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672B1 - 파우더 용기 - Google Patents

파우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672B1
KR101149672B1 KR1020110096741A KR20110096741A KR101149672B1 KR 101149672 B1 KR101149672 B1 KR 101149672B1 KR 1020110096741 A KR1020110096741 A KR 1020110096741A KR 20110096741 A KR20110096741 A KR 20110096741A KR 101149672 B1 KR101149672 B1 KR 101149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ntainer
container body
spong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명근
Original Assignee
배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근 filed Critical 배명근
Priority to KR102011009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672B1/ko
Priority to PCT/KR2012/005772 priority patent/WO20130479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watches or other mechanically-driv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며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를 커버하며 사용시 상기 파우더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스폰지와;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며 그 주변에 진동을 전달하여, 파우더가 상기 진동에 의해 스폰지를 통과해 피부에 도포되도록 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발생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파우더 용기는, 파우더의 공급을 위한 진동발생부가 내장되어, 화장시 용기를 흔들 필요없이 진동발생부를 구동하기만 하여도 파우더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파우더의 배출량이 일정하여 화장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이나 손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파우더를 고르고 얇게 바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파우더가 날리지도 않아 파우더를 절약하게 한다.

Description

파우더 용기{Container for powder}
본 발명은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化粧)용으로 사용되는 파우더는 주로 여성들의 얼굴을 커버하여, 이를테면 기미나 잡티를 가려주고 피부의 결점을 보완함은 물론 먼지나 자외선 등으로부터 얼굴피부를 보호하여 피부건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파우더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예컨대 용기에 담겨져 있는 파우더를 별도의 분첩(powder puff)에 묻혀 얼굴에 옮겨 바르는 타입에서부터, 스폰지가 용기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용기자체를 얼굴에 가볍게 두드려 용기내의 파우더가 스폰지를 통과해 얼굴에 발라지게 하는 타입의 것도 있다.
도 1은 상기한 두 번째 타입의 파우더 용기(11)를 간단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파우더 용기(11)는, 개방구(미도시)를 가지며 그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어 있는 용기본체(13)와, 상기 용기본체(13)의 개방구를 커버하며 볼록한 상태를 취하고 사용시 피부에 닿는 스폰지(15)와, 상기 용기본체(13)에 씌워져 스폰지(15)를 수용 보호하는 뚜껑(1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폰지(15)는, 용기본체(13)를 잡고 스폰지(15)를 얼굴에 가볍게 두드릴 때 개방구를 통과한 파우더를 그 두께방향으로 통과시켜 파우더가 얼굴에 발라지게 하는 분첩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파우더 용기(11)는, 용기본체(13)를 파우더 도포 대상면인 피부에 대고 두르려야 파우더가 나오는 방식이므로, 피부에 파우더를 고르게 펴 바르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가령 얼굴의 부분마다 파우더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화장에 숙달되지 않은 사람이나 또는 예컨대 손이 불편한 사람 등의 경우에 더 하다.
또한 상기 스폰지(15)를 얼굴에 두드릴 때, 스폰지를 통해 나오는 파우더의 많은 양이 피부에 제대로 안착되지 못하고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없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이는 파우더가 그만큼 빨리 소모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파우더의 공급을 위한 진동발생부가 내장되어, 화장시 용기를 피부에 두드릴 필요 없이 진동발생부를 구동하기만 하여도 파우더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파우더의 배출량이 일정하여 화장에 숙달되지 않은 사람이나 손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파우더를 고르고 얇게 바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파우더가 날리지도 않아 파우더를 절약하게 하는 파우더 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우더 용기는,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며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를 커버하는 스폰지와;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며 그 주변에 진동을 전달하여, 파우더가 상기 진동에 의해 스폰지를 통과해 용기본체 외부로 공급되게 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발생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면 또는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전력선을 통해 상기 전원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지지수단의 연장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아울러,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그 내부로 상기 전력선을 통과시키는 중공형 지지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그 내부로 상기 전력선을 통과시키는 코일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에는; 상기 진동모터를 감싼 상태로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되는 실리콘지지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에는, 그 중앙부에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여 파우더를 통과시키고 상기 스폰지에 의해 커버되는 파우더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관통캡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파우더구멍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파우더구멍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파우더구멍의 내부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캡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와 결합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파우더구멍을 그 중앙부에 가지고 상기 스폰지와 결합하는 홀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와 스폰지의 사이에는, 상기 스폰지에 진동발생부의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진동발생부에 끼워진 상태로 그 일부가 상기 스폰지에 면접하는 진동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캡과 스폰지의 사이에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파우더구멍을 그 내부 영역에 포함하고, 파우더구멍을 통과해 스폰지를 향하는 파우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탄성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력선은; 상기 전원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접속된 상태로, 용기본체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 1전극 및 제 2전극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저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운동 가능한 스위블바디와, 상기 스위블바디에 고정되며 스위블바디의 회전시 용기본체의 저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 1전극과 제 2전극을 상호 접속 또는 단락시키는 접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파우더 용기는, 파우더의 공급을 위한 진동발생부가 내장되어, 화장시 용기를 흔들 필요없이 진동발생부를 구동하기만 하여도 파우더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파우더의 배출량이 일정하여 화장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이나 손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파우더를 고르고 얇게 바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파우더가 날리지도 않아 파우더를 절약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우더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용기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용기에서의 용기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용기에서의 용기본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본체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 8a에 도시한 배터리수용홈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8a와 다른 형태의 배터리가 적용된 파우더 용기의 회로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용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진동탄성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용기(31)는, 그 내부에 파우더(도 3의 P)를 수용하며 상부로 개방된 용기본체(33)와, 상기 용기본체(33)의 개방구에 결합하는 관통캡(37)과, 상기 관통캡(37)의 도면상 상단부에 고정되는 스폰지(39)와, 상기 관통캡(3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뚜껑(51)과, 상기 용기본체(33)의 하부에 위치하며 화살표 a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위치부(35)를 포함한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용기본체(33)의 내부에는 상기 파우더(P)를 스폰지(39)를 통해 배출하기 위한 진동발생부가 구비된다.
상기 관통캡(37)은 일정외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단턱(37p)과 걸림턱(3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37p)은 뚜껑(51)을 닫았을 때 뚜껑(51)의 하단부와 맞닿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37a)은 뚜껑(5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51a)가 끼워져 지지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뚜껑(51)의 하단부를 상기 단턱(37p)에 맞춘 후, 뚜껑(51)을 돌려 돌기(51a)를 걸림턱(37a)에 끼우면 관통캡(37)에 대한 뚜껑(51)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용기(3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용기(31)는, 일정 내경을 가지며 개방구(33a)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용기본체(33)와, 상기 용기본체(33)의 하단부를 수용하며 용기본체(3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스위치부(35)와, 상기 용기본체(33)의 개방구(33a)에 고정되는 관통캡(37)과, 상기 관통캡(37)에 그 하단의 끼움부(39a)가 고정되는 스폰지(39)와, 상기 스폰지(39)의 수용부(39b)에 배치되는 고정탄성체(45)와, 뚜껑(51)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용기본체(33)는, 그 상단부 외주면에 수나사부(33c)를 갖는다. 상기 수나사부(33c)는 관통캡(37)의 암나사부(37e)와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캡(37)은 용기본체(33)에 대해 나사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33)의 하단부에는 스위치설치홈(33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설치홈(33e)은 용기본체(33)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일정폭을 갖는 홈이다. 아울러 상기 스위치설치홈(33e)의 내부 영역에는 가이더(33f)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더(33f)는 선형 돌기로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양단부가 만나 마치 링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가이더(33f)는 상기 스위치부(35)의 벽부(35d)에 형성되어 있는 홈(35a)에 삽입되어 스위치부(35)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상기 스위치부(35)는 후술할 제 1전극(도 8a의 41d)과 제 2전극(41e)을 상호 접속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본체(33)의 하단부에 채워진 상태로 도 2의 화살표 a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스위치부(35)는 스위블바디(35e)와 접속판(35c)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블바디(35e)는, 일정직경 및 두께를 갖는 원판형 바닥부(35b)와, 상기 바닥부(35b)의 테두리부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스위치설치홈(33e)에 삽입되는 벽부(35d)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벽부(35d)에는 상기 가이더(33f)를 수용하는 홈(3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홈(35a)에 가이더(33f)를 끼우면 상기 스위블바디(35e)가 용기본체(33)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접속판(35c)은 전기전도성 금속판으로서 상기 바닥부(35b)고정되어 있다. 상기 접속판(35c)은 부분 원호의 형태를 취하며, 스위블바디(35e)의 회전에 의해 도 8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전극(41d)과 제 2전극(41e)을 접속시켜 후술할 진동발생부를 동작시킨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33)의 바닥면(도 6의 33b)에는 지지로드(33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로드(33d)는 진동발생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이다.
상기 지지로드(33d)는 중공 파이프형 부재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하단부가 상기 바닥면(33b)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지지로드(33d)의 연장길이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지지로드(33d)는 진동발생부(41)를 스폰지(39)에 근접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용기본체(33)의 용기저면(도 6의 33m)에는 배터리수용홈(33k)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수용홈(33k)은 하부로 개방된 슬릿형 홈으로서 그 내부에 배터리(53)를 수용한다. 상기 배터리(53)는 버튼형 건전지로서 후술할 진동모터(41a)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다. 상기 배터리수용홈(33k)이 스위치부(35)에 의해 커버되므로 배터리(53)가 배터리수용홈(33k)으로부터 빠질 염려는 없다.
도 9에 상기 배터리수용홈(33k)을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수용홈(33k)의 내부에 한 쌍의 배터리접속부재(55,56)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배터리접속부재(55,56)는 배터리(53)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되며,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을 배터리수용홈(33k)의 외부로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접속부재(55,56)의 상단부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력선(41c,41f)와 접속한다.
아울러 상기 각 배터리접속부재(55,56)의 하단부에는 탄력지지부(55a,5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력지지부(55a,56a)는 (마치 스프링과 같이) 배터리(53)를 탄력 가압하여 배터리(53)와 배터리접속부재(55,56)의 접속 신뢰도를 높인다.
다시 도 2 및 도 3으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로드(33d)의 상단부에는 진동발생부(41)가 장착된다. 상기 진동발생부(41)는 상기 배터리(5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진동하여 그 주변의 파우더(P)에 진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파우더는 상기 진동발생부(4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령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폰지(39)가 하부로 위치하도록 세운 상태로 진동발생부(41)를 구동하면 파우더(P)가 미세하게 진동하며 하향 이동하여 스폰지(39)를 통과한다.
상기 진동발생부(4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진동모터(41a)와, 상기 진동모터(41a)를 감싸며 진동모터(41a)를 지지로드(33d)에 연결시키는 실리콘지지체(41m)로 이루어진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발생부(41)는, 전력선(41b,41c)을 통해 배터리(53)에 접속되며 배터리(53)의 전력을 공급받아 진동하는 진동모터(41a)와, 상기 진동모터(41a)를 감싸며 상기 지지로드(33d)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실리콘지지체(41m)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선(41b,41c)은 지지로드(33d)가 제공하는 통로(33g)를 통해 하부로 연장된 후 배터리접속부재(55) 및 제 2전극(41e) 접속한다.(도 8a 참조)
상기 실리콘지지체(41m)는, 진동모터(41a)를 완전히 감싸 밀폐하며 그 외부 형상이 직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는 진동본체부(41n)와, 상기 지지로드(33d)의 단부에 결합하는 끼움고정부(41q)와, 상기 진동본체부(41n)와 끼움고정부(41q)를 연결하는 네크부(41p)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진동본체부(41n)의 외부 형상은, 직육면체 뿐 아니라, 이를테면 원기둥형이나 타원형 또는 구형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지지체(41m)는 그 물성상 탄성 변형 가능하여 진동모터(41a)의 진동을 외부로 반영한다. 즉, 진동모터(41a)가 작동하면 진동발생부(41)가 전체적으로 진동하여 주변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캡(37)은, 상기 용기본체(33)의 수나사부(33c)에 나사 결합하는 원통형 부재이다. 상기 관통캡(37)은 상기 수나사부(33c)에 결합하는 암나사부(37e)를 갖는 체결부(37q)와, 상기 체결부(37q)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며 그 중앙부에 파우더구멍(37b)이 형성되어 있는 홀딩부(37m)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부(37m)는 스폰지(39)를 관통캡(37)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외주면에 (스폰지(39)의 끼움부(39a)에 의해 조여지는) 고정홈(37k)을 갖는다. 상기 스폰지(39)는 신축 가능한 성질을 가지므로, 가령 사용자가 상기 끼움부(39a)를 벌려 늘린 상태로 상기 고정홈(37k)에 채운 후 손을 놓으면 끼움부(39a)가 줄어들면서 고정홈(37k)을 탄력적으로 죄어, 홀딩부(37m)에 스폰지(39)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홀딩부(37m)의 상면에는 탄성체지지부(37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지지부(37c)는 일정높이를 갖는 링형 돌기로서 상기 파우더구멍(37b)을 그 내부 영역에 갖는다.
상기 탄성체지지부(37c)는 후술할 고정탄성체(4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탄성체(45)의 공간부(45a)에 삽입되어 고정탄성체(45)의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고정탄성체(45)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용기본체(33)에 관통캡(37)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진동발생부(41)는 상기 파우더구멍(37b)의 내부에 걸쳐져 일부가 관통캡(37)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 진동발생부(41)와 파우더구멍(37b)의 내주면이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관통캡(37)에 대한 진동발생부(41)의 상대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관통캡(37)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진동발생부(41)에는 진동탄성체(43)가 끼워져 결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탄성체(43)의 중앙부에 상기 진동탄성체(43)가 삽입되는 끼움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동탄성체(43)는 일반적인 스폰지의 조직을 가지되 상기 스폰지(39)와 다른 밀도를 갖는다. 상기 진동탄성체(43)는 진동발생부(41)의 동작에 의해 진동하며 주변의 파우더에 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진동탄성체(43)의 단위 체적당 밀도는 상기 스폰지(39)보다 클 수 도 있고, 작을 수 도 있다.
특히 상기 진동탄성체(43)의 일부면은 스폰지(39)의 내측면에 면접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진동탄성체(43)의 상면이 스폰지(39)의 내측면에 면접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진동탄성체(43)를 스폰지(39)에 밀착시켜 놓음으로서, 파우더가 스폰지(39)를 통과하는 동안 진동탄성체(43)가 스폰지(39)를 털어주므로, 파우더가 스폰지(39)를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탄성체(45)는 진동탄성체(43)와 같은 재질 및 밀도를 갖는 링형 부재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탄성체(45)와 진동탄성체(43)의 재질이나 밀도 또는 탄성 등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탄성체(45)는 홀딩부(37m)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파우더구멍(37b)을 그 내부 영역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탄성체지지부(37c)에 지지된다. 상기 고정탄성체(45)는 스폰지(39)를 향하는 파우더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예컨데 파우더가 스폰지(39)의 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고정탄성체(45)가 홀딩부(37m)의 상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진동탄성체(43)가 고정탄성체(45)의 공간부(45a)에 수용됨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진동탄성체(43)의 외주면과 고정탄성체(45)의 내주면은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진동탄성체(43)와 고정탄성체(45) 사이의 공간이 파우더가 통과하는 통로이다.(도 10참조)
상기 스폰지(39)는 하부로 개방되되 하단의 끼움부(39a)가 안쪽으로 오므라진 형태를 취하여 내부에 수용부(39b)를 갖는다. 상기 수용부(39b)는 끼움부(39a)가 고정홈(37k)에 채워진 상태에서 홀딩부(37m) 상부에 확보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고정탄성체(45)를 수용한다. 상기 고정탄성체(45)는 스폰지(39)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스폰지(39)가 찌그러지지 않게 한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용기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폰지(39)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폰지(39)의 끼움부(39a)가 고정홈(37k)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고정탄성체(45)가 스폰지(39)의 수용부(39b)에 채워져 있다. 또한 상기 진동탄성체(43)는 진동발생부(41)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탄성체(45)가 제공하는 공간부(45a)내에 위치한다. 상기 진동탄성체(43)는 공간부(45a)내에서 진동하여 그 주변의 파우더와 스폰지(39)를 진동시킨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용기(31)에서의 용기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본체(33)의 중앙부에 지지로드(33d)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로드(33d)의 상단부에 진동발생부(41)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41)를 구성하는 진동모터(41a)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41b,41c)은 통로(33g)를 하향 통과하여 용기저면(33m)에서 제 2전극(41e) 및 배터리접속부재(55)와 접속된다.
도 7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용기에서의 용기본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본체(33)의 내부에 지지스프링(57)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지지스프링(57)은 위에서 설명한 지지로드(33d)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즉 진동발생부(41)를 파우더의 분위기 내부에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스프링(57)은 그 하단부가 바닥면(33b)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 상부로 연장된 코일스프링이다. 상기 지지스프링(57)의 연장단부에는 진동발생부(41)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진동모터(41a)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41b,41c)은, 지지스프링(57)의 내부 영역을 하향 통과해 용기저면(33m)으로 나간다.
도 8a 도 8b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파우더 본체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용기저면(33m)에 제 1전극(41d) 및 제 2전극(41e)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2전극(41d,41e)은 상호 이격되되 상기 접속판(35c)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수용홈(33k)의 내부에는 배터리(53)가 끼워져 있다. 상기 배터리(53)의 양극과 음극은 배터리접속부재(55,56)를 통해 배터리수용홈(33k)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통로(33g)를 통해 용기저면(33m)으로 빠져나온 전력선 중 일측 전력선(41b)은 상기한 제 2전극(41e)에 접속되고, 타측 전력선(41c)은 한쪽 배터리접속부재(55)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전극(41d)은 전력선(41f)을 통해 반대쪽 배터리접속부재(56)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용기본체(33)를 잡고 스위치부(35)를 회전시켜, 접속판(35c)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접속판(35c)이 제 1,2전극(41d,41e)측으로 이동하며 마침내 도 8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2전극(41d,41e)을 접속시킨다. 상기 제 1,2전극(41d,41e)이 접속됨에 따라 배터리(53)의 전력이 전력선을 통해 상기 진동모터(41a)로 인가됨은 물론이다.
상기 진동모터(41a)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스위치부(3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속판(35c)을 도 8b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0은 상기 도 8a와 다른 형태의 배터리(59)가 적용된 파우더 용기의 회로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본체(33)에 배터리수용홈(33k)을 따로 마련할 필요 없이, 배터리(59)를 용기저면(33m)에 밀착 구성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용기본체(33)의 내부 용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많은 파우더를 담을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배터리(59)는 납작하게 패키지화된 배터리로서 양극과 음극이 전력선(41f,41c)에 접속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용기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파우더 용기(31)를 거꾸로 세움에 의해, 파우더(P)가 중력의 영향으로 하부로 몰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부(35)를 가령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1,2전극(41d,41e)을 접속시키면, 진동발생부(41)의 동작이 시작되어 진동탄성체(43) 주변의 파우더는 물론 스폰지(39)가 진동하고, 용기본체(33) 내부의 파우더가 스폰지(39)를 통과해 하부로 공급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진동탄성체를 예를 들어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진동발생부(41)에 끼워지는 진동탄성체(43)는 그 본연의 기능을 발휘 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가령 도 12와 같이 열십자의 평면형태를 취할 수 도 있고,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육면체의 형태를 취할 수 도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도 14에 도시한 바와같이 경사진 외주면을 갖는 테이퍼 타입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파우더 용기 13:용기본체 15:스폰지
17:뚜껑 31:파우더 용기 33:용기본체
33a:개방구 33b:바닥면 33c:수나사부
33d:지지로드 33e:스위치설치홈 33f:가이더
33g:통로 33k:배터리수용홈 33m:용기저면
35:스위치부 35a:홈 35b:바닥부
35c:접속판 35d:벽부 35e:스위블바디
37:관통캡 37a:걸림턱 37b:파우더구멍
37c:탄성체지지부 37e:암나사부 37k:고정홈
37m:홀딩부 37p:단턱 37q:체결부
39:스폰지 39a:끼움부 39b:수용부
41:진동발생부 41a:진동모터 41b,41c:전력선
41d:제 1전극 41e:제 2전극 41f:전력선
41m:실리콘지지체 41n:진동본체부 41p:네크부
41q:끼움고정부 43:진동탄성체 43a:끼움구멍
45:고정탄성체 45a:공간부 51:뚜껑
51a:돌기 53:배터리 55:배터리접속부재
55a:탄력지지부 56:배터리접속부재 56a:탄력지지부
57:지지스프링 59:배터리

Claims (11)

  1.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며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를 커버하는 스폰지와;
    상기 용기본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력선을 통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며 그 주변에 진동을 전달하여, 파우더가 상기 진동에 의해 스폰지를 통과해 용기본체 외부로 공급되게 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발생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면 또는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전력선을 통해 상기 전원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지지수단의 연장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그 내부로 상기 전력선을 통과시키는 중공형 지지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그 내부로 상기 전력선을 통과시키는 코일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에는;
    상기 진동모터를 감싼 상태로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되는 실리콘지지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에는, 그 중앙부에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개방하여 파우더를 통과시키고 상기 스폰지에 의해 커버되는 파우더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관통캡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파우더구멍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파우더구멍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파우더구멍의 내부 영역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캡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와 결합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파우더구멍을 그 중앙부에 가지고 상기 스폰지와 결합하는 홀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와 스폰지의 사이에는, 상기 스폰지에 진동발생부의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진동발생부에 끼워진 상태로 그 일부가 상기 스폰지에 면접하는 진동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캡과 스폰지의 사이에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파우더구멍을 그 내부 영역에 포함하고, 파우더구멍을 통과해 스폰지를 향하는 파우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고정탄성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은;
    상기 전원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접속된 상태로, 용기본체의 저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 1전극 및 제 2전극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저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운동 가능한 스위블바디와, 상기 스위블바디에 고정되며 스위블바디의 회전시 용기본체의 저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 1전극과 제 2전극을 상호 접속 또는 단락시키는 접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용기.
KR1020110096741A 2011-09-26 2011-09-26 파우더 용기 KR10114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41A KR101149672B1 (ko) 2011-09-26 2011-09-26 파우더 용기
PCT/KR2012/005772 WO2013047988A1 (ko) 2011-09-26 2012-07-19 파우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41A KR101149672B1 (ko) 2011-09-26 2011-09-26 파우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672B1 true KR101149672B1 (ko) 2012-05-30

Family

ID=4627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741A KR101149672B1 (ko) 2011-09-26 2011-09-26 파우더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9672B1 (ko)
WO (1) WO20130479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17Y1 (ko) 2012-05-25 2014-07-15 (주)에스엔피월드 진동형 클렌징 장치의 망사 체결구조
KR20170002639U (ko) *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5809U (ko) * 1987-09-30 1989-04-06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44Y1 (ko) * 2006-04-14 2006-09-06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0776286B1 (ko) * 2006-12-07 2007-11-28 강선아 파우더 화장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5809U (ko) * 1987-09-30 1989-04-0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17Y1 (ko) 2012-05-25 2014-07-15 (주)에스엔피월드 진동형 클렌징 장치의 망사 체결구조
KR20170002639U (ko) *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KR200484603Y1 (ko) 2016-01-14 2017-09-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7988A1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2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US9016272B2 (en) Aerosol generating means for inhalation therapy devices
US10780019B2 (en) Vibrating glass massager
KR101850129B1 (ko) 휴대용 전동식 피부관리 장치
US6676034B2 (en) Atomizer and inhalator using same
US7716771B2 (en) Common toothbrush usable electronic toothbrush
KR101149672B1 (ko) 파우더 용기
KR101841178B1 (ko) 리필타입 콤팩트 용기
KR101158314B1 (ko) 진동자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0702621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CN109414734A (zh) 清洗器
KR200458401Y1 (ko) 진동퍼프
KR20180052813A (ko)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용 듀얼 용기 및 리필용 아이라이너 카트리지
KR101456610B1 (ko) 경사형 퍼프를 갖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20025810A (ko) 진동 도포기
KR200469845Y1 (ko)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두드림 도포 용기
US10455930B2 (en) Cosmetic device
CN215532318U (zh) 用于排出粉末产品的化妆品包装
KR200274568Y1 (ko) 파우더 콤팩트용 리필케이스 구조
KR20130103078A (ko) 진동 파우더 용기
KR102130249B1 (ko) 퍼프 일체형 쿠션 파운데이션 케이스
KR101744161B1 (ko) 전동 화장용 브러시
KR20170002236A (ko) 탭핑 스킨케어 어플리케이터
KR101734073B1 (ko) 화장 도구 수납형 파우더 화장품 용기
KR100748714B1 (ko) 세포분리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