로 하여 물과 혼합하여 12,000cps내지 20,000cps 사이의 점도를 유지하는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상기 점도로 제조된 천연펄프의 액체원료에 상기 제조된 기포콘크리트의 표면을 도포하는 단계를 거치고, 상온이나 45℃내지 60℃에서 40분내지 80분 정도 건조하는 단계를 거치며,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메셀로스)를 1.2중량%내지 1.8중량%로 하고, 펄프를 1.4중량%내지 2.0중량%로 하며, 물을 97.4중량%내지 96.2중량%로 혼합하여 액체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만든 액체를 40중량%내지 60중량%로 주입하고,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 혼합하여 60중량%내지 40중량%로 주입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로 만드는 단계를 거치고, 제조된 액체를 하나이상의 표면에 0.5㎜내지 1.4㎜로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포콘크리트를 천정마감재로 사용하므로 화재에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실내 습도 조절이 가능하면서 표면 강도를 높이고, 색상을 부여하여 우수한 미감을 유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기포콘크리트를 천정마감재로 사용하되, 표면을 친환경 재료인 한지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펄프 액체원료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므로 불연성, 단열성 및 습도조절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포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면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고 미감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한 액체와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및/또는 황토를 중량%로 1대 1정도로 혼합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를 기포콘크리트에 도포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면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고 색상을 부여하여 미감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기포콘크리트를 일정두께로 자른 후에 표면을 친환경 재료인 한지원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펄프 액체원료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고,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한 액체와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및/또는 황토를 중량%로 1대 1정도로 혼합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를 도포하거나 순서를 바꾸어서 수행하거나 반복 수행하여 필요한 강도 및 미감을 얻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천정마감재의 크기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450㎜×450㎜, 300㎜×600㎜ 또는 600㎜×600㎜이고, 두께 15㎜로 이루어지며, 두께가 얇기 때문에 잘 깨지거나 잘 부수러지며, 먼지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천정마감재로는 부적절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과제로 하여 불연성, 단열성 및 습도조절 기 능을 가진 천정마감재를 제조하는 것이며, 친환경적이면서 불연성, 단열성 및 습도조절 기능이 있는 기포콘크리트(ALC)와, 기포콘크리트의 모든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강도를 높이고 표면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없앰과 동시에 미감을 높일 수 있는 한지원료가 되는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하여 물과 혼합하여 12,000cps내지 20,000cps 사이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만든 액체원료를 도포하여 건조하거나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메셀로스)를 1.2중량%내지 1.8중량%로 하고, 펄프를 1.4중량%내지 2.0중량%로 하며, 물을 97.4중량%내지 96.2중량%로 혼합하여 액체원료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상기 만든 액체원료를 40중량%내지 60중량%로 주입하고,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 혼합하여 60중량%내지 40중량%로 주입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만든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하여 친환경 천정마감재의 제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친환경 천정마감재,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친환경 천정마감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도면을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정마감재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정마감재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정 마감재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실시 예1>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닥나무를 이용한 천연펄프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조한 친환경 천정마감재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황토, 백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만든 천연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조한 친환경 천정마감재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닥나무를 이용한 천연펄프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한 후, 황토, 백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만든 천연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조한 친환경 천정마감재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천정마감재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450㎜×450㎜, 300㎜×600㎜ 또는 600㎜×600㎜이고, 두께 15㎜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두께로 변경 설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정 크기와 두께로 제조된 기포콘크리트의 한 면 또는 2개내지 6면에 한지 원료가 되는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펄프를 분말상태로 하여 물과 혼합하여 12,000cps내지 20,000cps 사이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만든 액체원료를 0.03㎜내지 0.10㎜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표면에서 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 포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표면에 부드러운 우유 빛 광택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천정마감재로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천정마감재가 될 수 있다.
상기 한지 원료로 만든 액체를 도포한 후 건조시킨 다음에,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메셀로스)를 1.2중량%내지 1.8중량%로 하고, 펄프를 1.4중량%내지 2.0중량%로 하며, 물을 97.4중량%내지 96.2중량%로 혼합하여 액체를 만들고, 만든 액체를 40중량%내지 60중량%로 주입하고,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 혼합하여 60중량%내지 40중량%로 주입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만든 액체원료를 0.5㎜내지 1.4㎜ 두께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여 한 면내지 육면 모두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천정마감재를 제조한다.
상기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도포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만들어 도포할 경우에 친환경적이면서 원하는 색상을 가진 천정마감재를 얻을 수 있고, 이들 재료와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할 경우에는 일정 수준의 점도, 광택, 색상 및 질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천정마감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질감 및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마감재는 앞서 기술한 조건에 맞는 한지원료로 만든 액체원료와 물을 이용한 액체 재료, 황토,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한 액체원료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천정마감재의 크기와 두께로 제작된 기포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거나 두 가지 종류의 액체원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도포한 후에 그 위에 다른 종류의 액체원료를 도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두 가지 종류의 액체원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반복 도포하여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종류의 액체원료를 교대로 반복적으로 도포한 후 건조하여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2>
실시 예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4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불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하고,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가벼우면서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천정 마감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포콘크리트의 크기를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450㎜×450㎜, 300㎜×600㎜ 또는 600㎜×600㎜ 로 하고, 두께 15㎜로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한지원료가 되는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펄프를 분말상태로 제조하여 물과 혼합하여 12,000cps내지 20,000cps 사이의 점도를 유지하는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상기 점도로 제조된 천연펄프의 액체원료에 상기 제조된 기포콘크리트의 외측 일면을 포함하여 1면에서 육면까지 0.03㎜내지 0.10㎜를 도포하는 단계를 거치고, 상온이나 45℃내지 60℃에서 40분내지 80분 정도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불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하고,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어 가벼우면서 습도조절을 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천정 마감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포콘크리트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메셀로스)를 1.2중량%내지 1.8중량%로 하고, 펄프를 1.4중량%내지 2.0중량%로 하며, 물을 97.4중량%내지 96.2중량%로 혼합하여 액체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만든 액체를 40중량%내지 60중량%로 주입하고,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분말상태)로 만든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 혼합하여 60중량%내지 40중량%로 주입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로 만드는 단계를 거치고, 제조된 액체원료를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여 한 면내지 육면 모두에 0.5㎜내지 1.4㎜로 도포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을 천정마감재를 완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천정마감제의 크기와 두께로 기포콘크리트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한지원료인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펄프를 분말상태로 제조하여 물과 혼합하여 12,000내지 20,000cps 사이의 점도를 유지하는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상기 점도로 제조된 천연펄프의 액체원료에 상기 제조된 기포콘크리트의 외측 일면을 포함한 일면내지 육면 모두를 도포하는 단계를 거치고, 상온이나 45℃내지 60℃에서 40분내지 80분 정도 건조하는 단계를 거치며,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메셀로스)를 1.2중량%내지 1.8중량%로 하고, 펄프를 1.4중량%내지 2.0중량%로 하며, 물을 97.4중량%내지 96.2중량%로 혼합하여 액체를 만드는 단계를 거쳐서, 만든 액체를 40중량%내지 60중량%로 주입하고,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 혼합하여 60중량%내지 40중량%로 주입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로 만드는 단계를 거치고, 제조된 액체원료를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의 면을 포함하여 하나이상의 표면에 0.5㎜내지 1.4㎜로 도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서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한지원료인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하여 물과 혼합 하여 12,000cps내지 20,000cps 사이의 점도를 유지하는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또는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메셀로스), 펄프, 물을 혼합하여 액체와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 혼합하여 교반기로 교반하여 액체원료로 만드는 단계 중에서 하나의 단곈(공정)을 선택하여 반복 수행하여 도포시켜 원하는 액체원료의 두께를 얻거나 두 개의 단계(공정)를 교대로 반복 수행하여 도포시켜 원하는 액체원료의 두께를 얻거나 서로 반복 회수를 달리하여 상기 제조된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하여 원하는 두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실시 예와,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천정마감재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천장마감재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상기 제조된 두 가지의 액체원료는 도포 후 건조할 경우에 모두 친환경적이고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습도조절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하고, 교체 시에는 규산질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불연성과 단열성이 우수하므로 산업성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1 :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로 닥나무를 이용한 천연펄프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조한 친환경 천정마감재
도2 : 본 발명의 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로 황토, 백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만든 천연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조한 친환경 천정마감재
도3 : 본 발명의 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로 닥나무를 이용한 천연펄프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한 후, 황토, 백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만든 천연 액체원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조한 친환경 천정마감재
도4내지 도6 :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의 흐름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1; 기포콘크리트 12; 천연 액체원료(한지) 도포
13; 황토 및 백토가 혼합된 액체원료 도포

Claims (12)

  1.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포콘크리트를 천정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와 두께로 만드는 단계;
    한지원료인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제조하여 물과 혼합하여 일정 점도를 가진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점도로 제조된 천연펄프의 액체원료에 상기 제조된 기포콘크리트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여 한 면내지 육면 모두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기포콘크리트에 도포된 액체원료를 상온 또는 일정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2. 삭제
  3.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포콘크리트를 천정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와 두께로 만드는 단계;
    한지원료인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제조하여 물과 혼합하여 일정 점도를 가진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점도로 제조된 천연펄프의 액체원료에 상기 제조된 기포콘크리트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여 한 면내지 육면 모두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포콘크리트에 도포된 액체원료를 상온 또는 일정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하여 액체를 제조하는 단계;
    증점재와, 펄프 및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액체와, 분말상태의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교반기에 주입 교반하여 만든 액체원료를 기포콘크리트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여 한 면내지 육면 모두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기포콘크리트에 도포된 액체원료를 상온 또는 일정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지원료인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하여 물과 혼합하여 일정 점도를 유지하는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액체원료의 점도를 12,000cps내지 20,000cps 사이로 유지시켜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하여 액체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를 1.2중량%내지 1.8중량%로 하고, 펄프를 1.4중량%내지 2.0중량%로 하며, 물을 97.4중량%내지 96.2중량%로 혼합하여 액체원료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하여 만든 액체를 40중량%내지 60중량%로 주입하고, 100 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로 만든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 혼합하여 60중량%내지 40중량%로 교반하여 만든 액체원료를 사용하여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7. 천정마감재에 있어서,
    천정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와 두께로 제조된 기포콘크리트; 및
    상기 기포콘크리트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여 한 면내지 육면 모두 에 한지원료인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펄프를 분말상태로 만들어 물과 혼합한 액체원료를 도포하여 건조시킨 친환경 천정마감재.
  8. 삭제
  9. 천정마감재에 있어서,
    천정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된 기포콘크리트; 및
    상기 기포콘크리트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여 한 면내지 육면 모두에 한지원료인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만들어 물과 혼합한 액체원료를 도포하여 건조하고,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액체와 분말상태의 백토, 황토 및 질석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교반기로 주입 교반하여 액체원료로 제조하여 기포콘크리트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포함하여 한 면내지 육면 모두에 도포 건조하여 제조한 친환경 천정마감재.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지원료인 닥나무에서 추출한 천연펄프를 분말상태로 하여 물과 혼합한 액체원료의 점도는 12,000cps내지 20,000cps 사이로 유지하여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정마감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 펄프 및 물을 혼합하여 액체를 제조하되, 증점재인 수용성 셀루로오스 유도체를 1.2중량%내지 1.8중량%로 하고, 펄프를 1.4중량%내지 2.0중량%로 하며, 물을 97.4중량%내지 96.2중량%로 혼합하여 액체원료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천정마감재.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친환경 천정마감재.
KR1020090121850A 2009-12-09 2009-12-09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 KR10114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50A KR101149971B1 (ko) 2009-12-09 2009-12-09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50A KR101149971B1 (ko) 2009-12-09 2009-12-09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025A KR20110065025A (ko) 2011-06-15
KR101149971B1 true KR101149971B1 (ko) 2012-05-31

Family

ID=4439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850A KR101149971B1 (ko) 2009-12-09 2009-12-09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790B1 (ko) * 2014-01-07 2015-11-25 한성열 황토를 포함하는 alc 패널과 이를 이용한 황토집 벽면 조립방법
KR20230135902A (ko) 2022-03-17 2023-09-26 에코힐링 주식회사 천연 바름재 조성물 및 천연 바름재 마감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417B1 (ko) * 2020-05-25 2021-07-23 (주)팀코스파 기능성 퀀텀 조성물로 제조된 물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903A (ko) * 1999-04-21 2000-11-15 이경호 황토보드
KR20000067509A (ko) * 1999-04-29 2000-11-25 김명옥 황토장식판넬
KR100569695B1 (ko) * 2004-04-07 2006-04-10 윤재화 건축 자재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도포방법
KR20100128754A (ko) * 2009-05-29 2010-12-08 전재형 한지의 질감이 표출되는 건축내장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903A (ko) * 1999-04-21 2000-11-15 이경호 황토보드
KR20000067509A (ko) * 1999-04-29 2000-11-25 김명옥 황토장식판넬
KR100569695B1 (ko) * 2004-04-07 2006-04-10 윤재화 건축 자재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도포방법
KR20100128754A (ko) * 2009-05-29 2010-12-08 전재형 한지의 질감이 표출되는 건축내장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790B1 (ko) * 2014-01-07 2015-11-25 한성열 황토를 포함하는 alc 패널과 이를 이용한 황토집 벽면 조립방법
KR20230135902A (ko) 2022-03-17 2023-09-26 에코힐링 주식회사 천연 바름재 조성물 및 천연 바름재 마감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025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79920B (zh) 一种耐水型硫氧镁防火板及其制作方法
CN105272097A (zh) 一种新型镁质胶凝材料及其镁质胶凝板的制备方法
CN103306385A (zh) 一种无机防火建筑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CN105418149A (zh) 一种石材面蜂孔双层再生材料
KR101149971B1 (ko) 친환경 천정마감재 제조방법 및 친환경 천정마감재
CN106541639B (zh) 一种保温隔热超薄型装饰基板
KR100962107B1 (ko) 황토 블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황토 블록의 제조방법
KR101885600B1 (ko) 보온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54121B1 (ko) 온돌 방바닥용 황토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891944A (zh) 一种防火等级高的双层复合玻镁板及其制备方法
KR100799497B1 (ko) 난연과 흡음 방음 기능을 갖는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내장재의 구조
KR101177085B1 (ko) 짚을 이용한 불연 건축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건축패널
CN104402375A (zh) 一种室内装饰砂浆
EA017880B1 (ru) Сухая декоративно-отделочная смесь
CN103121813A (zh) 一种eps保温型建筑板材及其制备工艺
CN105837156A (zh) 一种发泡玻璃保温板及其制备方法
CN104926265A (zh) 一种填充表面改性电气石粉的健康型玻镁板及其制备方法
KR100795837B1 (ko) 친환경 다공질 원석을 이용한 건물의 음이온 방출벽체
CN103449779B (zh) 一种聚合物水泥保温隔热纸及其制备方法
KR102205487B1 (ko) 불연성 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0754B1 (ko) 건축용 보드 제조용 무기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제조방법
CN107311537B (zh) 一种高硬度保温多功能软瓷装饰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874883B1 (ko) 난연성 바닥 마감재 조성물
US1628206A (en) Molded product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CN104153533A (zh) 一种防火防水室内装饰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