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755B1 -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755B1
KR101147755B1 KR1020050079043A KR20050079043A KR101147755B1 KR 101147755 B1 KR101147755 B1 KR 101147755B1 KR 1020050079043 A KR1020050079043 A KR 1020050079043A KR 20050079043 A KR20050079043 A KR 20050079043A KR 101147755 B1 KR101147755 B1 KR 10114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monitor
monitor device
mounting portion
fixing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273A (ko
Inventor
정지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755B1/ko
Priority to US11/509,064 priority patent/US20070073423A1/en
Priority to DE102006040188A priority patent/DE102006040188A1/de
Publication of KR20070024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29Applications for power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58Monitor senso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진행 상태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인식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공되고, 원격지에 설치된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선 통신용 모뎀과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뎀용 기판과, 상기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의 진행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나타내 주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원격지에 설치된 거치대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장착부; 벽에 설치된 못 등의 고정부재에 걸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된 제2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 모니터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거치대가 없어도 못 등의 고정부재에 탈부착을 할 수 있어 탈부착이 용이하고,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가전기기, 원격 모니터 장치, 장착부

Description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Remote monitor in electric home applian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원격 모니터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가 장착되는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하부 케이스 12 : 상부 케이스
100 : 원격 모니터 장치 110 : 제1장착부
111 : 가이드 리브 120 : 제2장착부
121 : 지지부 122 : 체결홈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실제 주생활 공간에서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 가전기기의 진행 상태를 위치 이동없이 원거리에서도 쉽게 파악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는 가정에서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을 하는 장치로서, 전기를 빛이나 열 또는 동력으로 변환시켜 사용함으로써 가정에서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최근 주택 생활공간이 커짐에 따라 전기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의 가전기기는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여타 가전기기와는 달리 크기 때문에 통상 거실에서 떨어진 베란다 등의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 외국에서는 대부분 가옥 구조상 실제 생활 공간과 멀리 떨어진 지하실 또는 별도의 창고 등에 세탁기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거주하는 시간이 많은 거실과 멀리 떨어진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세탁기의 행정이나 남은 시간 등 진행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없었다.
즉, 사용자가 세탁기가 설치된 장소를 직접 수시로 방문하여 세탁기의 진행 상태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세탁기 가동후 가동 사실을 깜박 잊어버리거나 또는 아예 잊어버렸을 경우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세탁기 내에 장시간 방치하게 됨에 따라, 세탁물이 쭈글쭈글하게 구겨지거나 세균이 증식하게 되는 등 세탁물의 손상을 초래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세탁기의 행정 에러 등을 인지하지 못하여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게 되면, 세탁물이 세제 및 세탁수에 장시간 접촉되어 탈색 등 세탁물의 옷감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제어하도록 하여 가전기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공되고, 원격지에 설치된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선 통신용 모뎀과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뎀용 기판과, 상기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의 진행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나타내 주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원격지에 설치된 거치대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장착부; 벽에 설치된 못 등의 고정부재에 걸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된 제2장착부:를 포함 하여 이루어지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제1장착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장착부의 지지부는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체결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체결홈의 일부가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목부는 원격 모니터 장치의 중심을 지나는 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장착부는 고정부재에 걸 수 있는 고정고리와 상기 고정고리를 케이스 후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고리가 이루는 면이 상기 케이스 후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장착부 또는 거치대에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는 쪽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이드 홈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세탁기(2) 또는 건조기(3) 등의 가전 기기는 거실 또는 방 등에서 떨어진 공간(예를 들면, 베란다와 지하실 등)에 설치되고, 원격 모니터 장치(1)는 거실 또는 방 등 사용자가 주로 많은 시간을 거주하게 되는 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와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 등의 가전기기는 전력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에는 각각 전력선 통신용 모뎀이 구비되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에는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선 통신용 모뎀과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뎀용 기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를 콘센트를 통해 전력선과 연결하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전력선에 연결하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의 진행상태를 외부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세탁기(2) 및 건조기(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외관은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케이스(11)와 상부 케이스(12)가 결합되어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가전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뎀용 기판(미도시)과, 가전기기의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기판(미도시) 등의 부품 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2)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미도시)의 표시부인 엘씨디 세그먼트(LCD segment)가 노출되어 실질적으로 가전기기의 상태가 표시되는 창(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1)의 후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격 모니터 장치(1)를 벽 등에 설치되는 거치대(20 : 도 4 참조)에 장착하기 위한 제1장착부(13)가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격 모니터 장치(1)는 별도의 거치대(20)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사용자가 주로 많은 시간을 거주하는 거실이나 방의 탁자나 책상 등의 수평한 면 위에 거치대(2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안착부(22)가 고정부(21)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0)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설치할 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가이드 리브(23)가 형성된 안착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제1장착부(13)는 그 외주부를 따라 가이드 리브(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2)에는 상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제1장착부(13)의 가이드 리브(14)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4) 및 지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20)의 안착부(22)는 경사면을 이루고,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탁자 등의 위에 설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원격 모니터 장치(1)를 탈부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기에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거치대(20)는 상기 고정부(21)에 스크류 등을 관통시키는 홀을 형성하여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그냥 두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거치대를 벽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자국이 남지 않아서 미관상 좋다는 특징이 있고, 사용자가 거치대의 설치장소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술한 거치대(20)와는 달리, 수직한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부와 안착부가 편평하도록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등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벽면 고정용 거치대는 그 부피가 작고, 벽면에 원격 모니터 장치를 고정시키게 되므로, 사용자가 모니터 장치를 쉽게 볼 수 있고, 찾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관상 사용자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거치대(20)가 보이지 않도록 상기 거치대 및 안착부(22)의 크기를 상기 하부 케이스(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거치대(20)를 벽면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로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제1장착부(13)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4)를 상기 거치대(20)의 안착부(22)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원격 모니터 장치는, 제1장착부에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거치대의 안착부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제1 장착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거치대의 안착부에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것도 쉽게 이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 및 거치대(2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거치대(20)를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 및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제1장착부(11)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4)를 상기 거치대(20)의 안착부(22)에 형성된 가이드 홈(24)에 상하방향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기만 하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는 상기 거치대(20)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거치대(20)의 크기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면에서 원격 모니터 장치(1)를 바라볼 때 거치대(20)가 보이지 않으며 미관이 수려하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1)는 그 고정수단이 제1장착부(13)만 형성되어 있어서, 거치대(20)를 통해서만 원격 모니터 장치(1)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원격 모니터 장치(1)를 고정시키는 방법 및 그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 게 된다.
따라서, 거치대가 없더라도 원격 모니터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 등에 못 등의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그 고정부재에 원격 모니터 장치를 걸기만 하면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장착부를 구비하는 원격 모니터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거치대(20 : 도 4 참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장착부(110)와, 상기 제1장착부(110)와 별도로 못 등의 고정부재(미도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2장착부(1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부(120)는 상기 제1장착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홈(1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체결홈(122)은 고정부재에 걸렸을 때, 상기 체결홈(122) 내에서의 고정부재가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홈(122)의 끝단부에는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오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 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122)에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오목부에 안착시키면,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홈(1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가 고정부재에 정위치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장착부(120)는 고정부재가 최종적으로 삽입되어 정지되는 위치가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중심을 지나는 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장착부(120)의 지지부(121)는 하부 케이스(11)의 후면과 일정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장착부(110)를 거치대(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할 때, 상기 제2장착부(120)가 거치대(20)와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21)는 상기 제1장착부(1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에 못이나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를 벽에 설치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제2장착부(120)에 형성된 체결홈 (122)의 개구부에 고정부재(미도시)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체결홈(122)의 끝까지 밀어넣으면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를 살짝 들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홈(122) 끝단의 오목한 부분에서 나오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홈(122)를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구부까지 밀어주면,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홈(122)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100)의 분리가 완료된다.
한편, 거치대(20)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설치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원격 모니터 장치(200)의 제2장착부(220)가 고정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홈의 형태가 아닌, 고정부재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리 형태의 고정고리(221)와, 상기 고정고리(221)를 지지하는 지지부(222)로 이루어진다.
특히, 고정부재에 상기 고정고리(221)를 탈부착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고리(221)가 하부 케이스(11)의 면에 대해 항상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222)에는 상기 고정고리(221)를 상기 하부 케이스(11)의 후면에 항상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스프링(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고리(221)가 항상 하부 케이스(11)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200)를 거치대(20)에 탈부착할 때,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고정부재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못 등이므로, 원격 모니터 장치(200)가 정위치로 고정되고, 고정된 후 움직여서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고리(221)는 정방향으로 놓인(한 꼭지점이 상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놓인)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고리(221)는 원격 모니터 장치(200)의 중심을 지나는 선 상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 장치(200)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2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벽에 못이나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를 벽에 설치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200)의 제2장착부(220)의 고정고리(221)에 걸면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원격 모니터 장치(2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모니 터 장치(200)를 살짝 들어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고리(221)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 원격 모니터 장치(200)의 분리가 완료된다.
한편, 거치대(20)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설치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적절한 시기에 조치할 수 있어, 가전기기의 유지 보수 등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둘째, 원격 모니터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거치대가 없어도 못 등의 고정부재에 탈부착을 할 수 있어 탈부착이 용이하고,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공되고, 원격지에 설치된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에 구비되어 있는 전력선 통신용 모뎀과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뎀용 기판과, 상기 세탁기 또는/및 건조기의 진행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나타내 주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원격지에 설치된 거치대와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장착부;
    벽에 설치된 못 등의 고정부재에 걸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된 제2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제1장착부의 상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고, 고정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의 원격 모니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의 지지부는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체결홈의 일부가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오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원격 모니터 장치의 중심을 지나는 선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는 체결부재에 걸 수 있는 고정고리와 상기 고정고리를 케이스 후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고리가 이루는 면이 상기 케이스 후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 또는 거치대에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는 쪽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가이드 홈을 갖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20050079043A 2005-08-26 2005-08-26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147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43A KR101147755B1 (ko) 2005-08-26 2005-08-26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US11/509,064 US20070073423A1 (en) 2005-08-26 2006-08-24 Remote monitoring device for laundry machine
DE102006040188A DE102006040188A1 (de) 2005-08-26 2006-08-28 Fernüberwachungsvorrichtung für Wäsche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043A KR101147755B1 (ko) 2005-08-26 2005-08-26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273A KR20070024273A (ko) 2007-03-02
KR101147755B1 true KR101147755B1 (ko) 2012-05-25

Family

ID=3809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043A KR101147755B1 (ko) 2005-08-26 2005-08-26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19Y1 (ko) * 2009-01-07 2011-05-13 주식회사 평일 전자식 전력량계의 plc모뎀 접속부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20745U (ko) * 1987-04-10 1988-11-30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벽걸이 및 탁상용 겸용장치
JPH08223668A (ja) * 1995-02-20 1996-08-30 Fujitsu General Ltd リモコン装置
US5799281A (en) * 1996-01-23 1998-08-25 E.L.M.S., Llc Computer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laundry installation
KR19990000898A (ko) * 1997-06-11 1999-01-15 윤종용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지지장치
JPH11200456A (ja) * 1998-01-09 1999-07-27 Hitachi Chem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におけるリモコンの取付構造
KR20000002857U (ko) * 1998-07-11 2000-02-07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홀더 구조
KR200223328Y1 (ko) * 2000-12-22 2001-05-15 엘지전자주식회사 벽걸이 및 탁상 겸용 전화기
JP2002315234A (ja) * 2001-04-05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50066451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20745U (ko) * 1987-04-10 1988-11-30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벽걸이 및 탁상용 겸용장치
JPH08223668A (ja) * 1995-02-20 1996-08-30 Fujitsu General Ltd リモコン装置
US5799281A (en) * 1996-01-23 1998-08-25 E.L.M.S., Llc Computer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laundry installation
KR19990000898A (ko) * 1997-06-11 1999-01-15 윤종용 벽걸이 및 탁상겸용 전화기 지지장치
JPH11200456A (ja) * 1998-01-09 1999-07-27 Hitachi Chem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におけるリモコンの取付構造
KR20000002857U (ko) * 1998-07-11 2000-02-07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홀더 구조
KR200223328Y1 (ko) * 2000-12-22 2001-05-15 엘지전자주식회사 벽걸이 및 탁상 겸용 전화기
JP2002315234A (ja) * 2001-04-05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50066451A (ko) *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273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553B2 (en) Fan light apparatus
KR20050021058A (ko) 드럼세탁기의 후크 지지구조
KR101147755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20070024272A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KR101275202B1 (ko) 위치 변경식 콘트롤러를 갖는 세탁 또는 세탁물 건조를위한 기계장치
CN203642270U (zh) 微波炉的安装组件及嵌入式微波炉
KR101821244B1 (ko) 다용도 융합형 휴지걸이
US20070073423A1 (en) Remote monitoring device for laundry machine
JP2015104562A (ja) 厨房装置
KR101823621B1 (ko) 샤워기 거치대
CN202515048U (zh) 一种组合型衣通托
CN214906278U (zh) 一种皂液器的可拆卸外壳及具有其的壁挂式皂液器
KR100818642B1 (ko) 주방용 조명장치
CN210066247U (zh) 便携式洗衣机
KR101861329B1 (ko) 가구용 멀티탭 조절 거치대
CN220442550U (zh) 一种食品加工机
CN210066246U (zh) 便携式洗衣装置
CN215163919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电动晾衣机
CN219242429U (zh) 一种弹簧式机械挂钩
KR101100188B1 (ko) 가전기기
CN218405997U (zh) 一种集成吊顶家用电器的安装机构
CN210069931U (zh) 一种带洗碗机的多功能集成灶
KR101100187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전력선 통신용 모뎀의설치 구조
KR101031009B1 (ko) 액자
CN210151414U (zh) 一种可拆卸触摸显示屏安装机构及其衣物护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