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057B1 -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057B1
KR101147057B1 KR1020100133469A KR20100133469A KR101147057B1 KR 101147057 B1 KR101147057 B1 KR 101147057B1 KR 1020100133469 A KR1020100133469 A KR 1020100133469A KR 20100133469 A KR20100133469 A KR 20100133469A KR 101147057 B1 KR101147057 B1 KR 101147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heel cap
advertisement
stop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국
Original Assignee
김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국 filed Critical 김상국
Priority to KR102010013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057B1/ko
Priority to PCT/KR2011/007486 priority patent/WO2012086905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26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 B60B7/0033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urface appearance
    • B60B7/006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the dominant aspect being the surface appearance the surface being reflective or including l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4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2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having an element mounted for rotation independently of wheel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60Surface treatment; After treatment
    • B60B2310/64Effect of treatments
    • B60B2310/658For adver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72Visual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휠에 용이하게 탈,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자체 발전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문자 내지 기호들로 구성된 특정 광고문구에 조명을 제공하는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휠에 탈, 부착되며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휠캡부와, 상기 휠캡부 내측면에 결합되며 그 둘레를 따라 복수의 이격부재가 형성된 제1회전판과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되어 제1회전판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그 중심부에 베어링을 통해 고정축이 직교하도록 장착된 제2회전판으로 구성된 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그 중심부에 고정축이 연결됨과 더불어 무게추가 구비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정지부와, 상기 회전부와 정지부 간의 상호 회전작용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수단과, 상기 정지부에 내장되고 발전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축전 및 제어하며 상기 정지부 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콘넥터가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정지부에 장착되되 탈부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지부로부터 탈, 부착되며 외측면으로는 광고문구를 표출하되 광원이 내장되어 상기 광고문구를 발현시키고 배면에는 상기 접속콘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핀이 구성되어 제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광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Advertisement Device For Wheel Cap}
본 발명은 차량의 휠에 용이하게 탈,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자체 발전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문자 내지 기호들로 구성된 특정 광고문구에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이 발달하고 경제적으로 윤택해짐에 따라 차량의 품위를 유지하려는 욕망이 고급차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차량의 종류나 브랜드를 소비자에게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차량의 운행과 동시에 부각시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일 예로, 종래에는 차량의 휠 내측에 장착되는 휠캡에 자사의 브랜드를 알리는 로고 또는 광고 등의 문구를 인쇄하고, 상기 휠캡이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등 상기 휠캡을 광고 매체로 활용하는 차량의 휠캡을 이용한 광고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자동차 휠캡을 이용한 광고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도 로고 및 광고 문구가 표시되어 있는 휠캡 부분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광고 문구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회전하지 않는 휠캡에서 로고 및 광고 문구가 표시된 부분의 식별이 주간에는 가능하나 야간에는 식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체 전력 공급 능력과 조명 조절 기능을 구비하지 않아 색깔의 변화가 없는 단순한 인쇄와 단조로운 표현 등으로 소비자로 하여금 싫증을 유발할 수 있는 표시방법으로 로고 혹은 광고의 효과를 매우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자체 발전이 가능한 휠캡용 광고장치가 개시되었다. 종래 자체 발전이 가능한 휠캡용 광고장치는 회전하는 휠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될 수 있는 발전수단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발전수단을 통해 발광되는 광원을 통해 휩캡에 표시되는 로고 및 광고문구를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발전 수단은 일반적인 회전자와 고정자로 이루어진 발전장치로 구성됨에 따라 영구 자석과 에나멜선이 감긴 적층 규소강판을 이용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적층 규소강판에 형성된 톱니모양의 슬롯 때문에 영구 자석에 끌리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 인해 톱니를 타고 넘는 듯한 코깅 토크 현상으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더구나, 약한 회전력에서는 로터의 회전속도가 느려 충전지의 충전개시전압에 도달하지 못하여 발전기의 가동 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조명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전량을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자체 발전이 가능한 휠캡용 광고장치는 발전 수단에서 발생되는 전압을 승압하기 위한 배전압 회로를 추가로 구성해야되며, 충전량이 적고 충전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충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휠캡용 광고장치는 유지 보수 내지 광고문구의 변경 등을 위해 광고장치를 분해함에 있어서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주행 차량의 휠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자체 발전이 이루어지되 회전 부하를 절감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어리스 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체 발전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광고 문구가 표출되는 엘이디 광고판을 구동시킴으로써 시각적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코어리스 AFPM 발전기를 이용한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는, 그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장착돌기가 형성되어 차량의 휠에 탈, 부착되며 중심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휠캡부와;
상기 휠캡부 내측면에 결합되며, 그 둘레를 따라 복수의 이격부재가 형성된 제1회전판과,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판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그 중심부에 베어링을 통해 고정축이 직교하도록 장착된 제2회전판으로 구성되어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휠캡부와 연동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그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축이 연결됨과 더불어 무게추가 구비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정지부와;
비자성체의 디스크 형 원판으로 상기 정지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그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코일뭉치가 에폭시를 포함한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 및 지지되도록 구성된 고정자 및 비자성체의 디스크 형 원판으로 상기 정지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의 각 내측면에 결합되며, 그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자의 각 코일뭉치와 대향하도록 네오디뮴(Neodymium) 자석 또는 사마륨(Sm)-코발트(Co)자석을 포함한 희토류(rare earth metal) 자석이 배치되되 인접하는 타 영구자석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영구자석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회전자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와 정지부 간의 상호 회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도록 구성된 발전수단과;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정지부에 장착되되 탈부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지부로부터 탈, 부착되며, 외측면으로는 광고문구를 표출하되 광원이 내장되어 상기 광고문구로 조명을 제공하고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핀과 상기 고정축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지지홈이 구성되는 광고부; 및
상기 정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발전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축전 및 제어하고 축전된 전원을 상기 접속핀을 통해 광고부로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콘넥터가 구성되며, 외부 밝기에 따라 상기 광원을 점멸 제어하기 위한 조도센서가 내장된 스위칭모듈과 상기 광고부의 장착 또는 분리됨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광고부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는 휠캡 구조의 휠캡부에 의해 차량의 휠에 용이하게 탈, 부착됨에 따라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며 특히, 탈부착수단에 의해 광고부가 휠캡용 광고장치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광고부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광고 문구를 표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체 발전을 위한 발전수단에 있어 코어리스 발전기의 구조가 적용되도록 고정부 및 회전부가 구성됨으로써, 코깅 토크(cogging torque) 현상을 제거하여 회전 부하를 절감하고 그에 따라 자체 발전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광고부의 조명판은 면발광 판넬로 구성되어 광원의 빛이 균일하게 표출됨에 따라 보다 우수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가 휠에 장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면발광 판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면발광 판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가 휠에 장착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면발광 판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면발광 판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캡 구조로 차량의 휠(1)에 탈, 부착되도록 구성되며, 코어리스 발전 방식을 따른 자체 발전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문자 내지 기호들로 구성된 특정 광고문구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광고문구를 표출하는 광고부(60)는 휩캡 구조를 갖는 휠캡용 광고장치로부터 용이하게 탈, 부착되어 다양한 광고문구로 교체 가능함은 물론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a 등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는 휠캡부(10), 회전부(20), 정지부(30), 발전수단(40), 제어부(50) 및 광고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휩캡부는 차량의 휠(1)에 탈, 부착되는 휠캡 구조로서 차종별 휠캡 사이즈와 동일하게 제작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장착돌기(110)가 형성되어 차량의 휠캡홀(미도시)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돌기(11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상기 휠캡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회전하는 휠(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휠캡부(10)는 그 중심부에 중공부(10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하에서 설명하는 광고부(60)가 상기 중공부(100)를 통해 정지부(30)에 삽입 장착될 경우 간섭이 없도록 상기 광고부(6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20)는 한 쌍의 회전판(21, 22)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코어리스 발전 방식을 적용하기 위함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캡부(1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그 둘레를 따라 복수의 이격부재(210)가 형성된 제1회전판(21)과, 상기 이격부재(210)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판(21)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제2회전판(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회전판(22)의 중심부에는 베어링(22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링(220)에는 상기 제2회전판(22)과 직교하며 회전부(20)로부터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축(230)이 고정 및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부(20)의 제1회전판(21) 및 제2회전판(22)은 서로 이격 설치됨에 따라 양 회전판(21, 22)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23)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트 등을 포함한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휠캡부(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휠캡부(10)와 연동된다. 즉, 차량의 휠(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휠캡부(10)는 물론 회전부(20)는 휠(1)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정지부(30)는 상기 회전부(20)의 양 회전판(21, 22) 사이의 공간(23)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지부(30)의 중심부에는 상기 베어링(220)을 통해 지지되어 있는 고정축(230)이 연결되어 상기 양 회전판(21, 22)과 접촉되지 않게 공간(23) 상에 배치됨으로써 회동하는 상기 회전부(20)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정지부(30)는 그 하부에 차량의 회전력으로부터 대항할 수 있는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300)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20)의 회동에도 무게 중심을 하부측으로 작용하게 하여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220)은 볼 베어링 내지 유체 베어링 등을 포함한 다양한 베어링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도면에서 제시하고 있는 볼 베어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동하는 상기 회전부(20)로부터 상기 고정축(230)이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어떠한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발전수단(40)은 회동하는 상기 회전부(20)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정지부(30)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등 자체 발전에 따른 전원을 생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발전수단(40)은 종래 휠캡용 광고장치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향상된 발전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코어리스 발전 방식을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발전수단(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0)에 결합된 회전자(42)와 정지부(30)에 결합된 고정자(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자(41)는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디스크 형 원판으로 상기 정지부(30)에 결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지부(30)와 일체로 형성됨이 타당하다. 그리고 디스크 형 원판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코일이 권선된 복수의 코일뭉치(410)가 고정 배치되는데, 이때의 각 코일뭉치(410)는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자(41)의 원판 일면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종래 철심 코어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철심 코어와 같은 기계적인 특성을 갖추어야 하므로 고강도이면서 열에 강한 특성을 갖는 에폭시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회전자(42)는 상기 고정자(41)와 마찬가지로 비자성체의 디스크 형 원판으로 구성되는데 앞서 설명한 고정축(230) 등이 통과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자(42)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회전자(42)는 상기 고정자(41)가 결합된 정지부(30)를 향하도록 상기 제1회전판(21) 및 제2회전판(22)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20)가 회동함에 따라 연동되어 함께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42)는 원판의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자(41)의 각 코일뭉치(410)와 대향하도록 영구자석(420)이 배치되어 있는데 인접하는 타 영구자석(420)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영구자석(420)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420)은 일반적인 페라이트(Ferrite) 자석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력이 강한 네오디뮴(Neodymium) 자석 또는 사마륨(Sm)-코발트(Co)자석 등과 같은 희토류(rare earth metal) 자석을 사용하여 더욱 향상된 발전 효율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3상 유도 발전기의 코어리스 발전 방식을 적용한 상기 발전수단(40)은 철심 코어가 불필요함으로 철심 코어에 의한 코깅 토크 현상에서 발생되는 손실을 제거함과 더불어 회전자(42)의 회전 부하를 절감하여 더욱 향상된 발전 효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자(41)의 코어가 없고 고자력을 제공하는 희토류 자석을 사용함에 따라 시동 속도가 낮아도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교적 큰 공극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코어리스(Coreless)형으로 제작 가능하여 코일의 권선 체적 밀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계할 수 있으며, 회전자(42)와 고정자(41)가 디스크 형태로 제작되어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 진다.
이처럼, 두 개의 회전자(42)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전수단(40)의 구조로 인해 영구자석(420)의 수가 증가되고 도체의 양측면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특히, 영구자석(420)이 배치된 두 개의 회전자(42)는 디스크 형태로서 팬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고정자(41)의 권선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같은 용량의 권선에 비해 더 많은 전류를 흘릴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발전수단(4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수단(40)으로부터 생산되는 전원은 제어부(50)로 전달되며, 전달된 전원은 제어부(50)에 의해 축전 및 제어되어 광고부(60)로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50)는 도 1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지부(30) 상에서 PCB 기판에 실장된 형태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예로써 모듈화로 제작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정지부(30) 내부에 매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부(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정지부(30) 상에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광고부(60)가 정지부(30)에 탈, 부착됨에 따라 별도의 전원 공급라인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 일 예로써,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정지부(30) 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콘넥터(5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콘넥터(5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광고부(60)의 접속핀(650)과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50)의 전원을 상기 접속핀(650)을 통해 광고부(6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전원모듈과 충전모듈 및 스위칭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듈은 상기 발전수단(40)에서 생산되는 3상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며 정전압 소자가 내장되어 상기 광고부(60)으로 정전압 공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전원모듈에서 변환되는 직류 전원을 충전함과 더불어 과전압 및 과전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모듈은 실질적으로 광고부(60)로 조명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광원(610)을 제어하는 것으로, 외부 밝기에 따라 상기 광원(610)이 점멸되도록 조도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칭모듈은 기설정된 조도량에 따라 밝으면 상기 충전모듈을 통해 계속 충전하도록 하며 어두우면 상기 광원(610)을 점등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충전모듈에서 전원의 미충전 시 어두운 곳이더라도 광원(610)을 점등시키지 않고 계속 충전을 진행시키며, 반대로 과충전의 유지 시에는 외부 밝기에 무방하게 광원(610)을 점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광고부(60)가 정지부(30)로 탈, 부착됨에 따라 이를 감지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식모듈은 상기 접속콘넥터(500)와 연계되어 상기 광고부(60)가 장착 또는 분리됨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광고부(60)의 장착 또는 분리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식모듈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광고부(60)가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며 광고부(60)의 분리 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접속콘넥터(5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광고부(60)는 정지부(30)에 탈,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정지부(30)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광고부(60)는 앞서 설명한 휠캡부(10)의 중공부(100)를 통해 상기 정지부(30)에 탈, 부착되는데, 탈부착수단(600)이 구비되어 부착 시에는 정지부(30)에 고정되어 정지부(3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탈착 시에는 용이하게 상기 정지부(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부착수단(600)은, 상기 정지부(30)의 일면에 상기 광고부(60)를 향하도록 장착되며 그 내측면에는 걸림홈(611)이 형성된 걸림부재(610)와, 상기 광고부(60)의 외측면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압부재(620)와, 상기 가압부재(620)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620)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30) 및 상기 가압부재(620)에 장착되되 상기 광고부(60)를 관통하여 상기 정지부(30)를 향하도록 구성되며 그 끝단에는 상기 걸림홈(611)에 대응하는 형상의 걸림돌기(641)가 형성된 고정부재(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광고부(60)의 외측에 형성된 가압부재(62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640)가 어느 일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걸림홈(611)에 걸려있는 걸림돌기(641)는 상기 고정부재(640)가 유동됨으로써 상기 걸림홈(6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며 이러한 작동 과정을 통해 상기 광고부(60)는 상기 정지부(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광고부(60)는 상술한 탈부착수단(600)에 의해 용이하게 휠캡용 광고장치에서 분리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한편 광고부(60)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광고문구를 표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광고부(60)는 그 외측면으로 광고문구를 표출하되 광원(610)이 내장되어 있어 상기 광고문구로 조명을 제공하여 야간에도 광고문구의 식별이 가능하게 되고 배면에는 상술한 제어부(50)의 접속콘넥터(500)와의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핀(65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핀(650)은 상기 접속콘넥터(50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광고부(60)의 부착 시 안정적으로 접속핀(650)이 접속콘넥터(5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접속핀(650)이 접속콘넥터(500)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광고부(6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판(61)과 상기 광고판(61)의 배면에 위치하여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판(62)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고판(61)은 광고를 하기 위한 특정 인쇄물 또는 기호 내지 문자로 조합된 광고문구가 각인된 형태를 가지며 배면에 위치하는 조명판(62)으로부터 조명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판(62)은 상기 광고판(61)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50)의 접속콘넥터(5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멸 동작하는 광원(610)이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광원(610)은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판(62)은 상기 광고판(61)으로 조사되는 빛이 보다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면발광 판넬(660)로 구성된다.
상기 면발광 판넬(6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점광원인 LED로 구성된 상기 광원(61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굴절 내지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굴절 내지 반사된 빛이 합쳐짐에 따라 육안으로는 빛이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처럼 확인된다. 따라서, 상기 LED로 구성된 광원(610)이 면발광 판넬(660)의 평면상에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면발광 판넬(660)에는 어느 일 부위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용부(661)가 마련되고, 상기 광원(610)은 상기 수용부(661)에서 상기 면발광 판넬(660)의 측부를 조사하도록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면발광 판넬(6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바, 그 형상에 있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빛이 굴절 내지 반사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의 면발광 판넬(660)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술한 조명판(62)은 상기 정지부(3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정지부(30)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고정축(230)은 상기 광고부(60)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광고부(60)의 조명판(62)은 그 배면의 중심부에 상기 연장된 고정축(23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지지홈(670)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광고부(60)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축(230)을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편심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러한 고정축(230)에 따라 상기 정지부(30)는 안정적으로 양 회전판(21, 22) 사이의 공간(23)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휠
10 : 휠캡부 20 : 회전부
21 : 제1회전판 22 : 제2회전판
30 : 정지부 40 : 발전수단
41 : 고정자 42 : 회전자
50 : 제어부 60 : 광고부
61 : 광고판 62 : 조명판
100 : 중공부 210 : 이격부재
220 : 베어링 230 : 고정축
300 : 무게추 410 : 코일뭉치
420 : 영구자석 500 : 접속콘넥터
600 : 탈부착수단 610 : 걸림부재
620 : 가압부재 630 : 스프링
640 : 고정부재 650 : 접속핀

Claims (9)

  1. 그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장착돌기가 형성되어 차량의 휠에 탈, 부착되며 중심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휠캡부와;
    상기 휠캡부 내측면에 결합되며, 그 둘레를 따라 복수의 이격부재가 형성된 제1회전판과,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판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며 그 중심부에 베어링을 통해 고정축이 직교하도록 장착된 제2회전판으로 구성되어 제1회전판과 제2회전판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휠캡부와 연동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그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축이 연결됨과 더불어 무게추가 구비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정지부와;
    비자성체의 디스크 형 원판으로 상기 정지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그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코일뭉치가 에폭시를 포함한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 및 지지되도록 구성된 고정자 및 비자성체의 디스크 형 원판으로 상기 정지부를 향하도록 상기 제1회전판 및 제2회전판의 각 내측면에 결합되며, 그 둘레를 따라 상기 고정자의 각 코일뭉치와 대향하도록 네오디뮴(Neodymium) 자석 또는 사마륨(Sm)-코발트(Co)자석을 포함한 희토류(rare earth metal) 자석이 배치되되 인접하는 타 영구자석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영구자석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회전자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부와 정지부 간의 상호 회전 작용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도록 구성된 발전수단과;
    상기 중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정지부에 장착되되 탈부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정지부로부터 탈, 부착되며, 외측면으로는 광고문구를 표출하되 광원이 내장되어 상기 광고문구로 조명을 제공하고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핀과 상기 고정축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지지홈이 구성되는 광고부; 및
    상기 정지부에 내장되고 상기 발전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축전 및 제어하고 축전된 전원을 상기 접속핀을 통해 광고부로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콘넥터가 구성되며, 외부 밝기에 따라 상기 광원을 점멸 제어하기 위한 조도센서가 내장된 스위칭모듈과 상기 광고부의 장착 또는 분리됨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광고부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133469A 2010-12-23 2010-12-23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 KR10114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469A KR101147057B1 (ko) 2010-12-23 2010-12-23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
PCT/KR2011/007486 WO2012086905A2 (ko) 2010-12-23 2011-10-10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469A KR101147057B1 (ko) 2010-12-23 2010-12-23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057B1 true KR101147057B1 (ko) 2012-05-17

Family

ID=4627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469A KR101147057B1 (ko) 2010-12-23 2010-12-23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7057B1 (ko)
WO (1) WO2012086905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04B1 (ko) * 2012-06-29 2014-04-25 김상국 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센싱 및 광고가 가능한 휠캡장치
WO2015160111A1 (ko) * 2014-04-14 2015-10-22 유충섭 회전바퀴용 이미지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바퀴
CN106660389A (zh) * 2014-04-14 2017-05-10 柳忠燮 转轮用图像板及包括其的转轮
US10442242B2 (en) * 2015-03-27 2019-10-15 Bosswell Korea Inc. Light emitting device for automobile wheel
WO2019240315A1 (ko) * 2018-06-11 2019-12-19 이도현 차량용 스마트 휠캡
KR102065851B1 (ko) * 2018-08-14 2020-01-13 김명기 발광기능을 갖는 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606B1 (ko) * 2019-04-23 2024-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력가변 휠 및 공력가변 휠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154Y1 (ko) * 1996-08-02 1999-06-15 류정열 차량 타이어휠의 휠캡의 취부구조
KR200234324Y1 (ko) * 2001-02-28 2001-09-26 노재익 회전체의 허브 장착용 코어리스식 자가발전장치
KR200374183Y1 (ko) * 2004-06-28 2005-01-27 조용락 차륜의 점멸 장치
KR20070110999A (ko) * 2006-05-16 2007-11-21 김봉주 차량용 휠의 고정 광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860Y1 (ko) * 2007-04-12 2008-12-17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차량용 문자의 면발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154Y1 (ko) * 1996-08-02 1999-06-15 류정열 차량 타이어휠의 휠캡의 취부구조
KR200234324Y1 (ko) * 2001-02-28 2001-09-26 노재익 회전체의 허브 장착용 코어리스식 자가발전장치
KR200374183Y1 (ko) * 2004-06-28 2005-01-27 조용락 차륜의 점멸 장치
KR20070110999A (ko) * 2006-05-16 2007-11-21 김봉주 차량용 휠의 고정 광고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04B1 (ko) * 2012-06-29 2014-04-25 김상국 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센싱 및 광고가 가능한 휠캡장치
WO2015160111A1 (ko) * 2014-04-14 2015-10-22 유충섭 회전바퀴용 이미지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바퀴
CN106660389A (zh) * 2014-04-14 2017-05-10 柳忠燮 转轮用图像板及包括其的转轮
KR101768044B1 (ko) * 2014-04-14 2017-08-30 유충섭 회전바퀴용 이미지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바퀴
US10046596B2 (en) 2014-04-14 2018-08-14 Miryoon W&T Corporation Image board for rotary wheel and rotary wheel including same
CN106660389B (zh) * 2014-04-14 2019-01-11 迷人尹 W&T 公司 转轮用图像板及包括其的转轮
US10442242B2 (en) * 2015-03-27 2019-10-15 Bosswell Korea Inc. Light emitting device for automobile wheel
WO2019240315A1 (ko) * 2018-06-11 2019-12-19 이도현 차량용 스마트 휠캡
KR102065851B1 (ko) * 2018-08-14 2020-01-13 김명기 발광기능을 갖는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6905A2 (ko) 2012-06-28
WO2012086905A3 (ko)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057B1 (ko) 차량의 휠캡용 광고장치
US6756719B1 (en) Electrical generator with separated coil and set of magnets
US8994238B2 (en) Energy conversion device
US10913506B2 (en) Generator for bicycle, and battery module attachable/detachable to/from generator
CN202586545U (zh) 永磁与电磁串联磁场混合励磁发电机
WO2021036886A1 (zh) 一种轮毂充电装置、显示装置及显示控制电路
JP2002531048A (ja) 小型携帯用フラット発電機
CN202634041U (zh) 一种自行车发电装置
JP5642991B2 (ja) タイヤ内発電装置
KR20140006097U (ko) 자전거용 발전기
KR101389404B1 (ko) 바퀴의 회전력에 의해 센싱 및 광고가 가능한 휠캡장치
KR101758463B1 (ko) 자전거용 발전기 및 이러한 발전기에 착탈 가능한 배터리모듈
KR101402358B1 (ko) 차량용 발전장치
CN208571637U (zh) 一种智能购物车充电装置
KR101727214B1 (ko) 발전장치
KR101197593B1 (ko) 병렬구조 영구자석을 장착한 회전자
KR101604637B1 (ko) 양극평형운동을 이용한 시간차 발전기가 부착된 진공 전동기
KR20160028688A (ko) 발전 효율이 향상된 유도 발전기
KR101073386B1 (ko) 발전장치
CN214674572U (zh) 一种节能直流永磁电动机
CN201290044Y (zh) 一种管状电机及其使用的电机刹车装置
CN105871147A (zh) 带真空泵的凸极电磁与径向永磁复合励磁发电机
KR101087704B1 (ko) 자가 발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가 발전 전력 공급 방법
WO2015160049A1 (ko) 발전기 겸용 브러쉬리스 모터장치
KR100434828B1 (ko)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회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