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960B1 -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960B1
KR101148960B1 KR1020120027237A KR20120027237A KR101148960B1 KR 101148960 B1 KR101148960 B1 KR 101148960B1 KR 1020120027237 A KR1020120027237 A KR 1020120027237A KR 20120027237 A KR20120027237 A KR 20120027237A KR 101148960 B1 KR101148960 B1 KR 10114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stern
drying
waste
plate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호창
Original Assignee
남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호창 filed Critical 남호창
Priority to KR102012002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conveyors propelling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helves, sieves, or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3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9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gitating the fluidised bed, e.g. by vibrating or puls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기에서 파쇄된 폐동선 중의 동(구리)부스러기를 건조하는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판의 상측에 건조기본체를 진동장치에 의해 트위스트방향으로 진동되게 설치하고, 그 건조기본체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드럼통의 외주연에 나선승강판을 나선형으로 설치한 뒤에 그 나선승강판의 외주연을 외부커버로 커버되게 설치하여 드럼통과 외부커버의 사이에 나선형 공간부를 형성하며, 그 나선형공간부의 하측으로 젖은 동부스러기를 투입시킴과 아울러 열풍을 공급함으로서, 나선형공간부에서 떠들렸다 가라앉기를 반복하는 동부스러기에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트위스트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력과 나선형으로 휘돌아가는 열풍에 의해 젖은 동부스러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되면서 배출구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앵커볼트로서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30)과, 베이스판(30)의 중앙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중심축지지대(52)에 하측의 중심축(16)이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는 건조기본체(10)와, 건조기본체(10)의 하측과 베이스판(30) 사이에 설치되어 건조기본체(10)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50)와, 건조기본체(1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80)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가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기본체(10)는 중앙 하부에 상기 중심축(16)이 하향 설치되는 하부판(11)의 상부에는 상부에 굴뚝(13)이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기공(14)을 형성한 드럼통(15)이 수직 설치되며, 이 드럼통(15)의 외주연에는 나선승강판(17)이 나선형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부측 나선승강판(17) 상측의 드럼통(15) 외주연에 상부판(10a)을 설치하고 나선승강판(17)의 외주연에 외부커버(18)를 설치하여 드럼통(15)의 외주연에 나선형공간부(17a)를 형성하되, 외부커버(18)의 하부측 소정위치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입공간부에는 하부측 나선승강판(17)으로 젖은 동부스러기를 투입하는 재료투입채반(23)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판(10a)의 소정위치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배출공간부에 폐열풍과 건조된 동부스러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기(24)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기(24)는 배출공간부와 하측방이 통하게 설치되는 배출기본체(25)의 내측 가운데에는 후방측에 공간(e)을 두고 격판(27)이 수평 설치되고, 배출기본체(25)의 상부에 폐열이 배기되는 폐열배기관(26)이 연결 설치되며, 격판(27) 하측의 배출기본체(25) 외측방에는 마른 동부스러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동부스러기 배출구(28)가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재료투입채반(23)이 설치되는 외부커버(18)의 하부측 유입공간부에는 나선형공간부(17a)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유입구(29)가 연결 설치되며, 열풍유입구(29)에는 열풍기(80)와 연결되는 유입관(81)이 연결되고 폐열배기관(26)에는 열풍기(80)와 연결되는 배기관(82)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waste copper piece}
본 발명은 파쇄기에서 파쇄된 폐동선 중의 동(구리)부스러기를 건조하는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판의 상측에 건조기본체를 진동장치에 의해 트위스트방향으로 진동되게 설치하고, 그 건조기본체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드럼통의 외주연에 나선승강판을 나선형으로 설치한 뒤에 그 나선승강판의 외주연을 외부커버로 커버되게 설치하여 드럼통과 외부커버의 사이에 나선형 공간부를 형성하며, 그 나선형공간부의 하측으로 젖은 동부스러기를 투입시킴과 아울러 열풍을 공급함으로서, 나선형공간부에서 떠들렸다 가라앉기를 반복하는 동부스러기에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트위스트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력과 나선형으로 휘돌아가는 열풍에 의해 젖은 동부스러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되면서 배출구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동선에 포함된 동선(구리선)은 고가이므로 폐동선을 재활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폐동선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동선에 피복이 감싸여진 폐동선을 파쇄기에서 잘게 파쇄한 뒤에 피복은 폐기시키거나 또는 폐플라스틱의 원료로 재활용하고 파쇄된 동선(동부스러기)을 수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쇄기에서 폐동선을 파쇄하게 되면, 합성수지로 된 피복 부스러기와 동부스러기가 분리되어 배출되게 되는데, 분리되어 배출되는 피복 부스러기와 동부스러기에 각각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피복 부스러기와 동부스러기가 허공으로 날리지 않게 하면서 세척되게 한다.
이렇게 배출되는 피복 부스러기와 동부스러기 중에 동부스러기를 자루에 담아 보관하게 되는데, 이 동부스러기는 가는 모래정도의 크기로 파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량의 물기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동부스러기를 자루에 담아두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부의 물기가 빠지게 되나, 자루 내측의 동부스러기에는 다량의 물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동부스러기를 담은 자루의 무게가 매우 무거워서 동부스러기 자루를 옮기는데 많은 힘이 들게 되는 문제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부스러기가 산화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62078호(고안의 명칭 : 구형금속의 선별 건조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판의 상측에 건조기본체를 진동장치에 의해 트위스트방향으로 진동되게 설치하고, 그 건조기본체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드럼통의 외주연에 나선승강판을 나선형으로 설치한 뒤에 그 나선승강판의 외주연을 외부커버로 커버되게 설치하여 드럼통과 외부커버의 사이에 나선형공간부를 형성하며, 그 나선형공간부의 하측으로 젖은 동부스러기를 투입시킴과 아울러 열풍을 공급함으로서, 나선형공간부에서 떠들렸다 가라앉기를 반복하는 동부스러기에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트위스트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력과 나선형으로 휘돌아가는 열풍에 의해 젖은 동부스러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되면서 배출구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앵커볼트로서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중앙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중심축지지대에 하측의 중심축이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는 건조기본체와, 건조기본체의 하측과 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되어 건조기본체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와, 건조기본체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기본체는 중앙 하부에 상기 중심축이 하향 설치되는 하부판의 상부에는 상부에 굴뚝이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한 드럼통이 수직 설치되며, 이 드럼통의 외주연에는 나선승강판이 나선형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부측 나선승강판 상측의 드럼통 외주연에 상부판을 설치하고 나선승강판의 외주연에 외부커버를 설치하여 드럼통의 외주연에 나선형공간부를 형성하되, 외부커버의 하부측 소정위치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입공간부에는 하부측 나선승강판으로 젖은 동부스러기를 투입하는 재료투입채반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판의 소정위치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배출공간부에 폐열풍과 건조된 동부스러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기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기는 배출공간부와 하측방이 통하게 설치되는 배출기본체의 내측 가운데에는 후방측에 공간을 두고 격판이 수평 설치되고, 배출기본체의 상부에 폐열이 배기되는 폐열배기관이 연결 설치되며, 격판 하측의 배출기본체 외측방에는 마른 동부스러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동부스러기 배출구가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재료투입채반이 설치되는 외부커버의 하부측 유입공간부에는 나선형공간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유입구가 연결 설치되며, 열풍유입구에는 열풍기와 연결되는 유입관이 연결되고 폐열배기관에는 열풍기와 연결되는 배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는, 트위스팅 방향으로 진동력이 작용하는 진동장치에 의해 진동하는 건조기본체의 내부에는 나선형승강판을 진동력이 작용하는 트위스팅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설치하고, 나선승강판에 의해 형성되는 나선형 공간부로 젖은 동부스러기를 투입시킴과 아울러 열풍을 공급함으로서, 트위스팅 진동하는 방향과 나선형승강판이 감긴 방향이 동일하며 나선형공간부로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동부스러기를 배출구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고, 그 나선형공간부에서 떠들렸다 가라앉기를 반복하면서 나선방향으로 상승하는 동부스러기에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동부스러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의 측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진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진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자석컨베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앵커볼트로서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30)과, 베이스판(30)의 중앙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중심축지지대(52)에 하측의 중심축(16)이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는 건조기본체(10)와, 건조기본체(10)의 하측과 베이스판(30) 사이에 설치되어 건조기본체(10)를 트위스팅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진동장치(50)와, 건조기본체(1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80)로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가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30)은 앵커볼트로서 지면과 결합되는 부분에 방진구(31)가 개재되게 설치되어 본 발명에 의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를 가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지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상기 진동장치(50)는 도 4 및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0)의 상측 가운데에 진동장치설치대(51)가 좌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 진동장치설치대(51)는 베이스판(30) 상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진동장치(5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베이스판(30) 상에 직접 설치되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상기 진동장치설치대(51)의 가운데는 건조기본체(10)의 중앙부 하측에 하향 설치되는 중심축(16)이 삽입 지지되는 중심축지지대(52)가 수직 설치되고, 중심축지지대(52) 외측의 진동장치설치대(51)에는 제2기어(57)와 1차풀리(58)가 구비된 제2축(56)이 축지지대(55)에 의해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며, 제2축(56) 전방측의 진동장치설치대(51)에는 제2기어(57)와 맞물리는 제1기어(54)와 제1편심부(53a)가 구비된 제1축(53)이 축지지대(55)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심축지지대(52)의 내측에는 건조기본체(10)의 중량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52a)이 설치되어 스프링(52a)의 상단부가 중심축(16)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축(56) 후방측의 진동장치설치대(51)에는 1차풀리(58)와 벨트(59)로서 연결되는 2차풀리(61)와 제2편심부(60a)를 구비한 제3축(60)이 축지지대(55)에 의해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되, 제3축(60)의 제2편심부(60a)와 제1축(53)의 제1편심부(53a)는 중심축지지대(52)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설치되며, 이들 각각의 제1,2편심부(53a,60a)에는 건조기본체(10)의 하방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부판브래킷(12)의 단부와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크랭크암(62,62a)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축(53)의 일측 단부에는 종동풀리(65)가 설치되어 모터(63)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데, 베이스판(30)에 설치되는 모터(63)의 모터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64)와 상기 종동풀리(65)에 벨트(66)가 감겨지게 설치된다.
도 3,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기본체(10)의 하부에 수평 설치된 하부판(11)과 그 하부판(11)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판(30)의 외측방에는 건조기본체(10)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수개의 쿠션받침대(70)가 설치되는데, 이 쿠션받침대(70)는 하부판(11)에 설치되는 상부브래킷(67)과, 베이스판(30)에 설치되는 하부브래킷(68), 그리고 상하부브래킷(67,68)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탄성부재(69)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9)는 수개의 사각판스프링을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건조기본체(1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판(11)의 중앙하부에 베이스판(30)의 중심축지지대(52)에 삽입되어 회전 지지되는 중심축(16)이 하향 설치되고, 이 하부판(11)의 상부에는 상부에 굴뚝(13)이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기공(14)을 형성한 드럼통(15)이 수직 설치되며, 이 드럼통(15)의 외주연에는 나선승강판(17)이 나선형으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나선승강판(17) 상측의 드럼통(15) 외주연에 상부판(10a)을 설치하고 나선승강판(17)의 외주연에 외부커버(18)를 설치하여 드럼통(15)의 외주연에 나선형공간부(17a)를 형성하되, 외부커버(18)의 하부측 소정위치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입공간부에는 하부측 나선승강판(17)으로 젖은 동부스러기를 투입되게 재료투입채반(23)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판(10a)의 소정위치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배출공간부에 폐열풍과 건조된 동부스러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기(24)가 설치된다.
상기 재료투입채반(23)은 후방이 하부측 나선승강판(17)에 얹히게 설치되는 안내판(22)의 전방측에 젖은 동부스러기에 포함된 물기를 배수시키기 위한 망(20)이 설치되고, 그 망(20)의 하부에 배수구(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기(24)는 상부측 나선형공간부(17a)를 통하여 나오는 마른 동부스러기와 폐열풍이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출공간부와 하측방이 통하게 설치되는 배출기본체(25)의 내측 가운데에는 후방측에 벽면과 공간(e)을 두고 격판(27)이 수평 설치되며, 배출기본체(25)의 상부에 폐열이 배기되는 폐열배기관(26)이 연결 설치되고, 격판(27) 하측의 배출기본체(25) 외측방에는 마른 동부스러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동부스러기 배출구(28)가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료투입채반(23)이 설치되는 외부커버(18)의 하부측 소정위치에는 나선형공간부(17a)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유입구(29)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열풍유입구(29)에는 열풍기(80)와 연결되는 (81)가 연결되고 폐열배기관(26)에는 열풍기(80)와 연결되는 배기관(82)이 연결되어 건조기본체(10)에서 배기되는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의 건조기본체(10) 외부면에는 단열재(83)를 감싼 뒤에, 단열재(83)가 감싸여진 건조기본체(10) 외부 전체면에 보온커버(100)를 설치하되, 이 보온커버(100)는 굴뚝(13)과, 배출기(24), 재료투입채반(23), 열풍유입구(29), 모터(63)를 포함한 벨트(66)가 노출되게 그 들에 대응되는 구멍을 뚫은 상태로 건조기본체(10)와 접촉하지 않도록 간격을 둔 상태로 하단부가 베이스판(30)상에 볼트로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건조기본체(10)의 외부커버(18)에는 투시창(84)을 설치할 수 있으며, 외부커버(18)에 투시창(84)을 설치하고 건조기본체(10)의 외부면에 단열재(83)와 보온커버(100)를 설치할 때, 투시창(84)에는 단열재(83)와 보온커버(100)를 설치하지 않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기본체(10) 외부 전체면에 단열재(83)와 보온커버(100)를 함께 설치하였으나, 건조기본체(10) 외부에 보온커버(100), 또는 단열재(83)의 어느 한 가지만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작하는 시작품에는 단열재를 그라스울 매트를 감싼 뒤에 그 외측에 철판으로 제작한 보온커버를 설치함에 따라 건조기본체(10)의 진동력이 그라스울 매트로 된 단열재(83)에서 감쇄되어 철판으로 된 보온커버(100)에는 진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나, 보온커버로 진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보온커버와 절연재를 소정의 간격(1㎝ 내외)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뚝(13)과, 배출기(24), 재료투입채반(23), 열풍유입구(29), 모터(63)를 포함한 벨트(66)가 노출되게 보온커버(100)에 형성되는 구멍은, 그 들(굴뚝, 배출기, 재료투입채반, 열풍유입구, 모터를 포함한 벨트)과 접촉되지 않을 정도(1~2㎝)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기본체(10)가 진동되므로 진동하지 않는 베이스판(30)상에 보온커버(100)를 설치하면서 진동하는 건조기본체(10)와는 간격을 두고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도 3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의 후방에는 건조되어 동부스러기 배출구(2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동부스러기에 포함된 쇳조각을 자석으로 흡착하여 배출하는 자석컨베어(90)가 설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동부스러기 배출구(28)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자석컨베어(90)는 베이스판(30)의 후방에 설치되는 프레임(91)에 상부가 호퍼형태로 형성된 배출구(92)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프레임(91)의 상부에는 모터(94)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95,96)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컨베어프레임(9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롤러(95,96)에는 칸막이대(97)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컨베어벨트(98)가 감겨지게 설치되고, 상하부측 컨베어벨트(98) 사이의 컨베어프레임(93) 내측 가운데에는 자석(99)이 설치되며, 컨베어벨트(98) 하측에는 상기 상부가 개방된 동부스러기 배출구(28)가 배치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92)의 상부에 형성되는 호퍼부(92a) 상측의 컨베어벨트(98) 내측에는 자석이 위치하지 않아서 자석(99)이 있는 부분에서 컨베어벨트(98)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던 쇳조각부스러기가 컨베어벨트(98)의 이동에 의해 호퍼부(92a)에 도달하면, 자력이 없음에 따라 쇳조각부스러기가 호퍼부(92a)로 낙하되게 되는 것이다.
도면 중에 도 1, 2 및 도 4 내지 도 7에는 자석컨베어가 설치되지 아니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를 도시하였고, 도 3은 자석컨베어가 설치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를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는 파쇄기에서 파쇄되어 나오는 젖은 동부스러기를 건조시키는 것이므로, 젖은 동부스러기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료투입채반(23)으로 공급되게 되면서 본 발명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젖은 모래와 같이 젖은 동부스러기가 재료투입채반(23)에 공급되면 재료투입채반(23)의 전방바닥에 넓은 망(20)이 설치되고 그 하방에 호퍼형태의 배수구(19)가 설치되어서 1차적으로 젖은 동부스러기에 포함된 물기가 망을 통하여 하측의 배수구(19)로 배수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건조기본체(10)의 하측에 설치된 진동장치(50)에 의해 건조기본체(10)가 진동되고 있고 건조기본체(10) 하측으로 열풍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인데, 상기 망에 얹힌 젖은 동부스러기 중에 포함된 물기는 진동장치(50)에 의해 망(20)을 포함한 재료투입채반(23)도 전체적으로 진동되므로 젖은 동부스러기에 포함된 물기가 하측으로 더욱더 잘 빠지게 된다.
상기 진동장치(50)는 도 4 및 도 6, 7,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기본체(10) 하측의 중심축(16)이 설치되는 중심축지지대(52)를 기준하여 트위스트방향으로 진동하게 하며, 나선승강판(17)이 감긴 방향이 트위스트 진동방향과 동일하므로 재료투입채반(23)에 얹힌 젖은 동부스러기는 드럼통(15)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감긴 나선승강판(17)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 진동장치(50)가 트위스트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에 대하여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는데, 모터(63)가 설치된 부분을 정면이라 정하고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모터(63)의 동력이 벨트(66)를 통하여 제1축(53)을 "a"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축(53)에 편심되게 형성된 제1편심부(53a)에 설치된 크랭크암(62)은 "b"와 같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크랭크운동을 시작한다.
이때, 제1축(53)에는 제1기어(5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방에 설치된 제2축(56)에는 제2기어(57)가 제1기어(54)와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서 제2축(56)은 "c"와 같이 제1축(53)과는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축(56)에는 또 다른 1차풀리(58)가 설치되고, 제2축(56)의 우측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3축(60)에는 1차풀리(58)와 벨트(59)로서 연결되는 2차풀리(61)가 설치되어서 이 제3축(60)은 제2축(56)과 동일한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축(60)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2편심부(60a)에는 제1축(53)에 설치된 크랭크암(62)과는 반대방향으로 또 다른 크랭크암(62a)이 설치되어서 제3축(60)에 설치된 크랭크암(62a)은 "d"와 같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크랭크운동이 시작된다.
위와 같이 제1축(53)에 설치된 크랭크암(62)은 중심축지지대(52)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측에서 우측방향(b)으로 진동을 시작하고, 제3축(60)에 설치된 크랭크암(62a)은 중심축지지대(52)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측에서 좌측방향(d)으로 진동을 시작함에 따라 각각의 크랭크암(62,62a)의 단부에 하부판브래킷(12)이 설치된 하부판(11)을 포함한 건조기본체(10)는 트위스트운동을 반복하는 트위스트진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후방측의 크랭크암(62,62a)이 제1,2편심부(53a,60a)가 편심된 만큼 왕복운동을 반복하며 트위스트 진동을 할 때, 각각의 크랭크암(62,62a)과 하부판브래킷(12)이 설치된 하부판(11)의 중심축(16)은 상기 제1,2편심부(53a,60a)가 편심된 만큼 중심축지지대(52)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이 지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트위스팅 진동시에 중심축지지대(52)에 삽입된 중심축(16)은 건조기본체(10)가 트위스팅 진동하는 각도만큼 각운동을 반복함과 아울러 건조기본체(10)가 상하로도 미세하게 진동하게 되는데, 중심축지지대(52)의 내측에는 중심축(16)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스프링(52a)이 설치되어 그 미세한 상하진동을 받쳐줌과 아울러 건조기본체(10)의 중량을 함께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조기본체(10) 하부의 하부판(11)과 베이스판(30) 사이의 외측에는 수개의 쿠션받침대(70)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건조기본체(10)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건조기본체(10)에 트위스트 진동력을 가할 때, 경사지게 설치된 판스프링형태의 탄성부재(69)가 수직하게 세워지려다가 경사지는 동작을 탄력적으로 반복하면서 더욱더 진동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진동장치(50)와 쿠션받침대(70)에 의해 트위스트 진동이 이루어질 때, 위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트위스트진동을 하는 방향으로 나선승강판(17)이 설치되어서 들썩거리며 떠들렸다 가라앉기를 반복하는 동부스러기가 나선승강판(17)을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위와 같이 동부스러기가 들썩거리며 떠들렸다 가라앉기를 반복할 때, 열풍유입구(29)를 통하여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떠들려서 공중으로 뜬 동부스러기에 열풍이 불어줌에 따라 그 들 동부스러기는 열풍이 휘돌아 올라가는 나선형공간부(17a)를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어 동부스러기의 이동이 한결 여유로워 지며, 공중으로 떠오르는 동부스러기에 열풍이 접촉하는 면적이 많아져서 동부스러기에 묻은 물기가 효과적으로 건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젖은 동부스러기에 고열의 열풍이 접촉하며 물기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수증기 중의 일부는 드럼통(15)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14)을 통하여 드럼통(15)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그렇게 유입되는 수증기는 드럼통(15) 상측의 굴뚝(13)으로 배출되며, 또 다른 일부의 수증기는 나선형공간부(17a)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데, 이 나선형공간부(17a)을 따라 상승하는 수증기는 열풍과 함께 상승하는 과정에서 건조되며 소멸되게 된다.
이때, 상기 통기공(14)은 나선승강판(17)이 감긴 방향으로 따라 가상의 나선형으로 형성되면서, 그 통기공(14)이 나선승강판(17) 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들썩거리며 떠들렸다 가라앉기를 반복하는 동부스러기가 통기공(14)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였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나선형공간부(17a)를 따라 상승 이동하는 동부스러기와 열풍은 나선형공간부(17a)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젖은 동부스러기는 건조되면서 배출기(24)에 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기(24)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공간부와 하측방이 통하게 설치되는 배출기본체(25)의 내측 가운데에는 후방측에 벽면과 공간(e)을 두고 격판(27)이 수평 설치되며, 배출기본체(25)의 상부에 폐열이 배기되는 폐열배기관(26)이 연결 설치되어서 폐열은 상기 공간(e)을 통하여 폐열배기관(26)으로 배기되고, 마른 동부스러기는 격판(27) 하측의 배출공간을 통하여 동부스러기 배출구(28)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9에서 보는 본 발명에 의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의 후방에는 동부스러기 배출구(28)를 통하여 배출되는 동부스러기에 쇳조각 부스러기가 포함되어 나오는 경우에 그 쇳조각 부스러기를 자석으로 흡착하여 배출하는 자석컨베어(9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구(28)를 통하여 배출되는 동부스러기에 쇳조각 부스러기가 포함되어 나오는 경우에는 컨베어프레임(93) 내측의 가운데에 자석(99)이 설치되어 있고, 그 컨베어프레임(93)의 전후방측 롤러(95,96) 사이에는 컨베어벨트(98)가 감겨져 있으며, 자석(99) 하방의 하부측 컨베어벨트(98) 하방에 상부가 개방된 동부스러기 배출구(28)가 설치되어 있고, 그 동부스러기 배출구(28)로 쇳조각 부스러기가 포함된 동부스러기에 나오고 있는 상태이므로 동부스러기에 포함된 쇳조각 부스러기는 하부측 컨베어벨트(98) 저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컨베어벨트(98)가 회전 이동하면서 쇳조각 부스러기가 붙어 있던 부분이 자석(99) 하방을 벗어나게 되면, 자력이 쇳조각 부스러기에 미치지 않아서 그 쇳조각 부스러기는 하측으로 자연 낙하하게 되고, 그 하방에 배출구(92)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쇳조각 부스러기는 배출구(92)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쇳조각 부스러기가 부착된 부분의 컨베어벨트(98)가 자석(99)을 벗어나도 쇳조각 부스러기는 자석(99)측으로 부착하려고 하는데, 컨베어벨트(98)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칸막이대(97)가 소정의 높이로 벽처럼 돌출되어서 쇳조각 부스러기가 자석(99)측으로 딸려가지 않고 칸막이대(97)에 걸려서 배출구(92)의 호퍼부(92a)측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건조기본체(10)의 외부면에 단열재(83) 또는 보온커버(100)를 설치함에 따라 열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단열재(83)는 건조기본체(10)의 외부면에 직접 고정되게 설치하여 건조기본체(10)가 진동하는데도 불구하고 건조기본체(10)에서 단열재(83)가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보온커버(100)는 건조기본체(1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건조기본체(10)가 진동하는데도 불구하고 그 진동력이 보온커버에 전달되지 않고, 건조기본체에서 발열되는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1 :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10 : 건조기본체 11 : 하부판
12 : 하부판브래킷 13 : 굴뚝 14 : 통기공
15 : 드럼통 16 : 중심축 17 : 나선승강판
18 : 외부커버 19 : 배수구 20 : 망
22 : 안내판 23 : 재료투입채반 24 : 배출기
25 : 배출기본체 26 : 폐열배기관 27 : 격판
28 : 동부스러기 배출구 29 : 열풍유입구 30 : 베이스판
50 : 진동장치 51 : 진동장치설치대 52 : 중심축지지대
53 : 제1축 54 : 제1기어 55 : 축지지대
56 : 제2축 57 : 제2기어 58 : 1차풀리
59,66 : 벨트 60 : 제3축 61 : 2차풀리
62 : 크랭크암 63 : 모터 64 : 구동풀리
65 : 종동풀리 67 : 상부부래킷 68 : 하부부래킷
69 : 탄성부재 70 : 쿠션받침대 80 : 열풍기
81 : 유입관 82 : 배기관 90 :자석컨베어
91 : 프레임 92 : 배출구 93 : 컨베어프레임
94 : 모터 95,96 : 롤러 97 : 칸막이대
98 : 컨베어벨트 99 : 자석 100 : 보온커버

Claims (5)

  1. 지면에 앵커볼트로서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30)과, 베이스판(30)의 중앙 상부에 수직 설치되는 중심축지지대(52)에 하측의 중심축(16)이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는 건조기본체(10)와, 건조기본체(10)의 하측과 베이스판(30) 사이에 설치되어 건조기본체(10)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50)와, 건조기본체(10)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80)로서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가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기본체(10)는 중앙 하부에 상기 중심축(16)이 하향 설치되는 하부판(11)의 상부에는 상부에 굴뚝(13)이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기공(14)을 형성한 드럼통(15)이 수직 설치되며, 이 드럼통(15)의 외주연에는 나선승강판(17)이 나선형으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나선승강판(17) 상측의 드럼통(15) 외주연에 상부판(10a)을 설치하고 나선승강판(17)의 외주연에 외부커버(18)를 설치하여 드럼통(15)의 외주연에 나선형공간부(17a)를 형성하되, 외부커버(18)의 하부측 소정위치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유입공간부에는 하부측 나선승강판(17)으로 젖은 동부스러기를 투입하는 재료투입채반(23)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판(10a)의 소정위치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배출공간부에 폐열풍과 건조된 동부스러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기(24)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기(24)는 배출공간부와 하측방이 통하게 설치되는 배출기본체(25)의 내측 가운데에는 후방측에 벽면과 공간(e)을 두고 격판(27)이 수평 설치되고, 배출기본체(25)의 상부에 폐열이 배기되는 폐열배기관(26)이 연결 설치되며, 격판(27) 하측의 배출기본체(25) 외측방에는 마른 동부스러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동부스러기 배출구(28)가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재료투입채반(23)이 설치되는 외부커버(18)의 하부측 유입공간부에는 나선형공간부(17a)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유입구(29)가 연결 설치되며, 열풍유입구(29)에는 열풍기(80)와 연결되는 유입관(81)이 연결되고 폐열배기관(26)에는 열풍기(80)와 연결되는 배기관(82)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장치(50)는 중심축지지대(52) 외측의 진동장치설치대(51)에 제2기어(57)와 1차풀리(58)가 구비된 제2축(56)이 축지지대(55)에 의해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며, 제2축(56) 전방측의 진동장치설치대(51)에는 제2기어(57)와 맞물리는 제1기어(54)와 제1편심부(53a)가 구비되고 모터(6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축(53)이 축지지대(55)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며,
    제2축(56) 후방측의 진동장치설치대(51)에는 1차풀리(58)와 벨트(59)로서 연결되는 2차풀리(61)와 제2편심부(60a)를 구비한 제3축(60)이 축지지대(55)에 의해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되, 제3축(60)의 제2편심부(60a)와 제1축(53)의 제1편심부(53a)는 중심축지지대(52)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설치되며, 이들 각각의 제1,2편심부(53a,60a)에는 건조기본체(10)의 하방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하부판브래킷(12)의 단부와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크랭크암(61,62)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본체(10)의 하부에 수평 설치된 하부판(11)과 베이스판(30)의 외측방에는 건조기본체(10)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수개의 쿠션받침대(70)가 설치되되, 이 쿠션받침대(70)는 하부판(11)에 설치되는 상부브래킷(67)과, 베이스판(30)에 설치되는 하부브래킷(68), 상하부브래킷(67,68)의 사이에 수개의 사각판스프링이 경사방향으로 설치되는 탄성부재(6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투입채반(23)은 후방이 하부측 나선승강판(17)에 얹히게 설치되는 안내판(22)의 전방측에 젖은 동부스러기에 포함된 물기를 배수시키기 위한 망(20)이 설치되고, 그 망(20)의 하부에 배수구(19)가 설치되며,
    상기 건조기본체(10)의 외부면에는 단열재(83)를 감싼 뒤에, 단열재(83)가 감싸여진 건조기본체(10) 외부 전체면에 보온커버(100)를 설치하되, 이 보온커버(100)는 굴뚝(13)과, 배출기(24), 재료투입채반(23), 열풍유입구(29), 모터(63)를 포함한 벨트(66)가 노출되게 그 들에 대응되는 구멍을 뚫은 상태로 건조기본체(10)와 접촉하지 않도록 간격을 둔 상태로 하단부가 베이스판(30)상에 볼트로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부스러기 배출구(28)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동부스러기 건조장치(1)의 후방에는 건조되어 동부스러기 배출구(2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동부스러기에 포함된 쇳조각을 자석으로 흡착하여 배출하는 자석컨베어(90)를 설치하되,
    이 자석컨베어(90)는 베이스판(30)의 후방에 설치되는 프레임(91)에 배출구(92)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 프레임(91)의 상부에는 모터(94)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95,96)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컨베어프레임(93)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95,96)에는 칸막이대(97)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컨베어벨트(98)가 감겨지게 설치되고, 상하부측 컨베어벨트(98) 사이의 컨베어프레임(93) 내측 가운데에는 자석(99)이 설치되며, 자석(99) 하측의 컨베어벨트(98) 하측에는 동부스러기 배출구(28)가 배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KR1020120027237A 2012-03-16 2012-03-16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KR10114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37A KR101148960B1 (ko) 2012-03-16 2012-03-16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37A KR101148960B1 (ko) 2012-03-16 2012-03-16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960B1 true KR101148960B1 (ko) 2012-05-22

Family

ID=4627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237A KR101148960B1 (ko) 2012-03-16 2012-03-16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9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609A (zh) * 2021-12-16 2022-04-01 镇江西门子母线有限公司 一种母线连接器铜排旋转物料车
CN116618264A (zh) * 2023-06-30 2023-08-22 耐落螺丝(昆山)有限公司 扣件防漏预涂烘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1392U (ko) * 1988-12-13 1990-06-22
KR20030086761A (ko) * 2002-05-07 2003-11-12 유재열 진동 건조기
KR20040085537A (ko) * 2003-03-31 2004-10-08 한국기계연구원 나선진동교반식 열전도 건조기의 배기장치
JP2005074935A (ja) * 2003-09-03 2005-03-24 Japan Steel Works Ltd:The 振動式脱水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1392U (ko) * 1988-12-13 1990-06-22
KR20030086761A (ko) * 2002-05-07 2003-11-12 유재열 진동 건조기
KR20040085537A (ko) * 2003-03-31 2004-10-08 한국기계연구원 나선진동교반식 열전도 건조기의 배기장치
JP2005074935A (ja) * 2003-09-03 2005-03-24 Japan Steel Works Ltd:The 振動式脱水乾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1609A (zh) * 2021-12-16 2022-04-01 镇江西门子母线有限公司 一种母线连接器铜排旋转物料车
CN114261609B (zh) * 2021-12-16 2024-01-26 镇江西门子母线有限公司 一种母线连接器铜排旋转物料车
CN116618264A (zh) * 2023-06-30 2023-08-22 耐落螺丝(昆山)有限公司 扣件防漏预涂烘干装置
CN116618264B (zh) * 2023-06-30 2024-03-19 耐落螺丝(昆山)有限公司 扣件防漏预涂烘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85480U (zh) 一种建筑工程用废料处理回收装置
KR20110074042A (ko) 건식 모래 생산방법 및 장치
KR101148960B1 (ko) 폐동선의 동부스러기 건조장치
CN208960045U (zh) 一种聚乳酸生产用原料破碎和筛选装置
CN108479924A (zh) 一种固体废弃物资源再回收利用装置
JP2007029828A5 (ko)
KR101830648B1 (ko) 건설폐기물 내 이물질 풍력 선별장치
CN117718125A (zh) 一种煤矿破碎用筛分装置
CN211526954U (zh) 一种带有内循环防尘功能的矿石粉料烘干装置
CN104324886A (zh) 一种物料筛分装置
CN207831829U (zh) 一种拉链烘干机
KR20130086476A (ko) 산업용 폐기물의 비중 선별장치
CN203917288U (zh) 一种天麻根茎清洗烘干一体机
KR101005281B1 (ko) 건설폐기물 내의 가연성이물질 선별 및 고순도 제조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선별·건조장치
US3313034A (en) Nut meat de-watering machine
CN110447700A (zh) 一种贻贝加工装备
CN210004707U (zh) 一种干燥机用除尘设备
KR10100433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60754B1 (ko) 요동식 생활폐기물 선별분리기
CN211190988U (zh) 一种干果分类装置
KR102174459B1 (ko) 혼합 폐기물 선별장치
JP2002219447A (ja) ダスト分離装置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852170B1 (ko) 죽염제조시스템
CN206229525U (zh) 静电清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