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598B1 - 안전 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안전 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598B1
KR101146598B1 KR1020110068120A KR20110068120A KR101146598B1 KR 101146598 B1 KR101146598 B1 KR 101146598B1 KR 1020110068120 A KR1020110068120 A KR 1020110068120A KR 20110068120 A KR20110068120 A KR 20110068120A KR 101146598 B1 KR101146598 B1 KR 101146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d
spiral groove
rotating rod
ratche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용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윈텍 filed Critical (주)한국윈텍
Priority to KR102011006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8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having teet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스크린을 상하로 개폐하기 위하여 체인이나 줄을 사용하지 않아 어린 아이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안전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안전 롤 블라인드는, 안전 롤 블라인드는, 스크린과,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봉과,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와, 제1 기어와 치합되어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와, 제2 기어로부터 연장되어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봉을 포함하되,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는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다.

Description

안전 롤 블라인드{Safety roll blind}
본 발명은 안전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롤 스크린을 상하로 개폐하기 위하여 체인이나 줄을 사용하지 않아 어린 아이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안전 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란, 투명한 유리창 또는 유리벽 등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조절하거나, 외부에서 실내가 잘 보이지 않도록 차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롤 블라인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롤스크린을 이용하여 빛을 차단하거나 투과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롤 블라인드는 상부에 고정된 권취봉에 롤스크린이 감겨 올라가는 구조로서, 권취봉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 또는 줄이 필요하였다.
통상 롤스크린의 길이를 고려할 때, 권취봉을 회전시키는 체인 또는 줄의 길이는 적어도 롤스크린의 길이만큼 필요하다. 이러한 체인 또는 줄은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양 끝단이 서로 결합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러나, 폐루프 형식의 체인과 줄은 어린 아이에게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즉, 체인과 줄이 어린 아이의 목에 걸려 아이가 위험에 빠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어린 아이에게 안전하면서 신뢰성 있는 구조의 롤 블라인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체인 또는 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롤스크린의 상승 및 하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며 신뢰성이 우수한 롤 블라인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롤 스크린을 상하로 개폐하기 위하여 체인이나 줄을 사용하지 않아 어린 아이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안전 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는, 스크린과, 상기 롤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봉과, 상기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봉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는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다.
상기 제2 기어는 베벨기어, 웜기어 및 헬리컬 기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회전봉은 적어도 일부가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봉이 굴절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을 감싸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몸체와, 상기 손잡이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 몸체가 상기 회전봉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회전봉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원 웨이 클러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선홈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회전봉이 삽입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1 나선홈에 삽입되는 제1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1 톱니부가 형성된 제1 래칫 휠과, 상기 제1 래칫 휠의 외측에 위치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 톱니부의 톱니 사이에 경사지게 접하는 가동 폴(pawl)과, 상기 가동 폴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가동 폴을 상기 제1 톱니부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선홈과 반대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선홈과,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회전봉이 삽입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2 나선홈에 삽입되는 제2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2 톱니부가 형성된 제2 래칫 휠과, 상기 가동 폴이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상기 가동 폴을 가압하는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동 폴은 상기 전환 스위치의 가압 위치에 따라 시소 운동하여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선홈과 상기 제2 나선홈은 나선 간격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전동 회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의 일단부가 굴절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크랭크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봉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원형 플레이트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일단에 결합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 아이들에게 위험할 수 있는 폐루프 형태의 체인이나 줄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봉에 손잡이를 상하로 움직이는 구조로서 힘이 부족한 노약자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다.
한편, 회전봉은 비교적 짧은 길이만 있어서 동작할 수 있어,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어린 아이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이까지만 오도록 형성할 수 있어 안전성이 우수하며, 회전봉은 굴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전 롤 블라인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 롤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동 회전기이다.
도 4는 도 3의 전동 회전기를 결합한 안전 롤 블라인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손잡이부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회전봉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손잡이부와 회전봉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전 롤 블라인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안전 롤 블라인드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동 회전기이고, 도 4는 도 3의 전동 회전기를 결합한 안전 롤 블라인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1)는 체인이나 줄을 이용하지 않고 전동 회전기(100)를 이용하여 회전봉(30)을 회전시켜 롤 스크린(40)을 개폐하는 장치이다.
안전 롤 블라인드(1)는 적어도 하나의 롤 스크린(40)과, 롤 스크린(40)을 권취하는 권취봉(20)과, 권취봉(20)을 회전시키는 회전봉(30)과, 회전봉(30)을 회전시키는 전동 회전기(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동 회전기(100)는 필요에 따라 안전 롤 블라인드(1)의 구성요소에서 제외될 수 있다. 즉, 회전봉(3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거나, 기타 범용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하나의 롤 스크린(40)을 하나의 회전봉(30)으로 조작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구조는 둘 이상의 롤 스크린을 갖는 구조나 둘 이상의 회전봉을 이용하는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 프레임(50), 클러치 바디(10) 및 엔드 바디(60)로 구성되는 구조체 내부에 롤 스크린(40)이 권취되는 권취봉(20)이 수용된다.
지지 프레임(50)은 클러치 바디(10) 및 엔드 바디(60)와 함께 안전 롤 블라인드(1)의 지지 구조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권취봉(20)을 수용하며 천장 또는 창문틀 등에 안전 롤 블라인드(1)가 조정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지지 프레임(50)은 클러치 바디(10)와 엔드 바디(60)를 연결하며, 내부에 수용되는 권취봉(20)의 길이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권취봉(20)의 상면과 전면을 연결하는 횡단면이 'ㄱ'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50)은 지지 구조체 역할 뿐만 아니라 권취봉(20)을 보호하고 먼지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50)의 양단에는 클러치 바디(10)와 엔드 바디(60)가 결합되어 있으며, 클러치 바디(10)와 엔드 바디(60) 사이에는 권취봉(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클러치 바디(10)는 내부에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를 포함하여 클러치 모듈을 형성하며, 클러치 모듈은 권취봉(20)을 회전하여 롤 스크린(40)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클러치 바디(10)는 내부에 서로 치합된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를 포함한다. 제1 기어(11)는 플러그(21)를 통하여 권취봉(20)과 결합되며, 제2 기어(12)는 회전봉(3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는 회전축이 서로 평행을 이루지 않으며, 회전축 방향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의 회전축의 방향은 서로 수직을 이룰 수 있다.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는 서로 치합되어 있어, 제2 기어(12)가 회전하면 제1 기어(11)가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제1 기어(11)의 회전력이 제2 기어(12)로 전달되지 않은 구조일 수 있다. 즉, 롤 스크린(4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임의로 회전봉(30)을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2 기어(12)와 제1 기어(11)가 순차적으로 동작하고, 반대로 롤 스크린(40)의 중량에 의해 제1 기어(11)가 회전하고, 제1 기어(11)의 회전력이 제2 기어(12)로 전달되지는 않는 구조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12)는 베벨기어, 웜기어 및 헬리컬 기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제1 기어(11)는 제2 기어(12)와 치합될 수 있는 베벨기어, 평기어, 헬리컬 기어 등이 될 수 있다.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는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아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는 반드시 직접 치합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가 직접 접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의 치합이라 함은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가 직접 접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뿐만 아니라,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 사이에 동력 전달을 매개하는 중간기어가 개재된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 사이에 토크나 속도 조절을 위해 감속기용 기어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듀얼 롤 블라인드의 경우 추가되는 권취봉의 회전을 위해 제1 기어(11)와 제2 기어(12) 사이에 또 다른 기어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1 기어(11)는 플러그(21)에 의해 권취봉(20)에 결합된 평기어 형태의 웜휠로서, 웜 기어 형태의 제2 기어(12)와 직접 치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2 기어(12)는 회전봉(3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회전봉(3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1 기어(11)에 전달하여 롤 스크린(40)을 권출/권취한다.
엔드 바디(60)는 클러치 바디(10)와 함께 권취봉(20)을 지지하며, 엔드 바디(60)에는 권취봉(20)을 지지하는 엔드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회전봉(30)는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유니버셜 조인트(31)로 연결될 수 있다. 유니버셜 조인트란 회전력의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한 축상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축이음 부재를 말한다. 회전봉(30)의 일단부에 제2 기어(12)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 다각 볼트부(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유니버셜 조인트(31)는 제2 기어(12)와 다각 볼트부(32) 사이에 형성된다.
다각 볼트부(32)는 전동 회전기(100)가 회전봉(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양각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음각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회전기(100)를 통해 입력된 회전력은 회전봉(30)을 통해 제2 기어(12)와 제1 기어(11)로 전달되며, 회전봉(30)에 유니버셜 조인트(31)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회전봉(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롤 스크린(40)의 하단부에는 웨이트 부재(41)가 결합되어 있어, 롤 스크린(40) 평평하게 잘 펴질 수 있도록 한다.
전동 회전기(100)는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말단부에 다각 볼트부(32)가 삽입되는 삽입홀(101)이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전동 회전기(100)를 이용하여 회전봉(30)을 회전시킨다. 이때, 전동 회전기(100)는 회전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봉(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 스크린(40)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봉(30)은 유니버셜 조인트(31)로 연결되어 전동 회전기(100)의 접속 각도가 변하더라도 롤 스크린(4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안전 롤 블라인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손잡이부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회전봉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1a)는 내부에 원 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00)를 이용하여 회전봉(30a)을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안전 롤 블라인드(1a)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이전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 롤 블라인드(1a)의 회전봉(30a)은 일단부에 손잡이부(200)가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부(200)는 회전봉(30a)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손잡이부(20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회전봉(30a)이 회전하여 롤 스크린(40)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손잡이부(200)는 회전봉(30a)을 감싸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몸체(210)를 포함하고, 손잡이 몸체(210)에는 회전봉(30a)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회전봉(30a)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원 웨이 클러치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원 웨이 클러치라 함은 한쪽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된 축 이음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손잡이부(200)를 축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키면 회전봉(30a)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손잡이부(200)를 축방향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키면 회전봉(30a)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아 회전봉(30a)을 회전시키지 않는 구성요소를 말한다. 한편, 원 웨이 클러치는 전환 스위치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손잡이부(200)와 회전봉(30a)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손잡이부(200)는 손잡이 몸체(210), 제1 래칫 휠(220), 제2 래칫 휠(230), 가동 폴(pawl)(240), 전환 스위치(250) 및 탄성 부재(251)를 포함한다. 손잡이 몸체(2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를 할 수 있도록 외형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회전봉(30a)이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 래칫 휠(220)은 손잡이 몸체(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가동 폴(240)과 함께 래칫(ratchet) 구조를 형성한다. 즉, 제1 래칫 휠(220)과 가동 폴(240)은 일종의 원 웨이 클러치 구조를 이루게 되어 회전봉(30a)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래칫 휠(220)은 중앙에 회전봉(30a)이 관통하면서 삽입되고 내측면에 제1 돌기부(221)가 돌출되어 있다. 제1 돌기부(221)는 회전봉(30a)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선홈(35)에 삽입되는 구조이며, 제1 나선홈(35)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래칫 휠(220)의 외주면을 따라 제1 톱니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톱니부(222)는 가동 폴(24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지 여부에 따라 동력을 전달하거나 전달하지 않는 구조를 이루어 회전봉(30a)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톱니부(222)는 제1 래칫 휠(220)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톱니부(222)의 기어치(톱니)는 일측 방향으로 편중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가동 폴(240)은 탄성 부재(251)에 의해 가압되는 누름 부재(252)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가동 폴(240)은 제1 톱니부(222)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가동 폴(240)은 일단부가 제1 톱니부(222) 사이에 경사지게 접하여, 제1 래칫 휠(22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가동 폴(240)이 제1 톱니부(222)에 걸리게 되어 제1 래칫 휠(220)이 회전을 저지하고, 제1 래칫 휠(22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가동 폴(240)이 제1 톱니부(222)를 타고 넘어가 제1 래칫 휠(22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 부재(251)는 가동 폴(240)에 탄성력을 가하여 가동 폴(240)을 제1 톱니부(222)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탄성 부재(251)와 가동 폴(240) 사이에 누름 부재(252)가 개재되어 가동 폴(240)이 제1 래칫 휠(220)과 제2 래칫 휠(230) 사이를 전환할 때 원활한 전환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래칫 휠(230)은 가동 폴(240)과 함께 원 웨이 클러치 구조를 이루며, 제1 래칫 휠(22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봉(30a)을 회전시킨다. 제2 래칫 휠(23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회전봉(30a)이 삽입되는 구조이며, 내측면에 제2 나선홈(36)에 삽입되는 제2 돌기부(231)가 돌출 형성된다. 제2 래칫 휠(230)의 외주면을 따라 제2 톱니부(232)가 형성되어, 가동 폴(240)의 타단부와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2 래칫 휠(230)은 제2 돌기부(231)가 제2 나선홈(36)에 삽입되고, 가동 폴(240)이 제2 톱니부(232)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래칫 휠(220)과 기본 구조가 유사하다. 이와 같은 차이점이 제2 래칫 휠(230)의 동력 전달 방향을 제1 래칫 휠(220)의 동력 전달 방향과 반대로 작용하게 한다.
전환 스위치(250)는 가동 폴(240)의 가압 위치를 조절하여, 회전봉(30a)의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가동 폴(240)은 제1 래칫 휠(220)과 제2 래칫 휠(230) 사이에서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전환 스위치(250)의 가압 위치에 따라 제1 톱니부(222)와 제2 톱니부(232)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환 스위치(250)와 가동 폴(240) 사이에는 탄성 부재(251)와 누름 부재(252)가 개재되어, 가동 폴(240)이 제1 톱니부(222)와 제2 톱니부(232)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봉(30a)의 외주면에는 제1 나선홈(35)과 제2 나선홈(36)이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나선홈(35)과 제2 나선홈(36)은 회전봉(30a)에 음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하나는 우측으로 회전하고 나머지 하나는 좌측으로 회전하는 형태를 갖는다. 제1 나선홈(35)과 제2 나선홈(36)은 나선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손잡이부(200)의 움직임에 따라 양쪽 방향의 회전 거리에 차이를 만들 필요가 있는 경우 간격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회전봉(30a)에 나선홈이 형성되고 제1 래칫 휠(220)과 제2 래칫 휠(230)에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로 회전봉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제1 래칫 휠(220)과 제2 래칫 휠(230)의 내측면에 상응하는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나선홈과 돌기부는 한 쌍으로 작동하는 구조로서, 두 구성요소가 서로 바뀌어 형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나선홈과 돌기부가 갖는 용어에 의해 제한 해석될 것은 아니고, 두 구성요소가 바뀌어 형성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은 손잡이부와 회전봉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손잡이부(20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회전봉(30a)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전환 스위치(250)를 조작하여 가동 폴(240)이 제1 래칫 휠(220)을 가압하도록 위치시키면, 가동 폴(240)의 일단부가 제1 톱니부(222)에 삽입되어 제1 래칫 휠(220)이 고정된다. 이때, 제1 래칫 휠(220)의 제1 돌기부(221)가 회전봉(30a)의 제1 나선홈(35)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봉(30a)을 회전시킨다. 즉, 제1 래칫 휠(220)이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회전봉(30a)이 일방향(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봉(30a)의 회전 방향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1 나선홈(35)과 제1 돌기부(221)의 형상에 따라 그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손잡이부(200)를 회전봉(30a)의 축방향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회전봉(30a)이 회전하여 안전 롤 블라인드(1a)를 구동하게 된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손잡이부(20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회전봉(30a)은 회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가동 폴(240)이 제1 래칫 휠(220)을 가압하고 있는 동안 손잡이부(20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제1 래칫 휠(220)은 도 8의 경우에서 작용하는 것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제1 래칫 휠(220)은 제1 톱니부(222)가 가동 폴(240)의 경사면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으며, 가동 폴(240)은 제1 톱니부(222)에 의해 밀려 올라가 제1 래칫 휠(22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제1 래칫 휠(220)은 공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봉(30a)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 8의 과정과 도 9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면, 회전봉(30a)을 오른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게 된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손잡이부(20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회전봉(30a)은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전환 스위치(250)를 조작하여 가동 폴(240)이 제2 래칫 휠(230)을 가압하도록 위치시키면, 가동 폴(240)의 일단부가 제2 톱니부(232)에 삽입되어 제2 래칫 휠(230)이 고정된다. 이때, 제2 래칫 휠(230)의 제2 돌기부(231)가 회전봉(30a)의 제2 나선홈(36)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봉(30a)을 회전시킨다. 즉, 제2 래칫 휠(230)이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회전봉(30a)이 반대 방향(왼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 8의 과정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봉(30a)이 회전하며, 도 8의 과정이 롤 스크린(40)을 상승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였다고 하면, 도 10의 과정은 롤 스크린(40)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손잡이부(20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회전봉(30a)은 회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가동 폴(240)이 제2 래칫 휠(230)을 가압하고 있는 동안 손잡이부(20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제2 래칫 휠(230)은 도 10의 경우에서 작용하는 것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제2 래칫 휠(230)은 제2 톱니부(232)가 가동 폴(240)의 경사면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으며, 가동 폴(240)은 제2 톱니부(232)에 의해 밀려 올라가 제2 래칫 휠(230)의 회전을 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래칫 휠(230)은 공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봉(30a)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 11의 과정과 도 12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면, 회전봉(30a)을 왼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게 된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를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 롤 블라인드의 사시도들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안전 롤 블라인드(1b)는 회전봉(30)을 수동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굴절된 크랭크 손잡이(300)를 포함한다. 크랭크 손잡이(300)는 회전봉(30)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ㄴ'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크랭크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쉽게 회전봉(30)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안전 롤 블라인드(1c)는 회전봉(30)을 수동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원형 플레이트(401)와, 원형 플레이트(401)의 일단부에 결합된 손잡이(402)를 포함한다.
원형 플레이트(401)는 회전봉(30)에 직접 결합되거나 감속기어 등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손잡이(402)를 회전시키면 원형 플레이트(401)가 회전하여 회전봉(30)을 회전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안전 롤 블라인드 10: 클러치 바디
11: 제1 기어 12: 제2 기어
20: 권취봉 21: 플러그
30: 회전봉 31: 유니버셜 조인트
35: 제1 나선홈 36: 제2 나선홈
40: 롤 스크린 41: 웨이트 부재
50: 지지 프레임 60: 엔드 바디
100: 전동 회전기 200: 손잡이부
210: 손잡이 몸체 220: 제1 래칫 휠
221: 제1 돌기부 222: 제1 톱니부
230: 제2 래칫 휠 231: 제2 돌기부
232: 제2 톱니부 240: 가동 폴
250: 전환 스위치 251: 탄성 부재
252: 누름 부재 300: 크랭크 손잡이
400: 손잡이부 401: 원형 플레이트
402: 손잡이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롤 스크린;
    상기 롤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봉;
    상기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어와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는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을 감싸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몸체;
    상기 손잡이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 몸체가 상기 회전봉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회전봉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원 웨이 클러치; 및
    상기 손잡이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원 웨이 클러치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안전 롤 블라인드.
  5. 롤 스크린;
    상기 롤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봉;
    상기 권취봉을 회전 구동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기어와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는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봉; 및
    상기 회전봉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선홈,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회전봉이 삽입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1 나선홈에 삽입되는 제1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1 톱니부가 형성된 제1 래칫 휠,
    상기 제1 래칫 휠의 외측에 위치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1 톱니부의 톱니 사이에 경사지게 접하는 가동 폴(pawl), 및
    상기 가동 폴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가동 폴을 상기 제1 톱니부에 밀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안전 롤 블라인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선홈과 반대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선홈;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회전봉이 삽입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2 나선홈에 삽입되는 제2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제2 톱니부가 형성된 제2 래칫 휠; 및
    상기 가동 폴이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상기 가동 폴을 가압하는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동 폴은 상기 전환 스위치의 가압 위치에 따라 시소 운동하여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안전 롤 블라인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홈과 상기 제2 나선홈은 나선 간격이 서로 동일한 안전 롤 블라인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68120A 2011-07-08 2011-07-08 안전 롤 블라인드 KR101146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20A KR101146598B1 (ko) 2011-07-08 2011-07-08 안전 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120A KR101146598B1 (ko) 2011-07-08 2011-07-08 안전 롤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598B1 true KR101146598B1 (ko) 2012-05-16

Family

ID=4627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120A KR101146598B1 (ko) 2011-07-08 2011-07-08 안전 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5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243B1 (ko) * 2013-08-21 2014-05-28 노승현 안전성이 개선된 롤 블라인드
KR102058096B1 (ko) * 2018-01-08 2019-12-20 (주)한국윈텍 외부동력 구동 겸용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KR102191058B1 (ko) 2020-02-26 2020-12-16 (주)아이세이프 췰드런 코리아 스틱 슬라이드 구조의 롤 블라인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9591A (ja) * 1995-03-30 1999-08-24 エイ ジャコブソン,ジェフ ブラインドとシェードを操作するコードレス装置
JP2006144424A (ja) * 2004-11-22 2006-06-08 Etsuzo Fukuda ブラインド高さ選択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9591A (ja) * 1995-03-30 1999-08-24 エイ ジャコブソン,ジェフ ブラインドとシェードを操作するコードレス装置
JP2006144424A (ja) * 2004-11-22 2006-06-08 Etsuzo Fukuda ブラインド高さ選択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243B1 (ko) * 2013-08-21 2014-05-28 노승현 안전성이 개선된 롤 블라인드
WO2015026134A1 (ko) * 2013-08-21 2015-02-26 윔코리아 주식회사 안전성이 개선된 롤 블라인드
KR102058096B1 (ko) * 2018-01-08 2019-12-20 (주)한국윈텍 외부동력 구동 겸용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KR102191058B1 (ko) 2020-02-26 2020-12-16 (주)아이세이프 췰드런 코리아 스틱 슬라이드 구조의 롤 블라인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8393B2 (ja) 窓用シェードおよびその制御モジュール
KR101916646B1 (ko)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146598B1 (ko) 안전 롤 블라인드
CA2421479C (en) Blind lifting control method and mechanism
ITTO20090156U1 (it) Meccanismo di azionamento a trazione manuale per porta industriale
KR10135773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의 웨이트 바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101730776B1 (ko) 롤스크린 감속장치
CN110778255B (zh) 一种基于火灾等情况下的低层建筑紧急逃生窗
CN110409984B (zh) 一种具有逃生功能的防盗窗
CN210217573U (zh) 一种防门夹手装置
CN208475083U (zh) 一种带红外遥控控制的月球灯
KR101056786B1 (ko) 주름형 블라인드
KR101213737B1 (ko) 안전 끈을 갖는 롤 블라인드
CN103867104A (zh) 一种多功能防盗窗
CN200958360Y (zh) 卷门侧装电机的离合装置
KR20130012480A (ko) 분리형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CN201241604Y (zh) 一种管状电动卷机的离合机构
JP2016198375A (ja) 日射遮蔽装置
CN202713058U (zh) 一种手拉管状电机
JP3579764B2 (ja) 両開戸開閉装置
CN111075338B (zh) 一种具有防窃听功能的遮阳板
KR20120007976U (ko) 윈도우 쉐이드용 양방향 작동/전환 가능한 풀 코드 기구
CN216617398U (zh) 钢丝绳式组合手摇式推拉窗开窗器
CN213742230U (zh)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的起重装置
CN208620897U (zh) 一种防暴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8