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078A - 진동 파우더 용기 - Google Patents

진동 파우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078A
KR20130103078A KR1020120024419A KR20120024419A KR20130103078A KR 20130103078 A KR20130103078 A KR 20130103078A KR 1020120024419 A KR1020120024419 A KR 1020120024419A KR 20120024419 A KR20120024419 A KR 20120024419A KR 20130103078 A KR20130103078 A KR 20130103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vibration
shoulder
vibra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명근
Original Assignee
배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근 filed Critical 배명근
Priority to KR102012002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3078A/ko
Publication of KR2013010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바닥부와 벽부에 의해 형성되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고,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파우더를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숄더와; 상기 숄더에 장착되며, 숄더를 통과한 파우더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퍼프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 또는 벽부에 설치되며, 사용시 진동을 발생하여 용기본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파우더가 진동에 의해 숄더의 관통로와 퍼프를 통과해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구동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동 파우더 용기는, 파우더 용기내부에 파우더의 공급을 위한 진동발생부가 내장되어, 화장시 용기를 피부에 두드릴 필요 없이 진동발생부를 구동하기만 하여도 파우더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파우더의 배출량이 일정하여 화장에 숙달되지 않은 사람이나 손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파우더를 고르고 얇게 바를 수 있으며, 파우더가 날리지도 않아 파우더를 절약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진동 파우더 용기{Vibrating powder case}
본 발명은 진동 파우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용 파우더는 주로 여성들의 얼굴에 바르는 화장품으로서 피부를 커버하여, 이를테면 기미나 잡티를 가려주고 피부의 결점을 보완함은 물론 먼지나 자외선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건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파우더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예컨대 용기에 담겨져 있는 파우더를 별도의 분첩(powder puff)에 묻혀 얼굴에 옮겨 바르는 타입에서부터, 스폰지(이하, 퍼프)가 용기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용기자체를 얼굴에 가볍게 두드려 용기내의 파우더가 퍼프를 통과해 얼굴에 발라지게 하는 타입의 것도 있다. 상기한 각각의 파우더는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가지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된다.
도 1은 상기한 두 번째 타입의 파우더 용기(11)를 뚜껑(17)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파우더 용기(11)는, 개방구(미도시)를 가지며 그 내부에 파우더가 수용되어 있는 용기본체(13)와, 상기 용기본체(13)의 개방구를 커버하며 볼록한 상태를 취하고 사용시 피부에 닿는 퍼프(15)를 갖는다. 상기 뚜껑(17)은 용기본체(13)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 용기본체(13)에 씌워져 퍼프(15)를 수용 보호한다.
상기 퍼프(15)는, 사용자가 용기본체(13)를 손에 잡고 퍼프(15)를 얼굴에 가볍게 두드릴 때, 용기본체(13) 내부의 파우더를 그 두께방향으로 통과시켜 파우더가 얼굴에 발라지게 하는 분첩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파우더 용기(11)는, 용기본체(13)를 파우더 도포 대상인 피부에 대고 두르려야 파우더가 나오는 방식이므로, 피부에 파우더를 고르게 펴 바르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가령 얼굴의 부분마다 파우더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화장에 숙달되지 않은 사람이나 또는 예컨대 손이 불편한 사람 등의 경우에 더 하다.
또한 상기 퍼프(15)를 얼굴에 두드릴 때, 퍼프를 통해 나오는 파우더의 많은 양이 피부에 제대로 안착되지 못하고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없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이는 파우더가 그만큼 빨리 소모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파우더 용기내부에 파우더의 공급을 위한 진동발생부가 내장되어, 화장시 용기를 피부에 두드릴 필요 없이 진동발생부를 구동하기만 하여도 파우더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파우더의 배출량이 일정하여 화장에 숙달되지 않은 사람이나 손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파우더를 고르고 얇게 바를 수 있으며, 파우더가 날리지도 않아 파우더를 절약하게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 파우더 용기는, 바닥부와 벽부에 의해 형성되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고,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파우더를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숄더와; 상기 숄더에 장착되며, 숄더를 통과한 파우더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퍼프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 또는 벽부에 설치되며, 사용시 진동을 발생하여 용기본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파우더가 진동에 의해 숄더의 관통로와 퍼프를 통과해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구동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바닥부 또는 벽부에 내장되는 진동모터와, 상기 바닥부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작동에 의해 진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에는, 상기 스위치부에 접속되며, 스위치부의 스위칭동작시 상호 다른 세기의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진동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신호발생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동 파우더 용기는, 바닥부와 벽부에 의해 형성되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고,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파우더를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숄더와; 상기 숄더와 더불어 용기본체의 개방구에 장착되며 파우더를 그 두께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다수의 파우더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디스크와; 상기 숄더에 장착되어 상기 다공디스크를 통과한 파우더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퍼프와; 상기 다공디스크와 퍼프의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진동하여 다공디스크를 통해 용기본체를 진동시키는 진동모터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내장되며 상기 진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구동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다공디스크에는 진동모터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진동모터지지구멍에 끼워져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 파우더 용기는, 바닥부와 벽부에 의해 형성되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고,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파우더를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갖는 숄더와; 상기 숄더에 장착되어 숄더를 통과한 파우더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퍼프와; 상기 숄더에 지지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진동하여 숄더를 통해 용기본체를 진동시키는 진동모터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내장되어 상기 진동모터에 전력을 제공하여 진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전원을 포함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구동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모터에는, 진동모터를 감싸며 진동모터의 동작시 진동하며 외부로 진동력을 전달하는 진동체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진동모터와 전원을 접속시키는 전력선이 그 내부에 배선되는 배선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선공간은, 상기 벽부의 내향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벽부와의 사이에 상기 배선공간을 제공하는 격벽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진동발생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며 캡에 의해 개폐되는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동 파우더 용기는, 파우더 용기내부에 파우더의 공급을 위한 진동발생부가 내장되어, 화장시 용기를 피부에 두드릴 필요 없이 진동발생부를 구동하기만 하여도 파우더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파우더의 배출량이 일정하여 화장에 숙달되지 않은 사람이나 손이 불편한 사람이라도 파우더를 고르고 얇게 바를 수 있으며, 파우더가 날리지도 않아 파우더를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파우더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 파우더 용기의 저면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립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캡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 파우더 용기(31)에서의 바닥부(33c)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 파우더 용기의 작동원리를 정리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다공디스크를 뒤집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용기본체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상기 도 9에 도시한 진동체의 여러 적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도 14에 도시한 진동체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3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31)는, 바닥부(33c)와 벽부(33b)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33a)을 제공하는 용기본체(33)와, 상기 용기본체(33)의 개방구에 나사결합을 통해 채워지는 숄더(45)와, 상기 숄더(45)에 지지되는 내측퍼프(47) 및 외측퍼프(49)와, 상기 용기본체(33)에 내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와 스위치부(35)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51은 상기 숄더(45)의 걸림턱(45a)에 끼워져 결합하는 뚜껑이다.
먼저, 상기 용기본체(33)는 내부공간(33a)에 파우더(p)를 수용하는 하나의 케이스로서, 원통형 벽부(33b)와 상기 벽부(33b)의 하단에 일체를 이루는 바닥부(33c)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부(33b)의 상단부는 내부공간(33a)을 상부로 개방하는 개방구로서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숄더(45)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 숄더(45)는 용기본체(33)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하는 대략 링형 부재로서, 상기 내측퍼프(47)와 외측퍼프(49) 및 뚜껑(51)을 지지하며, 내부에 관통로(45c)를 갖는다. 상기 관통로(45c)는 상기 내부공간(33a)을 상부로 개방하는 통로로서 파우더(p)를 통과시켜 파우더가 내측퍼프(47)와 외측퍼프(49)를 통해 피부에 도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숄더(45)에 내측퍼프(47)와 외측퍼프(49) 및 뚜껑(51)을 고정시키기 위해, 숄더(45)에는 지지판(45d)과 고정홈(45b)과 걸림턱(45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5a)은 숄더(45)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로서, 뚜껑(51)을 숄더(45)에 씌울 때, 뚜껑(5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51a)에 끼워져 숄더(45)에 뚜껑(5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45b)은, 숄더(45)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일정깊이 및 폭의 홈으로서, 상기 외측퍼프(49)의 하단 테두리부를 수용한다. 상기 외측퍼프(49)는 스폰지로서 신축성이 있으므로, 외측퍼프(49)의 하단부를 늘려 상기 고정홈(45b)에 채운 후 놓으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며 고정홈(45b)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판(45d)은, 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내측퍼프(47)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측퍼프(47)는 지지판(45d)에 올려진 상태로 외측퍼프(49)에 눌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내측퍼프(47)는 용기본체(33)에 수용되어 있는 파우더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원판형 스폰지이다. 상기 내측퍼프(47)의 내부에는 (일반적인 스폰지가 그러하듯이) 수많은 공극이 형성되어 파우더 입자를 통과시킨다. 상기 공극이 파우더를 통과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내측퍼프(47)에 파우더 통로용 관통구멍을 별도로 형성할 수 도 있다. 가령 제품의 특성상 내측퍼프의 밀도가 커야 할 경우, 내측퍼프 내부의 공극이 충분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이 때에는 하측퍼프(47)내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퍼프(49)는 내측퍼프(47)를 지지하며, 내측퍼프(47)를 통과한 파우더를 통과시킨다. 상기 외측퍼프(49)는 내측퍼프와 같은 밀도를 가지며 두께는 다르다.
한편,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바닥부(33c)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모터(39)와, 상기 진동모터(39)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1)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바닥부(33c)에 진동발생부를 설치할 수 있도록 바닥부(33c)에는 설치홈(도 4의 33k)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홈(33k)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진동모터(39)는 스위치부(35)의 동작에 의해 전원(41)의 전력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하여 용기본체(33)에 진동을 인가한다. 상기 용기본체(33)에 전달된 진동력은 파우더(p)에 전달되어 파우더(p)가 내외측퍼프(47,49)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부(35)는, 바닥부(33c)의 측부에 설치된 노출 스위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진동모터(39)를 구동한다. 특히 상기 스위치부(35)에는 버튼(35a)과 신호발생부(35b)는 포함된다. 상기 신호발생부(35b)는 진동모터(39)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으로서 진동모터(39)와 접속되며 버튼(35a)과 연동하여 진동모터(39)의 구동 패턴을 출력한다. 가령 버튼(35a)을 한번 누르면 진동모터(39)를 약하게 진동시키고, 한 번 더 누르면 진동모터(39)를 세게 진동시키고, 한 번 더 누르면 진동모터(39)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부(35)와 진동모터(39)와 전원(41)은 전력선(4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 파우더 용기(31)의 저면 모습을 나타내 보인 도립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캡(33e)을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33c)의 저면에 캡(33e)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캡(33e)은, 바닥부(33c)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설치홈(33k)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고정나사(33f)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캡(33e)은, 고정나사(33f)를 풀고 화살표 a방향으로 밀면 바닥부(33c)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바닥부(33c)에 대한 캡의 착탈 방식이나 캡 자체의 형식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바닥부(33c)의 측부에는 스위치구멍(33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구멍(33d)의 내측에 버튼(35a)이 끼워져 있다. 상기 버튼(35a)은 스위치구멍(33d)의 내부에 설치되되,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깊이에 위치한다.
상기 설치홈(33k)은, 상기 진동모터(39)와 전원(41)과 스위치부의 신호발생부(37)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위에 설명한 바와같이 캡(33e)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진동모터(39)와 전원(41)과 신호발생부(37)의 형태나 사이즈, 또는 기타 필요에 따라 상기 설치홈(33k)의 용적이나 내부 형상이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가령 진동모터(39)나 전원(41) 등을 설치홈(33k)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홀더 등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캡(33e)의 일단부에는 걸림편(33g)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33g)은 바닥부(33c)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홈(33j)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지지홈(33j)의 반대편에는 암나사구(33h)가 위치한다. 상기 암나사구(33h)는 캡(33e)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33s)을 관통한 고정나사(33f)가 결합하는 구멍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편(33g)을 지지홈(33j)에 끼운 상태로 캡(33e)을 바닥부(33c)에 맞춘 후 상기 고정나사(33f)를 나사구멍(33s)을 통해 암나사구(33h)에 죄면 바닥부(33c)에 캡(33e)이 완벽히 고정된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 파우더 용기(31)에서의 바닥부(33c)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전력선(43)은 생략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설치홈(33k)의 내부에 진동모터(39)와 전원(41)과 스위치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모터(39)와 전원(41)과 스위치부(35)는 캡(33e)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특히 상기 진동모터(39)는 모터홀더(33m)에 의해 완벽히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터홀더(33m)는, 진동모터(39)를 용기본체(33)에 상대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여, 진동모터(39)의 진동력이 용기본체(33)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41)이나 스위치부(35)도, 도시하지 않은 적당한 지지수단을 이용해 설치홈(33k) 내부에 고정됨은 물론이다.
상기 스위치부(35)는, 스위치구멍(33d)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35a)과, 상기 버튼(35a)에 내부 접속되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35b)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35a)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 신호발생부(35b)로 하여금 진동모터(39)의 동작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 파우더 용기의 작동원리를 정리한 블록도이다. 도 6에 설명한 작동원리는 후술되는 제 2실시예의 진동 파우더 용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발생부(35b)와 진동모터(39)와 전원(41)이 전력선(43)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스위치부(35)와 진동모터(39)와 전원(41)의 설치 위치는 용기본체(33)의 형상에 따라 다른 곳으로 변경될 수 도 있다.
여하튼, 사용자가 상기 (파우더용기(11)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버튼(35a)을 누르면 신호발생부(35b)가 동작하여 전원(41)의 전력을 진동모터(39)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진동모터(39)는 입력된 전기신호에 의해 진동하며 용기본체(33)를 진동시킨다. 용기본체(33)가 진동함에 의해 용기본체(33)내부의 파우더는 상기 내외측퍼프(47,49)를 통과해 외부로 공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45d)에 받쳐진 내측퍼프(53)에 다수의 관통구멍(53a)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53a)은 파우더(p)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상기 내측퍼프(53)는 도 2에 도시한 내측퍼프(47)보다 상대적으로 큰 밀도를 갖는 이른바 고밀도 스폰지이다. 상기 내측퍼프(53)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은 파우더(p)를 원활히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로 넓지 않으므로, 이와같이 다수의 관통구멍(53a)을 형성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모터(39)가 벽부(33b)에 내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벽부(33b)에 어느 정도의 스페이스가 제공된다면 진동모터(39)를 벽부(33b)에도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59)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후술되는 제 2실시예의 진동 파우더 용기(59)는, 상기 진동모터(39)가 용기본체(33)의 개방구측에 배치된 특징을 갖는다.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59)는, 파우더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33)와, 상기 용기본체(33)의 개방구측에 고정되는 숄더(45)와, 상기 숄더(45)에 지지되는 외측퍼프(49)와, 상기 숄더(45)의 하부에 고정되는 다공디스크(57)와, 상기 다공디스크(57)의 상부에 구비되며 다공디스크(57)에 지지되는 진동모터(39)와, 상기 진동모터(39)를 감싸며 진동모터(39)와 함께 진동하는 진동체(55)와, 상기 바닥부(33c)에 내장되며 상기 진동모터(39)를 구동하는 진동발생부와 스위치부(35)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디스크(57)는, 진동모터지지구멍(도 10의 57a)과 다수의 파우더통과구멍(도 10의 57b)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 부재로서, 벽부(33b)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지지턱(33r)에 걸려 지지된다. 상기 진동모터지지구멍(57a)은 진동모터(39)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고, 파우더통과구멍(57b)은 내부공간(33a)에 채워져 있는 파우더(p)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상기 다공디스크(57)의 내부에는 전력선(43)을 그 내부에 유지하는 배선홈(57c)도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다공디스크를 뒤집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다공디스크(57)는 일정두께 및 직경을 갖는 원판형 부재로서 그 중심에 진동모터지지구멍(57a)을 갖는다. 상기 진동모터지지구멍(57a)은 진동모터(39)의 일부분이 끼워지는 구멍이다. 상기 진동모터(39)는 진동모터지지구멍(57a)에 지지된 상태로, 전력선(43)을 통해 전달된 전력에 의해 진동한다. 상기 진동모터(39)에서 발생한 진동력은 다공디스크(57)를 통해 주변으로 퍼져나가 용기본체(33)도 진동시킨다.
또한 상기 다공디스크(57)의 저면에는 배선홈(57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선홈(57c)은, 진동모터지지구멍(57a)에 연통하며 다공디스크(57)의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상기 전력선(43)을 수용한다.
아울러 상기 배선홈(57c)에는 전력선받침(57d)이 끼움 결합한다. 상기 전력선받침(57d)은 배선홈(57c)에 끼워져 배선홈(57c)을 지나는 전력선(43)을 배선홈(57c) 내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9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상기 다공디스크(57)를 지지하고 있는 용기본체(33)의 내부에는, 상기 진동발생부와 진동모터(39)를 접속시키는 전력선(43)을 그 내부로 통과시키기 위한 배선공간(33q)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선공간(33q)은 용기본체(33)의 내부공간(33a)과 구획된 별도의 공간으로서 격벽(33p)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배선공간(33q)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본체(33)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상기 도 9의 용기본체(33)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용기본체(33)의 내부공간(33a)에 격벽(33p)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33p)은 내부공간(33a)을 구획하는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내벽면과의 사이에 배선공간(33q)을 제공하는 판상부재로서 용기본체(33)에 일체를 이룬다. 상기 배선공간(33q)의 바닥부는 용기본체의 바닥부로 연통되어 전력선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상기 진동발생부와 스위치부(35)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선(43)은, 상기 배선공간(33q)과 배선홈(57c)을 통과해 진동모터(39)에 접속되어, 상기 버튼(35a)을 누르면 전원(41)의 전력이 상기 전력선(43)을 통해 진동모터(39)에 인가되어 진동모터(39)가 동작한다.
또한 상기 진동체(55)는, 진동모터(39)를 감싸 고정한 상태로 진동모터(39)와 함께 진동하는 부재로서, 진동모터(39)의 진동력을 주변으로 전달한다.
상기 진동체(55)의 진동력은 다공디스크(57)를 통해 용기본체(33)에 전달되고, 일부는 외측퍼프(49)로 전달되어 외측퍼프(49) 털어준다. 이를 위해 상기 진동체(55)는 외측퍼프(49)와 접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진동체(55)로서는 스폰지 또는 합성수지사출물 정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스폰지를 적용할 경우, 도 2 또는 도 7에 도시한 내측퍼프(47,53)가 적당하고, 합성수지를 사출한 합성수지사출물을 적용할 경우, 내부에 파우더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상기 도 9에 도시한 진동체(55)의 여러 예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에 도시한 진동체(55a)는 저밀도 스폰지로서, 위에 언급한 바와같이 도 2의 내측퍼프(47)와 같은 종류이다. 즉 그 내부에 파우더가 통과할 수 있는 무수한 공극이 형성되어, 상기 다공디스크(57)를 통과한 파우더를 통과시켜 외측퍼프(49)로 보내는 타입의 것이다. 도면부호 55d는 상기 진동모터(39)가 끼워지는 모터고정구이다. 상기 모터고정구(55d)의 형상이 모터의 형상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또한 도 12b의 진동체(55b)는 도 7에 도시한 내측퍼프(53)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서 다수의 관통구멍(55e)을 갖는다. 즉, 상기 진동체(55b)는 고밀도 스폰지로서 상기 관통구멍(55e)을 통해 파우더입자를 통과시킨다.
도 12c에 도시한 진동체(55c)는, 사출성형부재(55m)와 탄성부재(55f)의 이중 구조를 갖는다. 상기 사출성형부재(55m)는 다수의 관통구멍(55e)과 모터고정구(55d)가 형성된 원통형 부재로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사출물이다. 이와같이 진동체(55c)에 사출성형부재를 적용함으로서 보다 큰 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5f)는 사출성형부재(55m)를 감싸는 것으로서, 사출성형부재(55m)의 외부로 쿠션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55f)는 경우에 따라 적용하지 않을 수 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59)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59)는, 상기 진동모터(39)가 다공디스크(57)로부터 분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9에 도시한 파우더 용기의 경우, 진동모터(39)가 다공디스크(57)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진동모터(39)가 다공디스크(57)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하더라도, 진동모터(39)를 감싸고 있는 진동체(55)가 다공디스크(57)와 외측퍼프(49)에 밀착하고 있으므로, 진동모터(39)의 진동력이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은 변함없다.
도 13에 도시한 타입의 파우더 용기(59)는, 진동모터(39)가 숄더(45)의 관통로(45c) 내부에서, (관통로(45c)의 공간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를테면 진동체(55)가 숄더(45)의 내측면에 아예 접하여 숄더를 직접 진동시킬 수 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또 다른 예에 따른 진동 파우더 용기(59)는, 파우더(p)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33)와, 상기 용기본체(33)의 개방구에 고정되며 지지판(45d)을 가지고, 상기 파우더를 통과시키는 관통로(45c)를 제공하며 외측퍼프(49)를 지지하는 숄더(45)와, 상기 숄더(45)의 지지판(45d)에 앉혀지며 상기 파우더를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진동체(55)와, 상기 진동체(55)의 내부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진동하는 진동모터(39)와, 상기 용기본체(33)의 바닥부에 내장되며 전력선(43)을 통해 상기 진동모터(39)에 전력을 제공하여 진동모터(39)를 동작시키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구동하는 스위치부(35)를 갖는다.
상기 진동체(55)는 진동모터(39)를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진동모터(39)의 동작시 함께 진동하며 숄더(45)와 외측퍼프(49)를 진동시켜, 파우더(p)가 진동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숄더(45)의 일측에는 전선구멍(45s)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구멍(45s)은 배선공간(33q)에 대응 위치하는 관통구멍으로서, 진동모터(39)에 접속되어 있는 전력선(43)을 통과시켜 전력선(43)을 배선공간(33q)으로 유도한다.
도 15는 상기 도 14에 도시한 진동체(55)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체(55)의 하측부에 절개부(55k)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력선(43)이 절개부(55k)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55k)는 스폰지 형태의 진동체의 저면을, 칼을 이용해 일정 깊이로 갈라 형성한 것으로서, 스폰지의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지는 성향을 가지므로 전력선(43)을 물어 고정한다. 상기 절개부(55k)에 물려 있는 전력선(43)은 상기한 전선구멍(45s)과 배선공간(33q)을 거쳐 전원(41) 및 스위치부(35)에 접속된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진동 파우더 용기(31,59)는, 스위치부(35)를 조작해 용기본체(33)를 진동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용기본체를 흔들지 않더라도 파우더가 공급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파우더 용기 13:용기본체 15:퍼프
17:뚜껑 31:진동파우더용기 33:용기본체
33a:내부공간 33b:벽부 33c:바닥부
33d:스위치구멍 33e:캡 33f:고정나사
33g:걸림편 33h:암나사구 33j:지지홈
33k:설치홈 33m:모터홀더 33p:격벽
33q:배선공간 33r:디스크지지턱 33s:나사구멍
45:숄더 45a:걸림턱 45b:고정홈
45c:관통로 45d:지지판 45s:전선구멍
47:내측퍼프 49:외측퍼프 51:뚜껑
51a:결합홈 53:내측퍼프 53a:관통구멍
55:진동체 55a,55b,55c:진동체 55d:모터고정구
55e:관통구멍 55f:탄성부재 55k:절개부
55m:사출성형부재 57:다공디스크 57a:진동모터지지구멍
57b:파우더통과구멍 57c:배선홈 57d:전력선받침
59:진동 파우더 용기

Claims (10)

  1. 바닥부와 벽부에 의해 형성되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고,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파우더를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숄더와;
    상기 숄더에 장착되며, 숄더를 통과한 파우더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퍼프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 또는 벽부에 설치되며, 사용시 진동을 발생하여 용기본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파우더가 진동에 의해 숄더의 관통로와 퍼프를 통과해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구동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바닥부 또는 벽부에 내장되는 진동모터와,
    상기 바닥부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부의 작동에 의해 진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에는,
    상기 스위치부에 접속되며, 스위치부의 스위칭동작시 상호 다른 세기의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진동모터의 출력을 조절하는 신호발생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4. 바닥부와 벽부에 의해 형성되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고,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파우더를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며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숄더와;
    상기 숄더와 더불어 용기본체의 개방구에 장착되며 파우더를 그 두께방향으로 통과시키는 다수의 파우더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디스크와;
    상기 숄더에 장착되어 상기 다공디스크를 통과한 파우더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퍼프와;
    상기 다공디스크와 퍼프의 사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진동하여 다공디스크를 통해 용기본체를 진동시키는 진동모터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내장되며 상기 진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구동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디스크에는 진동모터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진동모터지지구멍에 끼워져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6. 바닥부와 벽부에 의해 형성되며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고, 그 내부에 파우더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구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파우더를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갖는 숄더와;
    상기 숄더에 장착되어 숄더를 통과한 파우더를 그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퍼프와;
    상기 숄더에 지지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해 진동하여 숄더를 통해 용기본체를 진동시키는 진동모터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내장되어 상기 진동모터에 전력을 제공하여 진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전원을 포함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를 구동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7.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에는, 진동모터를 감싸며 진동모터의 동작시 진동하며 외부로 진동력을 전달하는 진동체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8.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에는, 상기 진동모터와 전원을 접속시키는 전력선이 그 내부에 배선되는 배선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공간은,
    상기 벽부의 내향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벽부와의 사이에 상기 배선공간을 제공하는 격벽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10. 제 1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진동발생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며 캡에 의해 개폐되는 설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파우더 용기.
KR1020120024419A 2012-03-09 2012-03-09 진동 파우더 용기 KR20130103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419A KR20130103078A (ko) 2012-03-09 2012-03-09 진동 파우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419A KR20130103078A (ko) 2012-03-09 2012-03-09 진동 파우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078A true KR20130103078A (ko) 2013-09-23

Family

ID=4945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419A KR20130103078A (ko) 2012-03-09 2012-03-09 진동 파우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30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5194A (zh) * 2015-03-06 2016-09-14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具有弹性体及双重网的空气推动弹回的化妆品容器
KR20190056939A (ko) * 2017-11-17 2019-05-27 허동현 흑채 저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5194A (zh) * 2015-03-06 2016-09-14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具有弹性体及双重网的空气推动弹回的化妆品容器
CN105935194B (zh) * 2015-03-06 2019-08-27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具有弹性体及双重网的空气推动弹回的化妆品容器
KR20190056939A (ko) * 2017-11-17 2019-05-27 허동현 흑채 저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1065B2 (en) Electrical mascara brush structure with variable speeds
EP2832453B1 (en) Atomizer
CA2953330C (en) Vibrating glass massager
TWD192751S (zh) 按摩器
JP4804053B2 (ja) 化粧料容器
US20220395086A1 (en) Body cleanser
JP2016527972A (ja) カプセル化粧品詰め替え構造及び気密機能を持つコンパクトケース
US9173470B2 (en) Skin care device having function for moving vertically
JP4773489B2 (ja) 電動ヘアーブラシ
KR20130103078A (ko) 진동 파우더 용기
KR101149347B1 (ko) 전동퍼프
KR101684226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24931A (ko)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US6805510B2 (en) Cosmetic powder applicato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30072384A (ko)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KR20130005374U (ko) 진동모듈을 구비하는 두드림 도포 용기
KR20190056939A (ko) 흑채 저장용기
KR101389903B1 (ko) 인체용 진동발생장치
KR101485958B1 (ko) 초음파 기능을 구비한 진동 퍼프
KR200469847Y1 (ko) 진동자가 구비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30015424A (ko) 전동 퍼프
WO2013047988A1 (ko) 파우더 용기
JP3151147U (ja) 化粧装置
KR20150129178A (ko) 화장용 도구
TWI574647B (zh) 具有減噪功能及傾斜粉撲功能的垂直震動型化妝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