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040B1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040B1
KR101147040B1 KR1020110054552A KR20110054552A KR101147040B1 KR 101147040 B1 KR101147040 B1 KR 101147040B1 KR 1020110054552 A KR1020110054552 A KR 1020110054552A KR 20110054552 A KR20110054552 A KR 20110054552A KR 101147040 B1 KR101147040 B1 KR 10114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tim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Priority to KR102011005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대기 접수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특정 대기 장소의 해당 대기 라인의 대기 인원 및 상기 대기자의 대기 번호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대기 정보 및 상기 대기 라인의 평균 건당 처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예상 대기 시간을 상기 대기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ITING INFORMATION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기 정보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놀이공원, 식당, 커피 전문점, 테이크아웃 전문점, 배달 전문점, 패밀리 레스토랑, 비행기, 버스, 병원, 은행, 관공서, 영화관, 백화점, 마트, 도서관, 주차, 세차 등등 우리는 일상 생활을 하면서 수도 없이 대기를 하게 된다.
대기 시간만 모아도 하루 중의 상당 부분이 허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대기 시간에 많은 시간을 허비해 정작 본래의 일은 하지 못하고 시간을 낭비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놀이공원을 예로 들면 인기 있는 놀이 기구를 타려면 2~3 시간 정도 기다리는 일도 허다하다. 비싼 자유이용권을 끊고 입장해서 2~3 개의 놀이 기구만 타면 하루가 다 가버린다.
도서관의 경우 열람실을 이용하기 위해서 몇 시간씩 줄을 서서 시간을 낭비하고 정작 공부하는 시간은 몇 시간 되지 않는다. 은행이나 패밀리 레스토랑 등 모든 상황에서 아까운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대기 인원, 대기 번호, 예상 대기 시간 등의 대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대기 장소를 이탈해 자유롭게 남은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대기 접수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특정 대기 장소의 해당 대기 라인의 대기 인원 및 상기 대기자의 대기 번호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대기 정보 및 상기 대기 라인의 평균 건당 처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예상 대기 시간을 상기 대기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 장소와 멀어진 시간만큼 남은 대기 시간과 상기 대기 장소까지 가는 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소요 시간을 현재 위치에서 상기 대기 장소까지의 이동 수단별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대기자가 지정한 설정값에 의해 상기 예상 대기 시간 전에 진동, 소리, 화면 깜빡임, 또는 램프 표시 중 어느 하나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리니어(linear) 하게 변하지 않고 급격하게 변할 경우, 상기 설정값과 상관 없이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대기자가 너무 먼 거리로 벗어나지 않게 하거나, 다른 이용물을 장시간 이용하여 정작 원하는 대기중인 이용물을 이용하지 못하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게 해줄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대기 장소의 현장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대기 장소를 촬영한 비디오를 제공 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대기 장소에 설치된 유무선 통신 장치, QR 코드, 또는 증강현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대기 장소의 특정 방향으로 증강현실 어플을 실행시키면, 해당 이용물까지의 거리, 예상 대기 시간, 및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 있다.
놀이공원을 예로 들면, 넓은 놀이공원 안에서 360도의 방향으로 여러 가지 놀이 기구가 있게 되는데, 사용자가 대기를 원하는 놀이 기구의 방향으로 증강 현실 어플을 실행 시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해당 놀이 기구의 거리와 예상 대기 시간, 가는데 걸리는 시간 등의 대기 정보가 카메라가 향하는(비추는) 방향에 따라 실시간으로 증강현실 어플에서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대기 오버타임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대기자가 상기 설정된 대기 오버타임 시간까지 상기 대기 장소에 도착하지 않으면, 상기 대기 접수에 관한 설정을 무효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대기 접수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요청에 따라 특정 대기 장소의 해당 대기 라인의 대기 인원 및 상기 대기자의 대기 번호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입력된 대기 정보 및 상기 대기 라인의 평균 건당 처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계산된 예상 대기 시간을 상기 대기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 장소와 멀어진 시간만큼 남은 대기 시간과 상기 대기 장소까지 가는 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소요 시간을 현재 위치에서 상기 대기 장소까지의 이동 수단별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대기자가 지정한 설정값에 의해 상기 예상 대기 시간 전에 진동, 소리, 화면 깜빡임, 또는 램프 표시 중 어느 하나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대기 장소의 현장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대기 장소를 촬영한 비디오를 제공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대기 장소에 설치된 유무선 통신 장치, QR 코드, 또는 증강현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대기 오버타임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대기자가 상기 설정된 대기 오버타임 시간까지 상기 대기 장소에 도착하지 않으면, 상기 대기 접수에 관한 설정을 무효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대기 인원, 대기 번호, 예상 대기 시간 등의 대기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대기 장소를 이탈해 자유롭게 남은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서비스 서버(110) 및 모바일 단말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대기 접수의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대기 접수는 놀이공원, 식당, 병원, 은행 등과 같은 대기 장소에서 해당 서비스(놀이기구, 식사, 진료, 입출금 등)를 이용하기 위한 접수 행위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상기 대기 접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기 장소의 해당 대기 라인의 대기 인원 및 상기 대기자의 대기 번호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상기 대기 인원 및 상기 대기 번호를 계속적으로 체크하여 메모리에 기록해 놓을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상기 생성된 대기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상기 대기 정보에 현재 이용자의 대기 번호를 포함시켜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상기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대기 오버타임 시간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10)는 대기자가 상기 설정된 대기 오버타임 시간까지 대기 장소에 도착하지 않으면, 대기자가 요청한 대기 접수에 관한 설정을 무효화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대기 오버타임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대기자가 상기 설정된 대기 오버타임 시간까지 상기 대기 장소에 도착하지 않으면, 상기 대기 접수에 관한 설정을 무효화할 수 있다. 즉, 대기자는 상기 대기 오버타임 시간까지 대기 장소에 도착하지 못하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대기자는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대기 접수를 요청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이렇게 무효화된 대기자의 순번은 실시간으로 전체 대기자 리스트에 반영되어 다른 대기자들의 실시간 대기시간에 영향을 주게 되어 이용하는데 지장이 없으며,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게 되어 시간의 낭비 없이 즐길 수 있다.
또한, 오버타임되어 무효화된 대기자 외에도 전체 놀이공원을 벗어나거나 놀이공원을 퇴장하거나 체크아웃한 경우에도 더 이상 대기자 리스트에는 의미가 없으므로 이 또한 마찬가지로 실시간 반영해 준다. 그리고 사용자의 변심에 의한 대기 취소를 할 경우에도 전체 대기 리스트에 실시간 반영해주어 알려준다.
사용자들의 더욱 안정되고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대기 시간이 리니어(linear) 하게 변하지 않고 급격하게 시간의 변동이 생길 경우에는 지정된 알림 타임이 아니라 하더라도 긴급 알림을 해주어 너무 거리를 벗어나지 않게 하거나, 다른 이용물을 장시간 이용하여 정작 원하는 대기중인 이용물을 이용하지 못하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게 해준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상기 대기 장소에 설치된 유무선 통신 장치(3G, Wi-Fi, GPS, NFC, 근접센서 등), QR 코드, 또는 증강현실(카메라 센서를 이용) 중 어느 하나(102)를 이용하여 통신망(101)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의 경우 놀이공원을 예로 들면, 넓은 놀이공원 안에서 360도의 방향으로 여러 가지 놀이 기구가 있게 되는데, 사용자가 대기를 원하는 놀이 기구의 방향으로 증강 현실 어플을 실행 시키면 해당 놀이 기구의 거리와 예상 대기 시간, 가는데 걸리는 시간 등의 대기 정보가 카메라가 향하는(비추는) 방향에 따라 실시간으로 증강현실 어플에서 보여준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상기 입력된 대기 정보 및 상기 대기 라인의 평균 건당 처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평균 건당 처리 시간은 한 사람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시작하여 완료하는 데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상기 계산된 예상 대기 시간을 상기 대기 정보와 함께 출력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상기 예상 대기 시간 및 상기 대기 정보를 LCD창 등의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상기 대기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 장소와 멀어진 시간만큼 남은 대기 시간과 상기 대기 장소까지 가는 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상기 소요 시간을 현재 위치에서 상기 대기 장소까지의 이동 수단별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대기자가 지정한 설정값에 의해 상기 예상 대기 시간 전에 진동, 소리, 화면 깜빡임, 또는 램프 표시 중 어느 하나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상기 대기 장소의 현장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대기 장소를 촬영한 비디오를 제공 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는 입력부(210), 프로세서부(220), 출력부(230), 알림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10)는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대기 인원, 대기 번호 등의 대기 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때, 상기 입력부(210)는 대기 장소에 설치된 유무선 통신 장치, QR 코드, 또는 증강현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220)는 상기 입력된 대기 정보 및 상기 대기 라인의 평균 건당 처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한다.
상기 프로세서부(220)는 상기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상기 대기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 장소와 멀어진 시간만큼 남은 대기 시간과 상기 대기 장소까지 가는 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부(220)는 상기 소요 시간을 현재 위치에서 상기 대기 장소까지의 이동 수단별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30)는 상기 계산된 예상 대기 시간을 상기 대기 정보와 함께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의 화면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230)는 상기 계산된 소요 시간을 상기 이동 수단별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240)는 대기자가 지정한 설정값에 의해 상기 예상 대기 시간 전에 진동, 소리, 화면 깜빡임, 또는 램프 표시 중 어느 하나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부(240)는 상기 예상 대기 시간 1시간 전이나 30분 전, 또는 10분 전에 상기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 즉 상기 입력부(210), 상기 프로세서부(220), 상기 출력부(230), 상기 알림부(24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의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310)에서 상기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는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대기 접수의 요청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320)에서 상기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대기 접수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기 장소의 해당 대기 라인의 대기 인원 및 상기 대기자의 대기 번호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330)에서 상기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는다.
다음으로, 단계(340)에서 상기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대기 정보 및 상기 대기 라인의 평균 건당 처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한다.
다음으로, 단계(350)에서 상기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계산된 예상 대기 시간을 상기 대기 정보와 함께 출력한다. 이때, 상기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예상 대기 시간 및 상기 대기 정보를 LCD창 등의 화면으로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360)에서 상기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는 대기자가 지정한 설정값에 의해 상기 예상 대기 시간 전에 진동, 소리, 화면 깜빡임, 또는 램프 표시 중 어느 하나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의 기능 및 그 기능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편의 기능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대기자)가 대기 장소와 멀어진 시간만큼 남은 대기 시간과 대기 장소까지 갈 수 있는 시간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기 장소를 무한정 벗어날 수 없으며, 예상 대기 시간 대비 멀어진 장소를 계속해서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도보, 뛰어감, 전기차(놀이동산 등), 자전거, 버스, 지하철, 택시, 등등의 모든 이동 수단에 비례해 대기 시간 내에 늦지 않게 갈 수 있도록 실시간 나타내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기 장소까지 가지 않고도 Wi-Fi 나 3G 등을 이용한 유,무선 통신에 의한 대기 장소의 현장 상황을 볼 수 있으며, 또한 웹 접속에 의해 현장에 가지 않고도 대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현장에 가서 대기 시간을 설정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자신의 차례에 가지 못했을 경우 또는 웹 접속에 의한 대기 설정 남용과 남발을 막기 위하여 해당 대기 장소에서 정한 대기자 대기 오버타임 시간을 두어, 그 시간이 지나게 되면 대기 설정이 무효화 되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예를 들면, 은행은 1분, 놀이 공원은 5분, 패밀리 레스토랑은 3분 등등 대기 장소의 전체 커버 영역과 실질적인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정한 룰에 따른다.
광고의 활용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웹에서 서비스 또는 PC용 앱(App)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에 여러 가지 광고를 삽입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의 경우 LCD 창의 면적이 넓으므로, 대기 시간, 전체 대기자(대기 인원) 등의 대기 정보를 메인 화면에 두고, 현장의 비디오, 오디오 등을 실시간으로 작게 보여주는 창을 두면 그 외에는 모두 광고로 활용하여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장소와 연관된 광고나 다른 광고 등을 삽입하여 보여 준다.
또한, 실시간 대기 리스트와 줄어드는 속도와 예상 대기시간을 보여주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예상 대기 시간 등의 고급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앱에서 제공하는 또는 앱과 연계된 장소나 상점 등에서 제공하는 광고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페이지 이상을 보거나 클릭해야 고급 정보를 보여주거나 또는 해당 앱 제공사나 해당 장소나 상점 등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획득할 수 있다.
병원
병원에서의 대기 예이다.
체혈이나 검사 등을 받기 위한 대기 시간을 유무선 통신 또는 센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대기표를 받고 정해진 시간에 와서 검사를 진행한다.
진료를 받기 위한 병원 건물 내의(또는 외부 이동) 진료 장소 이동에 따른 대기 시스템 및 안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진료 후 약국으로 이동하는 길 안내 서비스와 온라인 처방전을 부여 받아 원하는 약국으로 자동으로 포워딩하고, 시간에 맞춰 약국으로 안내를 받아 이동하면서 결재 시스템을 이용한 결재를 마친 후 약을 타가는 시스템을 도입할 수도 있다.
퀵서비스, 물류, 택배
퀵서비스 실시간 연계 및 전달: A 퀵서비스 기사가 'ㄱ' 지역을 갈 때, B 에게 실시간으로 퀵서비스 기사의 위치를 알려준다. 퀵서비스 기사가 다른 사람의 물건을 함께 가지고 간다면 다른 지역을 들렀다 가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럴 경우 인근의 연계된 퀵서비스 기사에게 자신의 물건을 맡기거나, 해당 위치로 대신 이동하게 하여, 사용자가 조금의 대기 시간 낭비 없이 택배 물건을 전달하거나 전달 받을 수 있게 한다.
대리운전 서비스: 나의 위치 혹은 내 차가 있는 위치를 전송하면, 해당 기사의 위치가 나에게 공유되고, 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기사가 시간에 맞춰서 오고, 사용자는 기사의 실시간 이동 거리를 확인하면서 시간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다림이 없는 스마트 대기표 시스템
택시: 내가 탄 택시 안에서 NFC 등을 이용해서 부모님이나 가족 또는 남자친구에게 문자, 전화, SNS 등을 보내면 해당 위치와 차량 정보와 택시 운전사 개인 정보(공개 가능한 정도의 정보)가 뜨고 해당 차량의 위치정보와 함께 이동 정보가 실시간으로 나와 택시에 탄 사람에게 제공된다. 이때, 택시의 실제 이동정보가 나에게 허위로 보여질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택시 안의 단말과 나의 단말에서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일치하는지를 계속 체크한다.
물류: 물류 이동 등의 택배 시스템과 연계해 실제 전 세계 지도상의 모든 위치에서 대기 시스템과 연계하여 물류의 이동에 따른 물류를 전달 받는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낭비하지 않게 하는 시스템
실시간 알림 대기표
댓글 알림 서비스: 사용자가 게시판에 쓴 글의 댓글이 실시간으로 달렸는지 알려주어, 희망하는 답글이 달렸을 경우 대기 시간 없이 바로 원하는 액션을 취할 수 있는 시스템
이 경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겠지만, 예로, 중고나라에서 원하는 물건을 팔려고 내놓거나 사고 싶은 물건의 스펙을 올려놨을 때, 전화나 문자메시지로 문의 하는 사람도 있지만, 게시판에 댓글을 남기는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 사용자에게 바로 바로 대기 시간 없이 알려주어 사용자는 원하는 매매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중고나라의 예처럼 다양한 경우로 사용 가능하다. 실제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게시판에 전화번호를 남겨놓지 않은 경우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메일 알림 서비스: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이메일을 받거나 답메일을 받았을 경우 대기 시간 없이 사용 가능하다.
은행 입출금 알림 서비스 - 마찬가지로 자신의 계좌로 입출금이 되었을 때,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대기 시간 없이 다음 액션을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비행기 등
비행기나 버스 또는 열차 또는 배 등의 온라인 예매를 했으나 다른 대기 시간의 표를 얻고 싶을 때, 스마트 대기표 시스템을 이용한다.
대기 시간 없이 바로 알려주고, 결재 시스템까지 있어, 원하는 시간대의 표를 예매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오프라인에서 공항이나 터미널 또는 역에 가서 원하는 탈것을 놓치거나 표를 구하지 못하였을 때, 스마트 대기표를 위의 방법으로 스캔하여(스캔 방법은 위의 설명과 동일) 대기하고 있으면, 자신의 차례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예상 대기 시간 동안 시간의 낭비 없이 원하는 일을 자유롭게 하거나 안심하고 쉴 수 있다.
대기표 매매
먼저 대기하던 사람이 대기표를 사용할 일이 없다거나 다른 볼일이 생겨 자신의 대기표가 필요 없어졌다면, 대기표 매물 사이트에 자신의 대기표를 올려놓고 판매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시간대의 대기표를 원하는 시간과 좌석 또는 구역 등의 요청서를 올려놓고 구매를 희망하는 글을 올려놓고 판매자의 메시지를 기다릴 수 도 있다.
대기표의 매매는 앱에서 구매한 마일리지나 적립금 또는 쿠폰 등의 아이템에 의해 주고 받을 수 있다. 아이템의 가격은 앱 등록자/사용자/판매자 사이에서 정한 적당한 가격에 의해 매매가 되며, 매매금액 또한 매매자 간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앱 등록자가 정한 단계별 매매 가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대기표 게임
대기표를 가지고 대기를 하는 중에 대기자들끼리 간단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앱에서 제공한다.
이때, 게임은 "가위바위보"나 "사다리타기" 게임 등의 간단한 게임이 될 수 있으나, 앱 등록자가 수시로 개발한 게임을 등록할 수 있다.
대기자들끼리 게임을 즐기면, 상대방의 아이템을 획득하거나, 대기 순서를 뒤바꾸는 등의 게임으로 기다리는 시간을 덜 지루하게 보낼 수 있다.
게임은 줄을 서서 기다리거나, 멀리 떨어져서 기다릴 수 있는데, 이렇게 대기하는 사람들끼리 게임 메뉴에 접속하면 대기자 리스트가 나타나고 원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게임하기를 희망하는 대기자들과 게임을 한다.
후순위의 대기자는 아이템을, 선순위의 대기자는 대기순서를 건다거나, 서로의 아이템을 건다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게임을 즐기면 지루한 시간을 즐겁게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서비스 서버
120: 모바일 단말기
210: 입력부
220: 프로세서부
230: 출력부
240: 알림부
250: 제어부

Claims (16)

  1.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대기 접수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특정 대기 장소의 해당 대기 라인의 대기 인원 및 상기 대기자의 대기 번호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대기 정보 및 상기 대기 라인의 평균 건당 처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기반으로 이동 수단별로 상기 대기 장소까지 가는 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예상 대기 시간 및 상기 이동 수단별 소요 시간을 상기 대기 정보와 함께 화면에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대기 오버타임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대기자가 상기 설정된 대기 오버타임 시간까지 상기 대기 장소에 도착하지 않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대기 장소를 벗어나면, 상기 대기 접수에 관한 설정을 무효화하며, 먼저 대기하던 사람이 대기표를 사용할 일이 없다거나 다른 볼일이 생겨 자신의 대기표가 필요 없어지는 경우, 상기 먼저 대기하던 사람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기표에 관한 매물 정보를 수신하여 대기표 매물 사이트와의 연계를 통해 상기 대기표를 판매하고, 상기 대기자(구매자)가 원하는 시간대의 대기표에 관한 구매 희망 메시지를 상기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대기표 매물 사이트와의 연계를 통해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 장소와 멀어진 시간만큼 남은 대기 시간과 상기 대기 장소까지 가는 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소요 시간을 현재 위치에서 상기 대기 장소까지의 이동 수단별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대기자가 지정한 설정값에 의해 상기 예상 대기 시간 전에 진동, 소리, 화면 깜빡임, 또는 램프 표시 중 어느 하나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예상 대기 시간이 리니어(linear) 하게 변하지 않고 급격하게 변할 경우, 상기 설정값과 상관 없이 긴급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대기 장소의 현장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대기 장소를 촬영한 비디오를 제공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대기 장소에 설치된 유무선 통신 장치, QR 코드, 또는 증강현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스템 구성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대기 장소의 특정 방향으로 증강현실 어플을 실행시키면, 해당 이용물까지의 거리, 예상 대기 시간, 및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삭제
  10. 서비스 서버 및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대기 접수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요청에 따라 특정 대기 장소의 해당 대기 라인의 대기 인원 및 상기 대기자의 대기 번호를 포함하는 대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입력된 대기 정보 및 상기 대기 라인의 평균 건당 처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대기자의 예상 대기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기반으로 이동 수단별로 상기 대기 장소까지 가는 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계산된 예상 대기 시간 및 상기 이동 수단별 소요 시간을 상기 대기 정보와 함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대기 시간에 기초하여 대기 오버타임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대기자가 상기 설정된 대기 오버타임 시간까지 상기 대기 장소에 도착하지 않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대기 장소를 벗어나면, 상기 대기 접수에 관한 설정을 무효화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먼저 대기하던 사람이 대기표를 사용할 일이 없다거나 다른 볼일이 생겨 자신의 대기표가 필요 없어지는 경우, 상기 먼저 대기하던 사람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대기표에 관한 매물 정보를 수신하여 대기표 매물 사이트와의 연계를 통해 상기 대기표를 판매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대기자(구매자)가 원하는 시간대의 대기표에 관한 구매 희망 메시지를 상기 대기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대기표 매물 사이트와의 연계를 통해 상기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장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기반으로 상기 대기 장소와 멀어진 시간만큼 남은 대기 시간과 상기 대기 장소까지 가는 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소요 시간을 현재 위치에서 상기 대기 장소까지의 이동 수단별로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대기자가 지정한 설정값에 의해 상기 예상 대기 시간 전에 진동, 소리, 화면 깜빡임, 또는 램프 표시 중 어느 하나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대기 장소의 현장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대기 장소를 촬영한 비디오를 제공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대기 장소에 설치된 유무선 통신 장치, QR 코드, 또는 증강현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대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6. 삭제
KR1020110054552A 2011-06-07 2011-06-07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4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52A KR101147040B1 (ko) 2011-06-07 2011-06-07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52A KR101147040B1 (ko) 2011-06-07 2011-06-07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040B1 true KR101147040B1 (ko) 2012-05-17

Family

ID=4627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552A KR101147040B1 (ko) 2011-06-07 2011-06-07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0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724B1 (ko) * 2012-02-29 2014-06-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고 서적 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01008A (ko) 2014-06-26 2016-01-06 김주윤 놀이시설 이용 예약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5771A (ko) * 2017-02-18 2018-08-28 서경노 셀프장비 사용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528A (ko) * 2004-08-18 2006-02-22 임승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순번 대기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00022915A (ko) * 2008-08-20 2010-03-0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차량 대 차량 교통 대기행렬 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8863A (ko) * 2010-12-14 2010-12-3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카메라 탑재 단말기에서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528A (ko) * 2004-08-18 2006-02-22 임승오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순번 대기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00022915A (ko) * 2008-08-20 2010-03-0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차량 대 차량 교통 대기행렬 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8863A (ko) * 2010-12-14 2010-12-3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카메라 탑재 단말기에서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724B1 (ko) * 2012-02-29 2014-06-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고 서적 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01008A (ko) 2014-06-26 2016-01-06 김주윤 놀이시설 이용 예약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5771A (ko) * 2017-02-18 2018-08-28 서경노 셀프장비 사용 방법
KR101898285B1 (ko) * 2017-02-18 2018-09-12 서경노 셀프장비 사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1507B1 (en) Beacon deployment enabling location based services (LBS) in an urban or city environment
US9204257B1 (en) Indoor and outdoor mapping and navigation utilizing RF bluetooth beacons
JP5872083B2 (ja) 効率的な取引のためのユーザプロファイルおよび地理的位置
US20070225911A1 (en) User positional and venue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80352373A1 (en) Personalized itinerary generation and mapping system
US200701789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user experience in a wide-area facility having a distributed, bounded environment
WO2001027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user experience in a wide-area facility having a distributed, bounded environment
KR20210152450A (ko)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단말
US20160155151A1 (en) Advertisement system, and advertisement processing device
Lim Designing the next generation of mobile tourism application based on situation awareness
KR101147040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035054A (ja) 情報配信サーバ、情報配信方法、記録媒体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EP23337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multiple hospitality services to a user via a virtual platform field
JP74462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253385B2 (ja) 行動予測および通知システム
JP2021018631A (ja) 情報処理装置
KR101710672B1 (ko) 고객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놀이공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2176464A1 (ja) 情報提示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方法
KR101489299B1 (ko) 제안 및 수용 정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702750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3173408A (ja) 携帯電話を所持した会員へのサービスポイント配信システム及び配信用サーバ
JP7132892B2 (ja) 販売方法、販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6614A (ja) サービス促進システム
WO202111152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ポイント付与システム
TWM646219U (zh) 智慧票卡互動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