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957B1 -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957B1
KR101147957B1 KR1020110070503A KR20110070503A KR101147957B1 KR 101147957 B1 KR101147957 B1 KR 101147957B1 KR 1020110070503 A KR1020110070503 A KR 1020110070503A KR 20110070503 A KR20110070503 A KR 20110070503A KR 101147957 B1 KR101147957 B1 KR 10114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cargo
frame
tractor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to KR102011007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2Movements of forks either individually or relative to each other
    • B66F9/143Movements of forks relative to each other - symmetric

Abstract

본 발명인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는 크게 보아, 메인프레임(10)과, 슬라이딩프레임(20)과, 상하이동체(30)와, 하부프레임(40)과, 누름덮개(50)로 구성되며, 농업용 트랙터 전면에 부착하여 포크의 바닥상면에 적치된 톤백 또는 파레트 위에 농작물을 수확한 곡물, 비료, 과일, 채소, 수산물, 사료, 퇴비, 종자 등의 물건을 상적하여 누름덮개로 화물을 안착하여 주행이동하거나, 트럭의 적재함 및 물류창고 등에 자유롭게 운반하기 위한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 {Multi-fork lifter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업용 트랙터 전면에 부착하여 포크의 바닥 상면에 적치된 톤백 또는 파레트 위에 농작물을 수확한 곡물, 비료, 과일, 채소, 수산물, 사료, 퇴비, 종자 등의 화물을 상적하여 누름덮개로 화물을 안착하여 주행이동하거나, 트럭의 적재함 및 물류창고 등에 자유롭게 상적을 하거나 하역을 하기 위한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에 발명이다.
농어촌의 경우 농경지의 두둑과 고랑에 의하여 요철부가 다수 있고, 경사도가 있는 경우에도 화물을 적재한 운반기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높이에 무관하게 화물차 및 저장고에 적치 또는 하차할 수 있어야 하나, 농업용 간이 지게차를 이용하거나, 경량 베일러(baler) 집게, 트랙터에 지게차를 접목한 운반기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안정된 화물을 적재, 하역, 저장하기에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한 종래 발명인 출원번호 제20-2002-0014235호는 농업용 간이지게차를 이용할 경우, 농가에서 수확한 쌀을 비롯한 기타 곡식, 과일 등의 농산물을 저장창고에 저장하기 위해 근거리를 이동하여 운반하거나 트럭의 적재함 및 물류창고 등의 높은 위치에 적재할 때 힘들이지 않고 농산물을 간편하게 상부로 들어올려 적재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간이지게차에 관한 것이나, 상기 지게차는 인력으로 근거리를 밀어서 운반한 다음 리프터를 사용하여 화물을 적치하거나 하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간이 지게차는 자력으로 주행이 불가능하고, 화물을 다층으로 일정높이 적치할 경우 화물을 끈으로 묶지 않고, 적치된 화물무게에 의한 자중에 의하여 도로를 주행하거나 근거리를 이동할 경우 충격과 경사에 의한 기울기에 의하여 불균형이 이루어지고, 토오크가 작용할 경우 화물이 무게중심을 잃어 무너지면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부상을 입히고 화물이 흩어져 포장이 찌그러지거나, 기스(균열)가 발생하거나, 멍이 들어 폐기처분하거나 상품가치가 하락한 상태에서 출하하게 됨으로 인하여 농어촌에 수입이 감소하는 현상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출원번호 제10-1999-0041416호는 트랙터용 지게차 겸용 페이로더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트랙터 후방에 장착된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트랙터용 지게차 겸용 페이로더로 사용되어 농작물과 기타화물을 운반하고, 땅을 고르고, 퇴비 등을 정리하기 위한 페이로더작업을 겸용 가능한 작업기입니다.
상기 작업기는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하여 지게차와 페이로더로 겸용됨으로 인하여 신속성과 작업성이 떨어지고, 농경지의 두둑과 고랑에 의하여 요철부가 다수 있고, 경사진 도로가 있는 경우에도 화물을 적재한 작업기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높이에 무관하게 처리하기에는 곤란하였습니다.
상기 작업기의 지게차인 경우 포크에 걸려진 파레트에 적치된 화물이 주행하면 노면이 평탄하지 않으므로 주의가 요구되고, 저속으로 이동하므로 작업성이 저조하고, 다단으로 적치된 화물이 끈으로 묶지 않아 요철에 의한 충격하중이 가해지거나, 급속하게 회전을 하거나, 노면 경사에 의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적치된 화물이 무게중심을 잡지 못하여 전도되거나 한쪽으로 편중되어 흐뜨러지고, 채소와 같이 연약한 물건은 문드러지거나 으깨지는 사례가 발생하였고, 설령 조금 단단한 농산물이라 하더라도 포장상자에서 흐트려지거나, 포장상자가 찌그러지거나, 기스(균열)가 발생하거나 멍들어 폐기처분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상품가치가 하락하게 되었다.
따라서, 농가는 영양 많고 품질 좋은 농산품을 잘 가꾸었다 하더라도 출하과정에서 운반용 장비가 좋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하여 농가소득에 경제성이 떨어지고, 도시 역시도 품질 좋고 싱싱하고 신선한 농산물을 쉽게 구입하기 곤란하여 국민 생활 경제에 먹구름이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농업분야 경영인의 핵심과제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업용 트랙터 전면에 부착하여 멀티포크리프트의 바닥상면에 적치된 톤백 또는 파레트 위에 농작물을 수확한 곡물, 비료, 과일, 채소, 수산물, 사료, 퇴비, 종자 등의 화물을 현지에서 직접포장하여 도시로 출하하기 위하여 근거리를 주행이동하거나, 트럭의 적재함 및 물류창고 등에 자유롭게 이동하여 하역하기 위한 운반 케리지에 관한 발명으로서, 농어촌 현지는 대부분이 농작물을 가꾸는 농경지로서 두둑과 고랑에 의한 요철부가 다수 있으며, 비포장도로에 경사로가 겹쳐진 상태에서, 적치된 화물에 끈을 매지 않고 이송할 경우 층상으로 적재된 포장상자가 적치된 무게에 의한 자중이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주행하면, 두둑과 고랑 등의 요철에 의한 충격과 가압력이 작용하여 균형을 잃어 미끄러져, 포장 상자를 가격하여 누르면 농산물이 멍이 들거나 눌러져 찌들어 상품가치가 하락하게 되어 농가 소득이 보전되지 못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어촌 현지 등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트랙터 등을 사용하여 비료, 사료, 곡류, 수산물, 채소류 및 과일류 등의 내용물을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담아 목적지에 안전하게 운반하거나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농어촌의 인력난을 해소함과 동시에, 노동 강도 및 노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저감/절약할 수 있으며, 농산물의 생산 및 유통업자의 입장에서는 노동력 감소로 인건비가 절감되어 생산 및 유통비를 절약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농부가 농산물을 잘 가꾸어 품질이 우수하다 하더라도 출하과정에서 처리과정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농가는 농산물을 폐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되고, 제값에 출하되지 못하는 이중, 삼중고(三重苦)에 시달리는 것을 개선함과 동시에 도시의 소비자는 고품질의 싱싱하고 신선한 물건을 저가로 구입함으로서 국민 생활경제에 기여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부착하여 농수산물을 운반하는 케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으로 대향시킨 각형의 골재를 하부프레임에 상호 연결하는 메인프레임(10)과;
각형의 프레임 일측에 돌출부(21)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내삽 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프레임(20)과:
슬라이딩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40) 일측 면에 연결된 상하이동체(30)와;
격자형 하부프레임(40) 후면에 트랙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41)을 갖고, 수직으로 대향시킨 상기 메인프레임(10)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의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 42)을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봉(43)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43)은 하부프레임(40)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44)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적재화물의 위치를 신속하게 포착하여 상적할 수 있는 지게발(fork)을 구비한 하부프레임(40)과;
지게발(fork)(42) 위에 적재된 화물이 주행할 경우 비포장도로, 두둑과 같은 걸림턱과 요철에 의한 충격력과 경사로의 기울기에도 전도되지 않도록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수직력을 가하여 눌러 주어 적치된 화물이 균형을 유지하는 누름판(56)과, 상기 누름판의 일측은 연결구(51)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0) 전면에 돌출된 돌출부(21)와 핀 또는 힌지로 연결하고, 누름판(56)은 화물을 운반할 경우 화물에 수직력을 가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향으로 회전하여 상적하거나 하역시 지장이 없도록 한 누름덮개(5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0) 전면에 돌출된 돌출부(21) 하부에 각재를 설치하고, 상기 각재(57) 일측과 누름판(56) 일측에 쇼바(실린더)(53) 또는 탄성스프링(53)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스무스하게 누름덮개(50)가 상향/하향으로 회전되고, 슬라이딩프레임(20)의 끝단은 로울러/마찰판(미도시)를 부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마찰을 감축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누름판(56)은 상판(52)과 하판(52')으로 구분되고, 상판과 하판의 끝단부에 고정되어 화물에 가해지는 수직력에 의한 충격을 제1차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체(54)를 설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상기 탄성체(54)는 스프링/ 고무/ 탄성섬유/ 합성프라스틱/ 부틸고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경우 스프링 둘레에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한 스프링 보호캡/스프링 보호봉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하판에 고무판/고무부틸렌/종이/섬유/실린더(55)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화물과 맞닫아 접촉할 경우 닫는 면의 손상과 훼손을 사전 방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체(30)는 유압실린더/전동실린더/공기압실린더/나사식 잭/기어와 체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21)와 연결구(51)에 길이방향으로 격간을 둔 구멍을 형성하여, 신장 또는 축소시킨 구멍에 보울트 또는 핀을 사용하여 적재된 화물의 폭에 맞도록 조정하여 적치된 화물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 상기 탄성체(54) 일측 또는 누름판의 하판(52') 일측에 접촉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누름덮개(50)가 화물을 누를 경우 누르는 힘에 의해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누름덮개(50)의 일측에 걸고리(미도시)를 설치하여 메인프레임(10)에 고정대(미도시)를 설치하여 누름덮개(50)가 상향으로 접어질 경우 또는 정비시 하향으로 낙하하여 화물과 인명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봉(43)과 지게발(42)의 상단 결착부에 지게발의 이동을 고정제한하기 위한 관통구(45)를 천공하여 핀 또는 볼트로 구멍에 결합하여 지게발(4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유압실린더/전동실린더/가스실린더(46) 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여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우로 자동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 상기 상하이동체(3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안전센서를 설치하여 수직으로 일정구간 이동하되, 누름덮개(50)와 지게발(42) 사이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편중 및 외부 구동조건에 의하여 상하이동체(30)의 균형점을 유지하여 신속하게 정지하거나 가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가이드봉 안전센서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
또, 수직으로 대향된 격자형 메인프레임(10)의 보강을 위하여 메인프레임(10) 양측으로 보강부재를 연장 설치하여 하부프레임(40)과 상호 연결하여 메인프레임(10), 하부프레임(40), 누름덮개(50) 간의 균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견고성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40)의 하단에 삽입구를 만들어 이동식 휠을 삽입구에 결합 설치하여 멀티포크리트터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농부가 농산물을 잘 가꾸어 품질이 우수하더라도 출하과정에서 다량으로 운반하여 적치/하역할 경우 처리과정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농산물을 폐기하거나, 멍이들어 상품이 훼손될 경우, 제 값에 출하되지 못하므로서 이중, 삼중고로 농가소득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을 개선함과 동시에 도시의 소비자는 고품질의 싱싱하고 신선한 물건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농업용 트랙터 전면에 부착하여 멀티포크리프트의 바닥상면에 적치된 톤백 또는 파레트 위에 농작물 등의 화물을 적치하여 근거리를 주행이동하거나, 트럭의 적재함 및 물류창고 등에 자유롭게 운반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포장도로에 경사로가 겹쳐진 상태에서도 화물을 이송할 경우 끈으로 묶지 않고 목적지에 적재된 화물을 미끄러짐 없이 신속하게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화물 및 인명에 손상을 입지 않게 운반처리하여 신선하고 싱싱한 고품질의 상품을 제값에 출하하여 상품가치를 상향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농어촌 현지 등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트랙터 등을 사용하여 비료, 사료, 곡류, 수산물, 채소류 및 과일류 등의 내용물을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담아 목적지에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농어촌 지역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노동 강도 및 노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저감/절약할 수 있으며, 농수산물의 생산 및 유통업자의 입장에서는 노동력 감소로 인건비가 절감되어 생산 및 유통비를 절약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농부가 농산물을 잘 가꾸어 고품질의 우수한 상품이다 하더라도 출하과정에서 다량으로 운반하여 적치/하역할 경우 처리과정을 양호하게 처리함으로서 농산물이 멍이들거나, 짙눌려 찌그러져 폐기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상품을 제값에 출하하여 농가소득이 증대되도록 함과 동시에 도시의 소비자는 고품질의 싱싱하고 신선한 물건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의 실시예에 따른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의 실시예에 따른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농업용 트랙터 전면에 부착하여 포크의 바닥상면에 적치된 톤백 또는 파레트 위에 농작물을 수확한 곡물, 비료, 과일, 채소, 수산물, 사료, 퇴비, 종자 등의 농산물을 상적하여 누름덮개로 화물을 안착하여 주행이동하거나, 트럭의 적재함 및 물류창고 등에 자유롭게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인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는 크게 보아, 메인프레임(10)과, 슬라이딩프레임(20)과, 상하이동체(30)와, 하부프레임(40)과, 누름덮개(5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수직으로 대향시킨 각형의 골재를 하부프레임(40)에 상호 연결된다.
대향된 메인프레임(10)은 'ㄷ'자형의 찬넬이 바람직하고, 상단에는 슬라이딩프레임(20)이 상/하향으로 이동할 경우 좌우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을 고려하여 보강부재를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부착한다.
슬라이딩프레임(20) 일측에 돌출부(21)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내삽 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프레임(2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0) 좌우단에 롤러를 설치하여 메인프레임(10)에 내삽될 경우 상기 롤러에 의해 스무스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
슬라이딩프레임(20)의 끝단은 로울러/마찰판(미도시)를 부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작용하는 마찰을 감축시킬 수 있다.
삭제
적재된 화물의 폭에 따라 누름덮개(50)의 길이를 가변하기 위하여 돌출부(21)와 연결구(51)에 길이방향으로 격간을 둔 구멍을 형성하여 신장 또는 축소시킨 구멍에 보울트 또는 핀을 사용하여 적재된 화물의 폭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폭이 좁을 경우에도 신축공의 천공된 구멍을 내측으로 이동하여 폭을 좁혀서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수직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40) 사이의 양측의 일면에 연결된 상하이동체(30)가 설치되어 누름덮개(50)를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눌러주어 화물을 주행시킨다.
이때, 상기 상하이동체(3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안전센서를 설치하여 수직으로 일정구간 이동하되, 누름덮개(50)와 지게발(42) 사이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편중 및 외부 구동조건에 의하여 상하이동체(30)의 균형점을 유지하여 신속하게 정지하거나 가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전도 등의 안전성을 강구하기 위한 것이 바람직하겠다.
상기 안전센서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센서는 모두 가능한 것이며,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즉, 거리를 측정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달하거나 다음 동작이 이루어지는 장치에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체(30)는 유압실린더, 전동실린더, 공기압실린더, 나사식 잭, 기어와 체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40) 후면에 트랙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41)을 갖고, 수직으로 대향시킨 상기 메인프레임(10)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지지하고, 격자형 하부프레임의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봉(43)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봉(43)은 하부프레임(40)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44)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적재화물의 위치를 신속하게 포착하여 상적할 수 있는 지게발(fork)(42)을 구비한 하부프레임(40)이 설치된다.
가이드봉(43)은 지게발(42)의 좌우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구멍을 천공하여 천공된 구멍에 스톱퍼(미도시)를 설치한다.
하부의 격자형 하부프레임(40) 후면에 트랙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41)은 결착용 브라켓을 하부프레임(40)에 부착하여 핀과 보울트에 의하여 트랙터와 상호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봉(43)과 지게발(42)의 상단 결착부에 지게발(42) 이동을 고정제한하기 위한 관통구를 천공하여 핀 또는 볼트로 구멍에 결합하여 지게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아울러,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유압실린더/전동실린더/가스실린더(46) 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여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우로 자동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게발(42)의 절곡면의 후면과 하부프레임(40) 간의 접촉부위에는 미끄럼과 마찰을 겸용하는 마찰판(47)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마찰판(47)은 강도가 있고 미끄럼에도 견디기 쉬운 테프론 등과 같은 재질의 마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을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가이드봉의 안전센서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강구할 수 있는 것이다.
수직으로 대향된 격자형 메인프레임(10)의 보강을 위하여 메인프레임(10) 양측으로 보강부재를 연장 설치하여 하부프레임(40)과 상호 연결하여 메인프레임(10), 하부프레임(40), 누름덮개(50) 간의 균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견고성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하부프레임(40)의 하단에 삽입구를 만들어 이동식 휠(미도시)을 삽입구에 결합 설치하여 멀티포크리트터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지게발(fork)(42) 위에 적재된 화물이 주행할 경우 비포장도로, 두둑과 같은 걸림턱과 요철에 의한 충격력과 경사진 노면에서도 기울기에 의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수직력을 가하여 화물을 눌러 주어 적치된 화물이 균형을 유지하는 누름판(56)이 형성되고, 누름판(56)의 일측은 연결구(51)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0) 전면에 돌출된 돌출부(21)와 핀 또는 힌지로 연결하고, 누름판(56)은 화물을 상적하거나 하역시 화물에 수직력을 가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향으로 회전하여 상적하거나 하역시 지장이 없도록 한 누름덮개(50)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0) 전면에 돌출된 돌출부(21) 하부에 각재를 설치하고, 상기 각재(57) 일측과 누름판(56) 일측에 쇼바(실린더) 또는 탄성스프링(53)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스무스하게 누름덮개(50)가 상향/하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누름판(56)은 상판(52)과 하판(52')으로 구분되고, 상판과 하판의 프레임 끝단부에 고정되어 화물에 가해지는 수직력에 의한 충격을 제1차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체(5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54)는 스프링/ 고무/ 탄성섬유/ 합성프라스틱/ 부틸고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경우 스프링 둘레에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한 스프링 보호캡/스프링 보호봉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56)의 하판(52')에 고무판, 고무부틸렌, 종이, 섬유, 실린더(55)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화물과 맞닫아 접촉할 경우 상적된 포장 상자가 2단에서 10단으로 적치됨에 의하여 상방향에서 수직력으로 압축하면 닫는 면이 연약한 채소, 딸기,등과 같은 연약화물의 경우에는 농산물이 훼손되는 것을 사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필요시에는 고무튜브도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일측 또는 누름판(56)의 하판 일측에 접촉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누름덮개(50)가 화물을 누를 경우 누르는 힘에 의해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누름덮개(50)의 일측에 걸고리를 설치하여 메인프레임(10)에 고정대를 설치하여 누름덮개(50)가 상향으로 접어질 경우 또는 정비시 하향으로 낙하하여 화물과 인명에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누름덮개(50)의 재질은 프라스틱, 고무재, 섬유재, 금속재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자중이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있고 강도가 있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인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는 농업용 트랙터 전면에 부착하여 멀티 포크 리프트의 바닥 상면에 적치된 톤백 또는 파레트 위에 농작물을 수확하고 적치하여 근거리를 주행이동하거나, 트럭의 적재함 및 물류창고 등에 자유롭게 상적을 하거나 하역을 하기 위한 운반기로 활용할 수 있다.
10 메인프레임 20 슬라이딩프레임
21 돌출부 30 상하이동체
40 하부프레임 41 연결수단
42 지게발(fork) 43 가이드봉
44 연결대 45 관통구
46 유압실린더/전동실린더/가스실린더
47 마찰판 50 누름덮개
51 연결구 52 누름판, 상판
52' 하판 53 쇼바, 탄성스프링
54 탄성체 55 고무판
56 누름판 57 각재

Claims (15)

  1. 트랙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부착하여 농수산물을 운반하는 케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으로 대향시킨 각형의 골재를 하부프레임에 상호 연결하는 메인프레임(10)과;
    각형의 프레임 일측에 돌출부(21)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내삽 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프레임(20)과:
    슬라이딩프레임(20)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40) 일측 면에 연결된 상하이동체(30)와;
    격자형 하부프레임(40) 후면에 트랙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41)을 갖고, 수직으로 대향시킨 상기 메인프레임(10)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지지하고,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의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봉(43)을 갖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43)은 하부프레임(40)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44)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적재화물의 위치를 신속하게 포착하여 상적할 수 있는 지게발(fork)을 구비한 하부프레임(40)과;
    지게발(fork)(42) 위에 적재된 화물이 주행할 경우 비포장도로, 두둑과 같은 걸림턱과 요철에 의한 충격력과 경사로의 기울기에도 전도되지 않도록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수직력을 가하여 눌러 주어 적치된 화물이 균형을 유지하는 누름판(56)과, 상기 누름판의 일측은 연결구(51)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0) 전면에 돌출된 돌출부(21)와 핀 또는 힌지로 연결하고, 누름판(56)은 화물을 운반할 경우 화물에 수직력을 가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향으로 회전하여 상적하거나 하역시 지장이 없도록 한 누름덮개(50)로; 구성되고,
    슬라이딩프레임(20) 전면에 돌출된 돌출부(21) 하부에 각재(57)를 설치하고, 상기 각재(57) 일측과 누름판(56) 일측에 쇼바(실린더)(53) 또는 탄성스프링(53)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스무스하게 누름덮개(50)가 상향/하향으로 회전되고, 슬라이딩프레임(20)의 끝단은 로울러/마찰판(미도시)를 부착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마찰을 감축시킬 수 있는 것과,
    상기 누름판(56)은 상판(52)과 하판(52')으로 구분되고, 상판과 하판의 끝단부에 고정되어 화물에 가해지는 수직력에 의한 충격을 제1차 완화시키기 위한 탄성체(54)를 설치하는 것과,
    상기 탄성체(54)는 스프링/ 고무/ 탄성섬유/ 합성프라스틱/ 부틸고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경우 스프링 둘레에 스프링을 보호하기 위한 스프링 보호캡/스프링 보호봉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56)의 하판에 고무판/고무부틸렌/종이/섬유/실린더(55)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화물과 맞닫아 접촉할 경우의 닫는 면의 손상과 훼손을 사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체(30)는 유압실린더/전동실린더/공기압실린더/나사식 잭/기어와 체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21)와 연결구(51)에 길이방향으로 격간을 둔 구멍을 형성하여, 신장 또는 축소시킨 구멍에 보울트 또는 핀을 사용하여 적재된 화물의 폭에 맞도록 조정하여 적치된 화물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54) 일측 또는 누름판의 하판(52') 일측에 접촉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누름덮개(50)가 화물을 누를 경우 누르는 힘에 의해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덮개(50)의 일측에 걸고리(미도시)를 설치하여 메인프레임(10)에 고정대(미도시)를 설치하여 누름덮개(50)가 상향으로 접어질 경우 또는 정비시 하향으로 낙하하여 화물과 인명에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는 가이드봉(43)과 지게발(42) 상단 결착부에 지게발의 이동을 고정제한하기 위한 관통구(45)를 천공하여 핀 또는 볼트로 구멍에 결합하여 지게발(4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유압실린더/전동실린더/가스실린더(46) 중 어느 하나를 부착하여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우로 자동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12.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체(3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안전센서를 설치하여 수직으로 일정구간 이동하되, 누름덮개(50)와 지게발(42) 사이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편중 및 외부 구동조건에 의하여 상하이동체(30)의 균형점을 유지하여 신속하게 정지하거나 가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강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13. 제 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하부프레임(40) 전면 일측에 지게발(fork)(42)을 좌우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봉(4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가이드봉 안전센서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강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14. 제 1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대향된 격자형 메인프레임(10)의 보강을 위하여 메인프레임(10) 양측으로 보강부재를 연장 설치하여 하부프레임(40)과 상호 연결하여 메인프레임(10), 하부프레임(40), 누름덮개(50) 간의 균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견고성을 증진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40)의 하단에 삽입구를 만들어 이동식 휠을 삽입구에 결합 설치하여 멀티포크리트터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멀티포크리프터.
KR1020110070503A 2011-07-15 2011-07-15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 KR101147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503A KR101147957B1 (ko) 2011-07-15 2011-07-15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503A KR101147957B1 (ko) 2011-07-15 2011-07-15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957B1 true KR101147957B1 (ko) 2012-05-24

Family

ID=4627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503A KR101147957B1 (ko) 2011-07-15 2011-07-15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263B1 (ko) * 2013-11-21 2014-12-31 김길영 농작물 계량을 위한 판 수동 저울
KR101601117B1 (ko) * 2014-10-06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984A (ja) * 1998-10-19 2000-04-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用ロードスタビライザ
JP2004083248A (ja) * 2002-08-28 2004-03-18 Nippon Yusoki Co Ltd ロードスタビライザー
KR20050066005A (ko) * 2003-12-26 2005-06-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캐리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984A (ja) * 1998-10-19 2000-04-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用ロードスタビライザ
JP2004083248A (ja) * 2002-08-28 2004-03-18 Nippon Yusoki Co Ltd ロードスタビライザー
KR20050066005A (ko) * 2003-12-26 2005-06-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캐리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263B1 (ko) * 2013-11-21 2014-12-31 김길영 농작물 계량을 위한 판 수동 저울
KR101601117B1 (ko) * 2014-10-06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US9707648B2 (en) 2014-10-06 2017-07-18 Hyundai Motor Company Part assembling apparatus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0446A1 (en) Bulk seed handling system
US2675139A (en) Lift truck
AU2010249268A1 (en) Trailer with hoist for container and the like
EP1434475B1 (en) Method for transporting and filling freight containers
KR101147957B1 (ko) 트랙터용 멀티 포크 리프터
EP1434478B1 (en) Cart for bulk filling intermodal containers
US5607274A (en) Bale handling apparatus and process
CN203902357U (zh) 田园果蔬转运机
US11135959B2 (en) Dump trailer
US9357707B1 (en) Method for harvesting a blueberry field
US6024534A (en) Method to convert a small bale agricultural stack wagon to a big bale agricultural stack wagon
US7350871B2 (en) Equipment and supplies lift accessory
CN108482439B (zh) 水稻转运车
CA2883337C (en) A method for harvesting a blueberry field
CN219098665U (zh) 一种便于固定物资的装卸车
KR200291116Y1 (ko) 농업용 지게차
US20240138316A1 (en) Agricultural wagon
Bowman Modernizing handling systems for Florida citrus from picking to packing line
Smith et al. New method for handling citrus fruits from orchard to packing house uses simple equipment
Arslan et al. A Cost Effective Forklift for Materials Handling in Animal Production
US8689527B2 (en) Harvest aid machine
Levin Using Wheels To Move Farm Loads
ES1113605U (es) Máquina para la recogida de fruta en el campo.
CA2416677A1 (en) Portable boom for agricultural machine
EP0125755A1 (en) Agricultural bale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